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시대 이주자의 자기 인식과 미국 -주요섭과 강용흘의 소설을 중심으로-

        우미영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1

        This paper has investigated Korean settlers’ self awareness and the locational significance of the U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Yo-Seop Ju’s and Young-Hill Kang’s novels that were written based on real experiences in the US. For this, four novels (Tales Stayed in the US「留米外記」 and Seize Clouds「구름을 잡으려고」 by Yo-Seop Ju, The Grass Roof’ and East Goes West: The Making of an Oriental Yankee by Young-Hill Kang) have been reviewed. Both writers described the American society from a perspective of the Korean settlers in the US and brought out dilemmas and problems that they have faced in reality. This kind of in-depth description was possible because the writers actually lived in the US. Therefore, this paper has thoroughly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Korean settlers and the US. In particular, how Korean settlers’ identity has been formed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ettler’s locational awareness and the US. In Yo-Seop Ju’s novel, an immigrant laborer is the main character. For him, the US was a land of opportunity in which he could make his dream come true. In reality, however, the US was a land of misery with no hope in which poor settlers were exploited and brutally treated. According to Young-Hill Kang’s novel, on the other hand, the main character Cheong-Pa Han went to the US with a dream to continue his study. In the US, however, he became unstable and confused about ambivalent and non-ambivalent consciousnes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other words, the said novels vividly describe a true reality of the US(the West). In the novels, the US requests multi-layered self awareness from the main characters in terms of national, racial, and hierarchical aspects. This paper has examined how the Korean settlers in the US have formed their identity under each category. As a result, this paper has figured out what the US meant to Korean settlers in the U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perspective of reality. 본 논문은 미국 체험을 토대로 한 주요섭과 강용흘의 소설을 통해 식민시 시대 재미 이주민의 자기 인식과 미국의 장소적 의미를 살핀 글이다. 대상으로 한 작품은 주요섭의 「留米外記」와 「구름을 잡으려고」, 강용흘의 「초당 The Grass Roof」과 「동양, 서양에 가다 East Goes West: The Making of an Oriental Yankee」 등 네 편이다. 두 작가의 작품들은 재미 조선인 주인공들이 현지 생활인의 차원에서 미국 사회를 바라보고 나아가 그들이 구체적으로 당면하는 문제들을 현실적인 차원에서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는 작가들이 단순한 여행자가 아닌 생활인의 차원에서 미국과 관계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를 통해 현실적인 체험에 근거한 재미 조선인과 미국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주자 개인과 그가 느끼는 미국에 대한 장소 의식 및 그와의 상관 관계를 통해 재미 조선 이주자의 정체성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섭의 소설은 이주 노동자가 주인공이다. 이들을 미국과 맺어주는 고리는 황금에의 욕망이다. 그러나 실제 삶의 과정 속에서 미국은 이들의 삶을 착취하고 끝내는 행방불명과 죽음으로 몰고 가는 좌절의 장소이다. 이에 비해 강용흘 소설의 주인공인 한청파는 이주 지식인으로서 유가적 학문과 근대적 계몽이 혼재된 학문의 꿈을 안고 미국을 향했다. 그러나 실제 미국에서 그의 의식은 동양과 서양에 대한 양가, 양비적인 의식 사이에서 분열적이고 불안정한 양상을 드러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이 소설들은 미국-서양에 대한 환타지와 현실상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미국은 이들 주인공들에게 국가ㆍ민족적/인종적/계급적인 다층적인 차원에서 중층화된 자기 인식을 분명하게 요구한다. 재미 조선인이 이러한 각각의 차원에서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새롭게 구성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련의 논의를 통해 식민시 시대 재미 조선인에게 ‘미국’이 갖는 장소적 의미를 현실적인 차원에서 고찰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체화된 인지와 마음의 글쓰기 -나탈리 골드버그의 ‘글쓰기 연습’론을 중심으로-

        우미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new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writing training method of Natalie Goldberg (born 1948): Instead of specific information or knowledge that is central to practical writing education, Goldberg emphasized the primary attitude hidden under the cover of practicality. This brings the problem of subdued attitudes to a natural level to the center of writing,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a new writing education beyond the level of information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Above all, Goldberg’s writing methodology is characterized by its emphasis on “unthought” when writing. This rejects the view that thinking comes first and writing is the produc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onceptual relevance of writing and thinking and cognition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inking in “unthought”. In Chapter 2, this was looked at from the perspective of writing as an idea that focuses on the “act” of writing. As consciousness and body are connected to one through hands, it is one’s “mind” that the writer should meet through writing as an act of thought. At this time, the mind is connected with perception in cognitive science. The concept of writ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mind were summarized together by examin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Goldberg’s writing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embodied mind, is not a reproduction of what has been decided or given, but rather a creation and creation of the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rather than the product of writing itself, we want to move toward creating new experiences and worlds based on the writer’s body/mind, life and experience. Through these embodied mind or mind-writing, new goals or directions in writing education can be found. This is also one direction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pursue in an environment of cognitive operation beyond consciousnes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gard, Goldberg’s practice/performance theory,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s of writing and oriented toward the embodied mind, which is mind-writing has room for further discussion in the future. This article is a consideration for this. 본 논문의 목적은 나탈리 골드버그(Natalie Goldberg, 1948∼)의 글쓰기 교육 방법을 통해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있다. 골드버그는 실용 글쓰기 교육에서 중심을 차지하는 구체적 정보나 지식 대신 실용이라는 표피 아래 가려진 1차적인 태도를 강조한다. 이는 당연의 차원으로 가라앉은 태도의 문제를 글쓰기의 중심으로 가져오면서 과학기술 시대 정보의 차원을 넘어선 새로운글쓰기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골드버그의 글쓰기 연습에서는 글을 쓸 때 생각하지 말라고 강조한다. 이는 생각이 먼저 있고 글쓰기는 그 산물이라는 통념을 거부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각하려 들지 말라’에서 ‘생각’의 함의를 통해 글쓰기와 생각 및 인지의 개념적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글쓰기의 행위에 초점을 맞춘 생각 ‘하기’로서의 글쓰기라는 주제 아래 살펴보았다. 의식과 신체가 손을 통해 하나로 연결되면서 사고 행위로서의 글쓰기를 통해 글 쓰는 이가 만나야 하는 것은 자신의 ‘마음’(mind)이다. 이때의 마음은 인지과학에서의 인지와 통한다. 이런 이유로 인지 과학의 관점에서 글쓰기 개념과 인지 혹은 마음과의 관계를 함께 정리하였다. 골드버그의 글쓰기 방법론을 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보면 인지 혹은 마음으로서의 글쓰기는 결정된 바 혹은 주어진 것의 재현이 아니라 세계의 생성과 창출 행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진행되는 글쓰기는 글이라는 산물 자체보다 글 쓰는 이의 몸/마음, 삶과 경험에 토대하여 새로운 경험과 세계의 창출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체화된 인지 혹은 마음의 글쓰기를 통해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목표 혹은 방향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의식을 넘어선 인지 작동의 환경에서 글쓰기 교육이 추구해야 할 하나의 방향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글쓰기의 기본에 충실하면서 체화된 마음 곧 인지의 글쓰기를 향하는 골드버그의 연습/수행론은 앞으로 좀 더 논의될 여지가 있다. 이 글은 이를 위한 하나의 고찰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서양 체험을 통한 신여성의 자기 구성 방식 ― 나혜석·박인덕·허정숙의 서양 여행기를 중심으로 ―

        우미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2 No.-

        The modern age is the period underscoring the geography as well as the traveling more than any other period. Korea is not an exception. But the concept of travel stressed in the modern spirits is different from that of women's travel. This shows an aspect of modernity that started from cacophony with females. However in this relation of feud, the women exploited own modern way in the middle of the masculine modernity. This paper aims to think of this through the travel pieces of the New Women of modern Korea. Any discussion about travel pieces of modern women has not become serious so far. Thus it simply summed up with Korean accounts for journey the conditions for traveling of the New Wom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pieces. It focuses on those of Na Hye-Seok, Park In-Deok and Heo Jeong-Sook. It is mainly of how they had formed self-identity in their travels and experiences in the West. What the New Women of modern Korea face in their journeys are, at first, that they are not western people, that they are from a colony and that they are women. These existence conditions of them serve as an important layer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trips in the West. This led them to have a duplicated consciousness to be the subject as well as the object for the trips. This also led them to be dissociated and self-contradictory existence in terms with their nation, gender and race. It accounts for that this dissociation of consciousness and self-contradiction were resulted from Korean New Women's position in the discourse of modernity. Likewise their travel pieces in the West come into question for grasping the procedure to form hierarchical thoughts imposed by modernity such as the West and the East and the men and the women. The study on such constructive procedure of consciousness and its trend in the western experiences of these three New Women will be another chance to see how the modern intellectuals accepted what the West is. 근대는 지리학의 발달에 따라 여행이 어느 때보다 강조된 시기이다. 한국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근대의 정신 속에서 강조된 여행의 개념은 여성의 여행과는 거리가 있다. 이는 여성과 불협화음으로 시작된 근대의 단면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불화의 관계 속에서도 여성은 남성적 근대의 틈새에서 자신의 방식에 입각하여 근대적인 길을 개척하였다. 이 글은 한국 근대 신여성의 여행기를 통해 이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근대 여성의 여행기에 대한 논의는 아직까지 본격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신여성의 여행 조건 및 여행기의 특성에 대해 국내 여행기를 통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중점적으로 살핀 것은 나혜석, 박인덕 및 허정숙의 서양 여행기이다. 서양을 여행하고 체험하면서 그들이 어떻게 자기 정체성을 구성해나가는가 하는 점을 중심으로 살폈다. 한국 근대의 신여성이 서양을 여행하면서 부딪치는 것은 먼저 그들이 비서양인이요, 식민지인이요, 여성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그들의 존재 조건은 구미 여행의 성격을 규정짓는 중요한 층위로서 작용한다. 이로 인해 그들은 여행을 통해 주체자가 되는 동시에 타자가 되는 중첩적인 의식을 갖게 된다. 이것은 민족․젠더․인종의 관점에서도 그들을 분열적이고 자기 모순적인 존재가 되게 한다. 이러한 의식의 분열과 자기 모순성은 근대의 담론 속에서 한국의 신여성이 차지하는 위치에서 비롯된 것임을 살펴보았다. 이처럼 이들의 서양 여행기는 서양과 동양, 남성과 여성이라는 근대의 강요된 위계적 사유가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문제적인 텍스트이다. 이들 신여성 세 사람의 서양 체험을 통한 인식의 구성 과정과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근대의 지식인들이 어떻게 서양을 받아들였는지에 대해서도 성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유학생과 1930~31년, 東京의 수치 - 박태원의 「반년간」을 중심으로 -

        우미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7 No.-

        ‘Half Year’ written by Park Tae-won is a novel about ‘Old Tokyo’ prior to ‘New Tokyo’ which emerged after the incorporation of adjacent army from October 1930 to March 1931. ‘New Tokyo Prior to Old Tokyo’ refers to the emergence of ‘Great Tokyo’ in 1932. In other words, the capital city grew into a 6 times bigger mega city by taking over nearby regions in October 1932. Then, it was called, ‘Great Tokyo’. Park Tae-won was very aware of changes in the city over the progress of its development plan. In this novel, therefore, Tokyo is not an abstract modern city. Instead, it was described as a specific and steric place.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laceness of each region in Tokyo stated in ‘Half Year’. Koenji and Ohmori in the outskirts, Shinjuku at the border between the suburbs and Tokyo and Ginza in Tokyo have their own meaning. Koenji where Kim Chul-soo’s boardinghouse is situated, Ohmori in which Choi Jun-ho’s home is found, Shinjuku symbolizing Tokyo after the earthquake catastrophe and Hosei University, home to English literature vividly illustrates how Tokyo was viewed to Chosun students during 1930~31. In particular, the description on Ginza was deleted because of Kim Chul-soo’s consciousness of guilt on his Chosun peers. These places have complicated meanings which cannot be described under the single category ‘Tokyo’. This perception is connected with Chosun students’ awareness of reality. For them, Tokyo was a place to realize and discover their reality, not just a modern city. ‘Half Year’ presents archetypal characteristics in Park Tae-won’s novel. Therefore, a thorough review on the awareness of Tokyo’ plays a key role in analyzing the cognition of Kyungsung in his later works. To understand his literature, it is needed to further investigate his experience of Tokyo and awareness of places in his novels.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place (divided Tokyo) in ‘Half Year’. 본 논문에서는 「반년간」에 나타난 동경 각 지역의 장소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에서는 근대 도시라는 동경의 포괄적 이미지 혹은 신주쿠에만 초점을 맞춤으로써 「반년간」에 나타난 다른 장소의 의미를 살피지 못했다. 「반년간」의 동경은 장소에 따라 구체적 의미를 달리하는 복합적인 의미망의 공간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 아래 본 논문에서는 코엔지의 하숙집, 신주쿠 거리, 호세이 대학, 오오모리 등으로 나누어 「반년간」에 나타난 각 장소의 의미를 살폈다. 「반년간」의 주인공 김철수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연애이다. 호세이 대학에서 영문학을 공부하는 그에게 조선인의 정체성은 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이러한 의식은 희미하거나 잠재되어 있을 뿐이다. 경제적으로 궁핍하지도 않기에 동경은 그에게 불편한 장소가 아니다. 코엔지 하숙집에 대한 의식이 이를 잘 보여준다. 1930년 근대 도시 동경의 문화적 장소들이 결집한 신주쿠의 거리는 여급과의 연애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코엔지 하숙집, 호세이 대학 및 신주쿠로 구성된 김철수의 동경은 문학과 연애의 장소이다. 이러한 분위기에 젖은 그에게 유학생의 가난, 조선적 정체성에서 비롯되는 문제는 현실적 무게를 갖지 못한다. 이에 대한 자각은 벗인 조선 유학생과의 관계에서 비롯된다. 김철수를 중심으로 할 때 「반년간」은 현실에 대한 자각보다는 이에 대한 강요와 그로부터 비롯된 갈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의 갈등은 수치의 감정을 통해 드러나며 긴자는 이를 극대화한 장소이다. 「반년간」에서는 긴자에 대한 기술 자체가 최소화되며 이를 통해 인물이 느끼는 수치의 감정은 역설적으로 더욱 더 부각된다. 본 논문은 일련의 분석을 통해 「반년간」에 나타난 조선인 유학생 김철수의 내면을 살펴보았다. 그를 통해 근대 도시 동경의 장소가 갖는 문화적 위력을 확인했으며 이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갈등하는 조선인 유학생의 심적 상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황진이’ 담론의 형성 방식과 여성의 재현

        우미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8 No.-

        The descriptive records related to Hwangjini are very suspicious of being fabricated. Thus, the descriptive records on her will be the significant text for examining the method that a woman is formed as an "image" or a "symbol" and meaning in the man-oriented history. This paper examined how the "Hwangjini" discourse was formed on the basis of the descriptive records on Hwangjini from unofficial historical tales in the Joseon dynasty to 1930s from the female representation point of view. At first, how her story was deploy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culiarity and rumor types as the source of retaliatory imagination were examined. The next issue was how her image finally converged into respectability was related to sexuality of women and the mores of the gentry in that day. Finally, this paper went over the patterns that Hwangjini was more ideally diverged into the cultural icon in the Joseon Dynasty before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seeker and enthusiastic and romantic incarnation of love in the modern age. As a result of examination, it was found that she lost the physical property and became the altruistic existence formed by men. Accordingly, it was concluded that the causes of Confucian tradition in the Joseon dynasty had still enforce its influence on controlling the sexuality of the modern women. Furthermore, this paper observed an aspect of description on women becoming altruistic by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