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부모가 인지하는 유아발레 수업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분석

        박미정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o analyse a parental 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child ballet education. We chose two E. L cultural centers, three private ballet institutes located in Yeosu, Sunchon and Kwangyang 2016 and conducted a survey with 249 parents whose children are engaging in the ballet classes. By using SPSS 22.0 with data analysis technique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cogni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gnition of women were higher than that of men and cognition of group of age 30-39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of age regarding the psychomotor factor. In addition affective, cognitive and psychomotor factors were highly ranked by the groups who think that early ballet education is needed. Wome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qualification of instructor than that of men's, and group of age 30-39 was in the higher satisfaction levels about teaching program. Also the study shows that groups who think that early ballet education is needed tend to select educational effect, v - environment, and teaching program factor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ogni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frequencies and periods of classes had an impact on affective and psychomotor factor, while frequencies of classes affected cognitive factor.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frequencies and periods of the classes had an impact on educational effect, and environment of the classes, teaching program, while frequencies of classes affected qualification of instructor.

      • 토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미정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 trends in special education are moving in the direction of a fully integrated education, rather than mere physical integration. In this, disabled children are fully integrated with general children and will receive appropriate training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A lot of previous research about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for integrated education have already been made. However, for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 specific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wo kinds. One is to analyse the effect of discussion-oriente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disabled on Elementary students' attitudes about disabled children. The other, the Vocabulary attitude and the Activities preferred attitude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any kind are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correlation. The 'I' elementary school in Daegu grade 3 students who conducted the study. I had divided them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n I surveyed using adjective scale and activities preferred scale as methodology. I had inspected about attitudes about disabled children and analyzed the results. I calculated each average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conducted the changes, and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also verified. Obtain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discussion-oriented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disabled children are positive to the Vocabulary attitudes about the disabled children. The result for the positive attitudes, education to understand the disabled is arranged to be a clear basis. Second, the elementary students' the Activities preferred attitudes about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positive changes when discussion-oriente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disabled is conducted. Above all, according to the score results by scope, attitudes in the areas of personal living area have the biggest change. Third, Vocabulary attitudes and Activities preferred attitudes about the disabled children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discussion-oriente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disabled , the members exchange opinions with each other, and preferably to resolve the issue out of this important student activity. The discussion-oriente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disabled of the elementary students' attitudes about disabled children showed a positive influence.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larger and younger-older subjects, the study area should be expanded. Then look at the effect of discussion-oriente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disabled, grade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made. This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may affect the general children's attitudes should be positive. And research should be done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觀光地魅力屬性이 觀光目的地 選擇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박미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관광지의 매력성은 관광객을 그 지역으로 유인하는 흡인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은 곧 관광상품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광객의 욕구를 파악하여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관광지 개발이나 관광 목적지에 대한 관광지의 매력속성 파악과, 또한 이들이 관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 목적지 선택의 영향요인 중에서 유인 요인 (pull factor)인 매력속성이 목적지 선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와 동기에 따라 매력속성이 차이가 나는지,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매력속성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해 보는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구체적 목적을 갖는다. 첫째, 관광동기에 따라 매력속성에 대한 중요도가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관광지 매력속성의 중요도는 관광목적지 선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관광지 매력속성의 만족도는 목적지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매력속성에 대한 중요도가 차이가 있는가?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매력속성에 관한 이론적 접근에 이어 관광 동기와 관광 의사결정 및 선택에 관한 문헌적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구축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변수들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지닌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목적지에 대한 매력속성을 파악함으로써 관광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기는 속성을 파악하고,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계층별 세분화를 실시할 수 있다. 둘째, 동기에 따라 관광목적지의 매력속성에 대하여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관광객의 동기에 따른 시장 세분화를 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전개하여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즉 자기계발이나 역사문화를 접하기 위하여 관광목적지를 선택할 때에 쾌적한 기후나 편리한 기반시설에 대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차별화 마케팅 전략은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관광목적지의 매력성인 활동성, 문화성, 시설성, 자연성 등은 각 관광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지역마다 장·단점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관광지 홍보를 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즉 설악산이나 주변지역의 경우 시설성과 자연성이 관광지 선호에 영향을 미치므로 관광지 홍보를 전개할 경우 시설성과 자연성에 대한 홍보를 부각시킬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자연 자원 뿐만 아니라 문화자원의 보존에 대한 영구적 대안과, 차별화된 지역 관광상품 개발에 대한 관심과 접근성·교통혼잡 등의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 MMPI-2 PSY-5 척도와 NEO 인성검사의 비교 : 성격병리 평가를 중심으로

        박미정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MPI-2 성격병리 5요인(PSY-5)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DSM의 10가지 성격장애와의 상관을 검토해 봄으로써 이 척도가 성격장애를 잘 설명해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최근에 와서 성격병리의 기술에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성격 5요인 이론에서 제시한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NEO-FFI)와 PSY-5 척도 중 어떤 것이 성격장애를 보다 잘 설명하는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및 일반인 682명으로 대상으로 성격장애 진단검사, PSY-5 척도, NEO-FFI를 실시하였다. PSY-5 척도가 성격장애를 잘 설명해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 및 정준상관 분석을 한 결과, PSY-5 척도가 강박성 성격장애를 제외한 나머지 성격장애들을 여러 선행연구에서 예측된 것과 유사한 상관을 보여 이 척도가 성격장애를 잘 설명해줄 수 있고, 성격장애의 기술에 활용될 여지가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다음으로, PSY-5 척도와 NEO-FFI 두 차원적인 모델이 성격장애를 잘 설명해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선형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PSY-5 척도와 NEO-FFI의 각 차원들은 10 개 성격장애 모두를 유의하게 설명해주었다. 두 차원 구조 중 어떤 것이 성격장애를 더 잘 설명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Steiger의 Z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성격장애를 비슷한 수준으로 잘 설명해 주었다. 다만, PSY-5 척도는 NEO-FFI에 비해 반사회성 성격장애를 더 잘 설명해 주었고, NEO-FFI 척도는 PSY-5 척도에 비해 의존성, 강박성 성격장애를 더 잘 설명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PSY-5 척도가 성격 5요인 모델(FFM)만큼 정상 성격 및 병리적인 성격을 잘 설명해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PSY-5 척도가 강박성 성격장애를 제외하고 나머지 성격장애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척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the PSY-5 scal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MPI-2 PSY-5 scale and the DSM personality disorders. In addition, the MMPI-2 PSY-5 scale is compared with the NEO-FFI instruments so that which one is better to explain personality disorders. The latter is known to be well applied to explain personality disorders though it was made to explain normal personalities. Students and adults (N=682) completed the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and PSY-5, NEO-FFI. So as to identify how well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PSY-5 Scale, accounted for personality disorders, correlat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MPI-2 PSY-5 scale and all DSM personality disorders except obsessive-compulsive PD is equal to that of the preceding study (Bagby et al., 2002; Trull et al., 1995 ; Wygant et al. 2006). Therefore clinical availability of the PSY-5 are found good. After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if the two instruments well explain personal disorders, both of them were found to well explain 10 kinds of personality disorders meaningfully. And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Z-test of Steiger, the PSY-5 scale and NEO-FFI scale are similar to account for the variance in PD. But, PSY-5 sclae acounted more of the variance in antisocial PD symptoms than did the NEO-FFI while the NEO-FFI scale accounted more for the variance in dependent PD, obsessive-compulsive PD symptoms than did the PSY-5. These results support that PSY-5 scale estimates both normal personalities and personal disorders well as does the FFM.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PSY-5 scale is valid to estimate all PDs except obsessive-compulsive PD.

      • 가출청소년의 자아상태 변화를 위한 교류분석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박미정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가출청소년은 약물남용과 폭력 등 다른 비행을 동반하며, 점차 만성화, 상습화되고 양적인 증가 뿐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 가출의 실태조차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그에 대한 대책도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사업 서비스의 한 프로그램으로서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교류분석을 적용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고 특히,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존감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 주었다. 교류분석 이론은 쉽고 재미있게 구성되어 있고, 개인의 성격을 비판적 어버이, 양육적 어버이, 어른, 자유로운 어린이, 순응하는 어린이의 5가지 자아상태로 나누고, 각 상태의 변화를 양적으로 볼 수 있게 이고그램이라고 하는 그래프로 제시함으로서 개인의 자아상태의 화를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므로 교류분석 프로그램은 매순간 새롭고 흥미있는 것을 찾는 가출 청소년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큰 거부감을 주지 않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적당한 치료 프로그램으로 제시될 수 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청소년의 불균형된 자아상태 에너지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교류분석 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둘째, 교류분석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사후 자아상태 에너지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를 알아본다. 셋째, 개별 사례분석을 통하여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 효과를 살펴 본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립동부아동상담소에 입소치료 중인 14~17세 남자 가출청소년 8명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한국교류분석협회가 한국인의 실정에 맞게 개발한 표준화된 청소년용 이고그램(Egogram)을 사용하였고, 실시 기간은 1999년 4월 19일부터 5월 13일까지 4주동안 총 8회 집단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회는 교류분석에 대한 안내 및 집단에 대한 소개, 2회와 3회는 구조분석, 4회는 교류패턴분석, 5회는 스트로크, 6회는 인생태도, 7회는 각본분석, 8회는 새로운 결심을 통한 새출발로 구성되었다. 교류분석 프로그램의 실시이후 5가지 자아상태 에너지의 변화는, 프로그램 실시 사전과 사후에 이고그램을 작성하게 하였고 paired t-test를 통해 알아보았다. 각 사례별로는 변화의 차이를 보였는데, 대부분의 참가자가 긍정적으로 자신을 인식하게 되는 변화를 보였다. 교류분석 실시 전-후 양육적인 어버이와 자유로운 어린이 자아상태가 우위에 있는 M형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5가지 자아상태 에너지의 불균형은 조정되었다. 즉 가출청소년의 불균형된 자아상태 에너지 흐름을 변화시키는데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다면, 교류분석 프로그램은 자아와 관련된 어려운 주제도 쉽게 풀어갈 수 있게 하는 사회사업 실천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이 주는 용이성에서 불구하고 용어자체가 외국어를 근거로 만들어져 있어 청소년이나 초등학교 고학년이 사용하는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교류분석에 관심을 갖는 많은 후속 연구자에 의해, 용어를 단순화한다면 좀더 다양한 대상에게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The problem of adolescents' run-away has been discussed vigorously in recent years, as the problem getting seriou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fact that run-away problem can lead to more severe delinquency provides impetus for developing a new model to deal with the problem. Previous researches have proposed Transactional Analysis approach as a good treatment model for deviant adolescents and the effect has been proved. Thus, it is assumed that Transactional Analysis approach will have an positive effect on run-away adolescents in that mann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 1)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Transactional Analysis approach is applied to; and 2)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ego state energy of run-away adolescents. 8 male adolescents with run-away problem were chosen from Dong-Bu Child Guidance Center as a treatment group with 4-weeks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Program". The program was composed of 8 sessions, At the first session, an introduction to the program was given to the group, At the second session and third session, the Structural Analysis was guided to the group. The fourth session was on the Transactional Pattern Analysis, the fifth session was on Stroke, the sixth session was on the Life Position, and the seventh session was on Script Analysis, The group members planned a new lifestyle at the last session. The change of ego state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was examined. Findings showed that Critical Parent ego state and Adult ego state chang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n Nurturing Parent ego state, Free Child ego state, and Adapted Child ego state. It indicates that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Program affected on some part of ego state, so that it contributed to adjusting unbalanced ego state energy. On the other hand, the case study on each members showed improvement in self-confidence, ability of controlling impulse, total energy, and some social skills. The results shows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each cases besides the ego-state balancing effect. In conclusion, it is supported that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Program is effective in adjusting unbalanced energy of ego state and the program is suggested as an treatment model for run-away adolescents with the effect of balancing ego state energy.

      • 자타카를 통한 소그룹 토의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박미정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타카와 생활동화를 활용하여 소그룹 토의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 대인문제해결사고능력에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자타카의 소그룹 토의활동이 일반교육현장에서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대인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매체로 활용 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에 다음과 같은 진행과정을 거쳤다. 우선 연구에서 사용된 자타카 동화는 총 12편의 불교 동화로써 권은주, 정명자가 공저(2001)한 「삶의 지혜를 배우는 부처님 이야기」8권, 김장열(2007)의 「자타카의 노래」 4권을 사용하여 소그룹 토의활동을 진행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활동은 경상북도 P시에 위치한 H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1, 2, 통제집단으로 각 14명씩 구성하였고, 본 연구는 실험도구의 적절성을 위한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총 12회기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실시한 사전 검사 및 사후 검사는 1:1 개별 면접 방식으로 진행하여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 대인문제해결사고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 검증을 위해 Spivack등(1976)의 ICPS Test를 토대로 박찬옥(1986)이 제작한 대인문제해결사고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Piaget의 이론을 바탕으로 Neimark(1968)가 고안해낸 의도성지수에 새로운 방법을 도입한 Hebble(1971)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의도성 판단지수(IJQ:Intent Judgment Quoti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토대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타카를 활용한 소그룹 토의활동을 실시한 결과, 자타카를 통한 소그룹 토의활동은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타카를 활용한 소그룹 토의활동을 실시한 결과, 자타카를 통한 소그룹 토의활동은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능력에 향상을 보였고, 특히 하위요인인 결과예측사고가 대안적해결사고보다 더 많은 향상을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자타카를 통한 소그룹 토의활동은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신체적 ∙ 정신적 성장과 더불어 사회적인 경험과 발달의 경험과 교육을 강조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인성 및 사회성 등 전인교육의 기초의 장이라 볼 수 있는 유아교육현장에서‘자타카’라는 교육적 매체를 통해 유아가 조화롭게 발달 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인 계획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로 종교에 대한 편견 없이 유아교육 기관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to know the difference of mortal judge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solving cognitive thinking in infant and to utilize as a teaching material for improving their mortal judge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solving cognitive thinking in general educational place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y based on the Jātaka and the fairy tale of life. This study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At first, the Jātaka fairy tale which was used the research is a 12 volume Buddhism.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y was processed with 8 books of 「Buddha Story for Learning Life Wisdom」 written by both Eun-ju Kwon and Mung-ja Jung(2001) and 4 books of 「the Song of Jātaka」 written by Jang-yeul Kim(2007). The activity was operated to 42 infants of H kindergarten in P city of Gyeongsangbuk-do. The infant group was composed of the first, second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in which each group were 14 infants. The research had the 12th session of experiments in total with the order of preliminary research, preliminary inspection, experimental management and post inspection. The preliminary inspection and the post inspection which were operat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mmonly were proceeded as the way of the individual interview and measured for mortal judge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solving cognitive thinking. To prove the effect of the research, the inspection instrument for interpersonal problems solving cognitive thinking which was made by Chan-ok Park(19678) was used and the instrument was based on the ICPS Test of Spivack etc(1976). IJQ(Intent Judgement Quotient) was used for measuring the mortal judgement of infant, based on the theory of Piaget. The new quotient is the new method used in research of Hebble(1971) and is added to new way of intent Quotient made by Neimark(1968). Next is the summarization of the experiment result based 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First, as a result of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y using the Jātaka to analyze the effect of mortal judgement in infant, there are some effects for improving the mortal judgement. Second, as a result of the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y using the Jātaka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solving cognitive thinking in infant, there are some effects for improving the interpersonal problems solving cognitive thinking. Especially, as a result of subordinate factor, prediction thinking had more improvements than the alternative solving thinking. Considering the major result of the research,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y with Jātaka has positive effect on the mortal judge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solving cognitive thinking and is the motivation to emphasize the cultural experiences, developmental experiences, education as well as the physical and mental growth. I, as a researcher of the study, think that various programs to 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should be developed as the research about systematic pla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nfant to grow harmoniously through the educational material, Jātak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which is the basic place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such as humanity and sociality, without the prejudice of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