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에 기초한 교사의 e-러닝 정책 수용·확산 검사 개발

        김회수 ( Kim Hoisoo ),( Chi Fushu ),( Zheng Xiaoli ),염시창 ( Yum Sic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1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통신공학기술을 학교교육에 적용하고자 하는 e-러닝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e-러닝 정책을 하나의 혁신과정으로 보고, 이의 수용과 확산에 관한 연구 수행을 제안하고 있다. 이 연구는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의 관점에서 (1) 한국과 중국 교사들의 e-러닝 정책 수용과 확산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TADE)와, (2)e-러닝 정책 특성으로서 상대적 장점, 복잡성, 호환성, 관찰 가능성 및 시험 가능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검사(TCE)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검사를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검사 초안 개발, 중국과 한국의 전문가 검토와 수정, 중국과 한국 교사를 대상으로 한 요인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의 요인분석을 위해 한국 교사 558명과 중국교사 532명이 참여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한 『교사의 e-러닝 정책 수용·확산 검사(TADE)』는 5개 요인(교사의 e-러닝 활용 정도, 학생의 e-러닝 활용 요구 정도, 디지털교과서 활용 희망 정도, e-러닝 정책 수용 정도, e-러닝 확산 의지), 2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e-러닝 정책 특성에 관한 교사 인식 검사(TCE)』는 5개 요인(상대적 장점, 호환성, 간편성, 시험가능성, 결과 관찰 가능성), 1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ADE 검사 전체의 신뢰도 계수 α= .98 이었고, TCE 검사의 α계수는 .96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는 한국과 중국 교사들의 e-러닝 정책 수용과 확산을 측정하는 데에 적합한 내용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d verify (1) the inventory which measures the level of teachers’ adoption and diffusion of e-learning policies (TADE) and (2) the inventory which measures teachers’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TCE) such as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trialability, and observability on the basis of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Participants were 1,097 school teachers, consisting of 532 Chinese teachers and 558 Korean teachers. The inventories are developed and verified by the process of examination of related previous research, experts’ review,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ADE consists of 21 items under five factors: Teachers’ level of e-learning use, teachers’ level of recommendation of student’s e-learning use, teachers’ willingness of digital textbook use, teachers’ level of adoption of e-learning policy, teachers’ willingness of e-learning diffusion. Alfa coefficient of TADE is .98. Alpha coefficients of 5 sub-factors of TADE range from .73 to .98. TCE consists of 14 items under five factors: Relative advantages, compatibility, simplicity, trialability, observability. Alfa coefficient of TCE is .96. Alpha coefficients of the 5 factors of TCE range from .72 to .96. The inventories developed in this study is found to have both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assessing teachers’ adoption and diffusion of e-learning in Korea and China.

      • KCI등재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스캐폴딩, 메타인지 및 협력성향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이순덕 ( Soondeok Lee ),김회수 ( Hoisoo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제공하는 스캐폴딩 유형과 학습자의 메타인지 및 협력성향이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122명의 대학생을 성찰적 스캐폴딩 집단, 지원적 스캐폴딩 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배치하고 2명씩 짝을 지어 비구조화 문제를 해결하는 협력학습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실험처치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구조화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는 스캐폴딩 제공여부와 스캐폴딩 유형에 영향을 받았다. 둘째, 문제해결 과정의 이해·탐색 단계에서 메타인지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의 성취가 높았다. 그러나 문제해결 결과물에 대한 성취는 메타인지 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셋째, 문제해결 과정에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지만, 선정·평가 단계에서 방향성이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 성취는 학습자의 협력성향 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문제 상황이나 학습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스캐폴딩을 해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습과정에 대한 계획, 점검, 평가활동을 학습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탐색적 질문을 제시함으로써 메타인지적 활동을 촉진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scaffolding types and learner`s metacognition and collaborative preferences on problem solving in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e participants were 122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to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4 weeks. The participants were paired and assigned into one of three groups: A reflective scaffolding group, a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both scaffolding and scaffolding types. The treatment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And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 was higher than the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The high level of metacognition were more effective performances in the identifying the problem and searching solutions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ing than the low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product according to the level of metacognition. As for collaborative preferenc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as well 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s of scaffolding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 This study showed that offering instructional assistance such as scaffolding is effective for learn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learning situation that they have to solve problems in. Scaffolding can be a more effective strategy for students to facilitate their metacognitive activities by providing explanatory questions which induce 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learning as well as helping domain-specific knowledge.

      • KCI등재후보

        한국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 분석 : 유학생 유치 및 관리 정책의 변화와 개선 방향

        배소현(Sohyeon Bae),김회수(Hoisoo Kim)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37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 한국 정부의 유학생 유치․관리 정책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의 상황에 맞는 유학생 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추진된 한국 정부의 유학생 정책이 무엇이며, 그 시행 결과는 어떠하였고, 미래 유학생 정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으로 구성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분석을 활용했으며, 주요 문헌은 교육부 유학생 정책 보고서, 고등교육통계, 출입국 통계연보 등이다. 연구 결과,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추진된 한국의 유학생 정책은 2001-2007년에 추진된 유학생의 양적 확대 정책과 2008년 이후 본격화된 유학생의 질적 관리 정책으로 나눌 수 있다. 유학생 정책의 시행에 따라 국내 유학생 유치 현황도 크게 변화하였다. 양적 확대 시기에 한국의 유학생 수는 8배 이상의 폭발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이 증가의 이면에는 중국 및 아시아 지역 출신 유학생의 폭발적인 유입이 있었다. 이러한 증가에 비하여 유학생에 대한 체계적 지원과 관리과 부족하여 유학생 불법체류, 반한 감정, 졸업 후 취업 기회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유학생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한국 정부는 기존의 정책 방향을 변경하여 유학생의 검증과 질적 관리를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결론에서는 향후 유학생 유치 및 관리 정책 수립 시에는 정책의 영향력과 예상 결과를 충분히 검토하고, 양적 확대와 질적 관리라는 두 목표의 조화를 이루고,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위치를 명확히 파악하여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se the international students policies of Korean higher education from 2001 to 2011. This period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policies implement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period and the qualitative supervision period. During the quantitative expansion period (from 2001 to 2007),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a policy to attract more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 for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attracting policies,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has been seen within a decade. In the qualitative supervision period (from 2008 to 2011), the Korean policies for internationalizing higher education were changed to strengthen the control over education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t was because of the uprising social problems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due to the lack of proper supervision systems for them. Most of these matters originated from internationalization policies focusing only on quantitative expansion rather than on qualitative managemen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to intensify the control over international students, the influx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 reduced gradually.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s study concludes with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Korean internationalization policies.

      • KCI등재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스캐폴딩, 메타인지 및 협력성향이 협력부하와 지식공유에 미치는 효과

        이순덕 ( Soondeok Lee ),김회수 ( Hoisoo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제공하는 스캐폴딩 유형과 학습자의 메타인지 및 협력성향이 협력부하와 집단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122명의 대학생을 성찰적 스캐폴딩 집단, 지원적 스캐폴딩 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배치하고 2명씩 짝을 지어 비구조화 문제를 해결하는 협력학습을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검사 및 실험처치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다변량공분산분석, 공분산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학습 과정에서 느끼는 인지적 부담인 협력부하는 스캐폴딩의 제공여부나 유형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둘째, 메타인지 수준은 협력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메타인지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의 본유적 협력부하가 높았다. 따라서 협력학습 상황에 스키마 형성과 관련된 인지부하를 높임으로써 학습과정에 더욱 몰입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유도할 수 있는 스캐폴딩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본유적 부하에 메타인지가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 메타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전략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협력부하는 학습자의 협력성향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넷째, 스캐폴딩 유형별 개별 학습자의 지식 성취를 검증한 결과, 스캐폴딩의 제공과 유형에 따른 효과가 있었다. 스캐폴딩 유형별 집단 구성원 간 지식 동등성과 지식공유 검증에서는, 성찰적 스캐폴딩 집단의 점수가 평균을 중심으로 보다 집중하여 분포하고 구성원 간 지식의 공유 비율도 가장 높았다. 이는 협력학습 과정 중에 제공하는 교수적 도움이 개별 학습자의 지식 습득과 협력하는 구성원 간 지식공유 향상에 모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scaffolding types, learner`s metacognition and collaborative preferences on collaboration load and knowledge sharing in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e participants were 122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to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in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4 weeks. The participants were paired and assigned into one of three groups: A reflective scaffolding group, a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the level of metacognition and collaborative preferences on collaboration load, there was no effect according to both scaffolding and scaffolding types. However, the high level of metacognition were increased on germane cognitive load than the lower. As for collaborative preferenc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aboration load. Therefore, the use of scaffolding as part of instructional design is demanded to induce a positive outcome and engage in conscious learning processing by increasing effective germane load directly relevant to schema construction and automation. Also, instructional strategy has to be considered to improve metacognition because of the positive effect metacognition has on germane cognitive load. Second, regarding the degree of knowledge acquisition by using scaffolding types, there was an effect for both scaffolding and scaffolding types. As for the test of knowledge contributions equivalence and the degree of shared knowledge according to scaffolding types, achievements for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 was not only more closely distributed around the average but also higher in the degree of shared knowledge than other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instructional assistance offering scaffolding is effective in enhancing knowledge acquisition and shared knowledge for co-learners in collaborative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위키 기반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과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황경양 ( Kyungyang Hwang ),김회수 ( Hoisoo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위키 기반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교수자가 제공하는 스캐폴딩 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고학년의 과학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실험 처치에 따른 파지효과와 변화추이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실험 처치에 따른 과학성취도 사후 점수는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사후 과학성취도 점수는 자기점검 스캐폴딩으로 처치한 실험집단 2가 가장 높았고 실험집단 1(내용점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고,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 처치에 따른 세 집단간 추후 사후 과학성취도 점수의 파지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점검 스캐폴딩을 실시한 실험집단 2의 파지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다층성장모형을 활용하여 과학성취도 점수의 종단적 변화량을 살펴본 결과, 내용지원 스캐폴딩을 처치한 실험집단 1의 선형변화율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업이 완료된 후 자연스럽게 과학성취도 점수가 -4.276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점검 스캐폴딩을 제공한 실험집단 2의 과학성취도 점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평균 11점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업이 완료된 후에도 과학성취도 점수는 감소하지 않고 높은 수준에서 유지 혹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제집단은 과학성취도 점수가 시간이 지날수록 평균 -6.723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점에 따른 과학성취도 점수의 변화에서 수업이 완료된 한 달 후에 실험집단 1과 통제집단은 자연스러운 감소현상을 보였으나, 자기점검 스캐폴딩을 제공한 집단은 유지 혹은 상승 현상을 보인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caffolding types in the wiki based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affect the science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us it investigates the retention and the changes in the science achievement of 57 5<sup>th</sup> graders who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self-checking, content supportive, and control groups. The analysis of the data indicates, first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mmediate posttest scores of science achievement: the group treated with self-checking scaffolding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test. Their sco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with the content supportive scaffolding and the control group. Secondly, as for the retention, the self-checking scaffolding group were found to show the highest retention scores among three groups. As for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science achievement using the multi-level growth model, the delayed science achievement test scores of the self-checking scaffolding group were found to increase by an average of 11 points over time. Their test score did not decrease after the class was completed, but rather maintained or increased at a high level. In contrast, the content supportive scaffolding group’s scores decreased by -4.276 and the control group’s scores also decreased by an average of -6.723 over time.

      • KCI등재후보

        활동이론 관점에서 교수학습매체의 선택과 개발의 연구방향 탐색

        나은창(Eunchang Na),김회수(Hoisoo Kim)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42 No.1

        이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매체에 대한 속성의 다양한 쟁점을 살펴보고, 활동이론 관점에서 교수학습매체의 선택과 개발, 연구의 나아가아 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활동이론 관점에서 교수학습 매체의 지향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체는 교수학습의 활동체제를 분리하여 매체만 따로 떼어놓아 학습효과를 논의할 수 없다. 즉, 매체는 교수학습의 활동체제와 변증법적 관계를 가지며 서로 발전적 변화를 추구하므로 교수학습에의 다양한 맥락과 상호작용을 고려한 매체 연구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문화역사적 활동의 산물로서 가치가 있는 매체의 선택과 활용이 중요하다. 매체가 사람들의 실천과 그들의 이데올로기적 제도에서 어떻게 종속되고 어떤 환경에서 살아가는지 등의 역사 문화적 활동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가 이루어져 매체가 교수학습 현장에서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습자의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매체의 선택과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단순히 매체의 속성이 학습의 효과성만을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매체가 학습자의 고등사고를 촉진시켜 근접발달영역 내의 잠재적 발달수준에 도달하게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넷째, 매체는 교수학습의 활동체제의 모순을 극복하여 학습자의 고등사고를 이끌어내는 미래지향적인 가치관을 지녀야 한다. 교수학습 상황에서 매체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고 매체와 학습과 관련된 모순들을 다 찾아서, 모순들의 해결을 통해 매체는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활동이론 관점에서 매체는 교수학습의 활동체제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 모순을 끊임없이 개선하는 변증법적 관계를 통해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교수학습 매체는 궁극적으로 단순한 전달도구가 아닌 문화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도구로서 학습자의 고등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나아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issues of the attribut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dia,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dia in terms of activity theory.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dia sh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media research that considering the various interactions of the activity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The learning effects cannot be discussed by separating the media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Second, the role of the media as a product of cultural and historical activities should be strengthe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in depth the history and cultural activities such as how people live i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and how they live in their ideological institutions and in what circumstances. Third, media development should be made to promote learners higher thinking. Interpreting the media from the point of view of activity theory critically looks at Clark and Kozmar s debate. It is not just whether the nature of the medium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ut rather that the medium should focus on promoting learners higher thinking to reach potential developmental levels within the ZP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dia that enables learners to achieve higher thinking. Fourth, we must pursue the development of future-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edia that evolve through contradictions. In the context of teaching-learning, it is possible to find all the contradictions related to the medium and learning, and to solve the contradictions and to evolve and move forward. Therefore, research of teaching and learning media aims at the development of media through various interactions and contradictions from the viewpoint of activity theory, and ultimately, media can lead to higher thinking of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