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대학생 전공선택과 취업에 관한 연구

        Jing, Gao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1999년부터, 중국 고등교육의 대규모적인 모집 확대와 대학교 졸업생들의 취업정책이 부단히 변화되면서 대학생들의 취업환경에 큰 변화가 발생하였다. 노동력시장의 경쟁이 날로 심해지고, 구조적인 모순인 점차 엄중해지면서 대학생들의 취업형세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중국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과 취업간의 정책 조치와 현상 및 원인에 대한 연구는 정부부문에 기초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정부와 학교, 개인의 측면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중국 대학생들이 전공 선택이 취업에 대한 중요성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국외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과 취업문제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중국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과 취업의 관련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해 10개 대학교의 326명의 대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의 영향요인, 선택한 전공과 희망직업의 불일치의 원인 및 대학생들이 취업준비를 위한 실제상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가정요인, 개인요인, 학교요인 등 3개 요인의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개인의 흥미가 전공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절반을 차지하는 대학생들의 정공과 희망직업의 불일치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일치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전공과목과 교육내용 개설의 불합리기 때문이다. 전공과목과 개설된 교육내용이 불합리하여 기업이 바라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취업난을 초래하게 된다. 학과의 전공 개설은 전공에 대한 대학생의 적응성을 높이고, 기업이 원하는 직업에 대응하여 취업과 긴밀히 연결되어야 한다. 3) 학생들은 바로 취업에 직면하면서, 영어학습은 대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았다. 영어 학습은 이미 대학생들의 취업준비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영어를 잘하면 취업경쟁력도 높아진다.

      • 조기유학 귀국학생의 적응에 관한 연구

        주도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유학을 경험한 귀국학생들을 대상으로 유학결정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유학결정요인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조기유학생의 적응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유학을 경험한 학생 특성 별 유학결정요인(배출요인, 흡인요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다른가? 둘째, 조기유학의 유학결정요인은 유학현지에서의 유학 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기유학의 유학결정요인은 귀국 후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등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4개 지역에서 표 집 한 조기유학 경험이 있는 초, 중, 고등학교 학생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종속변인으로는 유학 중 적응과 귀국 후 적응의 2개 변인을 두고, 하위변인으로 각각 제도적 적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3개 변인을 설정 하였다. 독립변인으로 배출요인 10개와 흡인요인10개, 그리고 개인특성 7개 등 17개를 변인을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문제 별로 유의미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유학을 경험한 학생의 특성 별 유학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배출요인은 외국어 공부의 한계가 유학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흡인요인은 외국의 새로운 문화 경험을 위해가 유학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유학결정에 흡인요인이 배출요인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학결정요인이 유학 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국제적 역량 강화나 학업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유학을 결정하고 실행하면 현지에서 유학 중 적응(제도적, 학업적, 사회적)을 잘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유학생을 우대하는 사회 분위기나 국내 학교에 한계를 느끼고 조기유학을 결정한다면 유학 중 적응에 실패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유학결정요인이 귀국 후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귀국 후에 취업하는데 유리한 조건과 국제적인 역량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기유학을 결정하여 조기유학을 다녀온 학생들은 귀국해서도 국내 학교의 제도에 긍정적으로 적응을 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유학생을 우대하는 사회분위기나 국내에서 학업성적이 저조해서 조기유학을 떠났던 학생들은 귀국 후에도 적응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논의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유학생들은 국제적 역량 강화나 외국의 새로운 문화적 경험 등이 유학결정의 주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국제이해교육을 통하여 외국의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외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유학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현지 유학생들의 적응을 돕는 교육정책이 무엇인지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국내의 교육적 문제에서 유학을 결정한 학생들보다 국제적 역량 강화, 학업성적 향상, 외국 문화 경험 등으로 유학을 결정한 경우 유학 중 적응을 잘 하였다. 따라서 조기유학을 떠날 학생들에게 유학결정을 돕는 다양한 정보제공과 유학상담을 통하여 도피성 유학보다는 목표 의식을 갖고 유학을 결정하도록 하는 유학지원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귀국학생들의 적응을 돕는 교육정책이 무엇인지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외국의 문화 경험이나 국제적 역량 강화 등으로 유학결정을 하고, 유학경험을 한 귀국학생들이 귀국 후 적응을 잘 하였다. 따라서 조기유학생들이 귀국 후에 학교규칙을 잘 지키고, 다양한 외국 경험을 살려 학습활동에 충실하게 하며, 학교생활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귀국학생 적응 지원 시스템 등을 갖출 필요가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 of determinants of overseas study of returning students after early-age overseas study, and to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s about adjustment of returning students after early-age overseas study by analyzing the effect of factor of determinants of overseas study on adjustment The subjects for inquir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what is the determinants, push factor and pull factor, of studying overseas in early 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what is different? Second, what impact does the determinants have in adapting in each nation? Third, what impact does the determinants have on the adaptation after returning home? To investigate those subjects,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00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studied overseas and live in four different regions. The dependant variables for the study were adaptation in studying abroad and adaptation after returning home, and three subvariables were set: system adaptation, academic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Ten push factors, ten pull factors and seven individual peculiaritie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alysis methods like one-way ANOVA, Independent-Sample 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a meaningful analysis according to the subjects for inquiry. The results on the subjects for inquir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n the peculiar factors of determinants of overseas study of students who experienced early-age overseas study shows that the limitation of studying foreign language had the biggest effect among push factors on the determinants, and experiencing new foreign culture had the biggest effect among pull factors on the determinants. Also, it shows that the pull factor had a bigger effect than the push factor on the determinants. Second, the result on the impact of the factor of determinants of overseas study on adjustment of early-age overseas study indicates that if studying abroad was decided and carried out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apacity or to have better grades, the systematic, academic, and social adjustment will be easy during studying overseas. On the other hand, if studying abroad was decided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domestic schools or the social atmosphere like giving preference to the students who studied abroad, there would be a lot of possibility of failing adjustment of overseas study. Third, the result on the impact of the factor of determinants of overseas study to adjustment after early-age overseas study shows that the students who decided early-age overseas study for the advantages in getting a job and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apacity will adjust well systematically, academically, and socially to the domestic school system after returning from overseas study. However, the students who decided studying abroad because of the poor grades or the social atmosphere giving preference to the students returned from overseas study will have difficulties in adjusting.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and points of this study based on those results. First,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apacity or experiencing new foreign culture is the main reason of overseas study to the student who studied abroad in early-age. So an education program is needed, which helps student understand the foreign culture rightly through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decide studying abroad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on the foreign education system. Seco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which is the education policy helping students studying abroad. The students who decided studying abroad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apacity, improve test scores, or experience foreign culture were much better at adjusting than the students who decided studying abroad because of the domestic education problems. So, various information helping students who are going to study abroad have right decision on studying abroad and a support system for studying abroad is needed, which helps students decide studying abroad with goal rather than an escape studying abroad through studying overseas counsel. Thir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which is the education policy helping adjustment of returned students. The returned students who decided studying abroad to experience foreign culture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capacity were good at adjustment after returning home. So, an adjustment support system for returned students is needed to help the students observe school rules, be faithful to academic activities using their foreign experiences, and adjust well to school life.

      • 일반고 학생의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일반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박흥원 세종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학교교육은 학생들에게 교과지식의 이해와 습득은 물론이고 건강한 가치와 긍정적인 태도를 갖추도록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진정한 학업성취는 교과지식 습득뿐만 아니라, 자기주도 학습능력, 목표의식,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 등 정의적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러나 고등학생의 72%가 재학하고 있는 일반고의 학교 및 설립유형 간에 학업성취 격차가 상존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력 저하와 생활인성지도의 어려움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에서, 학교 및 설립유형 간 학업성취의 차이는 물론, 정의적 특성에 차이가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효과에 대한 연구물들이 학업성취결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정의적 특성 차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정의적 특성의 학업성취 영향 및 학업성취 상하위학교간 정의적 특성의 차이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 학업성취 및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학교요인은 무엇인가? 2. 학업성취 및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학생요인은 무엇인가? 3. 학업성취가 높은 일반 고등학교의 정의적 특성은 무엇인가? 2010년 7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서울시 소재 83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2012 자료 중 60개 일반고의 학생, 교사, 학교장 및 학교자료를 HLM 6.08과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양적 분석(Multilevel Model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모형은 학교수준과 학생수준별로 투입 및 과정변인을 구성하고, 학생수준의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을 산출물로 구성하였다. 측정변인은 학교투입변인(설립유형, 학교유형, 무료급식지원 학생비율),학생투입변인(성별, 아버지 재학년수, 월평균 가계소득), 학교과정변인(교장의 학업성취향상 최우선 둠, 교사의 높은 성취수준 기대, 교사의 학생 이해, 학교풍토)과 학생과정변인(학습노력, 혼자하는 학습시간)이며, 산출변인으로 학업성취도(국어, 수학, 영어 과목별 수직척도점수와 총점)와 정의적 특성(자기주도 학습능력, 목표의식,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이다.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간 학업성취 분산량이 영어, 국어, 수학 순으로 많았고, 학교 간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었다. 6개 학교유형 간 학업성취 순위는 사립여고-공립여고-사립남고-공립공학-사립공학-공립남고 순이었다. 학교유형이 남고 국어, 수학, 영어 수직척도점수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설립유형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무료급식지원 학생비율의 영향은 매우 작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유형 간 학교풍토를 분산분석 한 결과, 여고가 남고와 공학보다, 사립이 공립보다 우수하였다. 교사과정변인은 영어, 수학, 국어 수직척도점수 순으로, 학교풍토는 국어 수직척도점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학교과정변인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정배경에 비해 가소성이 높은 학교과정변인들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가정배경이 낮은 학생들에게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교육형평성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다. 셋째, 정의적 특성의 학교 간 분산이 매우 작았으나, 학교유형 간 정의적 특성 분산분석 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교 및 설립유형 간 정의적 특성차이와 학업성취도가 비례하였다. 학업성취가 높은 여고가 남고와 공학보다, 사립이 공립보다 높았고, 사립여고의 정의적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다층모형 분석결과, 교사과정변인은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중회귀 분석결과, 학교풍토 중 교사-학생 간 원만하지 않음이 정의적 특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나타냈고, 교사의 학생기대도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고 학생을 격려하는 활동은 전인적 성장에 영향을 주는 교육 활동이므로, 교사의 학생사랑과 헌신이 지속되는 학교풍토를 조성하고, 교원의 소통능력 계발 연수와 학생·학부모의 교원평가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생배경변인으로 아버지 재학년수는 영어, 국어, 수학 수직척도점수 순으로, 성별은 국어, 수학 수직척도점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계소득의 영향은 무시할 수준이었다. 가정배경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난 것은 연구대상의 동질성이 전국단위 표본보다 높기 때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섯째, 학생과정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실질 영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노력이 국어, 수학, 영어 수직척도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다층모형 분석결과: 학습노력이 학습시간보다 더 영향 보임), 수학 혼자하는 학습시간은 수학은 물론, 국어와 영어 수직척도점수에도 영향을 주는 등, 학생과정변인이 학업성취에 많은 영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가정배경은 학생 및 학교과정변인의 영향 수위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배경이 낮은 지역의 학교일지라도 혼자하는 학습시간 및 학습노력을 증가시켜 자기주도 학습에 노력하는 학교풍토를 조성하는 것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학업격차를 완화시키는 방안이 될 것이다. 여섯째, 정의적 특성이 학업성취와 높은 상관을 보이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 학습능력, 목표의식, 자아존중감 순으로 국어, 수학, 영어 수직척도점수에 영향을 나타냈고, 진로성숙도는 국어와 수학 수직척도점수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정의적 특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나타내는 변인은 학습노력이며, 학습 시간보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모르는 내용을 해결하려는 학생의 학습노력을 격려하고 교사-학생 간 관계가 원만한 학교풍토를 조성하는 것이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곱째, 학업성취 상위 1집단(상위 25%) 학교들은 2, 3, 4 집단 학교들보다 정의적 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의식과 장점인지의 집단 간 분산량이 3차년에 증가하고 있으므로, 인성관련 정의적 특성이 학교집단 간 학업성취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의식이 높고 자신의 장점을 잘 인지하고 활용하는 학생일수록 학업성취가 향상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및 학교과정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강남학군과 강북학군으로 분리하여 재검증하거나,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우수한 제주도, 대구 및 광주광역시 소재 일반고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한 재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유형 간 학교풍토 순위와 학업성취 순위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 정의적 특성에도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정의적 특성을 배양할 수 있는 교재 및 프로그램 계발을 강화하는 등 인성교육을 재편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진로성숙도가 학업성취에 부적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학교변인이 없으므로, 진로교과의 교육과정 편성 및 확대는 물론이고, 진로교사 양성을 사범대학에서 체계적으로 시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업성취에 비해 정의적 특성이 높은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와 성취 욕구를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학습과정에 동원되는 정의적 특성의 평가를 확대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과정중심의 평가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평가준거를 개선하고, 학업성취도 중심의 대학입학 선발 기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개선이 요구된다. 넷째, 학교 및 설립유형 간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학생 특성에 맞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입학전형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학교선택권 확대정책은 학교별 교육책무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가정배경이 낮은 학생들이 학교교육을 통해 학업성취를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 한국과 미국의 외국인 유학생 이동에 관한 비교

        한정훈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세계는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유사 이래 가장 빠른 변화의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의 확장으로 사람들은 자국의 정보뿐만 아니라, 타국의 정보에 대해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자국과 타국의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해외 유학이라는 결정을 하는 사람의 숫자는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 유학은 전통적으로 소위 주변국가라 불리는 개발도상국가에서 중심국가라 불리는 서구의 선진국들로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에는 중심국가로 분류되어져 온 선진국들로의 유학뿐만 아니라, 주변국으로 분류되었던 나라들 간에도 활발한 유학생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분류에 따른 중심국인 미국 내 외국인 유학생들과 최근 유학대상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결정요인 및 유학대상국 선택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와 대학의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과 미국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주요 유학결정요인은 무엇이며, 그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한국과 미국에서 유학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대상국 주요 선택요인은 무엇이며, 그 차이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 153명, 미국 내 외국인 유학생 86명, 총 239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유학결정요인과 유학대상국 선택요인에 대해 Likert 5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5=매우 그렇다)로 문항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그리고 독립표본 T검정으로 처리 및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 모두 유학결정요인은 경제적 요인-학업적 요인-사회적 요인 순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외국 문화를 경험해 보고 싶은 것이 유학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해외 유학 후에는 더 나은 직업과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해외에서 취득한 학위가 본국보다 더 높게 평가해 줌 등의 순으로 유학결정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학결정요인이 출신 지역, 현재 수학하고 있는 국가 등과 관계없이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말해준다. 둘째, 한국과 미국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 간 주요 유학대상국 선택요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사회적 요인-학업적 요인-주변인의 추천-경제적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미국은 학업적 요인-주변인의 추천-사회적 요인-경제적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대한 응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국에 있는 유학생들이 미국의 유학생보다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한국을 선택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방안을 제안해보면, 먼저 학업적인 부분 뿐 아니라 문화적 특색과 경험을 접목시켜 정부와 대학, 그리고 기업의 협력 하에 학업부터 취업까지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하고,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한국의 사회적 요인들을 부각시키고 활용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아시아 지역 학생들에게 적합한 홍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외국인 유학생을 우리나라에 성공적으로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국 대학생 및 학부모의 대학선택 영향요인 : 한국과 중국의 비교적 관점에서

        곽뢰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Guo Leijing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In recent years, the competition of higher education market is increasingly fierce, and subjective awareness among students and parents is strengthened constantly. It has been widely concerned by admissions offic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and the whole society on how to recruit excellent students as well as how to choose suitable HEIs. In other words, the college choice is a decision influenced by a number of demographic,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institutional factors. Different types of students and parents chose to attend certain universities on the basis of one or more factors that link directly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needs. However, whether in China or in South Korea, there is little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and parents' college choice. In the purpose of further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students' and parents' college choice, this study adopted questionnaires on 199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200 parents from different resident regions and social-economic backgrounds. In order to make clear the disparity of these factors' influence, the disparity of Chinese students' and parents' final college choice and the disparity of Chinese parents' behaviors,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into 6 parts: gene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factors, college's characteristic factors, soci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college choice decision. After this,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me advice for HEIs to improve their recruit performance and education service. The main conclusions in this study include: First, Chinese parents held that if their children entrance into a university, not only they can keep face in front of acquaintances and other family members, but also their children could make more personal connections with many excellent professors. But on the other hand, these two cognitive factors were all of small statistical significance to Chinese students. Secondly, among the 7 college's characteristic factors, job prospects, school atmosphere, college's scale and distance between college and hometown were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so they were more important for Chinese parents than Chinese students. Thirdly, among the social factors, the college application guidelines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college choice for Chinese students and parents. But the college application counselor's influence was the lowest. In addition, the disparities of non-human sour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bjects of this study. Except the internet, the influence of college's promotional materials, application guidelines and magazines were more important for Chinese parents than students. Fourth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better the social-economic backgrounds,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students with their parents, moreover, the higher the cognitive degree of parents on their children's college choice. Fifthly, this study found that, Chinese students played a dominant role in the progress. Despite of the divergence, Chinese parents would like respect their children's college choice, then reach an agreement on college choosing issues. Keywords: college choice, influence factors, college choice decisions 국문초록 고등교육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주체로서 인식이 강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고등 교육 기관들과 사회 전체가 우수 학생 모집을 비롯하여, 학생 및 학부모의 대학선택에 대한 관심도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든 한국에서든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 선택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비교하는 관점에서 중국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선택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선택 영향요인이 무엇이며,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선택 결정의 차이가 무엇인지, 또한 학부모와 자녀의 대학선택 의견이 불일치할 경우, 그들은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는 행위를 선택할 것인지, 혹은 자신의 의견을 받아들이도록 자녀에게 권유하는 행위를 선택할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행위 간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199명의 중국 대학생과 200명의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설문 문항들은 일반적 특성, 인식적 요인, 학교특성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가정적 요인, 그리고 대학선택 결정의 6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아래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국 학부모들은 자녀의 대학진학이 지인과 친척들 앞에서 체면을 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가 대학에서 훌륭한 교수를 만나 인적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는 인식 등 인식적인 요인을 중요시 하였다. 반면에 중국 대학생들의 대학선택에 있어서 인식적 요인은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학교특성적 요인 중 대학 졸업생의 취업 전망, 학업 분위기 대학 규모, 고향과의 거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학생에 비해 학부모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요인 중 중국 대학생과 학부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모집요강이다. 반면에 대학 입시 상담사의 영향은 가장 낮았다. 또한, 비인적 정보원 요인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인터넷 정보를 제외하고, 대학 홍보물, 모집요강과 잡지 등의 요인은 학부모에 대한 영향이 학생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좋을수록, 중국 대학생들은 부모와의 의사소통 빈도가 높아지고, 학부모들이 자녀의 대학선택을 인식과 이해하는 수준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생들은 대학선택 과정에서 절대적인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은 자녀의 대학선택 결정을 존중하면서, 자녀와 상의한 후, 보다 일치하는 대학선택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주요어 : 대학선택, 영향요인, 대학선택 결정

      • 대학 졸업 니트족(NEET)의 개인 경험적 특성과 사회제도적 함의

        한연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졸 니트의 개인적 경험과 그 시사점을 탐구하고, 본 현상과 관계된 제도적 문제가 무엇인지 대졸 니트의 관점으로 이해하여, 대졸자 니트화 요인을 밝히고,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서 ‘대졸 니트의 개인적 경험과 그 시사점은 무엇인가?, 대졸 니트의 시각으로 본 교육 및 사회제도적 문제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자는 지난 3년간 니트와 관련된 주제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며 탐독하는 노력을 기울였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면담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면담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모두는 연구자의 엄격한 표집기준에 의하여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10명이 참여하였다. 실 오프라인 면담 전 예비온라인 면담을 수행하여 연구질문의 민감성을 높였다. 면담조사기간은 2013년 12월부터 2014년 4월이었으며, 면담장소는 대부분 연구 참여자가 원하는 장소나 스터디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오프라인 면담횟수는 1회에서 2회까지 진행되었으며, 소요시간은 각각 1시간 30분∼2시간 정도였다. 면담자료 분석은 추가 질문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연구 참여자의 반응을 짚어보며 추가 질문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항시비교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분석 전, 분석 상 도움이 될 주요 주제를 정렬하는 템플릿 분석법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분석한 상위 범주는 총 6개이며, 도출된 개인적 경험은 가정환경적, 사회활동적, 건강·심리적, 교육적 경험을 모두 합하여 21개, 사회제도적 무업화 문제는 교육제도적 환경과 노동사회제도적 문제를 합하여 12개로 분석하여, 총 33개의 경험이 도출 되었다. 최종적으로는, 9가지의 사회제도적 문제 하에 13가지의 긍정적이지 못한 경험의 연합으로 무업화가 되었단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런 환경 하에서 무업자들이 어떤 대응을 하고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무업자가 현재 고용환경에 대응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대어 대졸 니트 현상을 해석하는 관점을 특정학문의 흐름에 치우쳐 해석하기보다, 간학문적이고도 통합적인 관점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나아가 대졸자 니트화 현상을 해석하는 관점에 “자기 가치 발현 욕구”가 고려할 만한 점이라고 제안하였다. 그 밖에도 은둔형 대졸 니트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 우리나라 청년 니트에 대한 개념적 정의의 정비, 중고등교육 단위 진로설계 지원의 체계적 운영, 노동시장 환경의 개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최근의 대졸자 니트화 현상의 해석 및 분석에 체계적인 점검이 한 번쯤은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이는 바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Korean college graduate NEETs’ personal experiences and their implications and understand institutional problems related to this phenomenon from the viewpoint of college graduate NEETs, and ultimately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college graduate NEETs and find strategies to support them.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largely two questions: what are college graduate NEETs’ personal experiences and their implications; and what are educational, social, and institutional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college graduate NEETs. The researcher made efforts to collect and explore data on themes related to NEETs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conducted interviews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is study.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The participants were screened strictly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sampling criteria, and 10 subjects were sampled finally as the participants. Before the main offline interviews, preliminary online interviews were performed for higher sensitivity of the research questions. The interview period was from December 2013 to April 2014, and most of interviews were held at places preferred by participants or the study center. Each participant had one or two offline interviews, and each interview took about 1.5~2 hour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in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order to derive additional questions out of the participants’ responses.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template analysis method, which arranges helpful major themes before and during the analysis. A total of 6 main categories were analyzed. In addition, 21 kinds of personal experiences were derived including home environment, social activity, health and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12 problems related to social and institutional worklessness were analyzed, so a total of 33 experiences were derived.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worklessness was induced by the combination of 13 kinds of negative experiences under 9 kinds of soci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This study also analyzed how workless people cope with this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workless people responded to the current employment environment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it was suggested that the viewpoint for interpreting the phenomenon of college graduate NEETs needs to be more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than biased to the trend of a specific discipline.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that “desire for the expression of self‐value” is worthy to be considered as a viewpoint for interpreting the phenomenon of college graduate NEETs. Besides,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of measures for hermit‐type college graduate NEETs, refined conceptual definition of Korean young NEETs, systematic operation of career design support for secondary students, and improvement in the environment of the labor market. In this aspect, it also added that a systematic review should be made on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recent phenomenon of college graduate NEETs.

      •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허현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83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especially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fter college graduation has reached the highest level since 2000. Reflecting this reality, everything around the university have created a new formula called 'the final result of college education is employment' and to improve employment outcomes, the college is focused on 'professional training' while the four-year university is focused on ‘employment qualification’.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re working to improve employment outcomes through a variety of career guidance programs and employment support polices. However,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colleges and four-year universities. The studies for employment outcome between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which have different educational purposes has been limited. There is a need for a study to compare the employment outcome of four-year university and college graduates with different purpose of establish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of the variables affecting employment outcome of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factors affect the employment status of college graduates an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Second, what factors affect the employment type of college graduates an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Third, what factors affect wages of college graduates an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status and employment type based on the data of "Employee Movement Survey for Graduates"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wages.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status of both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were age, certificate acquisition status, participation in youth employment policy program, and major (social sciences, engineering, medical department). The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atus were the major (education, natural department) in case of college graduates while period of education, employment goal setting, English proficient test, participation in employment related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 and national/ public university and a major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in cas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Second,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type of both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were participation in employment related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 and major (social science, engineering, medical department). The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type were gender, certificate acquisition status, English proficient test, participation in employment and career program, major (education department) in case of college graduates while age and employment goal setting in cas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Third,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ages of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were gender, ag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English proficient test and major (engineering, medical department). The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ages were certificate acquisition status, major (education, natural science department) in case of college graduates while parental education length, employment goal setting, language study abroad, participation in employment related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 participation in youth employment policy program, national/public university, location of university, and major (social science,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in cas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obtained base on the results. First, the differences in employment outcomes between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were found to be largely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background of the family did not affect the employment outcomes through education, but the employment outcomes were aff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r major. Therefore,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were needed systematic guidance and management of these factors. Second, the employment outcomes were affected by individual efforts such as certificate acquisitions, English proficient test and participation in employment related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 or university supports programs. The employment outcome of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were largely attributed to individual efforts. It suggested that employment goal setting should be set up based on the industry which actually want to work in and employment competence required at the level of industry, not just employment related major. Third, the employment outcome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he individuals majoring in college and university. In the case of universities, because there is a unique academic field according to the major, It suggested that college and university were needed to provide a systematic employment support program at the department level depending o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results of employment outcomes will be diverse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other than the input factors which affected the employment outcome of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utcome by putting together various factors of support system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side from factors suggested in this study. Second, the employment outcome will vary depending on the occupational cluster desired by college and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Therefore, college and university need to find methods depend on the type of university to provide concrete information to students and businesses in the process of employment and hiring by strengthening linkages with industry. Thir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relies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utcome of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To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cases of graduates who have succeeded in their desired employment goals. 우리나라에서 청년실업 문제 특히, 대학 졸업 이상의 청년실업은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대학을 둘러싼 모든 환경이 ‘대학교육의 최종결과는 취업’이라는 새로운 공식을 만들어 내었고, 전문대학은 ’전문직업인 양성’, 4년제 대학은 ‘취업역량 강화’의 목적 하에 취업성과 향상을 위한 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국의 대학들은 다양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및 취업지원 제도를 통해 취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간 큰 차별이 없이 획일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까지도 교육목적이 상이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들 간의 취업성과를 다룬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상이한 설립목적을 가진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고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2016)이 집계한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의 자료를 토대로 종속변인인 취업여부와 고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분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여부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 자격증 취득유무, 청년고용정책 참여여부와 전공계열(사회과학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 전공계열(교육계열, 자연계열)이, 4년제 대학의 경우 부의 교육연한, 취업목표 설정여부, 영어시험 응시여부, 직업관련 교육‧훈련 참여여부, 국‧공립 유무와 전공계열(예체능계열)이 취업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고용형태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직업관련 교육‧훈련 참여여부와 전공계열(사회과학계열, 공학계열, 의약계열)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 성별, 자격증 취득유무, 영어시험 응시여부, 취업진로프로그램 참여여부와 전공계열(교육계열)이, 4년제 대학의 경우 연령과 취업목표 설정여부 변인이 고용형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임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월평균 가계소득, 영어시험 응시여부와 전공계열(공학계열, 의약계열)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 자격증 취득유무, 전공계열(교육계열, 자연계열)이, 4년제 대학의 경우 부의 교육연한, 취업목표 설정여부, 어학연수 경험여부, 직업관련 교육‧훈련 참여여부, 청년고용정책 참여여부, 국‧공립 유무, 대학소재지와 전공계열(사회과학계열, 예체능계열) 이 임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의 차이는 대체로 취업준비행동과 전공계열로 나타났다. 가정배경이 교육을 매개로 취업성과에 영향을 주기 보다는 개인의 취업준비행동이나 전공계열에 따라 취업성과가 다르다는 것은 이들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취업성과와 관련하여 자격증 취득이나 영어시험 응시, 직업관련 교육‧훈련 참여 등 개인의 노력 또는 대학의 지원프로그램 등이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는 주로 개인차원의 노력에 기인하는 것으로 막연한 전공 관련 직업이나 직장이 아닌 실제적으로 취업하고자 하는 산업부분 및 수준에서 요구되는 직무능력 중심의 진로목표를 설정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재학생들이 대학에서 전공하는 교육의 경험에 따라 취업성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경우 전공계열에 따른 고유한 학문영역이 존재함으로 대학에서는 대학의 설립목적에 따라 체계적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을 학과 차원에서 지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투입된 요인 이외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취업성과의 결과가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 이외에 대학의 다양한 지원 제도요인을 함께 투입하여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이 희망하는 직업군에 따라 취업성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대학은 대학의 유형에 따라 산업체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취업과 고용의 과정에서 구체적인 정보를 재학생들과 기업체에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양적 연구방법에 의존하였다는 제한이 있다. 이러한 제한을 보완하기 위해 자신들이 원하는 취업목표에 성공한 졸업자의 사례를 동시에 실증 분석하는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 Globalization of the Korean Wave : 한류의 국제화

        BEYER ALYSSA MICHAE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83

        Abstract South Korean popular entertainment has garnered attention from many people form many countries. It had a mild sub-culture outside of the Asian world, but it never really gained popularity the same way it has in Asia. That was until the success of YG Entertainment’s Psy, a rapper/singer with many popular hits within South Korea. With the success of Psy’s song “Gangnam Style,” the western world definitely took a closer look at the entertainment South Korea had to offer. The success of South Korean entertainment has ignited a spark that looks like it is growing, especially as other stars within South Korea use Psy’s success to go on world tours and visit other nations to meet fans.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spread of this phenomenon we can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how culture can impact people and politics. Since social media and entertainment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world today, it contributes to the mindset of individuals in each country where it is available and it can impact the way people perceive other cultures. Media is where today’s society garners most of it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how the world works, as well as what is true or not true. The media can be a very useful tool, but also a weapon. Its power demonstrates how much control other people and objects can influence everyday life. The Korean Wave is a phenomenon that has utilized social media as well as regular means of production to spread its entertainment as a form of soft power to influence other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Government support has helped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 Korea progress in ways that few other countries have experienced. By sponsoring programs to promote culture within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its democratic age, Korea has tried its best to create “Brand Korea” and produce features that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feel they want to have. However, in many Western countries, the visuals and values that are popular in other Asian countries predisposed to enjoy Korea’s popular culture do not hold. Western culture is very different from Asian culture in terms of group dynamics and values. Also, Western taste in music has changed over the decades, and although Korean music has also changed, it is strongly swayed by Western music and ideas, making it a copy of Western pop culture. Since it appears to be a copy of Western pop culture, it is difficult for Korean popular culture to gain permanent mainstream popularity in Western countries, specifically the United States.

      • The Other South Koreans:South Korea’s Integr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Mark Bell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83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of migrants who have left their homes in North Korea and resettled in South Korea. This thesis focuses particularly on the difficulties that North Korean people face adapting to life in South Korea and their current social position on the margins of South Korean society. A notable example of this maladjustment is that of the North Korean youth studying in the South Korean schools. As the number of North Koreans settling in South Korea has risen dramatically over the past few years so too has the number of North Korean youth and adolescents. South Korean authorities have attempted to successfully integrate North Korean people by earmarking significant resources to help ease their transition into a new society. A substantial amount of these resources, as well as some unique policy initiatives, have been directed towards North Korean youth in particular. Despite their efforts however, attempts to assimilate the increasing number of North Koreans into mainstream society have been disappointing. This failure also extends to the assimilation of North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shown manifest signs of maladaptation, especially with regards to the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The aim of this thesis is twofold. The first of these objectives is to highlight and publicize the problems facing North Korean migrant youth in their struggle to adjust to the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These problems are multifarious and formidable yet there is reason to remain cautiously optimistic that they are not entirely intractable. The source of this optimism stems from the fact that many of the problems presently faced by migrant youth can be mitigated by adopting alternative models of social integration. Offering such models relates to the second aim of this thesis, namely, to provide prescriptions aimed at not only assisting migrant youth adapt to South Korea's education system, but also to help them adjust to their new society as a whole. 이 논문은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에 정착한 새터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새터민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겪게 되는 문제점과 특히 그들이 남한 교육을 접했을 때 만나는 문제점에 중점을 두었다. 2012년 9월 기준으로 남한에 정착한 새터민은 24,193명이고 그 중 19살 미만 청소년은 약 3600명이다. 현재 정부에서는 새터민의 순조로운 정착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고 청소년을 위한 특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노력과 새로운 정책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성과는 보이질 않고 있다. 북한의 새터민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여전히 문제점이 많고, 특히 북한 출신 청소년들이 새로운 남한 교육체계에 적응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현재 새터민 청소년들이 새로운 교육 환경에 적응하면서 겪고 있는 문제를 파악하고 그것을 알리는 것이다. 현재 청소년들은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들을 겪고 있지만, 아직 모색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이 있다는 점을 봐서 꽤 희망적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좀 더 참신하고 실질적인 정책을 모색하고 제시해야 한다. 둘째 앞 서 말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여 새터민이 새로운 환경에 더 쉽게 적응하고 청소년들이 남한사회에서 더 풍부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새터민들의 문제점을 보완할 방법이 새롭게 강구됨으로써 청소년들은 새로운 교육 환경에서 교육을 받음은 물론 남한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