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관협정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연구 :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과 부산시 해운대구 청사포를 중심으로

        김지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주민 참여계획은 과거 양적·물적 성장에서 질적 내실화를 통한 성장에 대한 사회적 요구, 삶의 질과 지역공동체 회목을 통한 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제시되었다. 제시된 방법은 삶터의 물리적 환경개선 뿐만 아니라 생태·문화·환경복원등에 대한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방향으로의 전환할 것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모든 계획이 지향하고 있는 지속가능성을 포함한 계획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경관협정은 주민참여를 통해 제도적 틀 안에서 경관계획을 실행할 수 있는 계획방법으로써 대표적 주민참여 방안이다. 그리고 경관협정은 지역공동체가 회복되고 이를 원동력으로 하여 주민이 내발적으로 지역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경관협정의 제도적 범위는 시각·물리적 범위에 머물러 있어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과거의 단순 환경개선사업들처럼 단발성 사업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실제 경관법 제정이후 2009년부터 시행된 경관협정 사례지는 대부분 사업이 지속되고 있지 않다. 경관협정 유사사례들을 보면 시각·물리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요소들을 계획, 실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주민들이 스스로 지역을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실현되고 있다. 때문에 경관협정 제도도 모든 계획의 궁극적 목표인 지속가능성을 포함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아가야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협정유사사례를 검토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물리적 환경과 더불어 주민의 내발적 지역관리를 위해 사회·경제적 측면이 실행되는 것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경관협정에서 지속가능성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정리도 함께 해보았다. 그리고 사례에서 나타난 사회·경제적 측면들이 현재 경관협정이 유지되고 있는 대상지에서도 작동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경관협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편적 요인과 원칙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향후 경관협정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안정적 기반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한양도성에서 조망되는 서울 원도심의 부감경관 특성

        최지이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우리나라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이며 도시 주위에 존재하는 산은 경관계획에 있어 중요한 조망자원이자, 시가지를 조망하는 시점이다. 그간 국내 연구는 시가지 내에서 조망되는 산의 경관적 가치에 집중 되어왔으나 서울 한양도성의 전면 개방과 지속적 복원을 통해 방문자들이 늘면서 한양도성 탐방과 더불어 그 곳에서 시가지를 부감(俯瞰)하는 조망기회도 늘고 있다. 이에 서울 한양도성을 조망점으로 유용한 조건을 갖춘 시점으로 파악하고 서울의 도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기회로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한양도성 주변의 여러 조망점 중 대표 조망점을 추출하고, 그 지점에서 부감되는 경관을 연구자 평가와 이용자 평가를 통해 분석하여 부감경관 특성을 명확히 밝히고, 더 나아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대상경관별 개선 또는 관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질적인 대상지 연구에 앞서, 이론적 고찰에서 조망점 평가기준과 부감경관의 평가요인을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다. 조망점 평가는 개방성, 조망성, 접근성, 이용성의 기준에 따라 대표 조망점을 선정하고, 각 조망점의 대상경관은 부각과 토지이용, 개방율, 녹시율 등에 따른 시각특성과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평가 및 경관 구성요소 파악을 통한 인지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 서울 원도심의 부감경관은 네 방향의 대표 조망점이 갖는 다양한 조건하에 인상적으로 드러나는 경관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북악산 청운대는 원경의 남산으로의 초점경관이 강하게 나타나며, 인왕산 범바위는 중경의 경복궁과 저밀도 주거지의 수평경관이 인상적이다. 낙산 낙산정은 근경의 주거·상업·문화 복합지구의 혼합경관의 양상을 보이며, 남산 잠두봉은 중경의 고층·고밀도의 건축군에 의한 수직경관이 시각적으로 두드러진다. 이러한 조망방향에 따른 부감경관의 다양성 측면을 부각시켜 서울 원도심을 더욱 매력적으로 관리하고자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북악산 청운대에서 바라본 도심이 가장 아름답다고 방문객들이 평가하고 있는 만큼, 더욱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시가지에 접해 있는 인왕산과의 연결을 통해 상호간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인왕산 범바위는 옛 도시로서의 원경경관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에서 보기 어려운 저밀도의 수평경관이 인상적이므로 수직적 개발 및 급격한 변화를 자제하여 이러한 특징적 경관을 유지하도록 한다. 셋째, 낙산의 낙산정은 조망지점의 표고가 너무 낮아 개방성이 낮으므로 주로 조망되는 근경의 건축물 옥상과 지상에 대한 녹화를 통해 녹시율을 높임으로써 부감경관의 시각적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남산 잠두봉은 도시와 자연이 이루는 대조가 상당히 매력으로 느껴지나, 조망점에 근접하여 고층건축물이 개발되어 개방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으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주변부 고도규제를 유지하여 개방감 유지 및 관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접 주거지역의 지상과 옥상, 시가지 내 가로와 오픈스페이스의 녹화를 통해 녹시율을 높이도록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원도심경관을 다양한 시점에서 들여다보고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향후 도성 바깥 시가지에 대한 부감경관 분석을 통해 도성 내·외부의 경관특성을 두루 살펴보고 그에 따른 통합적인 관리방안의 도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Korea's territory is mostly covered with mountains. Mountain provides very important view in landscape planning and viewpoints of urban area. Previous studies in local level have focused on landscape values of mountains viewed from urban areas. However, with overall opening of Seoul city wall and continuous restorations, the opportunities of overlooking are increased. I would like to find out the opportunities to increase urban image of Seoul, and figure out useful conditions as viewpoints. This study would like to 1) suggest several viewpoints located at surrounding Seoul city wall with extracting several representative viewpoints; 2) to make clear of overlooking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researcher-and-visitor evaluations from overlooking, moreover 3) to suggest improvement of landscape elements or management directions from analysis results. Before substantive site analysis, I would like to derive viewpoint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factors of overlooking theory from theoretical speculations. Viewpoint evaluations are selected for the representative viewpoints based on openness, prospect, accessibility, and usability. Each landscape viewpoint based on land use, openness rate, and index of greenness is analyzed by psychological evaluations and understanding in landscape components. Based on previous analysis, Seoul downtown area' impressive landscape could be overlooked from four different viewpoints and directions. Chungundae of mountain Bugak comes into view as focal point of landscape. Bumbawi of mountain Inwang is impressive in terms of horizontal landscape of low density residential area and Gyeongbokgung(Palace) of middle distance. Naksangjung of mountain Nak shows hybrid landscape of residential, commercial, cultural, and complex district. Jamdubong of mountain Nam is remarkable in terms of building complex of high-rise and high density of middle distance landscape. I would like to suggest for managing downtown area in Seoul more attractively with highlights of several aspects based on view directions. First of all, visitors consider that urban area viewed from Chungundae of mountain Bugak is the most beautiful landscape. In order to encourage frequent usage, new streets that are adjacent to mountain Inwang are needed to connect streets and mountain Inwang to enhance accessibility. Secondly, Bumbawi of mountain Inwang has remarkable long distance view as a old city. The low-density-dominated horizontal landscape is impressive due to its rarity in Seoul. Thus, high-rise development policy and radical changes are needed to control distinctive landscape maintenance. Thirdly, the altitude of the Naksangjung of mountain Nak is too low to provide good viewpoints. It generates lower openness rate. Visual qualities of overlooking need to be improved through greening rooftops and open spaces. Fourthly, Jamdubong of mountain Nam has fairly attractive factors with a contrast between city and nature. However, development of high-rise buildings that are adjacent to viewpoint generates lower openness. To maintain its openness rate, the building height control policy is needed in the future. Adjacent open space, rooftop, and street improvement in residential area are required to improve index of greenness through greening open space. This study is conducted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viewpoints in downtown area at Seoul. Overlooking analysis about views from outside the capital city is needed to examine landscape characteristics inside and outside Seoul, and then comprehensive plans are required to derive for management policy.

      • 현대 환경설계에서 나타나는 협업에 관한 연구

        이승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Hybrid design, large park and post-industrial design are named as recent trends of contemporary environment design. Therefore the case, where team play by various experts in different field such as architecture, landscape and art, has increased. But despite of constant needs, there are few studies which conducted about an effective collaboration in environmental design. Thu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collaboration and analyse the process of coordinating and also offer conditions for effective collaboration in the contemporary environmental design.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selected three sites, such as ‘Seonyudo Park’, ‘Dream forest’ and ‘the migrant bird’s village’, and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in-situ survey and interview with persons in charge of administration, design and program. Firstly, in regards of the collaboration among the main participant's role, ‘the migrant bird’s village’ has coordinate more actively than other sites. The reason why they are less conjunct than the site is that they were created by design competition. Also, citizenry’s participation was not prevalent, in those days of that ‘Seonyudo Park’ was made. Regardless of the reasons, ‘Dream forest’ has formed various program for citizenries to reflect the current tendency that demanding for citizen participation but it could be regarded as a passive collaboration. In comparison with preceding sites, ‘the migrant bird’s village’ has shown an aggressive attitude as residents take a part of creating process. Secondly, in the collaboration among professionals in similar fields, 'Seonyudo Park‘ and 'Dream forest’ had obtained the desired results to put perfection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by conducting various advisory conferences, while had not shown an substantive attitude. Unlike other sites, ‘the migrant bird’s village’ had been more aggressive because it had shared a definite idea to plan an environment, which is able to achieve mutual exchanges and multiplicative functions, with cooperators such as an environment educationist, a community designer, an ecologist and so on. Also, as an independent entity, each pundit had met in conference several times, pushfully. Thus, they could plan the preconceptual design. The third type is the collaboration among designers in disparate field, written in plain language, landscape architect cooperate with Architect or artist and so on. In this case, all sites had cooperated, actively, and also, participat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s a analytical results, this study had interpreted the ‘Seonyudo Park’ as a mutual directed type and the ‘Dream forest’ as a landscape architect directed one and ‘the migrant bird’s village’ as an analogous architect-directed one. Based on analysis, the study suggest four main requisite for effective collaboration. First, entities of project should took a ro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s. As users, citizenries could have sense of sovereignty by participate in creating process and also a sense of sovereignty would be of help to maintain and administrate the project. For such a reason as mentioned above, user's particiption is important in this case. Secondly, it is critical to comprise the research team on a case-by-case basis and make an environment for effective communication, especially, in the collaboration among professionals in similar fields, Thirdly, in the collaboration among designers in disparate field, it is required of sufficient communicating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cooperator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share an accurate conception and decide a relevant role of each ones. Fourthly, it needs a certain leading force on a case-by-case basis but it is not an unilateral leader but mutual cooperative leader, as a coordinator. The collaboration in environmental design is great important and also it becomes more and more, a study about collaboration in environmental design is just beginning and this study was an attempt for theatrical research for thi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cooperators. For this, this study states that the curriculum of each major need to build extensive knowledge and have a discernment about the other realm. 현대 환경설계에서 혼성화경향, 대형공원화, 산업이적지를 공원화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자연스럽게 협업이 필요해졌다. 건축, 도시, 조경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은 각자의 아이디어와 경험을 나누면서 보다 창조적인 환경을 설계할 수 있고 이러한 성공적인 협업을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환경설계에서 나타나는 협업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협업이 성공하기 위한 요건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국내외 협업 사례 연구를 통해 환경설계에서 나타나는 협업을 사업주체간, 장르내, 장르간 협업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국내외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협업의 조건을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다. 국내 환경설계 사례 가운데 선유도공원과 북서울 꿈의 숲, 철새마을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현장답사와 문헌연구, 관련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사업주체간 협업의 측면에서 세 사례를 분석하였다. 선유도공원은 설계경기를 통해 진행되었고 조성 당시에 시민과 발주처의 참여가 일반적이지 않아, 사업주체간 협업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북서울 꿈의 숲 또한 설계경기를 통해 진행되었으나, 시민의 역할이 중요시되고있는 최근 경향을 반영하여, 시민의 참여로 공원이 완성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지만 협업의 정도가 미비한 소극적 협업이었다. 이에 비해 철새마을은 주민이 초기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창작 과정에 참여해, 적극적인 협업이 이루어졌다. 두 번째로, 장르 내 협업의 경우, 선유도 공원과 북서울 꿈의 숲은 다양한 분야의 자문회의 형식으로 진행되어, 설계와 시공의 완성도를 높였지만, 실질적인 협업이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무리가 있었다. 이에 비해 철새마을은 철새마을이라는 특성에 맞는 민간전문가들로 연구진을 구성하여 독립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는 체계적이고 창의적인 협업 체계를 통해, 초기 개념이 반영된 환경을 설계했다. 세 번째로, 장르 간 협업의 경우 세 사례 모두 초기부터 긴밀한 협업이 이루어졌다. 주도형에 따라, 선유도 공원은 공동설계형, 북서울 꿈의 숲은 조경가 주도형, 철새마을은 전체 사업은 조경가가 주도했지만 이 유형에서는 건축가주도형에 가까운 공동설계형으로 볼 수 있다. 분석 결과, 협업이 성공하기 위한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주체간 협업의 경우, 발주처, 이용자, 설계자 모두가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이용자가 창작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주체의식을 높일 수 있고 사후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 둘째, 장르내 협업의 경우, 단순한 기술 자문의 형식이었던 과거와 달리, 각 사례별로 필요한 연구진을 구성하여 독립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동시에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창의적인 협업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장르간 협업의 경우, 서로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소통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설계자 간에 서로 지키고자하는 개념을 명확히 공유하고, 분명하게 역할을 분담해야한다. 넷째, 프로젝트 별로 특정한 주도세력이 존재하여야 한다. 단, 특정인이 선도하는 수직적인 성격이 아니라 의사결정의 조정자로써 존재해야 한다. 이는 세 유형 모두에 적용되지만 특히, 장르 간 협업에서 중요하다. 환경설계에서 협업의 필요성이 크고 협업사례가 앞으로 꾸준하게 증가할 것이 분명하지만 이론 연구는 이제 시작하는 단계에 있고, 본 논문은 본격적인 이론 연구를 위한 조그만 시도에 불과하다. 협업에서는 당사자 간의 이해와 소통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조경학과와 건축학과 등의 교과과정에 상대방 전문분야에 대한 지식과 안목을 쌓을 수 있도록 고려해야한다.

      • 서울시 공공기관 담장 개방사업에 따른 이용효과 분석

        이정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Although fences have played a role in maintaining the identity of individual spaces as a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 of Korea for a long time, the fences of today's high-density modern cities aggravates the severance of communities. City of Seoul, having green spaces mainly on mountains, displays lack of easily approachable green spaces. To solve this problem, the city authority has pushed forward 'Opening-Fence Project' and opened the outer space of public facilities to the citizens of the city. Outer space of such public facilities as public institutions and schools has a high utilizability as public space that ordinary residents may use frequently. Therefore, the public institutions with opening-fence play a role as parks that can be easily approached in daily life, by eliminating the fences that have been recognized as a damaging factor for cityscape and by opening its leisurely green spaces to citizens. The preceding researches only dealt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at residents feel who use fenceless facilities, and the effects of fence with only uni-linear classification. And the researches are rather rare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such main factors of satisfaction of users as main usage of the facility, accessability and openness, which entails necessity for complementary studies. There are many types in public institutions such as administrative facilities(public offices), cultural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and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se facilities shows differences in the citizens' aims and methods of use by category of these facilities. Yet projects are being progressed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se differen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iorities of an uisng effect by comparing the actualities of green space use by residents as a result of public institution's Opening-Fence Project and to propose policy direction and development methods that can enhance the effect that citizens experience. Contents of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eoretical research and research on locality. In theoretical research, categories of public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through investigation on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green spaces, and frames of analysis were established by drawing out the factors of user satisfaction to analyze the effect of use. In the research on locality, rates of us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centering on administrative, cultural and medical facilities which citizens frequently use, and levels of satisfaction and factors for user satisfac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citizens. Based on this, the problems of projects were disclosed and suggestions are made on priority standards for later selection of target location for Opening-Fence Project and on policy directions and development methods by category of the Pro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ri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effect of use, although citizens use the open green spaces as something of parks, awareness on the project sites was rather low. This mainly results from lack of promotion and publicity effort to inform residents of the project, with just pushing the developments forward. Then this implies that, in addition to providing places to relax by eliminating the fences, active publicity efforts should be made through various means for more citizens to use the open outdoor green spaces.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actuality around the project sites, it turned out that the facilities with highest rate of use are public offices(administrative facilities) and surrounding lands are mostly of commercial character with easy access of transportation. Accordingly, they show the highest rate of usage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visitations with the business purposes were also frequent. Yet, since they are close to principal roads, buffer green zones should be supplemented to ease the noises from the vehicles. Beside, as those places have the most visits among three categories of public institutions, constant management becomes necessary to keep the spaces clean and pleasant. And selection of places with easy distant and proximate access can raise the effectiveness of its use. Third, because cultural facilities are mainly at residential areas, it was observed that neighboring residents use those facilities most often, to use the spaces as pure park itself such as relaxation, taking a walk, meeting and conversation rather than using the functions of facilities. In addition, in the use of cultural facilities, satisfaction for the pleasantness and physical accessability records high. Thus, in the case of projects for cultural facilities, sites with excellent landscape and locational distinction should be a priority in the development and enough facilities and programs have to be prepared to promote the social activities of citizens. Fourth, out of three categories of public institutions, medical facilities scored the lowest rate of use owing to the difficulty of psychological accessibility. It is judged that this results from comparatively confined spaces and disadvantageous surroundings. Hence, for the open fence development of medical facilities, which has low degree of public awareness and preference, prioritized selection of facilities with convenient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easy access on foot can boost rate of use. On top of that, since those places revealed lowest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accessibility, it is desirable to develop favorable outer space by active openings, enough facilities to bring about relaxation of citizens and social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standards of selection for the project location and project di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ffect of use with the progress of Opening-Fence Project by City of Seoul to raise use of citizens. The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 project with the comparison of categories. This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future developments of Opening-Fence Project as a base material. 담장은 우리의 전통적 건축양식으로 오랫동안 개개 공간의 정체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해왔지만, 오늘날 고밀도의 현대도시에서 담장은 커뮤니티의 단절을 심화시키고 있다. 서울시는 산악 위주의 녹지로 형성되어 있어 생활권에서 쉽게 접근 가능한 녹지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에서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담장 개방사업을 추진하여 시설의 외부공간을 도시지역 시민에게 개방하였다. 공공기관이나 학교 등의 공공시설 옥외공간은 일상적인 주민의 이용이 잦은 공간으로 공공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담장 개방이 이루어진 공공기관은 도심 경관 저해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담장을 허물어 공공시설 내부의 여유 있는 녹지공간을 시민에게 제공함으로써 일상에서 쉽게 접근 가능한 공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선행된 연구에서는 담장 개방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느끼는 만족도와 단편적 측면의 유형 분류를 통한 효과만 언급하고 있으며, 시설의 주용도와 접근성, 개방성 등 실제 이용자들이 시설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만족도의 주체적 요인들을 고려한 연구는 미비하여 이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공기관에는 행정시설과, 문화시설, 의료시설, 교육시설 등 여러 시설의 유형이 있는데 이러한 시설의 유형별로 시민의 이용목적이나 이용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난다. 그러나 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담장 개방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담장 개방사업에 따른 시민들의 녹지 이용실태를 유형별로 비교하여 이용효과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시민들의 체감효과를 높일 수 있는 사업의 정책방향과 조성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이론적 연구와 대상지 연구로 나뉘었으며, 이론적 연구에서는 공공기관과 공공녹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공공기관의 유형을 시설의 용도에 따라 분류하며, 이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이용 만족 요인을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다. 대상지 연구에서는 대민접촉이 높게 나타나는 행정/문화/의료시설을 중심으로 이용률을 비교 분석하고 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분석을 통해 유형별 만족도와 이용 만족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담장 개방사업 대상지 선정을 위한 우선순위 기준과 유형별 사업의 정책방향과 조성 방식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효과 분석 결과 시민들이 대상지를 공원에 준하는 용도로 이용하고 있으나 대상지 사업 시행에 대한 인지가 낮게 나타나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업 시행에만 급급하여 안내 및 홍보의 부족으로 나타난 결과로, 이를 통해 공공기관의 담장을 개방하여 시민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방된 외부공간을 더 많은 시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업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대상지 주변 현황 분석을 통해 시민의 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시설은 행정시설이며 주변 토지용도가 상업적 성격이 강하고 교통의 접근성이 용이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시설의 특성상 업무를 겸한 방문의 비율도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도시 간선도로에 접하여 차량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량이 많아 행정시설의 사업 대상지는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녹지를 충분히 보완하여야 한다. 또한 공공기관의 세 유형 중 이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 공간의 청결상태와 관련하여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며, 광역적, 근린적 접근성이 높은 대상지를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것이 이용효과를 높일 수 있다. 셋째, 문화시설은 주로 주거지역에 입지하여 인근 주민들의 이용이 높게 관찰되며 시설의 방문 목적이 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것보다는 휴식 및 산책과 만남 및 대화 등의 순수 공원적 이용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다. 또한 문화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공간의 쾌적성과 물리적 접근성의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문화시설에서는 주변 경관 여건이 우수하며 위치 식별성이 높은 시설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하며, 시민들의 사회적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설과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의료시설은 공공기관의 세 유형 중 시설을 이용하는 심리적 접근성에 있어서 시민들이 어렵게 느끼고 있어 이용률이 가장 낮게 나타난다. 이는 비교 대상지에 비해서 협소한 휴식공간과 불리한 주변 환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시민의 인지도와 선호도가 다소 떨어지는 의료시설의 담장 개방 사업 대상지는 대중교통이나 보행 접근이 뛰어난 곳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것이 시민의 이용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심리적 접근성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게 나타난 곳이므로 적극적인 개방과 시민의 휴식 및 사회적 활동을 유발할 수 있는 시설을 충분히 마련하여 환자와 방문객 모두에게 친근한 외부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담장 개방사업에 따른 이용효과 분석을 통해 시민의 이용을 높일 수 있는 사업 대상지 선정 기준 및 사업 방향 제안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유형별 비교를 통해 사업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향후 담장 개방사업 시행 시 기초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역사·문화적 도심재생에 있어서 이용자인식의 비교연구 : 인사동과 전주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서진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City development based on new towns have been continuously growing as our country developed its economy and business. Standardized urban spaces have also been growing through redevelopment process. According to it, multiple urban restoration have been carried out to vitalize and restore the religious functions. As we have entered the 21st century, emphasis on the social, and cultural infrastructure have been increasing to attract tourist rather than physical infrastructures. This will pursue urban restoration with emphasis on the history and culture to provide convenient life style of the citizens, vitalize the history and cultural resources and increase the interest on the history and culture itself. However in the midst of urban restoration, there have been continuous arguments over the maintenance of the traditionality and development through the government lead top-down development and the problem of the expansion of the unified city spaces are increasing. Meanwhile there are lack of continuos detailed research to maintain the historic and culture environment thus there needs to be solution. According to it, this research has selected its target as Insa-Dong and Jeonju Hanok Village as a representative historic·culture city re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management development plan of the historic · cultural city regeneration to be utilized by the citizen and have continuous growth according to the modernization of the city without loosing the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awareness of the groups that use the facility by observing the regeneration phase and method of two areas. The content of the research have been separated into theoretical research and locational research. For the theoretical research, main content and detailed indicators for continuous city regeneration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al environment have been deducted to create an outline of the analysis. For the locational research, the regeneration process and method of the Insa-Dong Jeonju Hanok village have been looked into and a survey and 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to local merchants and visitors to pick out problems and propose a development path. Whe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looked into, it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ocial sides, a expansion of the practical space and facilities without breaking the culture art is needed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Also an emphasis on the continuous management is needed and economical gain can be expected through the employment due to this. For precedence, active involvement of parties interested needs to be carried out. For the history · culture environment, the local citizens must establish a NPO to preserve and nurture the precious resources and participate actively. A cooperative governance of people and government needs to be established instead of up-down development lead by the administration. Moreover there needs to be a strengthening of the coordinator who control the understanding relationship of the various participants. Second, there needs to be a strengthening of the identity of the local culture through the marketing through travel guidance, cultural advertisement system, event development and festivals in terms of culture. Moreover there needs to be an inducement on participants through various attraction and supporting to create voluntary contents by the government for the residents. Third, promotion on the local economy vitalizations through the nurturing of professional tourism and tourist marketing to counter act the discomfort of the visitors in the history · culture environment in terms of economy is needed. This means that various programs must be developed so that visitors can experience various cultures instead of a simple touring. Also physical and intangible resources must be used to satisfy the cultural needs of the citizens and induce a economical ripple effect through economy revitalization and tourism. Moreover through new occupation, we can expect a continuos management of the area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Fourth, in terms of physical and environment a law to secure the effectiveness for the consumption regulation to maintain traditional atmosphere of the history · cultural environment is needed. Also in order to develop the city environment a maintenance of the comfort through location and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is needed. A walking pathway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through guide system and information system to develop the walking environment. In order to preserve the historical cityscape and streetscape, there needs to be a plan which reflects upon the characteristic of the existing city organization. It also requires a nourishment on the partial tourism through development on the lacking walking environment and paths. Moreover a streetscape must be developed using traditional packing materials and design but it must not cause inconvenience to the walking environment to maintain the traditionality. This research deducted a problem and development path in terms of social, cultural, economical, physical · environment. The importance was on proposing a development elements in general view point of historical · cultural city revitalization. It will also contribute as a basic content for city regeneration of the history and culture environment. 최근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가 진행되어 오면서 신도시 위주의 도시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왔고 도심 공동화 현상과 철거 재개발 방식을 통한 획일화된 도시공간이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구도심이 갖고 있는 기능을 회복시키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재생이 시도되어왔다. 21세기 들어 물리적 인프라보다는 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한 사회, 문화적 인프라 조성이 더 중요시 되었으며 역사·문화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역사·문화 자원의 활성화를 통해 도시를 아름답게 만들고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도시민의 삶을 편리한 공간으로 거듭나게 하는 새로운 의미의 역사·문화를 중요시하는 도시재생을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역사·문화적 도심재생에 있어 정부주도의 하향식 개발로 인한 전통성의 보존과 개발의 갈등이 지속되고 획일적인 도시공간이 확산되고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에 대해 지속가능한 역사·문화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세부적인 연구가 미미하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역사·문화적 도심재생사례로서 인사동과 전주한옥마을을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두 대상지의 재생과정 및 방법을 고찰 후 이용집단별 인식을 통해 역사·문화 환경이 도시의 현대화에 따라 가치를 잃지 않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며 시민에 의해 활발히 이용될 수 있도록 역사·문화적 도심재생의 관리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이론적 연구와 대상지 연구로 나누었으며 이론적 연구에서는 역사·문화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주요과제와 세부지표를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다. 대상지 연구에서는 인사동과 전주한옥마을의 재생과정 및 방법을 고찰하고 이용집단인 지역상인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찰하고 관리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측면에 있어서 공공공간 및 시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통적인 미관을 헤치지 않으면서 실용적인 공간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의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한 생산적인 고용 창출을 통해 경제적 이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이해당사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며 역사·문화 환경은 그 지역의 주민 당사자들만의 소유가 아니라 시민모두의 지켜나가야 할 소중한 자원으로서 이를 보존하고 육성하기 위해 지역주민과 시민 스스로 비영리단체(NPO)를 구성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추진할 수 있는 주체가 필요하다. 기존의 행정주도방식의 하향식 개발에서 벗어나 주민과 시민이 주체가 되어 공공과 협력할 수 있는 민·관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가 이루어져야하며 다양한 참여자들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코디네이터의 역할 또한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적 측면에 있어서 축제 및 이벤트개발과 관광안내 및 문화홍보시스템을 통한 마케팅으로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강화시켜야 하며 홈페이지 개설 등을 통한 지역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볼거리와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지역 내 거주자와 괴리되지 않고 거주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자발적 컨텐츠 생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경제적 측면에 있어서 지역 내 관리자가 부족하여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역사·문화 환경의 지역 내 이용객들이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광전문인력 양성 및 관광마케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이는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해 단순 관광보다는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한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관광이 되어야 하며 유·무형 자원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경제 활성화 및 관광산업 육성 등을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유발해야 한다. 또한 생산적인 고용창출을 통해 지역 내 지속적인 관리 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물리·환경적 측면에 있어서 역사·문화 환경의 전통적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해 불허용도 업종의 규제를 위한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법적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설물의 배치와 관리를 통한 쾌적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보행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내86체계 및 정보시스템을 통한 효율적 보행접근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역사적 도시경관 및 가로경관을 보전하기 위해 기존 도시조직의 특성을 반영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낙후된 보행환경 및 경로의 개선을 통해 부분적 관광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또한 전통적 포장재료 및 디자인을 통한 가로경관을 조성하되 보행환경에 불편을 주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 전통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물리·환경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및 관리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역사·문화적 도심재생에 있어서 통합적 관점에서 관리개선요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역사·문화 환경의 도심재생 시 기초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안양천 수변공원의 도입시설 방향 연구

        강호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introducing riverside park facilities which are to be varied and activated as a space of cultural life by conducting the natural environtment-assessment; a general facility plan of riverside park and residents survey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river, to reflect the urban area characteristics and residents bahaviors. The site of the study subject is Anyangcheon river in which use of park facilities is being appeared from a neighbor range of behaviors to a wide range of behaviors and the urban area characteristics are being ranged variously on both sides of the urban area. In this paper I conducted 3 kinds of studies to present the directions of park facilities both a neighbor range of behaviors and a wide range of behaviors. Firstly, in the introduction of park facility of a neighbor range, this study analyzed the urban laud-use analysis, physical environtmental structure analysis, parks, greens, sports facilities and historic culture facilities through 'the urban area environtment check-list', and drawn the facilities of introduction through the correspondence value evaluation with original facilities. Secondly, in the introduction of park facility of a wide range, this study analyzed the 3 kinds of physical environtment sections; topographical, water environt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2 kinds of humanistic environtment sections; spatial and landscaping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lluvial environtment check-list', and drawn the facilities of introduction through the correspondence value evaluation with original facilities. Thirdly, in order to know the residents thinking for using Anyangcheon river about the maintenance-improvement park facilities, this study used the SPSS program on the user awareness survey, and set up the difference faciliti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s the improvement facilities, and draw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ark facilities of putting user behaviors together. To sum up, the neighboring each urban land-use types are being appeared differently and the different needs for using park facilities are being made, so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s of introducing park facilities of a neighboring range and a wide range thought of user behaviors characteristics and needs on urban land-use types. These studies about the directions of park facilities on the urban land-use types and the establishments of index reflect substantially the residents behaviors for using Anyangcheon river in future, and it is expected to make a variety of activities to meet the urban area characteristics when they uses the facilities microscopically, also it is expected to use a wide range of facilities macroscopically.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a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park facilities and the utilize of basic research data of planning the riverside park facilities. 본 연구는 도시하천의 본래 기능과 특성을 유지하면서 하천 인접 도시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행태를 반영하는 하천 수변공원의 일반론적 시설공간 배치계획인 자연환경평가 및 주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시하천이 여가ㆍ문화생활의 공간으로서 더욱 다양하고 활성화 될 수 있는 수변공원 도입시설 방향에 대해 제시하려 한다. 연구의 사례대상지로는 근린적 이용에서 광역적 이용까지 나타나고 하천 인접 도시지역의 특성이 양안으로 다양하게 분포하는 안양천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근린적 이용범위와 광역적 이용범위의 공원시설 도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3가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근린적 이용범위의 공원시설 도입 연구에서는 ‘수변공원 인접 도시지역환경 체크리스트(check-list)’를 기준으로 하천주변 도시토지이용 분석, 물리적 환경 구조 분석, 공원ㆍ녹지ㆍ체육시설과 역사ㆍ문화시설을 분석하고 기존 공원시설과의 상호 부합성 가치평가를 통해 도입가능 시설을 도출하였다. 둘째, 광역권 이용범위의 공원시설 도입 연구에서는 ‘수변공원 하천환경 체크리스트(check-list)’를 기준으로 지형적 특성ㆍ수환경 특성ㆍ생태적 특성 등의 3가지 물리적 환경 부문과 공간적 특성ㆍ경관적 특성 등의 2가지 인문적 환경 부문을 분석하고 기존 공원시설과의 상호 부합성 가치평가를 통해 도입가능 시설을 도출하였다. 셋째, 안양천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공원시설에 대한 유지․개선이 필요한 시설을 알아보고자 이용자 의식조사 분석에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중요도와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공원시설을 개선이 필요한 시설로 설정하였으며 이용행태 관찰과 종합함으로서 유지시설과 개선필요 시설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인접 도시토지이용의 유형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공원시설 이용 요구도의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인접 토지이용별 도시민들의 이용행태 특성과 요구도를 고려한 근린적 이용범위의 공원시설과 광역적 이용범위의 공원시설 도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토지이용별 공원시설 방향 및 지표설정 연구는 안양천을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인근 주민들의 이용행태를 반영함으로서 안양천 공원시설 이용시 미시적으로는 인접 도시지역 특성을 충족하는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거시적으로는 광역적 이용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공원시설 이용의 활성화와 도시하천 수변공원의 공원시설 계획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고산 윤선도 원림 권역의 문화경관적 해석과 가치

        이승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Garden heritage is seen as cultural landscape globally. And this value is gradually understood and preserved. However,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gardens in South Korea focused on the humanistic, landscape aesthetic values with analysis of theory and idea from gardener for a single garden. Therefore, the research are needed on gardens from socio-economic aspects in order to strengthen cultural landscape values in traditional gardens. Yun Seon-Do’s gardens are researched based on location of the garden, spatial composition, landscape structure, construction technique. Based on them, general cultural landscape values of Yun Seon-Do’s gardens are examined. The sites for Buyong-dong garden area in Bogil-do and Nowha-do, and Keumshe-dong garden area in Haenam, Moondo-dong, and Sujung-dong are researched. Private farms in Hyunsan, Beakpo are included for indirect analysis objects. ‘Old and new integrated cultural landscape theory’ is analytical framework of Yun Seon-Do’s Gardens. Yun Seon-Do’s Gardens are analyzed as garden system and garden area which stress relationship between gardens and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order to examine the purpose of Yun Seon-Do’s garden design. It is reviewed that Yun Seon-Do’s personal life, land system with its social awareness from 16th to 18thcentury, Yun Seon-Do’s social activities as the head of the Haenam Yun’s family. With these analysis, Multi-layered garden design purpose and Yun Seon-Do’s gardens are analyzed. From a traditional perspective, the background of Yun Seon-Do’s garden design is that he wanted to live in natural environment which affected by personal life and emotion like frustration and sorrow. He designed gardens as natural utopia in Fengshui Landscape in order to meet Taoism utopia. From a socio-economic aspects, Yun Seon-Do designed gardens to procure natural resources that have economic values, secure geographical strategic point, and strengthen family’s identity. Yun Seon-Do considered efficient management of private farms, securing natural resources which has economic values, and benefits of socio-economic aspects such as designing the ancestral tombs and their cultural environments when he designed gardens. He designed the gardens to manage private farms efficiently. Local forest, salt and fishery are secured by hogging commonland of sarlimchontack(山林川澤). He designed the gardens where surveillance and control could be executed to keep natural resources near the gardens and local occupation. Family’s territoriality is enhanced by overlapping land patents such as burial grounds-gardens-private farms. Irrigation facilities as components of the gardens function desalinization water securement as infrastructure of manufacture activities. Yun Seon-Do seeks taoism utopia which embodies fengshui landscape as garden heritage values, artistic enjoyment space with beautiful environment, and means of territoriality securement and rights for commonland, and economic activities’ area for natural resources and private farm management. When Yun Seon-Do’s gardens considered socio-economic aspects, the Design ideology of Yun Seon-Do has complex aspects in regional garden area. In other words, his gardens seek taoism and seclusion utopia of traditional utopia, and also pursue social utopia as their lives of social community. Yun Seon-Do’s garden area as current and future values in cultural landscape category of the World Heritage meets registration criteria ii, iii, v, vi, vii. Based on these criteria, World Heritage registration is suggested as ‘the Haenam Yun’s family cultural landscape’ including their archives and private farms. This research examines cultural landscape values of Yun Seon-Do’s gardens which are representative private gardens in the Joseon Dynasty. Social, cultural, economic roles and status of traditional gardens are reconsidered. It has significance to examine special and universal values in Korea traditional gardens. 세계적으로 정원유산을 문화경관으로 보고 그 가치를 파악하고 보전하려는 움직임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전통원림에 관한 연구는 단일 원림을 대상으로 하여 조영자의 학문과 사상 등의 분석을 통해 인문적, 경관미학적 가치 파악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 이에 전통원림의 문화경관적 가치를 보다 확장·강화하기 위해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원림을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윤선도 원림을 대상으로 원림의 입지, 공간구성 및 경관구조, 조영기법에 나타나는 원림조영특성을 사회문화경제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한 통합적 문화경관 관점으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윤선도 원림의 총체적 문화경관적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보길도와 노화도의 부용동 원림 권역, 해남의 금쇄동, 문소동, 수정동을 금쇄동 원림 권역으로서 분석하였으며, 해남 현산면 백포리 등의 해남윤씨가의 전장(田庄)을 간접적인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신/구통합적 문화경관론’을 윤선도 원림의 해석틀로 보고, 단일원림을 분석하는데에서 더 나아가 원림과 주변환경의 관계성을 중시하여 원림체계, 원림권역으로서의 윤선도 원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윤선도의 원림 조영 의도를 살펴보기 위해 윤선도의 개인적 삶과 16~18세기 토지제도와 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이와 관련된 해남윤씨가 가주로서의 윤선도의 사회적 활동을 원림작정배경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윤선도의 다층적인 원림조영의도를 도출하고 윤선도 원림을 해석하였다. 전통적 관점에서 본 윤선도 원림의 조영배경은 개인적 삶과 좌절과 애환으로 인해 자연에의 은거를 위한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그는 도가적 이상향을 실현하기 위해 경치가 아름다운 풍수길지에 자연미학적 이상향으로서의 원림을 조성하였다.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윤선도는 경제가치를 지닌 자원획득과 가문의 영향력을 강화·확대할 수 있는 지리적 요충지의 확보, 가문의 정체성 강화를 사회경제적 생활환경으로서의 원림을 조영하였다. 윤선도는 원림 조영 시 가문 전장의 효율적 관리와 감시,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원의 확보, 선영경관의 조영과 같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이점을 고려한 것으로 여겨진다. 가문의 전장 관리를 위해 지리적으로 이동이 용이한 지역에 원림을 조성하였으며, 산림천택의 공유지의 사점(私占)을 통해 지역의 산림, 어염 등과 같은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원도 확보하였다. 원림 인근의 자원과 점유지역의 영역을 유지하기 위해 감시와 관리가 가능한 지역에 원림을 조영하였으며, 단일 원림이 아니라 여러 개의 원림을 근거리에 조성하거나 묘지-원림-전장과 같이 토지의 권리를 중첩하여 가문의 영역성을 확보·강화하였다. 원림 구성요소로서의 수리시설에도 제염용수 확보 등 생산활동의 기반시설로서의 기능도 부여하였다. 이상을 종합하여 윤선도 원림의 원림유산적 가치로서 픙수길지에 구현된 도교적 이상향, 빼어난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예술향유공간, 공유지에 대한 권리와 영역성 확보의 수단이자 자원확보와 전장경영을 위한 경제활동의 장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윤선도 원림의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측면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광역적 원림 권역 조성에서 추구된 윤선도의 조영사상은 복합적인 측면을 지닌다. 즉, 그의 원림은 미학적 측면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무릉도원형의 도교적, 은일적 이상향을 추구함과 동시에 사회공동체의 삶의 터전으로서의 사회적 이상향을 추구하여 이를 ‘실현시킨 이상향’으로 볼 수 있다. 윤선도 원림권역의 현재와 미래가치로서 세계유산의 문화경관 범주에서 윤선도 원림가치를 살펴보면 세계유산 등재기준 ⅱ, ⅲ, ⅴ, ⅵ, ⅶ 의 기준과 부합하고 있으며, 연구자는 이를 바탕으로 해남윤씨가의 전장과 기록물을 포함한 ‘해남윤씨가의 문화경관’으로의 세계유산 등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사가원림인 윤선도 원림의 문화경관적 가치를 새롭게 해석하여 가치를 도출함으로써 전통원림을 사회문화경제적인 역할과 위상을 재고하였으며, 나아가 한국 전통원림의 보편적이고 특수한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의의가 있다.

      • 제주올레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특성 연구 : 7코스와 5코스를 중심으로

        윤죠흔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제주 올레는 국내에서 최초로 저지대를 중심으로 느리게 걷기 위해 조성된 길로, 제주도의 아름다운 경관을 도보로 볼 수 있는 길이다. 제주올레는 제주도의 경관, 생태,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는 장소로 자리매김하였음은 물론 유무형의 경제적 효과를 제주도 관광산업에 가져왔다. 하지만 이런 제주올레의 열풍에도 불구하고, 정작 제주올레의 길을 내는 방법에 있어서의 명확한 근거나 지침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탐방로 지표 선정과 경관분석을 통해 경관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자 만족도와 상호 비교하여 노선 설정의 기준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중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간의 상대적 우위 평가를 통해 구간 설정 시 우선해야 할 요인을 밝혀내고자 한다. 해안변을 따라 조성하는 것이 제주올레의 가장 큰 특징인 점을 감안할 때 바다를 중점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바다코스’ 유형이 제주올레의 대표성을 지녔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다코스 유형 중에서 이용률이 가장 높은 7코스와 가장 낮은 구간 5코스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이론적 연구와 대상지 연구로 나뉜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제주올레와 유사한 탐방로들의 개념과 구간설정의 원칙과 기준을 고찰하였고, 제주올레에 적용 가능한 해안 및 조망경관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다. 대상지 연구에서는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각 코스의 현황과 경관특성을 조사·분석하고, 관련주체인 이용자, 거주민, 운영자,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는 바다코스 유형의 제주올레 경관특성을 밝히고, 두 대상지에서 나타나는 만족도와 중요도를 비교·분석하여, 관련주체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제주올레 구간설정 기준에 적용할 요인을 파악하였다. Jeju Olle has been created for a slow-walking along the lowla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at it is feasible to watch a splendid view spanning through Jeju Island on a road. Serving as a place to re-examine the value of view, ecology, and culture in Jeju Island, Jeju Olle has brought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economic effect to tourism industry. However, in spite of a wave of popularity on Jeju Olle, it is now suffering from insufficient grounds or instructions as to how to pave a road for Jeju Olle. Hereupon, this study is intended to select index visiting area,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view through analysis, and compare them with a user satisfaction to determine major factors in establishing standards for route set-up. It is aimed to identify factors in priority when setting up a route via comparative advantage among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on an overall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biggest feature of Jeju Olle scheduled to be established along the seashore side, it has been decided that 'sea course' type could represent Jeju Olle for visitors to enjoy a gorgeous view spanning through the sea.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a target place in course seven, showing the highest visiting rate, and in course five, representing the lowest visiting rate, among different types of sea course.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research of theory and target places. In the theoretical side, a principle and standard needed to establish a concept of visiting place similar with Jeju Olle and section set-up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has been considered. In addition, a framework for analysis has been derived according to theory of coast and view scene to be applied in Jeju Olle. In the target place study, a current status of each course and characteristics of view scene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established in the theoretical research performing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n related subjects including users, residents, operators, and managers. This was intend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view spanning through Jeju Olle, compare and analyze a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two types of target places, and reflect an opinion from related subjects. Hereupon, particular factors to be applied in course set-up at Jeju Olle have been identified.

      • 대표경관과 사회적장소의 변천을 통해 본 역사도시 진주의 지역성

        하혜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성을 시각적, 물리적 측면의 ‘경관’과 상징적, 활동적 측면의 ‘장소’로 구성되는 총체로 접근하여 대표경관과 사회적장소를 통해 변화하는 역사도시 진주의 지역성을 조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간 경관과 장소 연구가 환경계획학과 지리학분야를 중심으로 양분되어 왔음에 주목하면서 대표경관과 사회적장소가 중첩된 지역거점은 지역성이 함축된 지역의 공공공간으로서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지역성에 접근하는 적합한 방법으로 경관과 장소적 측면에서 대표경관과 사회적장소이라는 연구관점을 도출하였고,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객관적 자료 분석, 주관적 기록 해석, 현장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설정하여 진행되었다. 첫째, 경관과 장소는 지역성과 어떤 관계이며, 어떤 작동을 하는가? 경관과 장소의 측면에서 다층적 의미인 역사도시의 지역성을 설명하는 개념 틀을 고안하였다. 둘째, 기존의 시각적 대표경관을 보완하여 시민들의 활동장소인 사회적장소가 중첩되는 지역거점을 근거로 변화하는 진주의 지역성을 규명하였다. 셋째, 발굴된 지역거점의 장소성 변천을 통해 역사도시 진주의 지역성을 진단하여 공공장소로서 역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먼저 지역성을 설명하는 개념 틀을 제시하였다. 지역성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논의되어 개념, 유형, 구조 등을 정리하기 어려우나 전통적인 개념에서 지역성은 ‘다양성 속에서 나타나는 한 지역의 고유한 특성’으로 간주된다. 최근 지역성에 관한 연구의 주된 흐름은 지역성이란, 자연스럽게 형성되거나 원래부터 존재하고 있던 무언가가 아니라 지역의 집단에 의한 지속적인 변화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인간과 장소의 상호관계를 분석해 찾으려는 장소성은 지역성에 가장 근접한 개념으로 기존의 인간주의 지리학에서 논하던 주관적, 상징적, 개인적 차원을 넘어 지역의 집단에 의한 사회적 관계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장소성으로만 지역성을 논하기에는 범위가 협소하므로 환경계획학의 경관과 지리학의 장소 연구의 변천을 통해 각 연구의 주요 특성인 가시적 측면의 ‘대표경관’과 활동적 측면의 ‘사회적장소’라는 연구관점은 장소성 형성요소의 확장된 개념이자 상호 보완되는 변증법적인 관계로 지역성의 단면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그리고 본 연구는 대표경관과 사회적장소가 중첩되는 지역거점을 근거로 역사도시 진주의 변화하는 지역성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조선시대 진주목’은 절벽지형 위에 축조된 요새(要塞) 진주성을 중심으로 비봉산을 주산(主山)으로 풍수지리적 경관체계에 의해 조성된 읍치가 분리된 이원화된 도시경관 구조를 이루었다. 진주성과 객사 앞 장터, 남강변을 지역거점으로 이원화된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왜구(倭寇) 침입에 대동단결한 방어의식, 근왕(勤王)사상에 맞선 민란 등 외부 침입과 기존 질서에 ‘저항’속에서도 논개를 기리는 별제(別祭)를 노래와 춤이라는 지역민 전체의 ‘풍류’ 문화로 승화시킴으로써 진주목의 지역성이 형성되었다. 일제강점기 진주군은 광복 이후 현대 진주도시경관 형성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당시 경남도청으로서의 위상으로 식민지 초기에 근대화를 경험하였다. 진주성, 진주좌·진주역, 남강변을 지역거점으로 이원화된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형평운동과 같은 사회주의 운동이 등장하면서 전통적인 유교문화에 맞선 ‘저항’ 의식이 나타났고, 오히려 근대시설을 활용하여 시민저항의식을 키웠다. 조선시대 교방(敎坊)문화는 쇠퇴하였지만 오광대놀이, 소싸움, 의암별제 등 여전히 노래와 춤이 섞인 지역민들의 집단 활동은 ‘풍류’ 문화로 지속되면서 진주군의 지역성을 유지하였다. 광복 이후 진주시는 경제개발계획과 국토개발계획 등의 영향으로 남강댐, 진양호, 상평공단 등 중앙 정부의 주도로 근대산업시설이 들어섰다. 진주성, 구 진주시청이 있던 본성동일대, 남강댐이 있는 진양호일대, 진주역·대동공업사일대, 상평공단과 진양군청일대 등을 지역거점으로 이원화된 지역의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노동자운동·환경운동과 같은 인권보호와 남강의 환경운동 등 압축성장기 개발지향주의에 맞선 ‘저항’ 운동이 발전되었다. 진주에서 시작된 최초 지방축제인 영남예술제는 남녀노소 구분 없이 지역민 전체가 참여하는 대규모 집단 활동으로 ‘풍류’ 문화는 ‘축제’로 정착되면서 진주의 지역성은 차별성을 지니게 되었다. 현대 통합진주시는 지방분권에 따라 혁신도시가 조성된 시기로 단핵도시에서 다핵도시로 확장되면서 도심권 공동화 현상이 심각해졌다. 중앙생활권, 강남생활권, 상평생활권, 평거생활권, 혁신·가호생활권 등 생활권마다 다양한 지역거점이 형성되었으며, 각 생활권마다 다원화된 지역의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현대 진주의 지역성에는 더 이상 ‘저항’ 의식이 두드러지게 발견되지 않으며, 공공성을 지닌 장소보존에 실패하여 많은 공공시설들은 민간 소유로 상업시설로 변용(變容)되고 있다. 남아 있는 것은 ‘풍류’ 문화가 승화된 개천예술제로 현대 진주 시민들은 진주성일대와 남강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축제의 장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발굴된 지역거점의 장소성 변천을 통해 역사도시 진주의 지역성을 진단하여 공공장소로서 역할을 제안하였다. 진주의 대표경관이자 사회적장소가 교차되는 지역거점들은 진주의 지역성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장소들이다. 지역거점의 변천 유형은 보존장소, 변형장소, 멸실장소, 형성장소, 원형장소로 구분된다. 이들은 S형의 남강과 T자형의 확장된 가로축의 결절점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는데, 구 객사 앞, 구진주역 앞, 상평공단로터리, 혁신도시 롯데몰 앞, 개양오거리, 진양호 등은 잠재력 있는 결절장소의 역할을 하므로 ‘공공성’을 증대시켜 진주의 지역성을 강화시킴으로서 과거와 현재를 잇는 지역거점을 형성·연계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 진주의 지역성을 압축하며 지속성을 지니는 지역거점으로는 ‘남강’으로 진주민들의 원형적 장소라는 측면에서 장기적·정책적인 보존·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는 시대별로 대중의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기록물을 찾는 과정에서 조선시대 기록물의 계급적 편향성과 현대 시민들의 면담을 해석함에 있어 주관적 개입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조경학 너머 지리학, 도시계획·설계학 등의 경관연구에 총체적인 입장을 제시하여 지역성을 진단·규명 할 수 있는 보편적인 개념 틀을 제시하였다. 지역성을 압축하는 지역거점의 현 상황을 진단할 수 있는 ‘보존장소·변형장소·멸실장소·형성장소·원형장소’ 등 5개의 장소 유형으로 구분하여 타 역사도시에서도 적용 가능한 보편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또한, 케빈 린치(Kevin lynch, 1960)가 제시한 도시경관의 이미지 5요소인 ‘랜드마크(landmark)’, ‘결절점(node)’, ‘지구(district)’, ‘통로(path)’, ‘경계(edge)’에 ‘사회적장소(social place)’의 개념을 추가하여 사회적 활동을 추가한 도시이미지 분석 틀을 제안하였다는 점에도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 역사도시 진주의 변화하는 지역성을 규명하고, 지역성을 함축한 대표경관과 사회적장소가 중첩된 지역거점을 장소자원으로 제시함으로써 미래 진주의 도시환경정책에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locality as a whole that is comprised of “landscape” in terms of visual and physical aspects and “place” in terms of symbolic and active aspects, and understand the locality of the changing historic city of Jinju through representative landscapes and social places. While considering the fact that prior research on landscapes and places has focused on environmental planning and geography,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regional bases where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and social places overlap as public spaces in areas where locality is implie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research viewpoints of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social place, and regional base were derived as the suitable method to approach locality in terms of landscape and place.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objective data analysis, subjective record interpretation, and field surveys. First, “a framework that explains the locality” was devised regarding how landscape and place are related to locality. The research viewpoints of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in the visible aspect and “social place” in the active aspect are an extended concept of the formation factor of the sense of place and a complementary dialectical relationship, revealing that these overlapping regional bases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an aspect of locality. Second, rooted in the regional bases where representative landscapes and social places overlap, this study intended to define the changing locality of the historic city of Jinju. During the Joseon Dynasty, Jinjumok had opposing images such as “the defense facili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mjin War) vs. the regional facility of Jinjumok,” “the famous kisaeng culture of Jinju vs. respect for Nongae, the virtuous woman,” and “the Jinju Peasant Revolution vs. traditional Keun Wang ideolog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inju-gun had opposing images such as “socialism, the origin of the social equality movement vs. conservative ethos” and “the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on the Namgang River vs. the Japanese culture of Japanese residences.” After the liberation, Jinju City had opposing images such as “the Labor Movement of the Sangpyeong Industrial Complex vs Environmental Protection Movement of the Namgang river,” “the historical landscape of the original city vs. industrial landscape of Dodong area,” and “declined daily activity at the Namgang River vs. new festival place.” Integrated Jinju City in the modern era formed regional bases in each zone of life and formed the image of a diversified area. It had opposing images such as “the Jinjusung Fortress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vs. Jinjusung Fortress as the festival place,” “the loss of daily life in Namgang River vs. Jinyangho Lake, a new representative attraction,” “the loss of public facility vs. transformation into private-owned facilities,” and “the hollowiz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vs. declined publicness of an innovative city.” Third, the study aimed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 bases that imply the locality of Jinju and suggest vitalization as a public space. The types of changes in regional bases are divided into the preserved place, transformed place, lost place, formed place, and original place. “Pyeongan Rotary in front of Galleria Department Store,” “the area in front of Former Jinju Station,” “the intersection between Daeshin-ro and Dongjin-ro,” “Jinyangho Park,” “the area in front of Lotte Mall,” and “Gaeyang five-way intersection” serve as central places in the zone of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ublicness” and strengthen the locality of Jinju to connect the pillar of regional bases that link the past and the presen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subjectively intervenes in the process of finding and interpreting records that can measure public perception from each era.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as it suggested a holistic opinion on landscape research beyond landscape architecture such as geography and urban planning and design.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examine landscapes and places in urban research and broadly implement this study’s analytical framework by applying it to other historic cities to diagnose locality based on regional bases where representative landscapes and social places overlap. Key Words : Landscape, Place, Sense of Place, Placeness, Non-place, Urban Identity, City Image, Place Recognition, Nam-River

      • 도시보행탐방경로의 행태 부합성에 관한 연구 : 서울 경복궁 서측 지역(서촌)을 중심으로

        심재욱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기존 건강증진 목적의 단순 걷기와는 달리 현재의 도시보행탐방은 지역의 환경적·문화적 자원을 향유하며 이를 통해 삶의 질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등 보다 심화된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경제성장으로 인한 의식 개선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우리나라에서도 도시보행탐방에 대한 민·관의 관심이 급증하였다. 이에 발맞춰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전국 곳곳에 이미 많은 도시보행탐방로가 설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공공기관의 주도로 설정된 도보는 2013년 기준 599개소로, 총 길이가 약 16,671km에 이른다. 국민들의 높아진 관심에 부응하여 양적으로는 많이 증가하였지만 실제 운영 실태를 들여다보자면 도시보행탐방경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다양한 공적주체들에 의해 형식적으로 설정된 관계로, 많은 탐방경로들이 실제 탐방객들의 이용 행태와 일치하지 않는 실정이다. 점점 더 다양해지고 심화되어 가는 탐방객들의 욕구를 고려할 때, 이런 문제는 보다 많은 문제를 야기 할 것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제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탐방경로와 탐방행태의 차이점을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적절한 해결방향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연구는 먼저 이론적 고찰을 한 후에 대상지인 서촌 한옥마을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을 실시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대상지 분석에서는 Tranggle 사이트에서 GPS에 기반을 두어 수집된 실제 탐방객들의 탐방행태패턴과, 기존 설정되어 있는 탐방경로들과의 중첩분석을 통해 둘 사이의 차이점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진단하였고 개선방향 또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설정된 탐방경로들은 실제 탐방객들의 탐방 행태와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탐방경로들이 대상지내의 공식화된 자원들만을 고려해 형식적으로 설정되어 있어 탐방객들에게 획일적이고 형식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계획된 탐방경로를 벗어나 자율적인 탐방 행태를 보이는 경우도 많이 나타났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실제 조사된 탐방객들의 탐방행태를 반영하여 공식 대상 경로에서는 소외되었으나 탐방객들에게 가치 있도록 인식될 수 있는 자원들과도 연계를 고려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중첩되는 구간이 다수 존재하는 것 문제점이다. 소수의 중복된 구간에서는 혼잡과 과밀이 발생하고 있는 반면, 그 외의 구간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좋은 탐방자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탐방밀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촌내의 다양한 탐방자원들이 고르게 탐방될 수 있도록 수평적이고 분산적인 탐방경로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상지인 서촌 한옥마을을 사례로 하여 기존 설정된 도시보행탐방경로들의 문제점을 실증적인 방법으로 진단하고, 적절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실제 탐방객들의 탐방행태를 분석하여, 향후 탐방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어 : 도시보행탐방, 탐방행태, 경복궁서측지역, 도시보행탐방경로 ABSTRACT Contemporary pedestrian city tour is, unlike health focused walking, perfor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enjoying the place’s environmental and cultural resources. Since 2000’s improvement of consciousness and concerns about well-being originated in economic growth, many researchs have been performed and many pedestrian tour roads have been built in every corner of Korea. Currently, pedestrian tour roads built by public institutions’ lead amount to 599 and total length is 16,671km. in the surface, it looks like fulfilling the expectation of people but actually it has many problems. because of randomly and purposelessly built by various public institutions, many pedestrian tour roads not accord to visitors’ purpose and even more interrupt them. Considering highly complex desire, it is certain that gap between visitors’ needs and plans which are already made will be a serious problem. Now it is needed to diagnose pedestrian city tour road and proper solution should be suggested This research suggests possible problems’ solution, by GPS-based actual visitors’ behavior pattern analyses and overlay analyses on existing pedestrian roads in Seocheon Hanok vill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existing pedestrian roads show large discrepancy in visitors’ behavior pattern and do not properly reflect various resources. also they only provide uniformed and one-sided experiences; thus, visitors often derail planned route and show arbitrary visiting pattern. To solve this problems reflection of surveyed behavior pattern and consideration of connection with outer resources are needed. also some tour routes are excessively overlapping. on the contrary although having compelling resources, other routes are ignored. not to be visited biasedly, Seochoen’s visiting routes need to be adjusted. this research diagnose existing road’s problems and suggests solution to fulfilling higher and more complex needs of visitor.behavioral pattern analyses on the research cover from 2013.12.7’s data to 2017.10.9.’s data.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main parts, which is a theoretical analysis and an area analysis. theoretical analysis includes behavioral pattern and problem of visiting’s frame based on an precedent research and area analysis includes target area’s pedestrian tour plan and resource distribution. Key words : City walking tour, Tourist behavior, Old western Village of seoul, City walking tour ro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