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교원 교육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 국외 한국어교원 초청 연수를 중심으로

        김한빛나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연구 활동은, 주로 한국어 교육 내용을 이루는 문법, 어휘, 화용 등의 주제에 관한 연구,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전반에 걸친 논의들로 이루어진 한국어 교육 일반, 한국어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세분화한 교수법을 포함한 교수·학습 관련 연구, 그리고 수많은 교재 개발과 오류 분석, 한국어 능력 평가 등의 연구에 치중한 면이 있다. 이 연구는 국외 한국어 교원 초청 연수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원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어 교원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가운데 (1) 교원의 자질에 관한 논의로는 백봉자(2001), 백봉자 외(2001), 추희정(2003), 민현식(2005), 강승혜(2010), 김중섭(2010)의 연구를, (2) 교원 교육에 관한 논의로는 백봉자(1991), 강현화(2002), 추희정(2003), 이정희·김중섭(2006), 백봉자(2009)의 연구를, (3) 교원의 처우에 관한 논의로는 김영선(2008), 최주열(2008)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글학회에서 주관한 ‘국외 한국어 교원 초청 연수’ 사례를 바탕으로 ‘국외 한국어 교원 초청 연수’ 수료자를 대상으로 서면 의견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어 교원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1) 국외 한국어 교원 초청 연수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2) 백봉자 외(2001)에서 제시한 영역별 교수 요목을 참고하여 초청 연수의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다. (3) 국외 한국어 교원을 대상으로 서면 의견 조사를 통해 한국어 교원 교육에 대한 현장감 있는 의견을 받아 효율적인 교원 교육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참고하였다. 이 연구의 본문에서 한국어 교원의 자질과 임무를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과 교원 교육의 현황, 국외 한국어 교원 초청 연수 사례, 국외 한국어 교원 대상으로 한국어 교원 교육에 대한 서면 의견 조사 등을 통해 한국어 교원 교육의 대상자 선정과 그에 맞는 교육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원 교육을 통해 교원의 전문성을 높이고 한국어 교육 환경을 개선하려면 교육 주관 기관의 뚜렷한 목표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국외 한국어 교원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다음과 사항들을 미리 파악하고 점검하여 연수 계획을 설계하고 진행하여야 한다. (1) 국외 현지 상황을 잘 파악하고 점검하여야 한다. (2) 교원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전문성 정도를 파악하여야 한다. (3) 연수 대상에 따른 연수 내용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를 계획하여야 한다. (4) 초청자 선정 기준과 초청 방법에 다른 방침을 미리 정해 놓아야 한다. (5) 연수 대상자의 한국어 구사 능력을 파악하여야 한다. (6) 한국어 교원의 지역별, 언어권별 특성을 파악하여야 한다. (7) 한국어를 가르치는 학습 대상자가 어떤 과정인지 파악하여야 한다. (8) 연수 대상자에 따라 필요한 교과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야 한다. (9) 연수 기간과 연수 시기, 연수 진행 절차를 잘 파악하여야 한다. (10) 교과목의 시수와 적절한 시간표 배정을 잘 검검하여야 한다. (11) 연수 대상자의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야 한다. 이 밖에도 한국어 교원 교육을 위해서는 연수 수료 후의 수료자 관리 체계를 확립하는 것도 중요하며, 한국어 교육계의 동향을 늘 파악하고 있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한국어 교원 교육은 실시 주체마다 교육 내용을 특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선언적인 문제에 접근하였을 뿐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한국어 교원 교육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 한국어 교원 교육에 대한 분야별 연구를 통해 앞으로 한국어 교육 기관의 교육․연수 과정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한국어 교원․연수 과정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그럼으로써 한국어 교원의 위상을 높임은 물론 그에 따른 한국어 교원의 처우 개선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시를 활용한 정서 문화 교육 방안 연구 -<진달래꽃>과 <우연>을 중심으로-

        SONG TAOME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시를 활용한 정서 문화 교육 방안 연구 <진달래꽃> 과 <우연>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전공 SONG TAOMENG 지도교수 김중섭 안숭범 본 연구는 중국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소홀한 것을 개선하기 위해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대상의 시를 활용한 정서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문화 교육에서 한국 시의 교육적 의의가 잘 발휘되기 위해 중국과 비슷한 작품을 찾아내고 두 작품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 통해 학습자는 한국 시를 잘 이해할 수 있고 고급 학습자의 학습 흥미를 다시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 사회, 역사, 문학, 한국인의 정서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정서 문화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가 적은 것을 고려하여 국어 시 교육에서 정서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얻었다. 그리고 교육 방안의 과학성을 높이기 위해 교안에 적용하는 방법을 2차원, 즉 문화 교육 방법으로서의 상호문화접근법과 문학 교육 방법으로서의 비교문학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시 작품을 분석 및 비교할 때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하였다. 거시적 차원에서는 시인 생애 및 시 창작 배경, 같은 주제의 시 정서 표현 차이를 분석하였고, 미시적 차원에서는 리듬 및 수사, 시의 정서를 분석하였다. 교육 방안으로는 노래와 시의 상호텍스트성, 시 낭송 등 학습자의 학습 흥미를 충분히 유발할 수 있는 수업 활동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 방안에 학습자 자기 평가 활동지를 설치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결과를 다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문화 하위요소인 정서 문화를 중심으로 교육 방안을 연구하는 원인을 간단하게 설명하였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먼저 시의 개념을 알아보고 한국어교육 자료로서의 의의와 고급 한국어교재에 시 수록 현황을 파악하였다. 효과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기 전에 한국 문화교육에서 중요한 교수법인 상호문화접근법과 문학 교육 방법으로서의 비교문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문화교육에서 정서 문화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한국시에 나타난 대표적인 한국인 정서, 정서 문화 교육 자료로서 시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정 기준을 바탕으로 <진달래꽃>과 <우연>을 선정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진달래꽃>과 <우연>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두 시의 정서를 분석하여 비교하기 전에 두 시의 작가 생애와 창작 배경을 분석하여 비교하는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미시적 차원에서 두 시의 정서를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진달래꽃>과 <우연>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 정서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 목표를 제시한 후에 상호문화접근법을 활용한 수업 모형과 비교문학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분석하고, 수업 목표에 부합하는 수업 모형을 정하였다. 그다음에는 구체적인 수업 자료를 제시한 후에 시를 활용한 문화교육에서의 노래감상 및 시낭송 수업 활동의 의의를 분석함으로써 정서 문화 교육에 접하는 수업 활동을 결정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교육 방안의 실제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도안에 따라 학습자를 모지하여 실제 수업을 진해한 후에 설문조사를 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전체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4장의 시를 활용한 한국 정서 문화 교육 수업 방안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국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소홀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그 의의가 있기를 기대한다. 교육 방안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는 양국 문화에 대해 객관적인 인식을 갖길 바란다.

      • 러시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한국 민화를 중심으로

        송정화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는 한국어를 공부하는 러시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민화수업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매해 한국을 찾는 유학목적의 러시아 학습자들이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에 비해 미비하고 민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수업 연구도 저조한편이다. 한류로 인해 한국문화의 위상이 높아진 지금, 현재시대의 문화뿐만 아니라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문화를 교육함으로써 목표 문화와 목표문화의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이는 장차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자를 양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화교육은 유형문화인 "민화"를 활용하여, 무형문화인 "정서", "사고", "시대상", "의미" 등을 학습자들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를 공부하고 러시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민화수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 하였으며, 민화수업에 대한 수요를 확인 하였다. 이에 민화를 활용한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로는 한국어 문화 교육과 민화에 대한 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 민화와 한국어 교육을 접목시킨 연구가 저조하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2장은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논의 하였다. 문화의 개념과 특성을 서술하고, 또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이 가지는 의미와 방향을 알아보고 민화의 교육적 가치를 기술하였다. 3장은 실제 한국어를 공부하는 러시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구글(Google) 설문지 플랫폼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실제 러시아 학습자들을 대면하여 오프라인으로 응답을 받았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민화 수업에 긍정적인 응답을 보여주었으며 민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걸 알 수 있었다. 4장은 민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민화의 개념과 민화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알아보고 민화의 종류를 정리하여 각 민화에 어떤 의미와 배경이 있는지 알아 보았다. 5장은 3,4장을 토대로 중급의 러시아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민화중심의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정리하며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밝히며 결론을 지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를 공부하는 러시아 학습자들이 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또 민화수업에 대한 수요를 알아봄으로써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educational measures utilizing folk painting lessons for Russian learners studying Korean. The number of Russian learners visiting Korea for the purpose of studying abroad is increasing. However, studies targeting Russian learners are inadequate and studies on Korean language culture lessons are also comparatively poor.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status of Korean culture has heightened due to Hallyu(Korean Wave), understanding of the target culture and people of the target culture can be helped by educating not only the culture of the current era but also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descends from the old times. And with these, continuous cultiv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be anticipated. The cultural education this thesis aims to cover is teaching intangible cultures including “sentiment”. “thinking”, “the phases of the times”, and “meaning” through tangible culture off “folk paintings”.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on folk painting lessons for Russian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and has confirmed the demand for folk painting lessons. Thus, it attempted to suggest educational measures utilizing folk paintings. The chapter 1 identifi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examined preceding studies. For predicting studies, studies on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and folk paintings were investigated and the lack of studies integrating folk painting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cognized. In the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serves as the basis of the study was discuss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were described, the meaning and direction cultural education ha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folk paintings was described. The chapter 3 proceeded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culture targeting Russian learners that study Korean language in realit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using Google Surveys Platform, and responses from Russian learners were received by meeting them in person offline. Most learner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folk painting lessons, and the interest in folk paintings was proven to be high. The chapter 4 looked into folk paintings. It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organized the types of folk paintings, and examined the meaning and background each folk painting has. The chapter 5 suggested educational measures of Korean language focusing on folk paintings targeting Russian learners who are in the intermediate level of learning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chapter 3 and 4. The chapter 6 summarizes and organizes the context of this study, reveals the limitations it has, and concludes. This study is relevant as the necessity for cultural education for Russian lear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has been confirmed and cultural educational measures have been suggested by investigating the demand for folk painting lessons.

      • 해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컴퓨터 게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차강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mputer game program that allows Korean learners abroad to access and enjoy learning Korean at any time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contents. For this end, this stud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game programs, designing programs, and actually developing programs and verifying developed programs through overseas learners, referring to the ADDIE model. In the first study, the analysis targets were set up to analyz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al game programs and analyzed pursuant to the elements of gamification. As a consequence of the analysis, all the analyzed programs were applying some elements of gamification.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most games were focused on vocabulary education. The second study set the target and educational contents, scope and composition of the program as a design step for developing the program. The target was set as an beginner level student among overseas Korean learners, and the connection word '-어서' indicating temporal relationship was selected as the learning contents and scope as grammar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beginner-second level. The program's composition consisted of the introduction - meaning presentation - form presentation - form practice - connection practice - response practice - utilization - finishing configuration. The third study actually developed a program. To this end, Delphi was selected as a tool for producing program and Korean education computer game program with a wide range of the gamification elements was developed to maximize the interest, immersion and motivation of learners. The fourth study asked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Qingdao University, Beijing Language and Culture University and Dalian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to use and survey the program as a step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As a consequence of the survey,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measured with SPSS was high and overall positive results were obtained. The study was successful in that it wanted to develop a computer game program that allows overseas Korean learners to easily access and learn Korean in a fun way, and the actual survey found that the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future game program development. The survey found that the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game programs was excellent. Therefore, we need to be more interested in gamification and work on a larger scale than now. Through this, systematic collaboration between on-site education experts and program technical experts should be achieved and, consequently, game programs with high completeness and high general purpose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해외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교원과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제든지 접속하여 한국어를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컴퓨터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ADDIE 모형을 토대로 4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기존의 한국어 교육용 게임 프로그램들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설계한 뒤 실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해외 학습자들을 통해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첫 번째는 분석 단계로 기존의 한국어 교육용 게임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 대상을 설정하고 게임화의 요소에 따른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한 프로그램들이 모두 게임화의 요소를 어느 정도 적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게임이 어휘와 발음 교육에만 편중되어 있었다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설계 단계로 프로그램의 목표 대상과 교육 내용, 범위, 구성을 설정했다. 목표 대상은 해외 한국어 학습자 중에서 초급 수준의 학생으로 설정하였고 교육 내용과 범위는 초급 2급 수준에 해당하는 문법 중 시간적 선후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어서’를 선정했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도입 - 의미 제시 - 형태 제시 - 형태 연습 - 연결 연습 - 응답 연습 - 활용 - 마무리로 이루어졌다. 세 번째는 개발 단계로 프로그램을 실제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제작 도구로 델파이(Delphi)를 선정했고 학습자의 흥미와 몰입, 동기를 극대화하기 위해 게임화의 요소를 두루 갖춘 한국어 교육 컴퓨터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네 번째는 실행과 평가의 단계로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해보고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칭다오대학과 베이징어언대학, 대련외국어대학의 한국어학과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의 사용과 설문조사를 요청하였다. 조사 결과, SPSS로 측정한 문항의 신뢰도는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외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쉽게 접하고 재밌게 배울 수 있는 컴퓨터 게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했고 실제 조사 결과, 학습자들이 만족스러워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측면에서 성공적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게임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에서 알 수 있었듯이 한국어 학습 게임 프로그램의 학습 효과는 뛰어났다. 따라서 앞으로도 게임화에 대해 더 큰 관심을 갖고 지금보다 더 규모 있는 연구를 이루어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장 교육 전문가와 게임 프로그램 기술 전문가의 체계적인 협업을 이루어내 결과적으로 완성도 높고 범용성이 큰 게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속담 비교 연구 : 한국어 속담 활용 교육을 중심으로

        전홍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속담 비교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속담 활용 교육을 중심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진행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 20C세기 중·후반부터 한류와 함께 아세아를 비롯한 세계전역으로 확장되면서부터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지역별, 나라별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으로 유학을 와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유학생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급속이 증가하는 한국어 학습 수요에 대비할 때 전문적으로 수요가 많은 특정 지역, 또는 언어권이나 문화권별로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는 상황은 아직 많이 부족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 비추어 본고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특정 대상으로 하고 속담을 활용도구로 하여 한·중 속담 비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연구해보고자 했다. 속담을 활용도구로 이용한 것은 속담은 그 자체가 문화적인 내포성이 강하고 그 민족의 지혜의 결정체이며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회상과 경험을 반영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속담을 활용하는 것은 한국어와 한국의 문화자체를 이해하는 과정일 뿐만 아니라 한국어만이 갖고 있는 언어적인 특성을 배우고 한국어로 사고하는 방식을 키우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속담을 활용하여 속담이 내포하고 있는 어휘, 문화의 특성과 의사소통의 일환으로써 언어기능별 교육이 갖는 특성을 교육 연구의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2장에서는 현재 한국 대학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와 속담 전문 교재에 제시 속담을 정리·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용 속담 63개를 선정하였다. 3장에서는 선정된 63개의 속담과 중국어 속담의 비교를 통하여 동형동의(同形同意), 이형동의(&#24322;形同意), 동형이의(同形&#24322;意) 속담으로 분류하고 비교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비교를 진행함으로써 4장에서는 속담에 내포된 어휘, 문화에 대해 선정성과 활용가치를 판단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을 선정하였다. 동시에 언어기능면에서 활용성을 고려하여 63개의 속담을 등급별로 표현용과 이해용으로 나누어 실제 속담 활용 시 사용하고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5장에서는 3장의 속담 비교와 4장의 선정 결과를 활용하여 어휘와 문화배경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 언어기능별 교육 방안 제시를 시도하였다. 어휘 교육측면에서는 속담을 활용하여 ‘언어 간 비교’와 ‘언어 내적 분석’을 주선으로 한·중 어휘 비교, 계열관계, 상·하위어 관계, 결합관계에 따른 어휘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문화 교육측면에서는 정신적 정체성에 기초하여 한·중 양국의 속담 속에 내포된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를 중심으로 속담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속담을 활용하여 표현 교육인 말하기와 쓰기, 이해 교육인 듣기와 읽기 교육 방법 부분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논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의 취지는 단순한 속담 교육으로만 제기되어 왔던 한국어 속담을 어휘, 문화, 언어기능교육에서 적극 활용함으로써 속담 자체가 가진 함축적이고 비유적인 작용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여러 측면에 적극 활용하고 이용하고자한 것이다. 이는 한국인의 사유 방식과 지혜 및 문화를 한 몸에 안은 속담이 한국어 교육의 각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활용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본고의 속담 활용을 통한 한국어 교육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로부터 한·중 양국의 정치, 경제, 문화 발전 과정 중 언어적인 측면에서 보다 긍정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本&#35770;文的&#30740;究目的在于通&#36807;&#38889;&#22269;和中&#22269;的俗&#35848;比&#36739;,以活用&#38889;&#22269;俗&#35848;&#20026;中心,能&#22815;更加有效的&#24110;助作&#20026;外&#35821;&#26469;&#23398;&#20064;&#38889;&#22269;&#35821;的中&#22269;&#23398;&#20064;者提高&#38889;&#22269;&#35821;&#23398;&#20064;能力,同&#26102;&#23545;&#38889;&#22269;&#35821;&#23398;&#20064;者&#36827;行有效的&#38889;&#22269;&#35821;&#25945;育。 &#20174;20世&#32426;中·后期&#24320;始,&#38543;着&#38889;&#22269;&#19982;世界各&#22269;的政治、&#32463;&#27982;、文化交流日益活&#36291;,&#23398;&#20064;&#38889;&#22269;&#35821;的&#28909;潮&#25193;散到了全球各&#22269;地&#21306;。再加上&#38889;流的影&#21709;,作&#20026;外&#35821;的&#38889;&#22269;&#35821;&#25945;育成了有增无&#20943;的必然&#36235;&#21183;。但是&#19982;增&#38271;&#36235;&#21183;相比,&#38024;&#23545;特定&#22269;家和地&#21306;、特定&#35821;言文化圈、特定人群的&#38889;&#22269;&#35821;&#25945;育&#30740;究却十分缺乏。 根据上述情&#20917;,本&#35770;文力&#20105;通&#36807;&#23545;&#38889;&#22269;和中&#22269;的俗&#35848;比&#36739;&#30740;究,&#23558;&#38889;&#22269;的俗&#35848;活用到&#23454;&#38469;&#25945;&#23398;的方式,&#23545;作&#20026;外&#35821;&#26469;&#23398;&#20064;&#38889;&#22269;&#35821;的中&#22269;&#23398;&#20064;者&#36827;行相&#23545;有效的&#38889;&#22269;&#35821;&#25945;育。 本文&#23558;俗&#35848;作&#20026;活用的中心&#39064;材,是因&#20026;俗&#35848;本身&#20869;涵的文化精深,同&#26102;俗&#35848;也是其民族智慧凝聚的&#35821;言精髓之一,再者,俗&#35848;反映的是自古以&#26469;的社&#20250;&#29616;象和&#32463;&#39564;。因此活用俗&#35848;不但是理解&#38889;&#22269;&#35821;和&#38889;&#22269;文化的&#36807;程,而且更是&#23398;&#20064;用&#38889;&#22269;&#35821;&#36827;行思考,以&#38889;&#22269;人特有的思&#32500;方式&#23398;&#20064;&#35821;言的&#36807;程。 本&#35770;文&#25945;育&#30740;究的特定目&#26631;是,&#23558;俗&#35848;&#20869;在的&#35789;&#27719;、文化特征等因素&#36816;用到以&#27807;通&#20026;主的&#35821;言技能的&#32508;合培&#20859;。 本文的第二章和第三章,&#23545;近&#20960;年在&#38889;&#22269;出版的最新&#38889;&#22269;&#35821;&#25945;材和俗&#35848;&#19987;用&#20070;籍中所列的俗&#35848;&#36827;行整理、分析,&#20174;而精&#36873;出63&#20010;使用&#39057;率比&#36739;高的&#38889;&#22269;&#35821;俗&#35848;。&#24182;&#23558;所&#36873;出的&#38889;&#22269;俗&#35848;&#19982;中&#22269;俗&#35848;&#36827;行了同形同意、&#24322;形同意、同形&#24322;意的&#23545;比。 通&#36807;&#23545;比,考&#34385;到中&#22269;&#23398;&#20064;者的&#38889;&#22269;&#35821;&#35789;&#27719;和文化的&#36873;&#25321;性和活用度,在第四章&#23558;&#38889;&#22269;俗&#35848;分&#20026;&#35789;&#27719;、文化&#20004;&#20010;方面。同&#26102;&#36824;考&#34385;了&#35821;言技能方面的&#24212;用,&#23558;63&#20010;俗&#35848;按等&#32423;分&#20026;表&#36798;和理解&#20004;&#20010;大方面,以便&#23398;&#20064;者&#36816;用&#26102;能&#22815;&#21442;考。 根据前面的比&#36739;和分析,在第五章提出了以&#38889;&#22269;俗&#35848;中&#36816;用的&#35789;&#27719;、文化&#20026;背景的&#38889;&#22269;&#35821;&#35821;言技能&#25945;育方案和&#23454;例。&#35789;&#27719;&#25945;育方面,通&#36807;‘&#35821;言&#23545;&#35821;言的比&#36739;’和‘&#35821;言&#20869;在分析’,提出了&#38889;中俗&#35848;&#35789;&#27719;比&#36739;、&#35789;&#27719;系列&#20851;系分析、下位&#35821;&#20851;系、&#32467;合&#20851;系等方面的&#35789;&#27719;&#25945;育方案。文化&#25945;育方面,利用&#23545;&#38889;中&#20004;&#22269;俗&#35848;本身所&#20869;涵的精神文化的共同点和&#21306;&#21035;&#23545;比,提出了文化&#25945;育方案。最后&#23545;作&#20026;&#35821;言表&#36798;技能的&#35828;、&#20889;;作&#20026;&#35821;言理解技能的&#21548;、&#35835;,提出了活用俗&#35848;的具&#20307;的&#25945;育方案&#23454;例。 本&#35770;文的宗旨在于&#35797;着把&#21333;&#32431;作&#20026;机械式&#36816;用的俗&#35848;,活用到&#35789;&#27719;、文化、&#35821;言技能等各方面的&#32508;合&#25945;&#23398;&#24403;中 ,作&#20026;一&#31181;&#25945;&#23398;工具和途&#24452;,更能有效的&#24110;助作&#20026;外&#22269;&#35821;&#26469;&#23398;&#20064;&#38889;&#22269;&#35821;的中&#22269;&#23398;&#20064;者提高&#38889;&#22269;&#35821;水平和&#23398;&#20064;能力。 希望本&#35770;文能&#22815;&#23545;作&#20026;外&#22269;&#35821;&#26469;&#23398;&#20064;&#38889;&#22269;&#35821;的中&#22269;&#23398;&#20064;者起&#31215;&#26497;的作用,更加有效的提高&#38889;&#22269;&#35821;水平。&#20174;而在&#38889;中&#20004;&#22269;的政治、&#32463;&#27982;、文化&#21457;展&#36807;程中,在文化&#35821;言方面起着一定的有效、&#31215;&#26497;的促&#36827;作用。 In this study, one for Chinese-Korean learner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the Korean proverb saying utilized mainly Chinese, Korean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more efficiently process the purpose is trying. Mid-century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cold with the 20C, including Asia expands from around the world to learn Korean language learners by region and country the situation is growing very rapidly. To come to Korea to study Korean students want to learn about the growing trend of each year. However, thes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learning the Korean demand for a professional to prepare a more specific area, or Korean languages and culture by learning the situation is still a lot of progress is insufficient. In such circumstances, individual university entrance exams in the light of Chinese and Korean students in a particular target as a tool to take advantage of the proverbial saying of the comparison with a Korean-Chinese reporter was doing research on the education plan. Using tools that take advantage of the proverbial saying that sex itself is a strong cultural connotation of the folk marvel of wisdom and long experience comes down to awards to reflect the community to act. It also takes advantage of the proverbial Republic of Korea and Korean culture to understand itself as a process, not only the Korean language characteristics have accidents as a way to learn Korean is also raising process. By taking advantage of the proverbial saying goes, individual university entrance exams are implicated vocabulary, culture and communication as part of the nature of language training with functional attributes of the research was targeted at education. Part 2 of this research institutions currently used in Korea University Korean Language and the proverbial saying of specialized materials provided by the Korean Educational &#8226; analyze the proverbial 63 were selected. Part 3 of this research Selected 63 Chinese proverbs and proverbial comparisons in the same shape throughout the motion (동형동의), agreement (이형동의), two of the same shape (동형이의) to compare progress and were categorized as saying. By comparison, saying progress implicit in these words, culture determines the value used for the selection and the Chinese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Korean proverb.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language features, the flexibility to consider a rating of 63 by the proverbial expression for the share and understand the actual proverbs used for the city was being used to refer. Chapter 4 and Chapter 5 compares selected results of the proverbial use of the vocabulary and cultural backgrounds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as attempted to provide functional training plan. In terms of vocabulary training by taking advantage of the proverbial 'cross-language comparison' and 'inner language analysis, to arrange for one of the words &#8226; Compare, family relationships, phase &#8226; relationships, vocabulary teaching method based on combining the relationship presented. In terms of culture and education based on spiritual identity &#8226; one of the two countries implicated in the culture of the proverbial comparison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enter was conducting research utilizing proverbs. Finally, education is represented by taking advantage of the proverbial saying and writing, listening and reading education to understand the education portion of player for the specific example discussed. Finally, the theme of this paper, which came just a Korean proverb saying that education has been raised only in vocabulary, culture, language capabilities take advantage of training by the proverb itself, with the implication that the Chinese, Korean and non-functioning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and will take advantage and use. The cause of the Korean culture and wisdom, and one body inside the Korean saying goes,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of education can be utilized is also a good opportunity. Korean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individual university entrance exams this Chinese proverb Korean student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helpful to have a positive. From South Korea and China's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volution of language in the more positive aspects, Korea wants to be helpful.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습득 순서 연구 : '은/는, 이/가, 을/를'을 중심으로

        이안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내재화된 조사 습득 순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본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듣기와 말하기 과제를 통한 이해와 산출 실험을 실시하여 조사 습득 순서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 실험의 결과를 한국어 모어 화자인 아동의 습득 순서와 비교하여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조사 이해 연구는 연구자가 그림카드 두 장을 제시하면서 하나의 검사 문장을 말하고, 학습자에게 맞는 카드를 변별해 내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검사로 정반응 여부와 정반응에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학습자의 모국어나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조사 항목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결과 조사 ‘을/를’의 이해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이/가’, ‘은/는(주제)’. ‘은/는(대조)’의 순서이었다. 조사 산출 연구는 반구조화된 방식의 일대일 면접법으로 수집한 학습자의 구어 자료를 정확도 평균 방법과 함축 도표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이 결과 학습자의 모국어나 숙달도와 관계없이 동일한 습득 순서가 발견되었는데, 그 순서는 ‘은/는(주제)’, ‘을/를’, ‘이/가’, ‘은/는(대조)’로 나타났다. 두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습득 순서를 한국 아동의 습득 순서와 비교해보았다. 두 집단은 격조사를 먼저 습득한 후에 보조사를 습득한다는 큰 틀 안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조사의 습득에서는 ‘이/가’와 ‘을/를’의 순서의 차이가 있었지만 아동의 언어 습득에서 목적어 자리의 어휘를 먼저 습득하는 것으로 보아 아동도 외국인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목적어에 대한 인식을 먼저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문법 항목의 제시 순서를 정할 때 모국어 요인 보다는 발달 과정 요인이 작용해야 하며, 제2언어 습득에 대한 보편적 장치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 제시 순서는 기존의 학교 문법이나 난이도, 또는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교육용 문법의 요소 등이 반영되고는 있지만 그 순서가 제각각이다. 특히 조사의 경우 한국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교재마다 제시 순서가 다르거나 심지어 그 내용에도 차이가 있다. 이에 난이도나 사용 빈도, 또는 교수자의 직관에 의존한 제시 순서보다는 학습자들의 자연스러운 발달 단계를 참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견한 조사 ‘은/는, 이/가, 을/를’의 자연적인 습득 순서가 한국어 교육에 적용된다면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natural acquisition orders for Korean particles, ‘은/는, 이/가, 을/를’ among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a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est through listening and speaking tasks to Japanese- and Chinese-speaking students of Korean. The further aim of this research is applying to educating Korean through comparing with acquisition order of native Korean-speaking children. The comprehension test checked frequency and time of correct reaction when the researcher says one sentence by showing two pictures. After that the students chose one correct picture for that sentence.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ccording with students' native languages or their Korean abilities. The acquisition order that examined of this test was ‘을/를, 이/가, 은/는(topic), 은/는(contrast)’. The production test collected data of students' spoken language in a semi- structured interview.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accuracy means method and implication scaling. I discovered same acquisition orders without regard to students' native languages or their Korean abilities, and the acquisition order that I found on this test was ‘은/는(topic), 을/를, 이/가, 은/는(contrast)’. I compared the acquisition order of Korean particles between non-native Korean learners and native Korean-speaking children. The two groups showed similar aspects that the acquisition order of case particles is faster than auxiliary particles. In spite of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acquisition order of ‘이/가’ and ‘을/를’ in the two groups, I can conclude that the native Korean-speaking children are also recognizing an object the same as non-native Korean learners, seeing that the children acquired the word of object first. As a result, the universal device has to reflect preference and we should consider the factor of students' natural development processes rather than their native languages when we decide the teaching order of grammatical items. The teaching order of grammatical items in teaching Korean is reflected in the factor of Korean teaching grammar based on traditional school grammar, difficulty or frequency but they are all inconsistent. Particles are especially important items when learning Korean. However the teaching order is not the same by textbooks even though the contents of each textbooks are all different. Therefore, if the acquisition order of Korean particles, ‘은/는, 이/가, 을/를’ examined in this research is applied to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at would be more efficient teaching-learning.

      • 한국어와 중국어의 비친족 관계 호칭어 비교 연구

        수혜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비친족 관계 호칭어를 중심으로 하고, 한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와 중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의 의미와 용법을 비교 분석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의 다양한 사회적인 의사소통 환경에서 호칭어를 알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의 비친족 관계 호칭어는 한국 사회의 복잡한 사회 문화와 관련 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한 특성을 갖고 형성되어왔다.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어떤 사회 환경에서 어느 호칭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판단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 특히 중국인 학습자들은 이웃 나라인 한국이 중국과 비슷한 역사 문화의 영향을 받아서 한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 사용도 비슷할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런 생각과 달리 한국과 중국의 호칭어 사용법은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사회언어학적인 방법으로 한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 및 한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를 통해 심층적인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호칭어에 대한 기존의 비교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비친족 관계 호칭어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권력(Power)’과 ‘연대함(Solidarity)’이란 사회언어학적인 원리를 참고하여 비친족 관계 호칭어를 살펴본다. 복잡한 한국어 호칭어는 사람의 성별, 연령차이, 사회지위 심지어 신분과 성격, 태도 등 여러 사회언어학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한국어 호칭어의 분류체계는 이름형, 친족형, 대명사형, 감탄형, 생략형, 외래어형, 통칭형, 영형 등 유형으로 구별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2인칭 대명사 호칭어를 2인칭 대명사 지칭어로 혼용하는 관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는 통사적, 형태적인 문법관점에서 일반 명사형, 조사형, 접미사형, 외래어형, 대명사형, 생략형, 감탄사형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이런 문법적인 분류는 비친족 관계 호칭어의 형태적인 특징만 볼 수 있는데 활용에 제한성이 있어서 사회언어학 관점에서 비친족 관계 호칭어를 이름형, 2인칭대명사형, 직함형 대명사형, 통칭형, 영형, 대체형 , 존비형, 별명형, 댁호형으로 분류한다. 이를 중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의 분류 양상과 비교하고 구체적인 한국어와 중국어 비친족 관계호칭어의 차이점 및 공통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비교를 통해서 한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가 반영하는 한국 공동체 문화 특성과 엄격한 유교적인 등급제도 문화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들과 가장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대학교와 직장을 범위로 한정해서 상황에 알맞게 쓰는 한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를 제시한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들은 사회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 비친족 관계 호칭어에 대해 더 폭넓은 이해를 가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과 의사소통의 효율성 창출도 같이 이루게 할 수 있을 것이다. 本&#35770;文以&#38889;&#22269;&#35821;的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20026;中心,&#23558;&#38889;&#35821;和&#27721;&#35821;的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的用法&#36827;行分析比&#36739;, &#25214;出&#20004;者的共同点和不同点,增强中&#22269;人&#38889;&#35821;&#23398;&#20064;者&#23545;&#38889;&#22269;&#35821;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的理解和&#36816;用, 使其有效提高&#38889;&#22269;&#35821;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的利用率。 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是&#31216;呼&#35821;的重要&#32452;成部分,在&#29616;代社&#20250;中的使用&#26497;&#20026;&#24191;泛.尤其是在人&#31867;的交&#38469;活&#21160;中&#20307;&#29616;出目的性&#26497;强的作用.&#23427;不&#20165;可以反映出&#23545;&#35805;&#20004;者的社&#20250;&#20851;系也兼容了承&#36733;&#35821;言的社&#20250;文化性. 因此正&#30830;使用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是外&#35821;&#23398;&#20064;中不可&#36731;&#35270;的&#29615;&#33410;。 在中&#22269;人&#23398;&#20064;者&#23398;&#20064;&#38889;&#22269;&#35821;的&#36807;程中,&#38024;&#23545;&#38889;&#22269;&#35821;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的&#23398;&#20064;和正&#30830;恰&#24403;地&#36816;用是具有一定&#38590;度的.尤其是在中&#22269;&#22269;&#20869;&#36827;行&#38889;&#22269;&#35821;&#23398;&#20064;的&#23398;&#20064;者,他&#20204;&#23545;&#38889;&#22269;的&#23454;&#38469;社&#20250;&#29615;境缺乏了解和&#35748;&#35782;,&#23545;&#38889;&#22269;&#35821;非&#20146;&#23646;&#20851;系的&#36816;用不能正&#30830;掌握,&#20174;而&#23548;致&#36798;不到&#19982;&#38889;&#22269;&#35821;&#36816;用者&#35848;&#35805;的&#39044;期目的性,有&#26102;候甚至&#32473;&#23545;&#35805;方&#24102;&#26469;不自在的感&#35273;。因此充分&#23398;&#20064;&#24182;了解&#38889;&#22269;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的使用&#29615;境&#23545;中&#22269;人&#38889;&#35821;&#23398;&#20064;者&#26469;&#35828;是一件&#26497;其有意&#20041;,有价&#20540;的事情。 本&#35770;文&#32467;合早期社&#20250;&#35821;言&#23398;&#30740;究&#31216;呼&#35821;的原理,&#23545;&#38889;&#22269;&#35821;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用&#35821;法&#35266;点和社&#20250;&#35821;言&#23398;&#35266;点分&#21035;&#36827;行分&#31867;比&#36739;,&#23558;&#38889;&#22269;&#35821;非&#20146;&#23646;&#20851;系&#20307;系&#31216;呼&#35821;和&#27721;&#35821;非&#20146;&#23646;&#20851;系&#20307;系&#36827;行比&#36739;,如此前后&#27178;向和&#32437;向比&#36739;之后&#25214;出&#20004;&#31181;&#35821;言的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使用的社&#20250;文化背景&#19982;使用&#35821;境的相同&#19982;不同之&#22788;,&#24182;&#23545;&#38889;&#22269;&#35821;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所深藏的&#38889;&#22269;社&#20250;文化&#36827;行分析.增强中&#22269;人&#23398;&#20064;者&#23545;其&#35748;&#35782;.最后以中&#22269;人&#38889;&#22269;&#35821;&#23398;&#20064;者最常接&#35302;的大&#23398;校&#22253;和&#32844;&#22330;&#20026;背景,根据以上&#23545;&#38889;中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的分析&#32467;果&#23545;在校&#22253;和&#32844;&#22330;范&#22260;&#20869;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的使用&#36827;行全面&#35762;解.增强中&#22269;人&#23398;&#20064;者的&#35748;&#35782;。 中&#22269;人&#38889;&#22269;&#35821;&#23398;&#20064;者在&#19982;&#38889;&#22269;&#35821;有&#20851;的各&#20010;&#39046;域&#21457;&#25381;着重要作用.其&#36807;程中不缺少&#19982;&#38889;&#22269;&#35821;母&#35821;者相互&#27807;通交流的情&#20917;,&#38889;&#22269;&#35821;非&#20146;&#23646;&#20851;系&#31216;呼&#35821;的正&#30830;使用可以&#24110;助&#36798;到彼此交流的目的,是一&#20010;非常具有&#23454;&#38469;意&#20041;的&#35821;言&#39046;域,希望本&#35770;文能&#20026;中&#22269;人&#38889;&#22269;&#35821;&#23398;&#20064;者&#20943;少&#23398;&#20064;阻力提高&#36816;用效率而&#36827;一&#20221;薄力。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