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Relationship of Korean Learners’ with High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Language Learning Beliefs and Experiences

        Jung, Yuja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2015 국내석사

        RANK : 169743

        The Relationship of Korean Learners’ with High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Language Learning Beliefs and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different beliefs the high English proficient (HEP) Korean learners have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achievements in English learning. The study was done in the hope to help future Korean English learners’ by providing reference of the beliefs and experiences that high English proficient learners’ have and what had to be achieved to gain their high command of English skills. The 116 HEP participants who qualified to possess high English proficienc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upon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language backgrounds; higher proficient learners of study abroad (HPSA) and learners of educated in Korea (HPEK) also less-higher proficient learners of study abroad (LPSA) and educated in Korea (LPEK).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including questions on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anguage background and experience (LEAP-Q), bilingual measurement (BLP) and beliefs on language learning (BALLI). Findings of the study have given some ideas of initial motivator’s influences relating to learners’ language learning autonomy, learners’ confidence in performing English and learners’ beliefs of efficient age and period of language exposure based on their prior experiences. Interviewees have also shared some of their beliefs and opinions on language learning which they had applied in order to achieve language acquisi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individual differences can vary on learners’ language learning in terms of motivation and their learning autonomy which can affect differently on learners’ potent in language learning. Though as much as the internal influences, this study also proposes some external influences that could help develop learners’ interests in language learning and when it is the most effective stage for learners to receive language education.

      •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 on (the use of) Phonics Instruction in Beginning Reading

        정윤선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2005 국내석사

        RANK : 169503

        The purpose in acquiring a language, especially a foreign language, i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written language as well as spoken language. Therefore,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written language is inevitable. Especially because more weight is given on read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 fundamental skills in beginning reading (elementary grades) should be taught in order to properly achieve later reading proficiency. If the fundamental skills are not acquired, the ultimate goal of reading, which is comprehension,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Thus, communication through written language will also be laborious. Throughout this study, the necessity of phonics is examined through existing research. Also a survey has been conducted for 94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the 3^(rd0, 4^(th), 5^(th), and 6^(th) grade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phonics instru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to provide general information on how teachers perceive elementary reading, the necessity of phonics in beginning reading, and to examine whether teachers instruct phonics in class and, if not, the reasons. This research consists of the following contents.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tructure of the thesis is presented. In Chapter 2, a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phonics are presented In Chapter 3,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put forth. In Chapter 4,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e research are presented. In Chapter 5,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e asserted.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honics instruction in beginning reading. One of the biggest reasons in not teaching phonics among teachers was teachers’ lack of knowledge in phonics. Therefore, for a more effective and active phonics instruction and moreover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reading, a more active teacher training is required. However, becau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only 94 randomly selected teachers, it is difficult to make generalizations with the results. Also because the teachers were not interviewed or observed for a more in-depth research, the results are insufficient to make firm conclusions with. Furthermore, for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of phonics in beginning reading, a surve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phonics is required. 언어를, 나아가, 외국어를 배우는 목적은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은 음성언어뿐만 아니라 문자언어로도 이루어질 수 잇기 때문에 문자언어의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고등학교에 들어서면서 읽기, 즉 독해가 영어교육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중고등학교에서의 읽기가 바로서기 위해서는 결국 초등영어에서 읽기의 기본 기술이 지도 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초 능력이 바로 잡혀 잇지 않으면 읽기의 목적인 의미파악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기 힘들며 따라서 문자 언어를 통한 의사 소통도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 초등영어에서 습득되어야 할 읽기의 기본 기술인 음철법(phonics)의 필요성을 기존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고 실제로 교육을 행하는 교사들이 음철법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인식조사의 목적은 3, 4, 5, 6학년 영어를 지도하고 있는 94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초등영어의 읽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초등영어 읽기에 있어서 음철법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는지, 음철법 지도 여부, 지도방식 등 교사들의 전반적인 초기 읽기와 초기 읽기에 있어서의 음철법에 대한 인식과 지도 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여 초등영어 읽기의 발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읻. 본 연구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논문의 구성방식이 제시 되었다. 제 2장에서는 읽기와 초기 읽기의 개념과 과정 더 나아가 음철법의 이록적 배경이 제시 되었다. 제 3장에서는 연구 방법, 과정, 및 제한 점이 제시 되었다. 제 4장에서는 연구 결과 및 논의가 제시되었다. 제 5장에서는 결론과 제한 점들이 제시 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조사 대상이 된 교사들의 대부분은 초기읽기에 있어서의 음철법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엇다. 그러나 음철법에 대한 교사 교육의 부족으로 인하여 교사들이 지도 방식에 화신이 없었으며 음철법을 지도하지 않은 큰 이유 중 하나 또한 교사들의 지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더욱더 효율적인 음철법 지도와 나아가 초기 읽기의 발전을 위하여 이 분야에 대한 교사들의 활발한 교육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임의로 채택된 94명의 한정된 초등학교 교사들을 상대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심층적인 연구를 위하여 교사들에 대한 심층면접이나 교실 수업의 참관이 이루어지지 않아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결론을 단정짓기에는 부족하다. 초기 읽기에 있어서 음철법의 필요성에 대한 더욱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사들뿐만 아니라 학생들에 대한 인식조사가 요구된다.

      • (The) effect of integrated and isolated form-focused vocabulary instruction and its relationship to individual cognitive difference : a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윤혜준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2013 국내석사

        RANK : 169487

        This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1) the effectiveness of Form-focused Instruction (FFI) in vocabulary learning, (2) comparative effects of the different timing of form intervention in FFI (i.e., integrated and isolated) and (3) its relationship to learners’ individual cognitive differences in terms of inhibitory control among young learners in Korea. Forty-three 5th Grade native Korean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y were grouped randomly but homogeneously into the integrated and isolated group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pretest-(vocabulary noticing check)-immediate posttest-delayed posttest design for two weeks. Total 32 words were used and each 16 words were taught in two different conditions (i.e., FFIs (i.e., integrated and isolated) and incidental exposure). The children’s acquisition of explicit (FFI) and implicit (incidental exposure) words was measured in short-term (immediate posttest) and long-term (delayed posttest). In order to measure the inhibitory control, the Simon task (e.g., Bialystok et al., 2004), a non-linguistic stimulus-response test, was individually administrated to all participant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form-focused vocabulary instruction led to more vocabulary gain on L2 new words than incidental exposure significantly in both short-term and long-term test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 both types of form-focused vocabulary instruction (i.e., integrated and isolated approaches) beneficially contributed to vocabulary growth in L2 young learners. In the analysis, there was found no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cognitive difference (inhibitory control) in processing language learning and any particular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and retention. This might imply that form-focused vocabulary instruction would help to minimize the individual cognitive differences among L2 learners and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vocabulary learning. 본 연구는 형태 초점 교수(Form-focused Instruction)의 어휘의 효과를 초등학생 대상으로 알아보고, 형태 초점 교수의 두 가지 형태인 통합적 교수법(integrated FFI)과 고립적 교수법(isolated FFI)의 효과를 비교, 그리고 이러한 교수적 접근과 학습자의 개인 인지 차이 중 억제 기제(inhibitory control)와의 관계를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4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30분간의 신문 읽기 수업으로 4번 2주간의 어휘 교수 처지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쓰인 어휘는 총 32개로 각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각 8개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형태 초점 교수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통제집단은 별도로 지정되지 않고, 실험에 쓰인 32개 단어에서 16개를 암시적 접근(incidental exposure) 어휘 습득을 위해 이용하였다. 16개의 단어(각 품사별 4개씩)는 명시적 방법, 즉 형태 초점 접근법(FFI)으로 교수하였고, 다른 16개 (각 품사별 4개씩)는 암시적 접근으로 교수자가 가르치지 않고 참여자에게 노출시켰다. 둘째, 통합적 및 고립적 형태 초점 교수의 효과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총 43명의 참여자는 21명의 통합적 교수집단과 22명의 고립적 교수집단으로 나뉘었다. 두 집단의 차이는 어휘 학습이 읽기 수업과 함께 이루어지는지 (통합적 교수집단) 아니면 읽기 수업 전에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고립적 교수집단) 형태 제시에 대한 시간적 교수 처지 차이만 있을 뿐 어휘 설명 및 예문 및 단어 노출 빈도수를 같도록 통제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학습 변인 중에서도 인지영역, 개인의 억제기제차이가 형태 초점 교수의 효과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자극-반응을 측정하는 비 언어적 검사인 Simon task가 이용되었다. 이 Simon task로 측정된 모든 참여자들의 억제기제 시간과 처치를 통해 얻은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량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의 명시적 언어의 어휘 습득량이 암시적 접근의 어휘 습득량보다 높아 형태 초점 어휘교수는 효과가 입증되었고, 이는 File 과 Adams (2010)의 선행연구와의 일치하는 결과이다. 두 교수의 효과의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이루어졌으며, 형태 초점 어휘 접근법이 단기 어휘 학습 (p=.003)과 장기 어휘 학습 (p=.004)에서 무의도 학습(incidental exposure)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이끌었다. 이 결과가 과연 Schmidt(1990)의 선행연구에서 주장하는 주목하기(noticing)에 기인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주목하기 시험의 결과와 명시적 언어 습득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고립적 접근 집단의 장기 어휘 학습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여, 명시적 단어에 대한 주목하기를 잘한 고립적 교수 집단의 학습자들이 장기 어휘 기억에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두 집단에서 주목하기와 단기 어휘 학습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 못해, 본 연구에서는 주목하기와 단기 어휘 학습 효과에는 직접적 상관관계가 없음을 나타냈다. 두 가지의 형태 초점 어휘 교수 (고립적 교수와 통합적 교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으로 이루어졌다. 두 교수의 효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보이지 않고, 형태 제시의 시간과 관계없이 이 두 형태의 형태 초점 어휘 교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File 과 Adams (201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교수의 조건에 따라 교수자가 고립적, 통합적 접근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형태 초점 교수와 개인 억제 기제와의 관계는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이루어 졌다. 이 분석의 결과는 두 집단 모두 상관 계수가 단기 어휘 학습과 장기 어휘 학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지 못하여, 개인의 억제 기제 차이와 어휘 학습 능력과의 관계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입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형태 초점 접근 교수법의 효과는 문법 및 중, 고등대학생뿐 아니라 초등학생의 어휘교수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외국어 학습자에게 읽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암시적 접근의 어휘 학습은 어휘학습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명시적 교수법에 비해 학습자의 어휘 학습효과가 낮게 나타난다. 더욱이 영어가 외국어로서의 환경에 있는 학습자에게는 효과적인 어휘교수로서, 형태 초점 어휘 교수가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어휘는 교사가 개입하지 않고 학습자 스스로 이루어져야 하는 영역으로 간주되거나, 읽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습득이 된다는 기본적 가정을 부정할 수 있는 근거를 이번 연구에서 찾았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생들에게도 교사가 개입되어, 적절한 어휘에 대한 명시적 교수가 이루어져야 하며, 해당 어휘 학습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러한 명시적 어휘 교수에 있어 어휘 제시의 시간차는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어휘교수를 의미 중심활동 전이나 후에 하는 것은 교수자, 학생 그리고 학습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형태 초점 어휘 접근법과 개인 인지영역 중 억제기제와의 상관관계는 낮게 나타남으로써 외국어 학습에 있어, 학습자의 선택적 정보처리 능력, 억제 기제가 큰 역할을 하지 않음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효과적인 어휘 교수를 설계할 때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학습자들의 개인변인이지만, 형태 초점 어휘 교수법에서 습득된 어휘학습량에는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는 형태초점 어휘교수법이 학습자의 개인 변인을 최소화 시켜주는 교수법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도 있겠다. 교사가 미리 설계된 목표언어에 대한 명시적 어휘학습을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이 접근은 개인 인지차이를 최소화시켜,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학습자 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효과적인 어휘 교수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발견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어휘 교수법을 고안하는 교사들은 형태 초점 교수법이 어휘에서도 효과를 보이며, 학습자의 영역이 초등학생들까지 확장 될 수 있고, 더욱이 이 교수법이 개인의 인지 차이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효과를 보이는 점을 염두 해 두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