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Missions by Autochthons : With Special References to Berea Missions Cases in Africa = 현지인에 의한 선교에 관한 연구 : 베뢰아의 아프리카 선교사례를 중심으로

        홍영이 BEREA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2004 국내석사

        RANK : 184863

        본 논문의 시작은 서울성락교회가 베뢰아 선교를 최초로 또한 본격적으로 실천함에 대한 배경 지식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대상은 네 명의 아프리카 현지인 이었으며 가나의 현지인은 1993-97, 기니의 현지인은 1997-99, 토고의 현지인은 2001-02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선교현장에서의 효율성을 증명한 선교학적 실험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를 세우려고 하는 시도이다. 그에 대한 이론적인 바탕은 본 논문이 주장하는 신앙운동의 이상에 맞는 주로 성경에 근거하고 있으며 또한 선교 역사에서 인정된 선교 방법에 근거한다. 논문의 연구중점사항은 실천부분에 두었으며, 이는 타문화권이나 단일문화권 이라고도 할 수 없는, 초월문화권 선교사 훈련에 두고 있다. 이런 점은 물론 교과과정도 성령의 인도 하에 해당 선교 목적 달성을 위하여 특별히 구상된 점에서 기존의 것들과는 색다르고 혁신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점 연구부분은 교육과 훈련에 두었으며 이를 베뢰아 선교 제1단계라고 한다. 그 이유는 사역지에서의 현지인의 사역, 즉 베뢰아 선교 제2단계는 제1단계의 성공적인 완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필수적인 원리는 하나님의 사역에 있어서 준비의 중요성을 기본으로 한다. 현지인 리더 훈련 사역에 관심 있는 자들로부터 본 논문을 토대로 앞으로 세계의 전략 국가 출신의 베뢰아 운동 대표자를 일대일 제화 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베뢰아 운동에 속하지는 않지만 주 예수의 지상 명령을 진실로 실천하기를 원하는 자들로부터 또한 새롭고 보편적인 선교사 훈련과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thesis is designed to give background knowledge to Berea Missions which was put into practice by Seoul Sungrak Church for the first time and in full-scale for four African autochthons from Ghana, Guinea and Togo between 1993-97, 1997-99 and 2000-02 respectively. It is an retrospective attempt to lay the theorical grounds of a missiological experiment which proved to be efficient on the mission field. Those theorical grounds are mainly the scriptures as they befit the ideal of the advocated movement and missionary practices acknowledged historically. Emphasis is given on the praxis part through a missionary training which is in itself neither cross-cultural, monocultural, but supracultural and which is innovative and novel not only from this aspect but also from the curriculum which was designed specificially to the missionary goals in question under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Stronger emphasis is given to the education and training part called Berea Missions Stage I since Stage II, the accomplishment of the autochthon on the work field depends significantly on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Stage I. This sine qua non principle forms an important basis in the preparation of God's work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for discipling one-on-one future representatives of the Berea Movement in strategic countries of the world from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e ministry of training leaders. Further adjustment is also required for a new and universal model of missionary training and strategy from those who, though not part of the Berea Movement, are genuinely committed in the fulfillment of Jesus' missionary mandate.

      • A comparative study of the demon casting texts and scenes according to Matthew : 마태복음에 나타난 귀신 축사 장면과 구절 비교 연구

        가셉, 프레디 콜렌 Berea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2005 국내박사

        RANK : 184863

        예수님은 우리가 자신보다 더 큰 일들을 하도록 말씀하셨다(요14:12). 나는 오늘날 교회들에서 예수님의 이러한 표적들을 경험할 수 있다는 희망으로 귀신들과 축사에 대한 마태의 견해를 독자들과 나누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나는 객관성을 고려하여 마태복음을 선정했다. 나는 축사와 관련된 구절들을 마태복음에서 인용하여 신중히 분석했다. 마태복음에서 ‘치유’를 포함하는 여섯 본문들은 귀신이 쫓겨 가는 것이다. 귀신축사를 담고 있는 이런 여섯 본문들에 근거하여 나는 귀신축사의 절차들과 결과들과 영향들에 대한 연구를 했다. 나는 2장에서 공관복음에서 마태의 입장을 강조했다. 이는 마태복음에서 귀신축사 본문의 중요성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나는 3장에서 마태복음에서 귀신축사를 담고 있는 여섯 본문들을 전반적으로 조사했다. 나는 이런 본분들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예수는 예언들에 따라 오신 메시야임을 밝히고자 한다. 마태는 치유를 하나의 메시아적인 표적으로 본다. 메시야는 영원한 심판자이자 다윗의 아들이다. 나는 이런 본문들에서 인물들의 대화를 연구함으로써 메시아 왕국에 들어가기 위한 필요조건들이 무엇인지 밝힐 것이다. 나는 4장에서 몇 가지 관점들에서 이 여섯 본문들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런 비교연구를 통하여 공통점들과 차이점들을 찾아냈다. 다음은 이런 비교연구에 적용된 기준들이다: 첫째, 예수님이 귀신들을 쫓아내신 곳들은 유대와 그 외 이방 지역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주요한 점은 유대인들에 대한 예수의 특별한 사역과 온 세상의 메시아로서의 예수의 보편적 사역을 강조하는 것이다. 둘째, 귀신들과 병들의 정체와 연관성을 조사한다. 이를 위하여 귀신들에게 붙여진 명칭들을 분석한다. 귀신들이 모든 병들의 원인이라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귀신의 이름과 병들이 비슷한 다양한 경우들을 연구한다. 셋째, 각각의 본문들에 따라 ‘귀신 들림’이라는 표현이 다양하다는 것을 연구하기 위하여 헬라어 본문을 사용한다. 나는 귀신들이 사람들의 육체에 들어가고 그들이 귀신들린 자의 인격을 억압하거나 심지어 조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넷째, 축사자와 피축사자 사이에서 귀신축사의 선결조건은 양쪽 모두의 믿음과 강한 의지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예수의 귀신 축사 명령들과 귀신의 반응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메시아적)왕의 권위가 예수를 통하여 나타났고 마귀와 그의 말에 순종해야만 하는 그의 무리들의 나라가 패배했음을 대조적으로 보여준다. 즉, 마태복음 본문을 통하여 악한 영들과 병들을 통한 마귀의 일은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의 권세에 굴복됨을 보여준다. 여섯째, 예수의 귀신축사의 결과들과 귀신들의 반응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신자에게서 귀신축사에 대한 이상적인 면을 생각하게 된다. 신자들은 귀신축사를 그들의 공적 사업으로 인식해야 한다. 예수님께서 귀신축사를 통하여 모든 병자를 고쳤던 것처럼 예수의 일꾼들인 우리도 예수의 일을 계속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신자의 삶에서 귀신축사를 강조했다. Jesus commanded us to do greater works than Him (John 14: 12). With the hope to experience these signs of Jesus in today's churches I want to share Matthew's view on demons and demon casting with the readers. For this purpose, I chose the gospel of Matthew in view of its objectivity. Texts concerning demon casting are quoted from the Gospel of Matthew and carefully analyzed. Six texts pertaining 'healing' according to Matthew are studied where demons are cast out. On the basis of these six texts of demon casting, a study of procedures, consequences, and effects of demon casting has been made. Chapter Ⅱ is allocated to emphasize the place of demon casting in the Gospel of Matthew and in Jesus' life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mon casting in the Church. Chapter Ⅲ is for the contextual examination of the six demon casting texts in Matthew's Gospel. In this text, the aim will be to show that Jesus is the Messiah who came according to the prophecies. Matthew views healing as a Messianic sign. It shall thus be shown how Matthew through the demon casting texts shows Jesus as the Eternal Judge, and the 'Son of David'. The prerequisites to enter the Kingdom of Messiah will be shown through the study of the pericopes. Chapter Ⅳ is for the comparative study on these six texts from several view points.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are discussed in this manner. The following is the criteria applied to this comparison: First, place where Jesus drove out demons are categorized in two locations as being Jewish and the other Gentile. The main point here is to emphasize the special or specific mission of Jesus to the Jews and then the universal mission of Jesus as the Messiah to the ends of the world. Second, the identity and the connection between demons and the diseases are examined. This is don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itles attached to the demons. The various cases where the name of the demon and the diseases are similar will be studied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demons are the cause of all diseases. Third, the Greek text will be used to study the expression 'demon-possessed'(NKJV) to suggest it's appropriate use within the texts. Fourth, faith, strong will and prayer for spiritual power have been shown to be the prerequisites for successful demon casting. Fifth, the study of Jesus demon casting commands and reaction of demons will be made to show the authority of the (Messianic) King in contrast to that of the defeated Kingdom of the Devil and his cohorts who had to submit to His words. Thus it is shown through the Matthean texts that the works of Devil manifested through evil spirits and diseases are subjected to Jesus' authority, the Son of God. Sixth, the study on consequences of Jesus' demon casting and the reaction of the demons are made to come up with an ideal attitude about demon casting on the part of the Christian. The theme of opposition from the Devil toward those who practice demon casting in terms of his counter- attacks from all fronts will be shown. However, Christians should acknowledge demon casting as their public enterprise. Jesus practiced demon casting as an integral part of the message of the Kingdom of God. As His followers, we too should therefore not divide kingdom proclamation and demon casting practice in the ministry. He healed all the sick through demon casting, hence His workers should continue His work following the His exact pattern of demon casting by the word in the Holy Spirit.

      • A Study on Missiological Alternative Strategy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ty and 'NGO Revolution' : A New Apostolic Reformation and NGO Based Mission = 포스트모던과 'NGO 혁명' 상황에서의 선교학적 대안 전략에 관한 연구 : 신사도적 개혁과 NGO 기반 선교를 중심으

        김창효 Berea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2004 국내석사

        RANK : 184863

        선교학의 본질은 교회가 지혜롭고 효과적으로 다양한 문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주변 공동체의 변화를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교회는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고 세상에 영향을 끼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방법으로 문화에 대응해야 하고, 선교신학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과정에서 교회의 임무를 잘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선교신학은 교회의 정체성에 대한 자기 이해의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 말미암아 교회는 그 방향을 잘 설정할 수 있다. 오늘날의 문화의 변화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변화에 은신할 곳을 찾으려는 경향을 보인다. 깁스(Gibbs)는 주류 교단들이 40년 동안 신속하게 변화하는 문화 환경 속에서 그들이 고백한 원리들을 수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쇠퇴의 길을 걸었다는 점을 주목한다. 그러나 신사도적 교회들 때문에 교회 전체적으로는 교회 출석 인원은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것들은 깁스가 큰 규모의 문화적 변동이라고 부르는 것의 일부 효과일 뿐이다. 그것은 현대주의에서 탈현대주의(포스트모던)으로의 변화이다. 그것은 너무 복잡한 변화여서 그 변화 추이를 모르는 교회들은 중풍병에 걸린 것처럼 약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회는 사회 모든 분야와 모든 연령 그룹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서 변화하는 시대 안에서 그 변화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대처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은, 보통 사람들이 전통과 현대와 포스트모던의 세 가지 패러다임 중 어느 한 가지의 패러다임 안에서 마음을 정하고 살 수 없을 정도로 영향이 크다. 전통적인 사고에 머물고 있는 교회들은 사회 속에서 지니고 있는 특권적인 입지를 유지하고 싶기 때문에 예언적 자세를 완화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에 현대주의적 사고를 가진 교회들은 인간 이성의 시대에 갇혀 있어서 복음의 계시와 신령성이 들어설 여지가 거의 없다. 세 번째 사조인 포스트모던 사조는 매우 비관적이고 회의론적이며 실용적이고 개인주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화적 패러다임의 전환의 가장 도전적인 측면은 이 세 가지의 형태가 순차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병존한다는 점이다. 물론 문화의 변화는 선교신학의 변동을 초래한다. 문화가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인지하는 사람은 교회가 변화해야 하는지 또는 주변 문화의 변화 속에서 머물러 있어야 하는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고민은 포스트모던적이고 다원적인 서구 세계의 현재 사회 상태를 볼 때 불가피하다. 현 시대의 문화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인식하면 할수록, 교회는 교회가 이전에 처했던 문화와는 다른 타문화적 상황에 처해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현 시대의 교회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대처하기 위해서 선교학적 타문화 대처 훈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문화는 사람들에게 주변의 문화를 인식하는 렌즈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현재의 문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문화가 사람들에게 어떻게 스며드는지를 알아야 한다. 교회가 주변의 문화를 모르면 결과적으로 교회가 문화적 소경 상태에 이르게 되어 선교적 사명을 효과적으로 감당할 수 없게 된다. 오늘날의 교회를 위한 선교 훈련은 이 시대의 주류로 자리를 잡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에 교회를 노출시키는 것이다. 교회는 ‘전통주의와 율법주의’를 전파하기보다는 은혜의 복음을 전해야 한다. 그런데 실상은 교회가 은혜의 복음을 제대로 전하기는커녕 교회와 문화 환경 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지고 있어서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의 변화는 불가피한 반면에, 교회는 그 변화에 대응하려 하지 않고 도리어 마치 변화가 전혀 없는 것처럼 꼭 같은 가정들을 바탕으로 활동을 계속하려 할 뿐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교회가 적절한 방법으로 문화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략적인 결단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화의 변동에 따라 교회의 대응전략이 적절하게 변화되지 않으면, 교회는 전통적인 구조와 패턴 때문에 도리어 성령의 인도하심을 변화시키려는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X세대와 밀레니엄 세대는 진리의 절대성보다는 상대성과 다양성을 추구한다. 그들은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던으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대표하는 세대이고, 이전 세대와 비교할 때에 문화적으로 다른 코드를 가지고 있다. 이를 고려해 볼 때에, 지금의 선교는 이와 같은 포스트모던 사람들을 복음화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 가지의 적절한 접근은 포스트모던 사람들이 체험을 통해서 진리를 알게 하는 것이다. 절대적 진리를 인정하지 않는 X세대와 밀레니엄 세대에게는, 확실한 영적인 체험을 하도록 하는 것이 그들이 절대적인 진리를 알도록 하는 훌륭한 전략이 될 수 있다. 이것은 21세기 서울성락교회와 같은 신사도적 교회들로 분류될 수 있는 교회들이 사용하고 있는 전략이다. 그 교회들은 전도된 사람들이 성령을 받고 방언을 말하며, 귀신을 쫓아내고 병을 고치는 체험을 하도록 인도하고 있다. 이것은 예수와 그의 사도들이 사용한 이른바 ‘사도적 접근’에 가깝다. 사람들은 이러한 체험을 통해서 진리를 확신하게 된다. 그러므로 패러다임 전환으로서의 신사도적 개혁 혹은 선교전략은 포스트모던 시대에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접근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사람들과 10/40 창과 북한과 같은 제한 접근 지역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적절한 방책이 될 것이다. 더 좋은 것은 성령의 역사를 바탕으로 하는 신사도적 선교전략과 더불어, 교회가 현 시대의 흐름인 NGO를 기반으로 하여 선교적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것이다. ‘NGO 혁명’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하나의 현상으로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과 마찬가지로, ‘NGO 혁명’과 NGO의 활동은 어떠한 정부나 조직이나 교회 등에 의해 거스려질 수 없는 현 시대의 흐름이기 때문에, 우리는 NGO를 없는 존재인 것처럼 무시할 것이 아니라, NGO들을 활용하여 NGO와 선교적 파트너십을 가져야 할 것이다. 교회들은 NGO를 기반으로 한 선교 전략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교회의 평신도에 해당하는 일반 시민들이 NGO에 참여하고 있는데, UN과 정부들과 같은 세상의 조직들은 그들의 자원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교회도 선교의 영역에서 평신도의 자원적 활동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일반시민들이 NGO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중의 개인주의와 다양성의 표현이다. 교회는 이러한 포스트모던 사람들의 특징을 복음 전파의 장애물로만 여길 것이 아니라 역으로 교회의 선교를 위해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NGO는 국가와 종교와 이념의 경계를 쉽게 극복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그러므로 NGO는 위에서 언급한, 10/40 창 지역이나 북한과 같은 제한 접근 지역과 같이 선교사나 목사들이 들어갈 수 없는 지역에도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수를 전하는 통로로서 그 효용성이 높은 선교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평신도들의 자원성을 사장시키지 않는 선교전략도 될 것이다. 포스트모던 상황과 ‘NGO 혁명’ 상황에서 신사도적 선교전략과 NGO 기반의 선교전략을 입안하여 실행하는 길은, 세계에서 가장 큰 여의도 순복음교회가 평신도들을 활용하여 ‘좋은 사람들’이란 NGO를 창설하여 전 방위의 선교활동을 벌이고 있는 것과 21세기 선교 서울성락교회의 베뢰아운동을 모범으로 삼는 것이 그 지름길이 될 것이다. ‘좋은 사람들’은 세계 최대의 교회가 평신도 인력으로 전 세계적인 NGO 기반 선교를 하는 훌륭한 모델이 된다. 또한 베뢰아운동은 절대적 진리를 수용하기를 꺼려하는 포스트모던 사람들에게 귀신을 쫓아내며 병을 고치는 등의 체험을 갖게 하고, 평신도들의 자원성을 활용하는 운동으로서, 신사도적 선교전략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It is the Church's missionary nature that helps her to see the changes in the surrounding community in order to wisely and effectively engage the varied cultures with which she encounters. However, the Church must engage cultures in relevant ways in order to make an impact and be the salt of the earth and light to the world (Mt 5:13-14), and in the process understand what she is doing, in order to efficiently develop her theology of missions. The theology of mission will then be the result of the Church's self understanding of what the Church is, which will also guide her in understanding her missions. Changes in today's culture are so rapid that people tend to look for places to hide in order to prevent these changes. Gibbs notes that mainline denominations have declined in four decades because they have not been able "to implement the principles they profess." However, there is no decline in church attendance because of the rapid growth of New Apostolic Churches. These are only the effects of what Gibbs calls "a cultural shift of seismic proportions." This shift affects all areas of society, which the Church must notice in order to be relevant. It is a change from modernity to Postmodernity. It is a change so complex that churches that fail to see the transition may become paralyzed. Therefore, the Church must reach all areas of society and all age-groups in order to remain relevant in and through changing times. These cultural paradigm shifts affect the Church to the point that some cannot find a consensus of mindset and live within the three paradigms: "traditional, modem, and postmodern." Churches that live in the traditional mindset tend to loose their prophetic stance because of the need to maintain "their privileged place in society." On the other hand, churches that have the modern mindset become stranded in the age of human rationality, thus they do not have a place for revelation and the mystery of the gospel. The third mindset, that of Postmodernism is very pessimistic and skeptic, pragmatic, and individualistic. However, the most challenging aspect of these cultural paradigm shifts is that all three "phases are not sequential but exist side by side." Of course, changes in the culture are what produce changes in the theology of missions. In looking at the rapid changes in culture, one cannot stop thinking whether the Church should change or should it stay the same through changes in the culture around. A clear example is the present state of society in the Western world that is both postmodern and pluralistic, as a result, the Church finds herself in a cross-cultural setting. Therefore, the Church in this present state, in order to be relevant, is in need of missiological training. In order to be relevant to the present culture, the Church must also be aware of how culture permeates people, because culture provides people with a lens to perceive the culture around. If the Church is unaware of these cultural challenges, the results in cultural blindness in the Church. The missionary training for today's culture presents the Church with the challenge of Postmodernism. The church must preach the gospel of grace, rather than that of "traditionalism and legalism." In reality what is happening is a widening of the gap between the Church and the environment. While social change is inevitable, the Church never responds to that change, but "simply continues to work on the same assumptions" as if there was no change. The only hope is that the institutional response to cultural changes adjusts in order to begin the closing of the gap. Therefore, what needs to happen is that the Church must make strategic decisions towards change to respond in an adequate matter to cultural changes. If the Church does not change as culture changes, then the Church faces the danger of changing the lead of the Holy Spirit for the traditional structures and patterns. The Gen. X'ers and millennials of the postmodern era pursue relativeness and diversity rather than absoluteness of truth. They represent the paradigm shift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and they have different cultural codes compared with previous generations. Considering this, missions nowadays need an approach that is suitable for evangelizing these postmodern era people. One such approach is to let them know the truth through experience. However, as for the Gen. X'ers and millennials who do not acknowledge the absolute truth, having concrete spiritual experiences can be a good strategy to make them know the absolute truth. This is a strategy being employed in New Apostolic churches like 21C Mission Seoul Sung Rak Church, where evangelized people are led to receive the Holy Spirit, speak in new tongues, drive out demons and heal disease, which is close to the approaches of Jesus and his apostles. And through these experiences, people become sure of truth.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is New Apostolic strategy of missions as a paradigm shift of mission is truly appropriate in the postmodern era. This movement is suitable to evangelize Gen. Xers and restricted access regions like the Window 10/40 and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ty and 'NGO Revolution.' Our hope is to make use of the NGO Based Mission within our Holy Spirit vision. It is seemed that 'NGO revolution' is a phenomenon of Postmodernity. We should make use of NGOs and mission partnership with it, for NGO revolution and its activity are the contemporary trend over the world, which can not be gone against by any government, organization and church etc. Churches should take NGO based mission strategy into positive consideration. It is worthy of note that secular organizations like UN and governments, are deploying citizens who participate in NGOs, who correspond to the laity in the Christian sense. Churches should exploit the voluntary activity of the laity in the area of missions. It represents the diversity and individualism among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ty that general citizen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NGOs. Churches should not regard those characteristics as obstacles of mission, but need to make the most of them for diverse mission strategy. I think that a shortcut way to churches' making partnership with NGO or making the best use of the laity in missions, is to follow the good examples of the GPWF-church based NGO, which was established by Yoido Full Gospel Church, which is the largest church in the world, and the Berea Movement. The Berea Movement corresponds to 'New Apostolic Reformation,' giving experiences to the postmodern people who are reluctant to accept the absolute truth, making them acknowledge the gospel, by casting out demons, healing diseases etc and deploying the laity. By NGO Based Mission, we can make the best use of NGOs as the channels of living water to the region of Window 10/40 and North Korea, which are so called 'restricted accessed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