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생활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연희 호남신학대헉교 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School Life Adaptation KIM, YEON-HEE Department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Honam Theological University & Seminary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eenagers’(mainly high school students) dependence on smartphon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o further scrutinize whether social suppor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and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are: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school lif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Second, is there any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328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from two highschools in Gwangju were subjected to a self-report survey to measure the degree of dependence on smartphone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llect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Cronbach’s ⍺ verification allow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utiliz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dditionally,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test Scheff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also utiliz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urvey conducted different levels of smartphone dependence, 217 people (66.2%) were in the general group, 104 people were (31.7%) in the potential risk group, and 7 people (2.1%) were in the high-risk group. In term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oth the potential risk group and the high risk group accounted for 33.8% in total. The result indicates that 3 out of 10 high school students are overly dependent on smartphones. The survey epitomizes a relatively similar result of the rate of dependence on smartphones for young people in Korea that the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gency has conducted in 2020. Second, as a result of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school life adaptation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school life adapt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This suggests that over-dependence on the phone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Thir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support,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support, indicating that social support can lower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e. Fourth, in a survey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correlation. This indicates that social suppor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as more teenagers recognize that they are receiving more social support, they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even though they are dependent on smartphones.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adaptation to school life, parent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are significant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at account for teenagers’ school life adaptation. In addition to social support, in order to ensure students’ healthy academic adaptation, adequate academic curricula, peers, and school teachers are significant as wel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in balancing all of these relationships to ensure students’ healthy lifestyle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over-dependence of smartphones can directly influence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indirectly affect social support. Assuming that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affects school life adapta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re is a level of difference in school life adaptation based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can act as a mediating variable to predict school life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rom above,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regularly conduct education related to smartphone use in schools so that teenagers can use smartphones correctly.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social support to teenagers who have difficulty adapting to school life due to their over-reliance on smartphones. In particular, active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is significant for kids. When parental support,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are provided appropriately, school life is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consequences even for teenagers who have difficulty adapting to school life due to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s. Third,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to actively utilize the prevention and counseling center for smartphone overdependence that are operated in the local community. If students actively engage with experts in these institutions, it will not only mitigate the issues of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but it will also help students to be able to adjust to their school lives and focus on academic curricula,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being overly dependent on smartphones. As a resul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demonstr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which include both environmental and relational factors. 국문초록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연희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학교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는가? 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2곳 1, 2, 3학년 남학생과 여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통계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했고, Cronbach’s ⍺검증을 통해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또한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T-test, 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 Scheff를 실시하여 변수의 차이를 검증했다. 아울러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론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형을 살펴보면 스마트폰 과의존 일반군은 217명(66.2%), 잠재적위험군은 104명(31.7%), 고위험군은 7명(2.1%)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잠재적위험군과 고위험군을 합친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전체의 33.8%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대상자 고등학생 10명 중 3명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속하는 것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조사 발표한 2020년 우리나라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 비율 35%와 거의 비슷한 수준임을 나타낸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는 유의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적 지지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가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나타낸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는 유의한 정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생활적응에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이 자신이 받고 있는 사회적 지지를 크게 인식할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섯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구성요소인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는 학교생활적응의 구성요소인 학교공부, 학교교사, 학교생활, 학교친구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의(+)상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또한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했을 때, 사회적 지지의 정도에 따라서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 스마트폰 사용 관련 교육을 정규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학교생활 부적응을 겪는 청소년들에게 다각도의 사회적 지지가 지원될 필요가 있다. 특히 부모, 교사, 친구의 적극적인 지지가 중요한데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가 충분히 제공될 때 비록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이라 할지라도 긍정적 지지를 힘입어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셋째, 지역사회에서 운영되고 있는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및 상담 센터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전문성을 갖춘 이러한 기관들을 잘 알아보고 적극 활용한다면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와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한 학교생활부적응의 문제를 해소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환경적, 관계적 보호요인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주제어: 스마트폰 과의존, 학교생활적응, 사회적 지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