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중미디어를 통한 정책홍보 문제점해결방안 연구

        황근(Kuhn Hwang),최일도(Il Do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1

        이 연구는 정부의 정책홍보의 문제점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대중미디어를 통한 정책홍보의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정책홍보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를 찾아 원인을 분석하고 전문가의 조언 및 일반 공중의 의견을 실증분석해 공익적 메시지의 효율적인 정책홍보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방법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공중에 대한 정책의 인지 등의 효과가 뛰어난 대중미디어의 활용과 효용성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정부기관의 홍보 예산은 미디어별 균형과 지역안배라는 차원에서 미디어의 비중별 균등분배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VOD 홍보와 양방향 홍보를 통한 활성화 방안이 실현된다면 정책홍보 소프트웨어 등의 개발과 아이디어 산업의 활로를 개척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정책홍보를 위해 대중미디어를 활용하는 방법 역시 정책홍보의 목적과 목표를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정책홍보의 목적과 목표가 명확해지면 그에 따라 각각의 기능과 특성을 지닌 미디어 활용 전략을 구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정책마다 존재하는 특성에 따라 적합한 대중미디어를 찾아내고 비용과 시간 등의 변수를 포함한 효율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Have problems with the government`s policy of promoting practices through the analysis and to propose measures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promot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Analyze it to find the cause of the problem appearing in the process of policy promotion and empirical analysis of expert advice and public opinion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to explore ways of policies promoting efficient public message. Wish to establish measures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cost-effective communication by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TV and the Internet, the message typ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analysis. Findings for public policy, such as the effect of the lack is superior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public media was unknown. Promotional budget of government agencies because of media and media-specific balance-dimensional regional arrangement in the proportion of specific enforcement is evenly distributed. Should be helpful in pioneering smart media environment of media-based VOD activate the two-way public relations and publicity measures in addition to the realization of policies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software and ideas.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mass media to promote the policy, too,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aims and objectives of the policy. It becomes clear policies promote the aims and objectives of the strategy in accordance with the cap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media utilization is because you can envision. Policy in the presence of a wide variety of areas. The important thing is finding the appropriate public media,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that every policy, including variables such as cost and time efficiency is to ensure.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광고사 시대구분을 위한一硏究

        신기혁,강태중 한국광고홍보학회 2004 한국광고홍보학보 Vol.6 No.1

        As some articles pointed out, studies related to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are scarce. Part of the reason for the lack of such study is due to the relatively short history of Korean advertising itself. Also, the nature of advertising is such that studies are bound to be on the current situation instead of the past. In addition, the number of scholars on advertising is limited in Korea.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subject of how to divide close to 120 year-long modern Korean advertising history into periods has not been seriously discussed. If advertising is a subject taught in universities,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and its development divided into periods need a closer attentio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meet such needs. Therefore, past studies related to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and development have been analyzed and reviewed. Also, a review on similar subjects in the American and Japanese advertising was made. Furthermore, opinion on the division into periods of history in general expressed by a noted history scholar, Cha Ha Soon,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Several studies on the division of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into periods have been found but they are focused on the specific field of the Korean advertising. The only study available on the subject is the History of Korean Advertising(Shin In Sup, Suh Bum Suk, 1998), which provides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divided into periods of development. Comparing the division into periods and the method employed by the two authors, the division found in History of Korean Advertising is quite similar to that of Japan rather than America, and quite reasonable when Cha's opinion is applied except for some description and a marginal difference of a year. In short,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at Shin and Suh's book is valid as far as its division into periods of the Korean advertising history. 한국광고사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은 여러 연구들에서 지적되고 있다. 이는 아직은 일천한 한국 광고학계의 역사, 학계의 문헌연구에 대한 관심 부족 성향, 제한된 연구 인력 등에 기인하는 것이다. 한국광고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결과, 아직까지 한국광고사의 시대구분에 대한 학계의 구체적인 논의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 광고가 학문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여 대학에서 전공으로 교육을 하고 있다는 점은 한국광고사에 대한 연구의 필요와 그에 따른 시대구분의 필요성을 낳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학문적 필요성 충족을 위해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광고사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광고사의 시대구분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일본과 미국의 광고사 시대구분과 한국의 것을 비교했고, 광고사 역시 역사의 한 분야이기에 사학계의 의견을 참고했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를 근거로 한국광고사의 시대구분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한국광고사와 관련하여 시대구분을 시도했던 연구들을 분석해 본 결과, 광고의 특정 분야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한국광고사 전체를 다루고 있다하더라도 간략한 약사적인 입장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신인섭(1980, 1986), 신인섭과 서범석(1998, 2001)의 경우 한국광고 전반을 대상으로 시대구분을 시도한 바 있다. 위의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시대구분 접근 방법을 일본과 미국의 광고사 시대구분과 비교했을 때 일본과는 유사성이 많았으며 미국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그런데 시대구분을 위해 참고했던 한국 사학계 차하순(1995)의 의견을 바탕으로 이들 연구 결과들에 적용해본 결과 무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시대에 대한 표현이나 시대 구분 상에서 1년 차이와 같은 연구자의 견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정도의 문제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광고사 시대구분에 대한 새로운 주장의 전개보다는 기존의 신인섭과 서범석의 선행연구에 대한 결과를 보완 수정하는 것이 타당하게 보여, 향후 한국광고사 연구에 있어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할 것과 한국 광고학계의 광고사에 대한 관심 촉구를 제안사항으로 남겨 두었다.

      • KCI등재

        정책홍보 전문성 연구

        조정열(Jung Yul J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4 No.1

        이 논문은 진보정권과 보수정권의 변화를 겪은 한국정부 정책홍보담당자들의 전문성을 분석했다. 중앙부처의 홍보담당 팀장들과 광역지방자치단체 공보관/홍보책임자들을 심층인터뷰한 결과를 활용했다. 인크로치먼트 개념을 통해 살펴본 이 연구에는 전체조사대상의 85%가 참여했다. 결론은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한국정부 정책홍보 전문성은 진화하고 있었다. 정책홍보 전문성은, 인력수급 방식의 변화를 비롯한 환경과 구조뿐 아니라 담당자 개인의 차원에서도,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었다. 둘째, 업무침해(인크로치먼트)는 반감했고, 이는 홍보책임자들의 직무심리 강화로 연결되고 있었다. 인력수급구조의 변화는 업무처리전문성 강화를 위한 조치로도 이어지고 있었다. 홍보부서 직원들은 물론, 일반직원들까지도 정책홍보 직무연수가 중앙공무원연수원을 비롯한 재교육 기관에서 정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셋째, 홍보책임자들의 직무자세 강화가 업무침해 감소로 이어진다는 기존의 이론적 인과관계는 그 선후에 대한 논의와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홍보책임자들의 직무심리가 강화되서 업무침해가 사라진다는 기존의 인과 관계는 한국정부에서 거꾸로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넷째, 한국정부 정책홍보 전문성의 진화는 퇴행성을 동반하는 복합적 발전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정책홍보전문성의 퇴행적 변화는 보수정권의 등장시기와 맞물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조선, 중앙, 동아로 대표되는 보수언론과 온라인매체에 대한 균형을 상실했다는 점이다. 이번 조사에서 정책홍보전문성의 진화에 퇴행적 특징이 혼재된 것은 발견한 점은 아쉽지만 총론적 관점에서의 발전은 분명 긍정적 평가를 받기에 충분한 변화였다. This paper tried to see how policy communication was being evolved in Korean government agencies thru theoretical concept, ``encroachment.`` Progressive & conservativ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residents were also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ublic relations perspective. What has been found was interesting. First, in charge of public relations department, more experts were working for the government than before. Considering the fact that only few public relations professionals were working in the government, this is a significant change. Encroachment has decreased clearly, & study participants showed more confidence in their jobs than those in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change seems possible not because public relations professionals proved to be more responsible & confident but because they were given more intra-organizational power & budget. This is exactly the opposite causal relationship from what has been known among public relations researchers. Other mixed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홍보 전략

        문철수(Chul Soo Mo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05 한국광고홍보학보 Vol.7 No.5

        미디어 기술의 디지털화로 말미암아 기존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가 야기되면서, 미디어는 다양한 플랫폼을 중심으로 보다 복합적인 구도로 진화되고 있으며, 개인형 미디어와 맞춤형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홍보매체 환경에도 동일하게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날로그 패러다임에서 홍보 활동이 미디어의 중재적 기능에 의존했다면 디지털 패러다임 하에서는 공중과의 직접적인 관계 설정방식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에 적합한 홍보 미디어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주요 조직별 홍보 실무자가 인식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홍보의 필요성, 디지털 미디어의 홍보 활용 정도, 향후 디지털 미디어 활용의 기대감 등을 연구문제로 삼아, 사기업(2개사), 공기업(2개사), 방송사, 홍보대행사, 병원, 대학교, 시민단체, 국가기관 등 10개 조직에서 홍보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홍보 실무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홍보의 필요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지털 홍보전문 인력의 부족과 홍보예산의 부족 등을 조직의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둘째, 현재 홍보에 활용되는 주요 디지털 미디어는 모바일이나 미니홈피, 블로그 등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었으며, 금년부터 시작된 DMB에 대해서는 많은 조직들이 홍보매체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홍보용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기대감은 조직의 성격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여주었지만 대체로 모든 조직들이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기존의 전통적 홍보매체가 모두 디지털 미디어로 대체되지는 않을 것이므로, 디지털 미디어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하나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종합해 볼 때,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홍보 전략 수립을 위해 두 가지의 과제가 수행되어야 하는데, 첫째는 홍보 실무자의 전문화이다. 홍보 실무자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디지털 기술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홍보전문가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디지털 시대를 대비해 홍보 예산의 증가 및 홍보 업무의 세분화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Due to the digitalization of media technology, existing paradigms of communication are changing. As personalized and customized media services are spreading, media are becoming more complex structures than ever. These changes can be applied to what is happening in public relations standpoints. Previously public relations matters have depended on arbitrary roles of media to reach the public, whereas it is predicted that public relations matters in a digital generation will focus on direct contacts with the public.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appropriate applications to digital communications in public relations. Publicists in private & public firms, broadcasting networks, public relations agents, hospitals, colleges, civil groups, and government branches were interviewed to examine present and future considerations of using digital media in public relations and the importance of using digital media in public rela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publicists highly rated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through digital media. Yet, they pointed out problems with a lack of personnel specialized in digital communications of public relations and a deficit of budget. Second, publicists focus on mobile phones, personalized homepages, and weblogs by the means of using digital media. Also, the DMB service is considered to be another medium for public relations. Third, most organizations showed high interests on the future use of digital media in public relations. But, publicists agree that the use of digital media is another way of communications in public relations rather than a replacement. In summary, there are two ways of adopting digital media in public relation. First, publicists must be trained to be familiar with digitalized media. Second, budget increase and segmented fields within organizations are important priorities in public relations.

      • KCI등재

        해외홍보방송이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유경(You Kyung Kim),이효복(Hyo Bok Lee),강소영(So Young Kha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광고연구 Vol.0 No.98

        자국에 대한 유리한 국제여론 및 이미지 형성을 위한 해외홍보방송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 활동이 아니라 국가 브랜드이미지 제고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행된다. 한국도 이러한 목적을 갖고서 1997년부터 아리랑TV를 운영 중인데, 최근 전 세계 전 세계 1억 수신가구를 돌파함으로써 명실상부 한국의 대표 해외홍보방송으로서 위상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해외홍보방송으로서의 아리랑TV의 운영이 실제로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아리랑TV를 시청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북미, 중동의 시청자 6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아리랑TV에 대한 평균 1회 시청시간이 길수록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아리랑TV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시청시작 시점이 오래되었을수록 부분적으로 한국에 대한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리랑TV를 통해서 형성된 한국에 대한 인지는 한국에 대한 신뢰와 선호의 감정적 자산을 매개로 궁극적으로 한국 지향적 활동 의도를형성함으로써 실질적인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강화시켜나가는 효과를 창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청 지역에 따라 한국의 아리랑TV를 통해서 형성된 한국의 대표이미지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동남아시아는 문화중심, 북미는 과학, IT 기술 중심, 중동국가는 역동성, 경제성장 측면에서 강력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분석이 되었다. 결론을 통해서 한국을 해외에 정확히 알리고, 한국의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목표에서 운영되는 아리랑TV의 전략적 중요성의 가치와 한국의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라는 목표달성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운영측면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Overseas broadcasting to make international opinions well disposed to each own country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brand image of the country, not by commercial activities for profits. Korea has also operated Arirang TV since 1997 for that purpose, and the number of receiving households in worldwide broke the record over 100 millions. Undoubtedly, it has taken the status of the international overseas broadcasting representing Korea.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demonstrating how the running of Arirang TV as overseas broadcasting actually influences reinforcing of value of the county brand of Korea.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included 602 viewers in South-East Asia, North America, and Middle East who are watching Arirang TV,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urvey.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ata, when the average time per watching event of Arirang TV was longer, overall evaluation about Korea and satisfaction on Arirang TV were higher. Also, when the beginning of their watching Arirang TV is longer before, it influenced partially the evaluation about Korea in positive way. In addition, through the demonstration of effect model of overseas broadcasting that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awareness about Korea that is made by Arirang TV creates the effect to strengthen practical competitiveness of Korea by eventually making activity intentions oriented to Korea through emotional medium of trust and favor to Korea. Finally, typical images of Korea formed by Arirang TV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s. The analysis showed that South-East Asia strongly thinks of Korean mainly about culture, North America science and IT technology, Middle East dynamic and economical growths. In conclusion, it is discussed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for achieving the goals raising Korea`s brand values and strategic importance of Arirang TV that is operated for the purpose of exactly promoting Korea in foreign countries and raising the country image of Korea.

      • KCI등재

        군 홍보조직의 우수성

        정기완(Ki Wan Jung),박종민(Jong Min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3

        본 연구는 우선 그루닉의 조직 내 홍보부서의 우수성 연구와 홍보업무의 전문성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우수한 군 홍보조직이 갖는 홍보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공군 정훈 근무자들 전체를 대상으로 군 홍보조직의 우수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군 홍보실무자들과 소속 홍보부서는 전체 집단에 대한 충실한 조언 등을 통해 성실하고 적극적인 홍보업무를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부서로부터 독립적이지 못하는 등 홍보부서의 위상은 아직 높지 않으며, 전략적이고 전문적인 홍보활동 역시 부족하다고 평가되고 있었다. 홍보실무자들의 신분별, 계급별, 업무부서별 우수성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위관 장교들은 여성의 높은 직급 업무 수행은 가장 높이 평가한 반면, PR 부서에 대한 군내의 다른 부서 간섭이 심하고 PR 관련 규정 및 지침이 미비하다고 평가하는 등 전체적으로 홍보조직 우수성과 업무 전문성에 문제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오히려, 전문 병과를 가지고 있는 장교들에 반해 항상 새로운 업무를 익혀야 하는 부사관 및 군무원들은 홍보조직이 적정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업무 숙련을 위한 지속적인 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긍정적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결과에 대한 다양한 함의가 토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xcellent PR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and to suggest excellent administrative plan of PR system, contributing to the public relations objects in the Korean Military by conducting a survey of 109 PR practitioners of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mographic background of Military practitioners was not regarded as important factors in work. Also, almost practitioners was thought as active and hardworking workers, and administrators of PR department was evaluated as good advisers to their commanders. On the contrary, public relations mind of members was regarded unmatured, and PR department wasn`t free from outside intervention as well as didn`t occupy a high position in the Korean Army. And lack of scientific methods was pointed out seriously in conduct and evaluation of PR works. Furthermore, regarding practitioners` recognition on excellence PR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there were differences in many factors of social status, rank(personal characters of PR practitioners) and the number of workers(character of department). This study suggested that some plans would b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PR system of the Korean Military; ① efforts for more strategic and scientific public relations, ② understanding on public relations roles in their organization from all members in Military, ③ exertion for gaining acknowledgment of professionality ④ coping with different recognition between field-grade officers(administrator) and company officer·lieutenants·civilian employees(practitioners), ⑤ more diversified and balanced work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문화 차이에 따른 양국 지방자치단체 로고의 디자인과 색상 차이 분석

        김정렴(Kim, Jungryum),전종우(Jun, Jong W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9 광고연구 Vol.0 No.120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도시 로고를 대상으로 그 차이를 알아본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로고 표현의 차이는 두 나라 사이의 문화적인 차이도 영향을 미치고 미학적인 차원이나 산업적인 특성을 반영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한국의 도시 브랜드 로고가 일본보다 더 많은 컬러를 사용하고 있었다. 색채를 중심으로 보면 한국은 주로 원색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일본은 한국보다 무채색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인 컬러의 경우도 두 나라 모두 파란색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지만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한국이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고의 모양에 있어서는 일본이 한국보다 상하좌우 대칭적인 디자인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워드마크도 한국이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전통 문양의 사용 여부는 두 나라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두 나라의 문화 차이에 대한 학문적인 시사점과 아시아를 세분 시장으로 하는 브랜딩 차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differences of city logo from Korea and Japan. It is hypothesized that cultural differences and esthetic or industrial characteristics could influence expression of visual identity. The findings showed that Korean logos used more numbers of color than Japanese logos. It is also found that Korea used original color, and Japan used achromatic color. For main color, both countries used blue color most frequently, but Korea used more blue color than Japan at the limited level. For the shapes of logos, Japan used more symmetric design than Korea. Korea used more word mark design than Japan. Uses of traditional pattern a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of cultural differenc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brand strategy regarding Asian market segmentations.

      • KCI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한류 인식과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제품 선호도, 국가 호감도 관계 연구

        문효진(Hyo Jin Mo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0

        본 연구는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로 대변되는 한류가 아시아를 비롯해 비아시아권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방한한 외국인 유학생(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유럽, 미주 등)을 대상으로 한류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연관 효과를 살펴보았다. 특히, 한류가 인기를 얻고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들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콘텐츠 만족도와의 관계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 만족도와 한국제품 선호도 및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한류의 인기요인은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 ``한류스타의 감성적 매력`` 요인 등 총 세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이들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콘텐츠 만족도와는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 만족도와 한국 제품 선호도 및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 한류 인기요인 중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이 한국 제품 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용자들이 ``한류콘텐츠 차별성`` 요인으로 한류콘텐츠를 만족하면 할수록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도 높아진다는 점이 확인 되었다. 더불어 한류 인기요인 중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류콘텐츠 전문성`` 요인으로 한류콘텐츠 만족도가 높아지면 한국에 대한 호감도도 증가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Korean wave is expanding to non-Asia countries beyond A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popular factors of the Korean wave and the Korean wave``s effects are. Especially,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e Korean wave, the Korean wave contents, the products preference and national image. And the sample is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of all the popular components of the Korean wave turned out to be such factors as the Korean wave contents professionalism, the Korean wave distinction and the Korean wave celebrity emotion appeal. Second, the Korean w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Korean wave contents satisfaction. As well as there were the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Korean wave, the Korean wave contents, the Korean products and the country image of Korea. The Korean wav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Korean product preference and the likability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