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에 따른 한국 해군의 대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public of Korea Navy’s Strategy for Dealing with the Maritime Security Threats against the East Asia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27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ocean being mankind’s last store of resources, it is also becoming the site of sharp conflict and competition, and the seas of East Asia are no exception. Disputes over islands, namely the Spratly and Paracel Islands, are intensifying in the South China Sea between China and Southeast Asian nations. In the East China Sea there are severe disputes between Japan and China over the Senkaku Islands and resource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 there are disputes over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jurisdiction of the waters off Ieodo. Moreover, there are rampant piracy, terrorism at sea that is highly likely to happen, natural disasters, sea pollution, and illegal fishing in parts of the region, demonstrating the vulnerability of East Asian waters to transnational threats.
      In addition, competition for maritime hegemony among states in the region is intense. In particular, the People’s Liberation Army Navy(and the“PLAN”) and Japan Maritime Self-Defense Force(and the“JMSDF”) are strengthening their maritime power projection capabilities which could apply political pressure on neighboring countries. China is accelerating naval power build-up in order to secure maritime hegemony in East Asia with its anti-access/area denial(A2/AD) formulated to oppose U.S. presence in the region. Currently, it is estimated that the PLAN can exert sea control out to the first island Chain, but its maritime operation capability will be expanded to the second island chain by around 2020 with the acquisition of two to three carrier battle groups. Japan is discarding its former exclusively defense concept and developing a dynamic defense concept which advances the range and degree of its defense activities. Recently, Japan legislated new security laws expanding the operating area of the JMSDF abroad. The JMSDF, the second largest naval force in the Asia-Pacific region after the U.S. 7th Fleet, is demonstrating its cutting edge naval power by building the newest advanced ships including large, light carrier-class vessels.
      The extra-regional hegemon the United States is deploying 60 percent of its naval capabilities to East Asia as it proceeding to its rebalancing strategy in accordance with its Asia-Pacific-focused policy. In addition, North Korea is engaging in maritime provocations, varying their degree from severe such as with the sinking of the ROKS Cheonan and the shelling of Yeonpyeong Island to temporary crossings over the Northern Limit Line. In particular, it is developing asymmetric capabilities such as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s (SLBM) and undertaking far-reaching provocations such as missile launches and nuclear tests. Going forward, it is predicted that North Korea will commit provocations at sea at any time in order to achieve its political objectives.
      In this way, while East Asia’s maritime disputes and non-military threats are“soft” issues, they tend to be easily turned into“hard”issues due to historical problems, national sentiments, and political and military sensitivity; and these hard or soft issues are appearing with mixed qualities. That is, these are complex threats in which military and non-military factors are intertwined, and as these threats are likely to grow in mutual linkage with one another, it is inevitable that they exert tremendous influence on national security. Despite this security situation, because South Korea is focused on responding to the present threat of North Korea’s military, it has payed poor attention to the more fundamental task of protecting the national strategic interests. This is due to poor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maritime security threats in East Asia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the nation’s existence and interests because South Korea is de-facto maritime nation with practically no means to move out via land though it is geographically classified as a peninsula.
      In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is paper was written to explore the overall plan that South Korea must follow, including the national-level strategy for responding to East Asian maritime security threats, the maritime strategy and force development that the Republic of Korea (ROK) Navy must pursue, development of the Navy’s role, and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For this research, the following problems are raised. First, what is the nature of East Asia’s maritime disputes and non-military maritime security threats? Second, how is the maritime strategy of each regional power changing and developing? Third, how is North Korea’s naval power developing and what is its level of provocation?
      This research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ur national security and maritime strategies require a paradigm shift because maritime security is not subordinate to national security but is almost equal. For this,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by reassessing security threats and challenges in order to put emphasis on maritime security threat and develop our understanding of threats to maritime territoriality and sea lines of communication as threats to our vital interests.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I have proposed a“balanced maritime defensive strategy” as the ROK Navy’s maritime strategy. This is tailored through choices and focus and employs maritime control, maritime containment, and maritime cooperation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diverse maritime threats in East Asia.
      Second, to deal with the various maritime threats at the same time, the required ROK Navy forces must be urgently acquired. The appropriate level of naval power must as a priority be gained in order to have the forces be able to respond to crises related to Dokdo and Ieodo and to the maritime strategies of neighboring great powers while at the same time respond effectively against the North Korean threat.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s naval capabilities, there is a need to build social consensus based on the lessons of history on naval
      번역하기

      With the ocean being mankind’s last store of resources, it is also becoming the site of sharp conflict and competition, and the seas of East Asia are no exception. Disputes over islands, namely the Spratly and Paracel Islands, are intensifying in th...

      With the ocean being mankind’s last store of resources, it is also becoming the site of sharp conflict and competition, and the seas of East Asia are no exception. Disputes over islands, namely the Spratly and Paracel Islands, are intensifying in the South China Sea between China and Southeast Asian nations. In the East China Sea there are severe disputes between Japan and China over the Senkaku Islands and resource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 there are disputes over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jurisdiction of the waters off Ieodo. Moreover, there are rampant piracy, terrorism at sea that is highly likely to happen, natural disasters, sea pollution, and illegal fishing in parts of the region, demonstrating the vulnerability of East Asian waters to transnational threats.
      In addition, competition for maritime hegemony among states in the region is intense. In particular, the People’s Liberation Army Navy(and the“PLAN”) and Japan Maritime Self-Defense Force(and the“JMSDF”) are strengthening their maritime power projection capabilities which could apply political pressure on neighboring countries. China is accelerating naval power build-up in order to secure maritime hegemony in East Asia with its anti-access/area denial(A2/AD) formulated to oppose U.S. presence in the region. Currently, it is estimated that the PLAN can exert sea control out to the first island Chain, but its maritime operation capability will be expanded to the second island chain by around 2020 with the acquisition of two to three carrier battle groups. Japan is discarding its former exclusively defense concept and developing a dynamic defense concept which advances the range and degree of its defense activities. Recently, Japan legislated new security laws expanding the operating area of the JMSDF abroad. The JMSDF, the second largest naval force in the Asia-Pacific region after the U.S. 7th Fleet, is demonstrating its cutting edge naval power by building the newest advanced ships including large, light carrier-class vessels.
      The extra-regional hegemon the United States is deploying 60 percent of its naval capabilities to East Asia as it proceeding to its rebalancing strategy in accordance with its Asia-Pacific-focused policy. In addition, North Korea is engaging in maritime provocations, varying their degree from severe such as with the sinking of the ROKS Cheonan and the shelling of Yeonpyeong Island to temporary crossings over the Northern Limit Line. In particular, it is developing asymmetric capabilities such as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s (SLBM) and undertaking far-reaching provocations such as missile launches and nuclear tests. Going forward, it is predicted that North Korea will commit provocations at sea at any time in order to achieve its political objectives.
      In this way, while East Asia’s maritime disputes and non-military threats are“soft” issues, they tend to be easily turned into“hard”issues due to historical problems, national sentiments, and political and military sensitivity; and these hard or soft issues are appearing with mixed qualities. That is, these are complex threats in which military and non-military factors are intertwined, and as these threats are likely to grow in mutual linkage with one another, it is inevitable that they exert tremendous influence on national security. Despite this security situation, because South Korea is focused on responding to the present threat of North Korea’s military, it has payed poor attention to the more fundamental task of protecting the national strategic interests. This is due to poor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maritime security threats in East Asia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the nation’s existence and interests because South Korea is de-facto maritime nation with practically no means to move out via land though it is geographically classified as a peninsula.
      In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is paper was written to explore the overall plan that South Korea must follow, including the national-level strategy for responding to East Asian maritime security threats, the maritime strategy and force development that the Republic of Korea (ROK) Navy must pursue, development of the Navy’s role, and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For this research, the following problems are raised. First, what is the nature of East Asia’s maritime disputes and non-military maritime security threats? Second, how is the maritime strategy of each regional power changing and developing? Third, how is North Korea’s naval power developing and what is its level of provocation?
      This research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ur national security and maritime strategies require a paradigm shift because maritime security is not subordinate to national security but is almost equal. For this,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by reassessing security threats and challenges in order to put emphasis on maritime security threat and develop our understanding of threats to maritime territoriality and sea lines of communication as threats to our vital interests.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I have proposed a“balanced maritime defensive strategy” as the ROK Navy’s maritime strategy. This is tailored through choices and focus and employs maritime control, maritime containment, and maritime cooperation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diverse maritime threats in East Asia.
      Second, to deal with the various maritime threats at the same time, the required ROK Navy forces must be urgently acquired. The appropriate level of naval power must as a priority be gained in order to have the forces be able to respond to crises related to Dokdo and Ieodo and to the maritime strategies of neighboring great powers while at the same time respond effectively against the North Korean threat.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s naval capabilities, there is a need to build social consensus based on the lessons of history on nav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의 해양은 인류에게 남은 마지막 자원의 보고로서 국가간의 이익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각축장이 되고 있으며 동아시아 해양도 예외가 아니다. 즉, 남중국 해역에서는 남사군도와 서사군도를 둘러싼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 간의 도서영유권 분쟁이 격화되고 있다. 동중국 해역에서는 센카쿠 열도 및 자원개발 문제로 일·중간의 심각한 분쟁이 있다. 동북아에서도 한·일간의 독도 영유권 문제와 한·중간에는 이어도 주변해역의 관할권 이견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일부 해역에서는 해적행위가 빈번히 발생하고 해상테러의 가능성이 높게 예견되고 있으며 대규모 자연재해, 해양오염, 불법어로 등도 발생하고 있어 동아시아의 해양은 초국가적 위협에도 취약한 상태에 있다.
      아울러 주변국들의 해양패권 다툼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 해군은 주변국에 정치적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해양투사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즉, 중국은 A2/AD 전략을 바탕으로 미국에 대항하여 동아시아의 해양패권을 장악하기 위해 강한 해군력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중국 해군의 해양작전 능력은 제1도련권 이내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2020년경에는 2~3개 항모전투단 확보와 함께 제2도련권으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과거 1,000해리 전수방위라는 수세적 개념에서 벗어나 그 범위와 강도를 역동적으로 전진시키는 동적방위 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신안보법을 제정하여 해상자위대의 활동 영역을 해외로 확대시키고 있다. 해상자위대는 경항모급의 대형함정을 비롯하여 최신예 함정을 건조하는 등 아·태 지역에서 미 7함대에 버금가는 규모로서 최첨단 해군력을 과시하고 있다.
      역외 패권국인 미국은 아・태 지역 중시 정책기조에 따라 재 균형 전략을 추진하면서 미 해군력의 60%를 동아시아에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 더구나 북한은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과 같은 고강도 수준의 도발에서부터 일시적인 북방한계선 월선에 이르기까지 위협의 수위를 조종하여 끊임없이 해상도발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등 비대칭 전력을 확보하고 미사일 발사와 핵 실험 등의 파급력이 큰 도발을 기습적으로 감행하고 있다. 앞으로도 북한은 한반도 안보정세를 고려하여 언제든지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 해상에서 도발을 감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동아시아의 해양분쟁 및 비군사적 해양안보 위협은‘연성적(軟性的)’성격의 이슈이면서도, 역사문제와 국민적 감정, 정치·군사적 민감성 때문에 쉽게‘경성적(硬性的)’으로 변질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경성적’혹은‘연성적’이슈가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즉 군사적·비군사적 요소가 직·간접적으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복합적 위협이고 이들 위협이 상호 연계되어 확대될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국가안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안보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라는 현존 위협 대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보다 근원적인 국가 전략적 이익 보호에 소홀한 측면이 있다. 이는 한국이 지형적으로 반도 국가이지만 지정학적으로는 육상진출이 거의 불가능하여 해양국가나 다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해양에서 발생하는 안보위협이 국가 존립과 이익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본 논문은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략과 한국 해군이 추구해야 할 해양전략 및 전력발전, 그리고 해군의 역할 발전, 해양안보 협력 등 종합적인 대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3가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동아시아의 해양분쟁 및 비군사적 해양안보 위협의 실체는 무엇이며, 그것이 한국의 해양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역내 주요국들의 해양전략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해군력은 어떠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가? 셋째, 우리나라의 안보와 직결된 북한의 해군력은 어떻게 발전하고 있으며 도발의 수위는 어떠한가?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로는 첫째, 오늘날 해양안보는 국가안보의 하위개념이 아니라, 거의 대등한 수준이므로 우리의 국가안보 전략과 해양전략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안보 전략은 안보위협과 도전요소를 재평가하여 해양안보에 대한 위협을 중시하고 무엇보다 해양영유권과 해상교통로에 대한 위협을 우리의 사활적 이익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연구자는 한국 해군의 해양전략으로‘균형적 해양방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전략은 동아시아의 다양한 해양안보 위협에 대응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해양통제, 해양견제, 해양협력 전략을 구사하는 맞춤형 전략이다.
      둘째, 동아시아의 다양한 해양안보 위협에 동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국 해군의 소요 전력은 요구 능력을 기반으로 시급히 확보되어야 한다. 주변 강대국들의 해양전략과 해군력 발전 그리고 독도 및 이어도 문제로 인한 위기 발생시 이에 대응할 수 있
      번역하기

      21세기의 해양은 인류에게 남은 마지막 자원의 보고로서 국가간의 이익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각축장이 되고 있으며 동아시아 해양도 예외가 아니다. 즉, 남중국 해역에서는 남사군도와 서사...

      21세기의 해양은 인류에게 남은 마지막 자원의 보고로서 국가간의 이익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각축장이 되고 있으며 동아시아 해양도 예외가 아니다. 즉, 남중국 해역에서는 남사군도와 서사군도를 둘러싼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 간의 도서영유권 분쟁이 격화되고 있다. 동중국 해역에서는 센카쿠 열도 및 자원개발 문제로 일·중간의 심각한 분쟁이 있다. 동북아에서도 한·일간의 독도 영유권 문제와 한·중간에는 이어도 주변해역의 관할권 이견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일부 해역에서는 해적행위가 빈번히 발생하고 해상테러의 가능성이 높게 예견되고 있으며 대규모 자연재해, 해양오염, 불법어로 등도 발생하고 있어 동아시아의 해양은 초국가적 위협에도 취약한 상태에 있다.
      아울러 주변국들의 해양패권 다툼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 해군은 주변국에 정치적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해양투사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즉, 중국은 A2/AD 전략을 바탕으로 미국에 대항하여 동아시아의 해양패권을 장악하기 위해 강한 해군력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중국 해군의 해양작전 능력은 제1도련권 이내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2020년경에는 2~3개 항모전투단 확보와 함께 제2도련권으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과거 1,000해리 전수방위라는 수세적 개념에서 벗어나 그 범위와 강도를 역동적으로 전진시키는 동적방위 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신안보법을 제정하여 해상자위대의 활동 영역을 해외로 확대시키고 있다. 해상자위대는 경항모급의 대형함정을 비롯하여 최신예 함정을 건조하는 등 아·태 지역에서 미 7함대에 버금가는 규모로서 최첨단 해군력을 과시하고 있다.
      역외 패권국인 미국은 아・태 지역 중시 정책기조에 따라 재 균형 전략을 추진하면서 미 해군력의 60%를 동아시아에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 더구나 북한은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과 같은 고강도 수준의 도발에서부터 일시적인 북방한계선 월선에 이르기까지 위협의 수위를 조종하여 끊임없이 해상도발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등 비대칭 전력을 확보하고 미사일 발사와 핵 실험 등의 파급력이 큰 도발을 기습적으로 감행하고 있다. 앞으로도 북한은 한반도 안보정세를 고려하여 언제든지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 해상에서 도발을 감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동아시아의 해양분쟁 및 비군사적 해양안보 위협은‘연성적(軟性的)’성격의 이슈이면서도, 역사문제와 국민적 감정, 정치·군사적 민감성 때문에 쉽게‘경성적(硬性的)’으로 변질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경성적’혹은‘연성적’이슈가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즉 군사적·비군사적 요소가 직·간접적으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복합적 위협이고 이들 위협이 상호 연계되어 확대될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국가안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안보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라는 현존 위협 대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보다 근원적인 국가 전략적 이익 보호에 소홀한 측면이 있다. 이는 한국이 지형적으로 반도 국가이지만 지정학적으로는 육상진출이 거의 불가능하여 해양국가나 다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해양에서 발생하는 안보위협이 국가 존립과 이익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본 논문은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략과 한국 해군이 추구해야 할 해양전략 및 전력발전, 그리고 해군의 역할 발전, 해양안보 협력 등 종합적인 대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3가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동아시아의 해양분쟁 및 비군사적 해양안보 위협의 실체는 무엇이며, 그것이 한국의 해양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역내 주요국들의 해양전략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해군력은 어떠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가? 셋째, 우리나라의 안보와 직결된 북한의 해군력은 어떻게 발전하고 있으며 도발의 수위는 어떠한가?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로는 첫째, 오늘날 해양안보는 국가안보의 하위개념이 아니라, 거의 대등한 수준이므로 우리의 국가안보 전략과 해양전략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안보 전략은 안보위협과 도전요소를 재평가하여 해양안보에 대한 위협을 중시하고 무엇보다 해양영유권과 해상교통로에 대한 위협을 우리의 사활적 이익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연구자는 한국 해군의 해양전략으로‘균형적 해양방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전략은 동아시아의 다양한 해양안보 위협에 대응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해양통제, 해양견제, 해양협력 전략을 구사하는 맞춤형 전략이다.
      둘째, 동아시아의 다양한 해양안보 위협에 동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국 해군의 소요 전력은 요구 능력을 기반으로 시급히 확보되어야 한다. 주변 강대국들의 해양전략과 해군력 발전 그리고 독도 및 이어도 문제로 인한 위기 발생시 이에 대응할 수 있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제1장 서 론∙∙∙∙∙∙∙∙∙∙∙∙∙∙∙∙∙∙∙∙∙∙∙∙∙∙∙∙∙∙∙∙∙∙∙∙∙∙∙∙∙∙∙∙∙∙∙∙∙∙∙∙∙∙∙∙∙∙∙∙∙∙∙∙∙∙∙∙∙∙∙∙∙∙∙∙∙∙∙∙∙∙∙∙∙1
      • 제1절 연구목적 및 문제의 제기∙∙∙∙∙∙∙∙∙∙∙∙∙∙∙∙∙∙∙∙∙∙∙∙∙∙∙∙∙∙∙∙∙∙∙∙∙∙∙∙∙∙∙∙∙∙∙∙∙∙∙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5
      • Abstract
      • 제1장 서 론∙∙∙∙∙∙∙∙∙∙∙∙∙∙∙∙∙∙∙∙∙∙∙∙∙∙∙∙∙∙∙∙∙∙∙∙∙∙∙∙∙∙∙∙∙∙∙∙∙∙∙∙∙∙∙∙∙∙∙∙∙∙∙∙∙∙∙∙∙∙∙∙∙∙∙∙∙∙∙∙∙∙∙∙∙1
      • 제1절 연구목적 및 문제의 제기∙∙∙∙∙∙∙∙∙∙∙∙∙∙∙∙∙∙∙∙∙∙∙∙∙∙∙∙∙∙∙∙∙∙∙∙∙∙∙∙∙∙∙∙∙∙∙∙∙∙∙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5
      •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9
      • 1. 연구의 범위∙∙∙∙∙∙∙∙∙∙∙∙∙∙∙∙∙∙∙∙∙∙∙∙∙∙∙∙∙∙∙∙∙∙∙∙∙∙∙∙∙∙∙∙∙∙∙∙∙∙∙∙∙∙∙∙∙∙∙∙∙∙∙∙∙∙∙∙∙∙∙∙∙∙∙9
      • 2. 연구의 방법∙∙∙∙∙∙∙∙∙∙∙∙∙∙∙∙∙∙∙∙∙∙∙∙∙∙∙∙∙∙∙∙∙∙∙∙∙∙∙∙∙∙∙∙∙∙∙∙∙∙∙∙∙∙∙∙∙∙∙∙∙∙∙∙∙∙∙∙∙∙∙∙∙10
      • 제2장 해양안보 및 분쟁, 해군력에 관한 이론적 고찰∙∙∙∙∙∙∙∙∙∙∙∙14
      • 제1절 해양안보의 의의∙∙∙∙∙∙∙∙∙∙∙∙∙∙∙∙∙∙∙∙∙∙∙∙∙∙∙∙∙∙∙∙∙∙∙∙∙∙∙∙∙∙∙∙∙∙∙∙∙∙∙∙∙∙∙∙∙∙∙∙∙∙∙∙14
      • 1. 안보의 개념∙∙∙∙∙∙∙∙∙∙∙∙∙∙∙∙∙∙∙∙∙∙∙∙∙∙∙∙∙∙∙∙∙∙∙∙∙∙∙∙∙∙∙∙∙∙∙∙∙∙∙∙∙∙∙∙∙∙∙∙∙∙∙∙∙∙∙∙∙∙∙∙∙14
      • 2. 국가안보의 개념∙∙∙∙∙∙∙∙∙∙∙∙∙∙∙∙∙∙∙∙∙∙∙∙∙∙∙∙∙∙∙∙∙∙∙∙∙∙∙∙∙∙∙∙∙∙∙∙∙∙∙∙∙∙∙∙∙∙∙∙∙∙∙∙∙14
      • 3. 해양안보의 개념∙∙∙∙∙∙∙∙∙∙∙∙∙∙∙∙∙∙∙∙∙∙∙∙∙∙∙∙∙∙∙∙∙∙∙∙∙∙∙∙∙∙∙∙∙∙∙∙∙∙∙∙∙∙∙∙∙∙∙∙∙∙∙∙∙17
      • 4. 해양안보의 중요성∙∙∙∙∙∙∙∙∙∙∙∙∙∙∙∙∙∙∙∙∙∙∙∙∙∙∙∙∙∙∙∙∙∙∙∙∙∙∙∙∙∙∙∙∙∙∙∙∙∙∙∙∙∙∙∙∙∙∙∙∙20
      • 제2절 해양분쟁의 의의∙∙∙∙∙∙∙∙∙∙∙∙∙∙∙∙∙∙∙∙∙∙∙∙∙∙∙∙∙∙∙∙∙∙∙∙∙∙∙∙∙∙∙∙∙∙∙∙∙∙∙∙∙∙∙∙∙∙∙∙∙∙∙∙24
      • 1. 해양분쟁의 개념∙∙∙∙∙∙∙∙∙∙∙∙∙∙∙∙∙∙∙∙∙∙∙∙∙∙∙∙∙∙∙∙∙∙∙∙∙∙∙∙∙∙∙∙∙∙∙∙∙∙∙∙∙∙∙∙∙∙∙∙∙∙∙∙∙24
      • 2. 해양분쟁의 위협 유형∙∙∙∙∙∙∙∙∙∙∙∙∙∙∙∙∙∙∙∙∙∙∙∙∙∙∙∙∙∙∙∙∙∙∙∙∙∙∙∙∙∙∙∙∙∙∙∙∙∙∙∙∙∙∙∙26
      • 2. 분쟁의 진행 및 해결방법∙∙∙∙∙∙∙∙∙∙∙∙∙∙∙∙∙∙∙∙∙∙∙∙∙∙∙∙∙∙∙∙∙∙∙∙∙∙∙∙∙∙∙∙∙∙∙∙∙∙28
      • 제3절 해군력의 역할∙∙∙∙∙∙∙∙∙∙∙∙∙∙∙∙∙∙∙∙∙∙∙∙∙∙∙∙∙∙∙∙∙∙∙∙∙∙∙∙∙∙∙∙∙∙∙∙∙∙∙∙∙∙∙∙∙∙∙∙∙∙∙∙∙∙∙∙∙31
      • 1. 탈 냉전기 이전 해군력의 역할∙∙∙∙∙∙∙∙∙∙∙∙∙∙∙∙∙∙∙∙∙∙∙∙∙∙∙∙∙∙∙∙∙∙∙∙∙∙∙∙∙31
      • 2. 세계화 시대 해군력의 역할∙∙∙∙∙∙∙∙∙∙∙∙∙∙∙∙∙∙∙∙∙∙∙∙∙∙∙∙∙∙∙∙∙∙∙∙∙∙∙∙∙∙∙∙∙∙32
      • 3. 국제분쟁 시 해군력의 역할∙∙∙∙∙∙∙∙∙∙∙∙∙∙∙∙∙∙∙∙∙∙∙∙∙∙∙∙∙∙∙∙∙∙∙∙∙∙∙∙∙∙∙∙∙∙34
      • 제3장 동아시아의 해양분쟁 및 비군사적 해양안보 위협∙∙∙∙∙∙35
      • 제1절 남·동 중국해 해양분쟁에 따른 해양안보 위협∙∙∙∙∙∙∙∙∙∙∙∙35
      • 1. 남중국해 분쟁∙∙∙∙∙∙∙∙∙∙∙∙∙∙∙∙∙∙∙∙∙∙∙∙∙∙∙∙∙∙∙∙∙∙∙∙∙∙∙∙∙∙∙∙∙∙∙∙∙∙∙∙∙∙∙∙∙∙∙∙∙∙∙∙∙∙∙∙∙35
      • 2. 동중국해 분쟁∙∙∙∙∙∙∙∙∙∙∙∙∙∙∙∙∙∙∙∙∙∙∙∙∙∙∙∙∙∙∙∙∙∙∙∙∙∙∙∙∙∙∙∙∙∙∙∙∙∙∙∙∙∙∙∙∙∙∙∙∙∙∙∙∙∙∙∙∙45
      • 제2절 한반도 주변의 해양안보 위협∙∙∙∙∙∙∙∙∙∙∙∙∙∙∙∙∙∙∙∙∙∙∙∙∙∙∙∙∙∙∙∙∙∙∙∙∙∙∙∙51
      • 1. 독도 영유권∙∙∙∙∙∙∙∙∙∙∙∙∙∙∙∙∙∙∙∙∙∙∙∙∙∙∙∙∙∙∙∙∙∙∙∙∙∙∙∙∙∙∙∙∙∙∙∙∙∙∙∙∙∙∙∙∙∙∙∙∙∙∙∙∙∙∙∙∙∙∙∙∙51
      • 2. 이어도 관할권∙∙∙∙∙∙∙∙∙∙∙∙∙∙∙∙∙∙∙∙∙∙∙∙∙∙∙∙∙∙∙∙∙∙∙∙∙∙∙∙∙∙∙∙∙∙∙∙∙∙∙∙∙∙∙∙∙∙∙∙∙∙∙∙∙∙∙∙∙59
      • 3. 한국과 주변국간 대륙붕 및 EEZ 경계획정∙∙∙∙∙∙∙∙∙∙∙∙∙∙∙∙∙∙∙∙64
      • 제3절 초국가적 해양안보 위협∙∙∙∙∙∙∙∙∙∙∙∙∙∙∙∙∙∙∙∙∙∙∙∙∙∙∙∙∙∙∙∙∙∙∙∙∙∙∙∙∙∙∙∙∙∙∙∙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정건, "『국제법』", 화학사, (서울 : 박영사), 1990

      2 류병화, "『국제법 Ⅱ』", 법문사, (서울 : 법문사), 2000

      3 이광보, "『국가안보론』", 진영사, (인천 : 진영사), 2010

      4 박문각, "『시사상식사전』", (서울 : 박문각 출판사), 2014

      5 강영오, "“균형해군 발전론”", 『STRATEGY 21』, Vol. 14, No. 1,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1), 2011

      6 박인태, "『해양자원과 활용』", 학문사, (서울 : 학문사), 1997

      7 권오엽, "『독도논문 번역선 2』", 다다미디어, (서울 : 다다미디어), 2005

      8 박남태, "21세기 동북아 해양전략", (서울 : 북코리아), 2015

      9 김종두, "『동아시아 해양분쟁』", 문영사, (서울 : 문영사), 1997

      10 이경호, 정승진, "『바다와 국가의 정책』", (서울 : 학현사), 2001

      1 김정건, "『국제법』", 화학사, (서울 : 박영사), 1990

      2 류병화, "『국제법 Ⅱ』", 법문사, (서울 : 법문사), 2000

      3 이광보, "『국가안보론』", 진영사, (인천 : 진영사), 2010

      4 박문각, "『시사상식사전』", (서울 : 박문각 출판사), 2014

      5 강영오, "“균형해군 발전론”", 『STRATEGY 21』, Vol. 14, No. 1,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1), 2011

      6 박인태, "『해양자원과 활용』", 학문사, (서울 : 학문사), 1997

      7 권오엽, "『독도논문 번역선 2』", 다다미디어, (서울 : 다다미디어), 2005

      8 박남태, "21세기 동북아 해양전략", (서울 : 북코리아), 2015

      9 김종두, "『동아시아 해양분쟁』", 문영사, (서울 : 문영사), 1997

      10 이경호, 정승진, "『바다와 국가의 정책』", (서울 : 학현사), 2001

      11 배형수, 제프리, "틸 저, 「21세기 해양력」",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1

      12 고명석, "“해상테러 및 해상강도”", 『해양의 국제법과 정치』, 한국해로연구회(편), (서울 : 도서출판 오름), 2011

      13 김영구,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효성, (서울 : 효성출판사), 1999

      14 송영심, "『일본의 역사왜곡 21가지』", 미르북스, (서울 : 산호와 진주), 2005

      15 박경일, "『세계안보의 관점과 전략』", 창조문화, (서울 : 창조문화), 2009

      16 심재설, "“해양과학의 보고, 이어도”", 『이어도, 지금 우리에게 무엇인가』, 국회 정책토론회 발표논문집, 2007

      17 전경만, 조기형, "비군사적 위협과 한국군 변환", 한국국방연구원, (서울 : 국방연구원), 2009

      18 반길주, "『국제 현실정치의 바다전략』",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5

      19 제성호, "“정전협정 60년 NLL과 서북도서”", 『STRATEGY 21』, 통권 31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3

      20 김정현, "“한국해군이 지향할 해양전략”", 『전투발전연구』, 제16호, (대전 : 해군본부), 2009

      21 임인수, "“북한의 군사위협 평가와 전망”",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4

      22 곽진오, "“일본의 독도 인식을 중심으로”", 『독도와 한 일 관계』, (서울 : 지식산업사), 2010

      23 김기주, "“일본의 해양전략 평가와 전망”",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4

      24 이정태, "남사군도 영토분쟁과 중국의 대응", 『선주논총』, 제5집, (구미 : 금오공대 선주문화연구소), 2002

      25 차도회, "“동아시아 미 중 해양패권 분석”", (대전 : 한남대학교), 2012

      26 유철종,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영토분쟁』", (서울 : 삼우사), 2007

      27 백병선, 윤종준, "한국의 안보 변화 위협에 대한 전망", 『국제문제연구』, 제15권 4호, (서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28 정태권, "“북극해 항로개발의 현황과 과제”", 제7회 세계해양포럼, 2013

      29 이서항, "“아 태지역 해양문제와 지역안보”", 외교안보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 (서울 : 외교안보연구원), 1999

      30 이정훈, "『동아시아, 인식지평과 실천공간』", 아연출판부, (서울 : 아연출판부), 2010

      31 동아닷컴, "“일본 방위백서 독도 영유권 주장”", 년 7월 21일, 2015

      32 목진용, "“우리나라 해앙방제체계 개편방안”",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 학술표회 자료, (목포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33 문근식, "“치명적 위협 북한 SLBM에 대비하라”",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 통권 제386호, (서울 : 평화문제연구소), 2016

      34 김덕기, "“한국해군의 해상교통로 보호방안”", 제1회 해양전략 심포지움,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4

      35 김강녕, "“동북아의 해양분쟁과 한국의 안보”", 한국군사학회, 『군사논단』, 제29호, (서울 : 한국군사학회), 2001

      36 이서항, "“동아시아 해로안보와 해군의 역할”", 『STRATEGY 21』,통권 25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0

      37 박창권, "“동아시아 해양안보 현안과 시사점”",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 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4

      38 김주환, "“중국군 30만명 감축의 전략적 함의”", 『국회보 10월호』, (서울 : 국회사무처), 2015

      39 김영구, "『이어도 문제의 해양법적 해결방법』", 동북아역사재단,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08

      40 박형중, 전성훈, "Trustpolitik : 박근혜 정부의 국가안보전략", 통일연구원, (서울 : 통일연구원), 2013

      41 제성호, "“북방한계선(NLL)의 법적성격과 유효성”", 『제9회 충성대 학술세미나』, (영천 : 육군 3사관학교), 2004

      42 김강녕, "“이어도 해양영토 분쟁과 한국의 대응”", 『전투발전연구』, 제22호, (대전 : 해군본부), 2015

      43 김용환, "“한국 국방정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대전 : 한남대학교), 2013

      44 양희철, "“해양자원, 국가성장의 방향을 바꾸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45 김종하, "『국가안보전략 어떻게 수립해야 하나?』", 글누리, (대전 : 한남대학교), 2012

      46 박창권, "한중일 안보협력의 여건과 향후 발전방향",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정책연구』, 제31권 제2호, 통권 제108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47 조영주, "“국가비상사태 대비 해군전력 증강방안”", 『현 안보환경과 평가와 한국 해군력 발전방향』, 제17회 함상토론회, (대전 : 해군본부), 2016

      48 정임재, "“동북아 세력경쟁질서와 해양변수 연구”", (경기 : 경기대학교), 2014

      49 강량, 임수환, "“중국의 해양세력화와 한국의 해양안보”", 한국세계지역학회, 『세계지역연구 논총』, 26집 3호, (서울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8

      50 이춘근, "“미국의 동아시아 해군력 변동현황 분석”", 『동아시아의 해양분쟁과 해군력 증강현황』,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1998

      51 변창구,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남중국해 분쟁”", 『한국 동북아논총』, 71호, (서울 : 한국동북아 학회), 2014

      52 박영준, "“21세기 일본의 해양질서 구상과 해양정책,”", 『외교안보연구』, 제8 권 제1호, (서울 : 외교안보연구소), 2012

      53 전창빈, "“대한민국 해양전략과 해군력 선진화 방향”", (서울 : 서울벤처대학원 대학교), 2012

      54 김만수, "“도서영유권 분쟁과 한국의 독도 대응전략”", (서울 : 고려대학교), 2009

      55 김태호, "『동아시아 주요 해양분쟁과 중국의 군사력』",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5

      56 이서항, "“동아시아 해양분쟁과 지역 평화 구축의길 ”", 『옥포지』, 105호, (서울 : 해군사관학교 총동창회), 2016

      57 최병학, "“해양영토 분쟁과 독도 영유권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제 14권 제2호, (서울 :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

      58 배기찬, 이남주, "“동아시아공동체 추진과 민족주의 극복방안”",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의 현황과 전망』,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09

      59 김교덕, "“동아시아 해양분쟁과 안보협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서울 : 단국대학교), 2006

      60 박성용, "“북한의 해양 비대칭 전력과 한국의 해양안보”", 한국정치정보학회, 『정치정보연구』, 제14권 2호, (서울 : 한국 정치정보학회), 2011

      61 김호춘, "“서해북방한계선(NLL)의 법적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정보 보안 논문지』, (경기 : 한국융합 보안학회), 2013

      62 김민석, "“워싱턴체제의 성립과정과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 고려대학교), 2002

      63 정철호, "“중 CADIZ 설정과 한국의 KADIZ 확대에 따른 과제”", 『정세와 정책통권』, 215호, (서울 : 세종연구소), 2014

      64 최병학, "“동북아지역 해양영토분쟁과 한국의 해양안보”", 『해양전략』, 제 154호, (대전 : 합동군사대학), 2012

      65 이근석, "“한반도 안보환경변화와 국방정책의 발전방향”", (경기 : 인하대학교), 2004

      66 이서항, "“해군 해경간 상호 운용성 증진 세미나 개회사”", 『해군 해경간 상호 운용성 증진 세미나 발표논문집』, (대전 : 해군본부), 2015

      67 신용하, "『한․일간 독도 영유권 논쟁의 역사와 그 쟁점』", 2002년(사) 4월회․ 독도학회 공동심포지엄 발제문, 2002

      68 박영준, "동아시아 해양안보의 현황과 다자간 해양협력방안", 제주평화연구원, 『JPI 정책포럼』, (제주 : 제주평화연구원), 2012

      69 김기주, 손경호, "“다차원적 해양안보 위협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국제 문제연구』, 통권49호, (서울 : 국가안보전략 연구소), 2013

      70 고봉준, "“독도 이어도 해양영토 분쟁과 한국의 복합대응”", 『한국정치연구』, 제22집 제1호, (서울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3

      71 배진수, "“동아시아 지역의 해양영토 분쟁 : 배경 및 현황”", 『Strategy 21』, 12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3

      72 손기섭, "“일본과 인접국 간의 해양자원 확보 및 영토분쟁”",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6

      73 구민교, "“미 중간 신해양 경쟁과 우리나라의 해양안보정책”", 『주요 국제 문제 분석』, No. 2013-30, (서울 : 외교안보연구소), 2013

      74 박창권, "“북한 핵위협 현실화를 고려한 군사전략 발전방향”", 『주간국방논단』, 제1586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75 김현수, "“한반도 주변수역의 해양경계선 획정에 관한 연구”", 「해양 연구 논총」, 제19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1997

      76 이 근, "해양안보 협력의 국제적 발전추세와 해군의 역할 확대", 『Strategy 21』, 통권29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77 신강석,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요인과 한국의 대비과제”", 『사회과학연구』, 18호, (서울 : 숭실대 사회과학연구소), 2015

      78 박성용, "“변화하는 동북아 해양안보환경과 한국안보의 방향”",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동북아 국제 정세와 한반도 통일문제』, (광주 :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10

      79 박창희, "“강대국 및 약소국 해양전략사상과 한국의 해군전략”", 『국가전략』, 통권 제62호, (서울 : 세종연구소), 2012

      80 강희각, "“한 중 일 해양분쟁 심화요인과 그 함의에 관한 연구”", (대전 : 한남대학교), 2013

      81 정갑용, "『중․일간 동중국해 대륙붕 분쟁과 우리의 정책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산 : 한국 해양수산개발원), 2006

      82 심경욱, "“국가안보 차원에서 본 기후변화와 한국 해군의 대응”", (해군작전사 발표자료), 2013

      83 이용희, "“국제판례상 실효적 지배의 개념과 독도에 관한 고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5 no.4, (안산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84 양정승, "“설득이론을 통한 해군력의 정치적 사용에 관한 고찰”", 『Strategy 21』, 통권 30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85 정갑용, "“중국이 주장하는 남중국해 ‘9단선’의 합법성 검토”", 『독도연구』, 제16호, (대구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4

      86 정삼만, "“해상교통로의 국가 경제적 영향에 관한 계량적 분석”", 『해양연구 논총』, 41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2009

      87 임경한, 최종호, 제프리, "틸 저, 『아시아의 해군력 팽창 군비경쟁의 서막 인가?』",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null

      88 조한길, "“동북아 해양안보환경의 변화와 한국해군의 대응전략”", 『해군대학연구논문』, (대전 : 합동군사대학), 2004

      89 김정현, 박광융, "“중국의 해양영토분쟁이 대한민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 『해양연구논총』, 제44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2013

      90 송성대, "“한 중 간 이어도해 영유권 분쟁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제3호, (서울 : 대한지리학회), 2010

      91 양희철, "“ 중국 ADIZ의 국제법적 해석과 동북아 안보에서의 함의 ”", 대한국제법학회, 『국제법학회 논총』, 제59권 4호, (서울 : 대한국제법학회), 2014

      92 양희철, "“정부의 동북아 평화협력구상과 해양을 통한 이행방안,”", 해양환경안전학회, (사)해양환경 안전학회 추계 학술발표회, (목포 : 목포해양대학교), 2015

      93 박창권, "“해양안보 위협확산에 따른 한국해군의 역할 확대 방안”", 『STRA TEGY 21』, 통권 31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3

      94 백성호, "“북극항로 시대 해군의 역할과 해군력 발전에 관한 연구”", 『STRATEGY 21』, 통권 35호 ,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3

      95 박성용 ( Seong Yong Park ), 김창희 ( Chang Hee Kim ), "동북아시아 해양안보환경과 해양신뢰구축에서 한국의 역할", 한국동북아학회, 『한국 동북아논총』, 76호, (서울 : 한국동북아학회), 2015

      96 임인수, "역, 고르시코프 저, 『국가의 해양력(The Sea Power of the State)』", (서울 : 책세상), 1999

      97 이지용, "“중국의 국가정체성 진화와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변화”",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국제 관계연구』, 제19권 통권 36호, (서울 :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98 신인균, "“국가의 해양주권 수호를 위한 한국해군의 전력건설 방향”", 『STRATEGY 21』, 통권 제30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99 박영길, "“필리핀의 중국 상대 남중국해 분쟁 중재재판소 회부문제”", 『독도연구저널』, Vol. 21 (부산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

      100 박창권, "“미국 아시아 태평양 해양안보 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주간국방논단』, 제1594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101 박영준, "“역내 해양협력 및 신뢰증진을 위한 한국 해군의 기여방안”", 『STRATEGY 21』, 통권30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102 이장훈, "“남중국해의 파고가 거칠어지고 있다,『국방저널』,통권 제436호", (서울 : 국방홍보원), 2010

      103 포커스, "뉴스,“군 경 유엔사, 한강하구서 불법조업 중국어선 합동 단속”", 년 6월 10일, 2016

      104 윤석준, "“동남아‧서남아․오세아니아의 전략적 딜레마와 해군력 현대화”",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4

      105 배진석, "“양분화 이론으로 본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질서와 해군력의 역할”", (부산 : 동아대학교), 2011

      106 이홍표, "“조어도 영유권 분쟁과 중 일관계 : 에너지 안보와 민족주의 측면”", 『STRATEGY 21』, 제15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5

      107 김진욱, 양희철, "“조어대(센카쿠열도)의 영유권 분쟁과 당사국간 법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6 no.3, (안산 : 한국해양과 학기술원), 2014

      108 이상진, 정상만, "국제 해양안보 협력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해양연구논총』, 42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2011

      109 김진욱, "“동북아시아 도서영유권 분쟁의 법적 쟁점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목포 : 목포대학교출판부), 2013

      110 허성필, "“공존기/통일기 주변국 해군력 발전전망 및 평가(정책연구보고서 03-1975)",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3

      111 김정현, "대륙국가의 해군력 건설 요인에 관한 연구 : 소련(러시아)․중국 사례비교", (서울 : 연세대학교), 2004

      112 고경민, "“이어도 분쟁의 가능성과 대응방안 : 중국의 민족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국제문제연구』, Vol.14 No. 2, (서울 : 국가안보전략 연구소), 2014

      113 문광건, 엄태암, "비군사적 위협에 대한 평가와 정책적 대응방향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02 –1829)",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2

      114 백병선, "한국의 해상교통로에 대한 초국가적 위협의 분석 및 향후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세종연구소, 『국가전략』, 제16권 3호, (서울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0

      115 정철호, "‘미국과 중국의 동아시아 해양전략과 한국의 해양안보’『세종정책연구』, 2012-B", (서울 : 세종연구소), 2012

      116 허성필, "“최근 일본의 방위력 증강 동향과 안보적 시사점 : 해상자위대 전력을 중심으로”", 『주간국방논단』, 제1497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4

      117 안병준, "“공세적 현실주의의 군사적 재해석을 통한 한국형 기동함대 적기 전력화에 관한 연구”", (대전 : 한남대학교), 2015

      118 임경한, "“공격적 현실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미국과 중국의 동아시아 해양안보 경쟁전 망과 함의”", 『해양전략』, 제149호, (대전 : 합동군사대학), 2011

      119 임경한, "“미국의 아시아 중시 전략에 따른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전망,『동북아연구』, 제28권 2호", (광주 : 조선대학), null

      120 배진석, 이승렬, "“양분화된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질서와 해군력의 역할,『21 세기 정치학회 회보』, 21권 1호", (서울 : 21세기 정치학회), 2011

      121 배진수,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해양영토 분쟁의 배경 및 현황 : 동해, 서해 및 일 러간 해양분쟁”", 『Strategy 21』,Vol 6, No. 2, (서울 : 한국해양 전략연구소),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