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정건, "『국제법』", 화학사, (서울 : 박영사), 1990
2 류병화, "『국제법 Ⅱ』", 법문사, (서울 : 법문사), 2000
3 이광보, "『국가안보론』", 진영사, (인천 : 진영사), 2010
4 박문각, "『시사상식사전』", (서울 : 박문각 출판사), 2014
5 강영오, "“균형해군 발전론”", 『STRATEGY 21』, Vol. 14, No. 1,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1), 2011
6 박인태, "『해양자원과 활용』", 학문사, (서울 : 학문사), 1997
7 권오엽, "『독도논문 번역선 2』", 다다미디어, (서울 : 다다미디어), 2005
8 박남태, "21세기 동북아 해양전략", (서울 : 북코리아), 2015
9 김종두, "『동아시아 해양분쟁』", 문영사, (서울 : 문영사), 1997
10 이경호, 정승진, "『바다와 국가의 정책』", (서울 : 학현사), 2001
11 배형수, 제프리, "틸 저, 「21세기 해양력」",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1
12 고명석, "“해상테러 및 해상강도”", 『해양의 국제법과 정치』, 한국해로연구회(편), (서울 : 도서출판 오름), 2011
13 김영구,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효성, (서울 : 효성출판사), 1999
14 송영심, "『일본의 역사왜곡 21가지』", 미르북스, (서울 : 산호와 진주), 2005
15 박경일, "『세계안보의 관점과 전략』", 창조문화, (서울 : 창조문화), 2009
16 심재설, "“해양과학의 보고, 이어도”", 『이어도, 지금 우리에게 무엇인가』, 국회 정책토론회 발표논문집, 2007
17 전경만, 조기형, "비군사적 위협과 한국군 변환", 한국국방연구원, (서울 : 국방연구원), 2009
18 반길주, "『국제 현실정치의 바다전략』",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5
19 제성호, "“정전협정 60년 NLL과 서북도서”", 『STRATEGY 21』, 통권 31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3
20 김정현, "“한국해군이 지향할 해양전략”", 『전투발전연구』, 제16호, (대전 : 해군본부), 2009
21 임인수, "“북한의 군사위협 평가와 전망”",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4
22 곽진오, "“일본의 독도 인식을 중심으로”", 『독도와 한 일 관계』, (서울 : 지식산업사), 2010
23 김기주, "“일본의 해양전략 평가와 전망”",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4
24 이정태, "남사군도 영토분쟁과 중국의 대응", 『선주논총』, 제5집, (구미 : 금오공대 선주문화연구소), 2002
25 차도회, "“동아시아 미 중 해양패권 분석”", (대전 : 한남대학교), 2012
26 유철종,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영토분쟁』", (서울 : 삼우사), 2007
27 백병선, 윤종준, "한국의 안보 변화 위협에 대한 전망", 『국제문제연구』, 제15권 4호, (서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28 정태권, "“북극해 항로개발의 현황과 과제”", 제7회 세계해양포럼, 2013
29 이서항, "“아 태지역 해양문제와 지역안보”", 외교안보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 (서울 : 외교안보연구원), 1999
30 이정훈, "『동아시아, 인식지평과 실천공간』", 아연출판부, (서울 : 아연출판부), 2010
31 동아닷컴, "“일본 방위백서 독도 영유권 주장”", 년 7월 21일, 2015
32 목진용, "“우리나라 해앙방제체계 개편방안”",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 학술표회 자료, (목포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33 문근식, "“치명적 위협 북한 SLBM에 대비하라”",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 통권 제386호, (서울 : 평화문제연구소), 2016
34 김덕기, "“한국해군의 해상교통로 보호방안”", 제1회 해양전략 심포지움,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4
35 김강녕, "“동북아의 해양분쟁과 한국의 안보”", 한국군사학회, 『군사논단』, 제29호, (서울 : 한국군사학회), 2001
36 이서항, "“동아시아 해로안보와 해군의 역할”", 『STRATEGY 21』,통권 25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0
37 박창권, "“동아시아 해양안보 현안과 시사점”",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 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4
38 김주환, "“중국군 30만명 감축의 전략적 함의”", 『국회보 10월호』, (서울 : 국회사무처), 2015
39 김영구, "『이어도 문제의 해양법적 해결방법』", 동북아역사재단,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08
40 박형중, 전성훈, "Trustpolitik : 박근혜 정부의 국가안보전략", 통일연구원, (서울 : 통일연구원), 2013
41 제성호, "“북방한계선(NLL)의 법적성격과 유효성”", 『제9회 충성대 학술세미나』, (영천 : 육군 3사관학교), 2004
42 김강녕, "“이어도 해양영토 분쟁과 한국의 대응”", 『전투발전연구』, 제22호, (대전 : 해군본부), 2015
43 김용환, "“한국 국방정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대전 : 한남대학교), 2013
44 양희철, "“해양자원, 국가성장의 방향을 바꾸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45 김종하, "『국가안보전략 어떻게 수립해야 하나?』", 글누리, (대전 : 한남대학교), 2012
46 박창권, "한중일 안보협력의 여건과 향후 발전방향",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정책연구』, 제31권 제2호, 통권 제108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47 조영주, "“국가비상사태 대비 해군전력 증강방안”", 『현 안보환경과 평가와 한국 해군력 발전방향』, 제17회 함상토론회, (대전 : 해군본부), 2016
48 정임재, "“동북아 세력경쟁질서와 해양변수 연구”", (경기 : 경기대학교), 2014
49 강량, 임수환, "“중국의 해양세력화와 한국의 해양안보”", 한국세계지역학회, 『세계지역연구 논총』, 26집 3호, (서울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8
50 이춘근, "“미국의 동아시아 해군력 변동현황 분석”", 『동아시아의 해양분쟁과 해군력 증강현황』,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1998
51 변창구,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남중국해 분쟁”", 『한국 동북아논총』, 71호, (서울 : 한국동북아 학회), 2014
52 박영준, "“21세기 일본의 해양질서 구상과 해양정책,”", 『외교안보연구』, 제8 권 제1호, (서울 : 외교안보연구소), 2012
53 전창빈, "“대한민국 해양전략과 해군력 선진화 방향”", (서울 : 서울벤처대학원 대학교), 2012
54 김만수, "“도서영유권 분쟁과 한국의 독도 대응전략”", (서울 : 고려대학교), 2009
55 김태호, "『동아시아 주요 해양분쟁과 중국의 군사력』",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5
56 이서항, "“동아시아 해양분쟁과 지역 평화 구축의길 ”", 『옥포지』, 105호, (서울 : 해군사관학교 총동창회), 2016
57 최병학, "“해양영토 분쟁과 독도 영유권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제 14권 제2호, (서울 :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
58 배기찬, 이남주, "“동아시아공동체 추진과 민족주의 극복방안”",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의 현황과 전망』,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09
59 김교덕, "“동아시아 해양분쟁과 안보협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서울 : 단국대학교), 2006
60 박성용, "“북한의 해양 비대칭 전력과 한국의 해양안보”", 한국정치정보학회, 『정치정보연구』, 제14권 2호, (서울 : 한국 정치정보학회), 2011
61 김호춘, "“서해북방한계선(NLL)의 법적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보안학회, 『정보 보안 논문지』, (경기 : 한국융합 보안학회), 2013
62 김민석, "“워싱턴체제의 성립과정과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 고려대학교), 2002
63 정철호, "“중 CADIZ 설정과 한국의 KADIZ 확대에 따른 과제”", 『정세와 정책통권』, 215호, (서울 : 세종연구소), 2014
64 최병학, "“동북아지역 해양영토분쟁과 한국의 해양안보”", 『해양전략』, 제 154호, (대전 : 합동군사대학), 2012
65 이근석, "“한반도 안보환경변화와 국방정책의 발전방향”", (경기 : 인하대학교), 2004
66 이서항, "“해군 해경간 상호 운용성 증진 세미나 개회사”", 『해군 해경간 상호 운용성 증진 세미나 발표논문집』, (대전 : 해군본부), 2015
67 신용하, "『한․일간 독도 영유권 논쟁의 역사와 그 쟁점』", 2002년(사) 4월회․ 독도학회 공동심포지엄 발제문, 2002
68 박영준, "동아시아 해양안보의 현황과 다자간 해양협력방안", 제주평화연구원, 『JPI 정책포럼』, (제주 : 제주평화연구원), 2012
69 김기주, 손경호, "“다차원적 해양안보 위협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국제 문제연구』, 통권49호, (서울 : 국가안보전략 연구소), 2013
70 고봉준, "“독도 이어도 해양영토 분쟁과 한국의 복합대응”", 『한국정치연구』, 제22집 제1호, (서울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3
71 배진수, "“동아시아 지역의 해양영토 분쟁 : 배경 및 현황”", 『Strategy 21』, 12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3
72 손기섭, "“일본과 인접국 간의 해양자원 확보 및 영토분쟁”",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6
73 구민교, "“미 중간 신해양 경쟁과 우리나라의 해양안보정책”", 『주요 국제 문제 분석』, No. 2013-30, (서울 : 외교안보연구소), 2013
74 박창권, "“북한 핵위협 현실화를 고려한 군사전략 발전방향”", 『주간국방논단』, 제1586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75 김현수, "“한반도 주변수역의 해양경계선 획정에 관한 연구”", 「해양 연구 논총」, 제19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1997
76 이 근, "해양안보 협력의 국제적 발전추세와 해군의 역할 확대", 『Strategy 21』, 통권29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77 신강석,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요인과 한국의 대비과제”", 『사회과학연구』, 18호, (서울 : 숭실대 사회과학연구소), 2015
78 박성용, "“변화하는 동북아 해양안보환경과 한국안보의 방향”",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동북아 국제 정세와 한반도 통일문제』, (광주 :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10
79 박창희, "“강대국 및 약소국 해양전략사상과 한국의 해군전략”", 『국가전략』, 통권 제62호, (서울 : 세종연구소), 2012
80 강희각, "“한 중 일 해양분쟁 심화요인과 그 함의에 관한 연구”", (대전 : 한남대학교), 2013
81 정갑용, "『중․일간 동중국해 대륙붕 분쟁과 우리의 정책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산 : 한국 해양수산개발원), 2006
82 심경욱, "“국가안보 차원에서 본 기후변화와 한국 해군의 대응”", (해군작전사 발표자료), 2013
83 이용희, "“국제판례상 실효적 지배의 개념과 독도에 관한 고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5 no.4, (안산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84 양정승, "“설득이론을 통한 해군력의 정치적 사용에 관한 고찰”", 『Strategy 21』, 통권 30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85 정갑용, "“중국이 주장하는 남중국해 ‘9단선’의 합법성 검토”", 『독도연구』, 제16호, (대구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4
86 정삼만, "“해상교통로의 국가 경제적 영향에 관한 계량적 분석”", 『해양연구 논총』, 41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2009
87 임경한, 최종호, 제프리, "틸 저, 『아시아의 해군력 팽창 군비경쟁의 서막 인가?』",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null
88 조한길, "“동북아 해양안보환경의 변화와 한국해군의 대응전략”", 『해군대학연구논문』, (대전 : 합동군사대학), 2004
89 김정현, 박광융, "“중국의 해양영토분쟁이 대한민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 『해양연구논총』, 제44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2013
90 송성대, "“한 중 간 이어도해 영유권 분쟁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제3호, (서울 : 대한지리학회), 2010
91 양희철, "“ 중국 ADIZ의 국제법적 해석과 동북아 안보에서의 함의 ”", 대한국제법학회, 『국제법학회 논총』, 제59권 4호, (서울 : 대한국제법학회), 2014
92 양희철, "“정부의 동북아 평화협력구상과 해양을 통한 이행방안,”", 해양환경안전학회, (사)해양환경 안전학회 추계 학술발표회, (목포 : 목포해양대학교), 2015
93 박창권, "“해양안보 위협확산에 따른 한국해군의 역할 확대 방안”", 『STRA TEGY 21』, 통권 31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3
94 백성호, "“북극항로 시대 해군의 역할과 해군력 발전에 관한 연구”", 『STRATEGY 21』, 통권 35호 ,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3
95 박성용 ( Seong Yong Park ), 김창희 ( Chang Hee Kim ), "동북아시아 해양안보환경과 해양신뢰구축에서 한국의 역할", 한국동북아학회, 『한국 동북아논총』, 76호, (서울 : 한국동북아학회), 2015
96 임인수, "역, 고르시코프 저, 『국가의 해양력(The Sea Power of the State)』", (서울 : 책세상), 1999
97 이지용, "“중국의 국가정체성 진화와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변화”",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국제 관계연구』, 제19권 통권 36호, (서울 :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98 신인균, "“국가의 해양주권 수호를 위한 한국해군의 전력건설 방향”", 『STRATEGY 21』, 통권 제30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99 박영길, "“필리핀의 중국 상대 남중국해 분쟁 중재재판소 회부문제”", 『독도연구저널』, Vol. 21 (부산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
100 박창권, "“미국 아시아 태평양 해양안보 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주간국방논단』, 제1594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101 박영준, "“역내 해양협력 및 신뢰증진을 위한 한국 해군의 기여방안”", 『STRATEGY 21』, 통권30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102 이장훈, "“남중국해의 파고가 거칠어지고 있다,『국방저널』,통권 제436호", (서울 : 국방홍보원), 2010
103 포커스, "뉴스,“군 경 유엔사, 한강하구서 불법조업 중국어선 합동 단속”", 년 6월 10일, 2016
104 윤석준, "“동남아‧서남아․오세아니아의 전략적 딜레마와 해군력 현대화”",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4
105 배진석, "“양분화 이론으로 본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질서와 해군력의 역할”", (부산 : 동아대학교), 2011
106 이홍표, "“조어도 영유권 분쟁과 중 일관계 : 에너지 안보와 민족주의 측면”", 『STRATEGY 21』, 제15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5
107 김진욱, 양희철, "“조어대(센카쿠열도)의 영유권 분쟁과 당사국간 법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6 no.3, (안산 : 한국해양과 학기술원), 2014
108 이상진, 정상만, "국제 해양안보 협력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해양연구논총』, 42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2011
109 김진욱, "“동북아시아 도서영유권 분쟁의 법적 쟁점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목포 : 목포대학교출판부), 2013
110 허성필, "“공존기/통일기 주변국 해군력 발전전망 및 평가(정책연구보고서 03-1975)",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3
111 김정현, "대륙국가의 해군력 건설 요인에 관한 연구 : 소련(러시아)․중국 사례비교", (서울 : 연세대학교), 2004
112 고경민, "“이어도 분쟁의 가능성과 대응방안 : 중국의 민족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국제문제연구』, Vol.14 No. 2, (서울 : 국가안보전략 연구소), 2014
113 문광건, 엄태암, "비군사적 위협에 대한 평가와 정책적 대응방향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02 –1829)",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2
114 백병선, "한국의 해상교통로에 대한 초국가적 위협의 분석 및 향후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세종연구소, 『국가전략』, 제16권 3호, (서울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0
115 정철호, "‘미국과 중국의 동아시아 해양전략과 한국의 해양안보’『세종정책연구』, 2012-B", (서울 : 세종연구소), 2012
116 허성필, "“최근 일본의 방위력 증강 동향과 안보적 시사점 : 해상자위대 전력을 중심으로”", 『주간국방논단』, 제1497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4
117 안병준, "“공세적 현실주의의 군사적 재해석을 통한 한국형 기동함대 적기 전력화에 관한 연구”", (대전 : 한남대학교), 2015
118 임경한, "“공격적 현실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미국과 중국의 동아시아 해양안보 경쟁전 망과 함의”", 『해양전략』, 제149호, (대전 : 합동군사대학), 2011
119 임경한, "“미국의 아시아 중시 전략에 따른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전망,『동북아연구』, 제28권 2호", (광주 : 조선대학), null
120 배진석, 이승렬, "“양분화된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질서와 해군력의 역할,『21 세기 정치학회 회보』, 21권 1호", (서울 : 21세기 정치학회), 2011
121 배진수,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해양영토 분쟁의 배경 및 현황 : 동해, 서해 및 일 러간 해양분쟁”", 『Strategy 21』,Vol 6, No. 2, (서울 : 한국해양 전략연구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