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 급식시설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Focus on the Primary Schools in Gwang-Ju autonomous city

        조범성,주석중 대한건축학회 200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facilities of the catering buildings at primary schools in Gwang-Ju autonomous city area, and to show the desirable planing proposals of the catering buildings that meet the demands of the users. For doing this, we preliminarily investigated the 20 primary schools in Gwang-ju area, an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the students using catering building. At last, we only chose 8 schools for investigation. The investigation focused on the catering types, reckoning the sizes and the number of inches of the facilities in catering buildings, analyzing the propriety of the number of catering building-users (students, the engaged people and so on) and investigating the degree of users' satisfaction.

      • KCI등재

        1930년대 靑丘學會의 설립과 활동

        조범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7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Cheong-gu Hakhoe(Cheong-gu Academic Society) in the 1930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history of colonialis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lonial history) became academically entrenched in the history academia of the colonized Joseon. To begin with, the study reviews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compilation project called The History of Chosen that was promoted throughout the 1920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and the foundation of its Department of History. Furthermore,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situatio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Cheong-gu Hakhoe by scrutinizing the trends among research groups of colonial history that were active in the 1920s. Through such attempts, this study aims to explain why it was not until the 1930s that colonial history, which had already preoccupied and monopolized the power of the academic system essential for history research, was not able to form a systematic academic society and eventually sustain in the long run. Additionally, the foundation of Cheong-gu Hakhoe in 1930, the organization’s personnel structure and operations system are thoroughly analyzed in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under the supervision and guidance of Shogo Oda, a first-generation Japanese colonial history researcher, Cheong-gu Hakhoe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mainly by young second-generation elite researchers, namely Hidetaka Nakamura and Yasukazu Suematsu, who came to Joseon right after graduating from Tokyo Imperial University. Moreover, this study found out that Cheong-gu Hakhoe, under the pretext of ‘research and dissemination of Far Eastern culture’, provided academic support to Imperial Japan’s invasion of the continent in the 1930s. As Cheong-gu Hakhoe is comprised of officials working for Governor-General of Chosen and Chose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s well as teachers and professors from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it can be seen that Cheong-gu Hakhoe was founded with a more diverse pool of human resources compared to previous academic associations. At that time the history academia in Japan welcomed and had high expectations of the establishment as well as the purposes of Cheong-gu Hakhoe. Meanwhile, through the activities of Cheong-gu Hakhoe during nine years, this study recognizes that colonial history was becoming academically entrenched in the history academia of the colonized Joseon. Cheong-gu Hakhoe planned various activities such as the issuance of Cheonggu Hakchong four times a year, frequent operations of lectures, publication of research materials and books, and promotion of history research. In particular, in comparison to the materials published by preexisting research groups of colonial history, Cheonggu Hakchong was far more superior in terms of format and content. Published annually until October 1939 when the 30th issue was released as the last publication, Cheong-gu Hakchong played a part in accumulating and dispersing research results of colonial history in the 1930s to both the academia and general public. The achievements of colonial history that were studied and distributed through Cheong-gu Hakhoe have remained deeply rooted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and become the subject of criticism and reflection within Korean history academia even after liberalization. 본 연구는 1930년대 청구활동의 설립과 활동을 통해 식민주의 역사학(이하 식민사학)이 식민지 조선의 역사학계에 학문적으로 고착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1920년대에 추진되고 있던 『조선사』 편찬사업의 전개 과정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및 사학과의 설치, 그리고 동시기 활동하고 있던 식민사학 연구단체들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청구학회 설립 이전 시기의 상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강점 이후 역사 연구에 필수적인 학문 제도의 권력을 이미 선점·독점하고 있던 식민사학이 왜 1930년대에 이르러서야 체계화된 학회를 갖추게 되었고, 비로소 장기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1930년 청구학회의 설립 과정과 그 인적 구성, 운영 체계를 보다 면밀히 분석했다. 청구학회는 1세대 일본인 식민사학 연구자인 오다 쇼고(小田省吾)의 감독과 지도하에,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한 뒤 바로 조선으로 건너온 젊은 2세대 엘리트 연구자 나카무라 히데타카(中村榮孝)·스에마츠 야스카즈(末松保和)가 중심이 되어 설립·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극동문화 연구 및 보급”이라는 명분하에 1930년대 일제의 대륙 침략을 학술적으로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려 했음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청구학회는 설립 당시 조선총독부 및 조선사편수회 관계자와 경성제국대학 소속 교·강사와 출신자들이 대거 참여함으로써 이전의 학회들보다 풍부한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시기 일본의 역사학계에서는 청구학회의 설립과 취지를 환영하며 기대를 보내왔다. 한편, 9년여 간에 걸친 청구학회의 활동 내용을 통해 식민사학이 식민지 조선의 역사학계에 학문적으로 고착화되어가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청구학회는 『청구학총』을 연 4회 계간으로 간행하고, 정기적으로 강연회·강습회를 개최하며, 연구자료와 저술을 출판하고, 고적답사도 추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기획하였다. 특히 『『청구학총』은 기존의 식민사학 연구단체에서 간행했던 것보다 체재와 내용 면에서 월등히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1939년 10월 제30호를 마지막으로 폐간을 선언할 때까지 매년 지속적으로 간행되어, 1930년대 생산된 식민사학의 연구 성과를 축적하고 학계와 일반에 보급하는 데 일조하였다. 이렇게 청구학회를 통해 연구·보급된 식민사학의 성과는 한국근대역사학에 뿌리 깊게 남아 해방 이후에도 한국사학계에서 끊임없이 비판과 반성의 대상으로 남게 되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朝鮮史學會의 활동과 근대사 인식

        조범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4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朝鮮史學會의 설립 배경과 운영 실태 그리고 구체적인 활동 내용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학회에서 간행한 通史의 근대사 부분을 검토하여 그들이 당대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서술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을 병합한 일제는 조선인들의 민족적 저항과 독립 요구에 직면했다. 이를 꺾기 위해서는 조선에 대한 침략과 식민 지배의 근거가 필요했다. 조선총독부는 한국사의 어두운 면을 부각시킴으로써 침략과 지배의 역사적 당위성을 얻을 목적으로 修史事業을 추진하고 식민주의적인 시각이 투영된 역사서를 편찬하였다. 그 결과 형성된 ‘식민사학’은 한국인의 역사 인식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쳤다. 조선사학회는 이러한 식민사학을 연구하고 일반에 보급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본 학회는 1923년 조선총독부에 소속된 일본인 관료 및 학자들과 정치ㆍ경제계의 주요 인물들, 그리고 일부 조선인 귀족과 학자들이 가담하여 설립되었다. 본 학회는 설립 이후 1923년부터 약 1년간 수차례 강연회를 개최하고 매달 강의록 『朝鮮史講座』를 발행하여 회원들에게 배포하였다. 또한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조선의 역사를 다룬 通史類 史書 『朝鮮史大系』(1927)와 『朝鮮史要』(1929)를 간행했다. 뿐만 아니라 고대사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사료인 『三國史記』(1927)ㆍ『三國遺事』(1928)ㆍ『新增東國輿地勝覽』(1930)을 차례로 校訂하는 사업도 추진하였다. 그 외에도 총독부의 후원을 받아 유교 진흥 행사를 개최하고 『조선사강좌』를 통해 회원들에게 총독부의 발굴 조사와 사료 수집 등의 소식을 소개하였으며 유적 답사를 기획하거나 유물탁본을 판매하는 등 총독부의 수사사업을 뒷받침했다. 조선사학회 간행서 중에서 『조선사대계 最近世史』와 『조선사요』의 「第5章 修交時代」는 한국사의 근대시기를 다룬 것으로 이 시기에 대한 학회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해당 자료의 저자들은 조선을 타율적이고 정체된 국가로 서술하면서 일제의 조선 침략과 식민 통치를 합리화하는 등 식민사학의 논리에 입각하여 한국근대사를 왜곡하였다. 본 학회는 1930년 이후로는 활동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으며 자연스럽게 해산된 것으로 보인다. 비록 존속기간은 길지 않지만 다양한 활동으로 식민사학을 일반에 보급하여 1920년대 총독부의 ‘문화통치’ 정책에 발맞추었다는 점에서 본 학회의 활동과 역사 인식에 주목할 만하다.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foundation background and operation condition of Chosunsahakhoe and its activities and characters. Moreover, by examining the modern historical publication of Chosunsahakhoe, we examined how they understand and narrate the contemporary history. The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e annexation faced with the national resistance and request for independence of Koreans. To put a damper on their eagerness, Japan needed to grounds on the justifiability of invasion and rul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ublished the history reflected the colonialist perspective in order to get the justifiability of invasion and rule through highlighting the dark side of Korean history. As a result, the ‘colonial histories’ had a bad influence on the historical awareness of Koreans. The Chosunsahakhoe was organized to study and disseminate these colonial histories. Thi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by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and scholars belonged to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well as major people in politics and economy, and some of Korean aristocrats and scholars. This association held many academic lectures for a year since its foundation, and published and distributed lecture note, 『The Lecture of Chosun History』 every month. And it published the 『The Outline of Chosun History』 and 『The Brief Summary of Chosun History』, which embraced history from ancient to modern. Moreover, the association pushed forward a business to revise the 『Samguksaki』, 『Samgukyusa』 and 『Singeungdonggukyeojiseungram』, which were vital materials to study ancient history. And the association held of confucian events and introduced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collecting the material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rough 『The Lecture of Chosun History』, and supported the business of historical public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y planning the exploration of remains and selling the brass rubbings. In the publications of Chosunsahakhoe, 「The Modern History」 of 『The Outline of Chosun History』 and 「Chapter 5. Time of Diplomatic Relations」 of 『The Brief Summary of Chosun History』 handled the modern times of Korea, so they were materials to confirm the awareness of association. The authors of each material describe the Chosun as other-directed and stagnant nation, and distorted the modern history of Korea based on the view of colonial history rationaliz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colonization. We could not find records of their activities after 1930, and it seemed to be disperse naturally. Although its term of existence was not long, it had worth to note its activities and historical awareness in terms of supporting the ‘cultural rul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20’s through various activities of disseminating the colonial history to the general public.

      •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분산 기반 라우팅 기법

        조범성 ( Bum-sung Cho ),손민한 ( Min Han Shon ),추현승 ( Hyunseung Ch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무선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해 multi-hop routing 기법과 multi-path routing 기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두 기법 모두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는 경로를 택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그러나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는 경로를 택하기 위해 센서 노드 간 거리가 가까워져 목적지까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데 많은 홉 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효율적인 경로를 택하면서 동시에 목적지 가까이에서 데이터 패킷 전송을 이어가는 cooperative communication 기반의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朝鮮史學同攷會와 『朝鮮史學』의 식민사학적 성격

        조범성(Cho, Beom-seo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3

        일제는 1920년대에 들어와 朝鮮史編纂委員會 및 朝鮮史編修會를 앞세워 『朝鮮史』 편찬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조선사』 편찬사업에 종사하던 식민사학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일반에 보급하는 동시에, 학자들 간에 서로 정보를 교환할 학술단체들을 하나둘씩 결성하였다. 일제강점기 식민사학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총독부의 『조선사』 편찬사업 또는 학자 개인과 그 논저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반면 당시에 조직된 학술단체들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특히, 조선사편수회 소속 학자들이 만든 朝鮮史學同攷會는 일정한 조직 체계를 갖추고 학술지 『朝鮮史學』을 발행하였으나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편이다. 동고회의 인적 구성은 간소한 편이었지만, 그보다 앞서 설립되었던 조선사학회에 비해 학문적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며, 점차 학회 형태의 조직체계를 갖추고 관공서와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개인 및 기관회원을 모집하면서 회원을 적극적으로 늘려갔다. 가입한 회원들에게는 회비를 거두고 간행물인 『조선사학』을 배포하여 자신들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동시에 조선사편수회의 동정을 전하였다. 이외에도 동고회는 역사관련 서적을 출판하고 1년에 한 번 대회를 개최하는 등의 활동을 계획하였으나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조선사학』은 매월 1회 간행되었고, 체재 및 구성에서 학술지적인 형태를 지향했다. 아울러 한국인 학자들의 글을 실어 필자의 민족적 균형을 맞추고자 하였다. 그러나 분량은 호당 30페이지 내외로 적은 편이었고, 논문 하나를 여러 호에 걸쳐 연재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면의 구성 또한 1면에 4단으로 되어 있어 가독성이 좋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논문과 논문 사이 혹은 권호말미에 비학술적인 글들도 다수 실려 있어 전문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보인다. 논문의 주제와 내용면에서도 한·일관계사 등 대외관계사에 치중된 편향적인 양상을 보였고, 식민사학적인 시각이 곳곳에서 발견되는 등 그 목적과 성격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동고회는 1926년 7월을 마지막으로 활동을 중단하였다. 동고회 구성원들이 모두 조선사편수회 소속이었던 까닭에 총독부의 『조선사』 편찬사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지속적인 활동이 어려워진 것이다. 『조선사학』 6·7호가 간행된 시점에 이르면 원고 수급의 어려움이 생겼는지 한 사람이 여러 개의 글을 써서 싣는 경향마저 보인다. 결국 동고회는 7개월여 만에 단명하고 마는데, 이는 1920년대까지 식민사학 연구자들이 학술단체를 꾸준히 운영해 나갈만한 인적 자원과 역량이 부족했음을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In 1920s, The Japanese Imperialism pushed ahead publishing 『Chosunsa』 with Chosunsapyeonchanwiwonhoe and Chosunsapyeonsuhoe.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s of colonial history who worked in compilation, announced and distributed their results of researches. Moreover, they made an academic societies one by one to exchange the information about their studies. The preceding researches in Japanese colonial era, usually focused on 『Chosunsa』 compilation by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or papers of each researchers. On the other hand, the studies of academic societies which was organized at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Era has yet to be done enough. In particularly, Chosunsahakdonggohoe which was made by the scholars of Chosunsapyeonsuhoe had a regular organization and it published monthly 『Chosunsahak』, but it is not be known well. The organization of Chosunsahakdonggohoe was quite simple, but it aimed to strengthen its scholarly professionality than Chosunsahakhoe which was founded earlier, so its organization became more elaborately as an academic society. Also, it recruited the members through governm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y gathered a membership fees from members who joined the society and they distributed academic journal 『Chosunsahak』. Through all of these, they let them know the movements of Chosunsapyeonsuhoe and their result of researches. Moreover, Chosunsapyeonsuhoe planed to publish a book about history and hold a yearly symposium but it was not put into an action. 『Chosunsahak』 was published monthly, also it aimed to academic journal in the system and composition. And there were several essays which was written by Korean writers to get a national balance between Korea and Japan. However the amount of essay was less than 30pages, even one single thesis appeared in different editions. Configuration of paper was placed 4-columns in one page, so it is not good to read. Also, it tend to be lack of expertise because there were unacademic essays between thesis and thesis, or end of edition. In terms of the subject and content of the thesis, there were the aspects: it is focused on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such as Korea and Japan. Also, it clearly reveals its purpose and character which was reflected in view of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Chosunsapyeonsuhoe was closed for the last time in July 1926 because all the members of Chosunsapyeonsuhoe were belonged to Chosunsapyeonsuhoe. After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egan in earnest compilation of 『Chosunsa』, continuous activity had become difficult. At the time of the publications of the 6th and 7th editions, there were even a tendency for one person wrote several articles on that journal. Maybe there was a difficulty in supply of manuscripts. Finally, it was closed just after seven months of its starts. This is a proof of the researchers had not enough human resources and abilities to manage their academic society until 192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