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핵․원자력 공공외교: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

        이한형 한국공공외교학회 2023 공공외교: 이론과 실천 Vol.3 No.1

        목적: 핵․원자력 분야는 전통적으로 정무외교․경제외교 영역에 속했다. 핵확산 문제는 사안의 중대성과 국제안보에 미치는 심각성, 강대국과 비확산레짐의 영향력 등을 고려했을 때 당연히 국가 간 해결해야 할 문제였고, 원자력에너지 산업도 예산과 인력, 사업의 규모 등을 고려했을 때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했던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공공외교가 핵․원자력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핵․원자력 분야에서 한국의 위치가 가지는 특수성을 살펴보고 공공외교의 특성과 비교하여 상호중첩되는 영역이 있는지 분석한다. 결과: 핵․원자력 이슈에 관한 한국의 특수성, 공공외교와의 중첩 등을 고려했을 때 해당 분야에 대한 공공외교의영역 확장과 역할 확대는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가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과 한국의 안보 및 경제구조를 고려했을 때 지속적인 정책적 수요가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실제로 카이스트 핵비확산교육연구센터(KAIST NEREC)에서는 하계장학생프로그램(Summer Fellows Program) 운영을 통해 핵․원자력 분야의 공공외교를 펼치고 있으며,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결론: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정무외교, 정상외교, 경제외교의 관점에서 접근해왔던 핵․원자력 이슈에대해 공공외교의 역할 증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이와 유사한 공공외교 활동들에 대한 예산 지원, 프로그램 및인력 확대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핵정책과 원자력 산업이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고 한국의 국익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industry have always been the domain of political and economical diplomatic affairs. The issue of nuclear proliferation must be resolved politically or militarily given the importance of the problem, the impact it has on global security, the influence of major powers, and non-proliferation regimes. Considering scope of the budget, manpower, and scale of the project, the atomic energy issue was also viewed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viewpoint and investigate if public diplomacy may be extended to a new issue domain of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ny areas that overlap, the uniqueness of Korea's position in the nuclear security and atomic power domains i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traits of public diplomacy. Results: It seems plausible to broaden the scope and function of public diplomacy in that field given Korea's uniqueness in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issue and overlap with public diplomacy. This is especially true given that the state must take the leading role and that ongoing policy demands are made in light of Korea's security and economic structure. In reality, it is assessed that the Summer Fellows Program, run by the KAIST Nuclear Nonproliferation Education and Research Center (KAIST NEREC), ha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public diplomacy in the area of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Conclusions: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issues have traditionally been handled from the perspectives of political diplomacy, summit diplomacy, and economic diplomacy. However, this paper evaluate that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the role of public diplomacy in this issue area is high and underscore that the budget support, programs, and manpower for similar public diplomacy activities are needed. Through this, South Korea’s nuclear security policy and atomic energy industry could be supported from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 will advance national interest.

      • KCI등재후보

        지도자의 공공외교는 어떻게 국제협력을 증진하는가?

        황원준 한국공공외교학회 2023 공공외교: 이론과 실천 Vol.3 No.1

        Objective: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effects of public diplomacy by leaders, this paper throws out two questions: “To draw cooperation and support of international society in the middle of national crises, with what content do leaders conduct public diplomacy?” and “Through what mechanism, does leaders’ public diplomacy promote cooperation and support of other countries?” Method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paper conducts a single case study with Ukrainian President Volodymyr Zelensky’s public diplomacy in the Russia-Ukraine war in 2022. More specifically, the author collects text from Zelesky’s Twitter and analyzes it in a descriptive manner. Results: When Russia invaded Ukraine in 2022, President Zelensky proactively utilized his SNS to communicate with people in other countries and thereby achieved the desired effect of public diplomacy. He has been delivering messages of ‘appreciation of cooperation and support’, ‘situation of Ukraine’, and ‘congratulations or condolences’, which could augment support, credibility, and audience cost. Conclusion: The effects of public diplomacy led to enhanced cooperation by alleviating problems with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upport. However, in the case of Ukraine, the patron’s dilemma and commitment problem lasted, from which conducting public diplomacy has not been proven to be enough. The result of this paper provides lessons for the public diplomac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imes of national crises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leaders should make efforts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diplomacy even in times of peace. 목적: 이 연구는 국가위기 시 지도자의 공공외교의 내용과 효과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음의 두질문을 던진다. 첫째, 지도자는 위기 시 국제사회의 협력과 지원을 얻기 위해 어떠한 내용의 공공외교를 하는가? 그리고 둘째, 지도자의 공공외교는 어떤 원리를 통해서 국제사회의 협력과 지원을 증진하는가? 방법: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국가위기 시 국가지도자에 의한 공공외교가 활발하게 나타난 최근 사례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의 공공외교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부연구방법으로는 파이썬(Phython)을 활용하여 젤렌스키 대통령의 트위터 텍스트를 기술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2022년 러시아의 침공 후 젤렌스키 대통령은 SNS를 적극 활용하여 다른 국가 국민과 소통하였으며이를 통해 공공외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다른 국가 국민에게 ‘협력과 지원에 대한감사’, ‘우크라이나의 입장’, ‘다른 국가 축하 및 애도’ 메시지를 보냈으며, 이를 통해 지지와 신뢰, 청중비용을증가시킬 수 있었다. 결론: 공공외교의 효과는 국제협력과 지원 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하여 협력의 증진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사례에서 후견국의 딜레마와 이행의 문제는 지속되었으며, 공공외교만으로는 해결이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차후 대한민국의 위기 시 지도자의 공공외교를 위한 교훈을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평시부터 지도자의 효과적인 공공외교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핵·원자력 공공외교: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

        이한형,Hanhyung Lee 한국공공외교학회 2023 Journal of public diplomacy Vol.3 No.1

        목적: 핵·원자력 분야는 전통적으로 정무외교·경제외교 영역에 속했다. 핵확산 문제는 사안의 중대성과 국제안보에 미치는 심각성, 강대국과 비확산레짐의 영향력 등을 고려했을 때 당연히 국가 간 해결해야 할 문제였고, 원자력 에너지 산업도 예산과 인력, 사업의 규모 등을 고려했을 때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했던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공공외교가 핵·원자력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핵·원자력 분야에서 한국의 위치가 가지는 특수성을 살펴보고 공공외교의 특성과 비교하여 상호 중첩되는 영역이 있는지 분석한다. 결과: 핵·원자력 이슈에 관한 한국의 특수성, 공공외교와의 중첩 등을 고려했을 때 해당 분야에 대한 공공외교의 영역 확장과 역할 확대는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가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과 한국의 안보 및 경제 구조를 고려했을 때 지속적인 정책적 수요가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실제로 카이스트 핵비확산교육연구센터(KAIST NEREC)에서는 하계장학생프로그램(Summer Fellows Program) 운영을 통해 핵·원자력 분야의 공공외교를 펼치고 있으며,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결론: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정무외교, 정상외교, 경제외교의 관점에서 접근해왔던 핵·원자력 이슈에 대해 공공외교의 역할 증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이와 유사한 공공외교 활동들에 대한 예산 지원, 프로그램 및 인력 확대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핵정책과 원자력 산업이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고 한국의 국익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industry have always been the domain of political and economical diplomatic affairs. The issue of nuclear proliferation must be resolved politically or militarily given the importance of the problem, the impact it has on global security, the influence of major powers, and non-proliferation regimes. Considering scope of the budget, manpower, and scale of the project, the atomic energy issue was also viewed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viewpoint and investigate if public diplomacy may be extended to a new issue domain of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ny areas that overlap, the uniqueness of Korea's position in the nuclear security and atomic power domains i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traits of public diplomacy. Results: It seems plausible to broaden the scope and function of public diplomacy in that field given Korea's uniqueness in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issue and overlap with public diplomacy. This is especially true given that the state must take the leading role and that ongoing policy demands are made in light of Korea's security and economic structure. In reality, it is assessed that the Summer Fellows Program, run by the KAIST Nuclear Nonproliferation Education and Research Center (KAIST NEREC), ha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public diplomacy in the area of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Conclusions: Nuclear security and atomic energy issues have traditionally been handled from the perspectives of political diplomacy, summit diplomacy, and economic diplomacy. However, this paper evaluate that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the role of public diplomacy in this issue area is high and underscore that the budget support, programs, and manpower for similar public diplomacy activities are needed. Through this, South Korea's nuclear security policy and atomic energy industry could be supported from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 will advance national interest.

      • KCI등재후보

        OECD 회원국의 공공외교 제도화 수준 측정과 결정요인 연구

        명민주,최동주 한국공공외교학회 2024 공공외교: 이론과 실천 Vol.4 No.1

        본 연구는 OECD 회원국의 공공외교 제도화 수준을 측정하고, 각국의 제도화 수준 차이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결정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각국 공공외교의 제도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먼저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공외교 정책 수립 수준, 실행 수준, 그리고 종합적인 제도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SPSS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공공외교 정책 수립 수준의 결정요인은 군사 안보 위협 요인이며, 실행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변수는 재외공관 수로 드러났다. 정책 수립 수준과 실행 수준을 아우르는 공공외교 제도화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국방연구비 비율과 재외공관 수이며, 그 다음으로는 GDP 대비 무역 비율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1인당 GDP는 부(-)의 영향력, 총 병력 수는 작은 정(+)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공외교는 미래에 일어날 수도 있는 군사안보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들이 정책적으로 수립하는 경향이 높은 수단임이 드러났다. 공공외교의 실행은 경제적, 군사적 이익 추구보다는 외국 또는 해외 대중과의 관계로 추동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measures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 diplomacy and explores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 diplomacy in OECD member countries. As a research method, the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 diplomacy in each country are first presented in 38 member countrie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the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olicymaking, 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 diplomacy are derived through SPS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terminant of the level of policymaking is the military security threat, and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is the number of diplomatic missions abroad. The variables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 diplomacy, which encompass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were the ratio of defense research funds and diplomatic missions abroad, followed by the trade -to- GDP ratio, which has a positive effect. It is confirmed that GDP per capita has a negative effect, and the total number of military personnel has a small positive effect. Public diplomacy is shown to be a significant means of policymaking by countries to prevent potential military security threats in the future. It was analyz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diplomacy tends to be driven more by relations with foreign countries or foreign publics rather than by the pursuit of economic or military interests

      • KCI등재후보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개발과 적용

        김장열 한국공공외교학회 2023 공공외교: 이론과 실천 Vol.3 No.2

        본 연구는 예고 없이 발생하는 초국가적 위기에 정부가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커뮤니케이션 할것인지 공공외교 측면에서 주목하고, 이를 위해 PR 분야에서 발달한 위기커뮤니케이션 연구를 토대로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PR 에서 중요한 분야인위기커뮤니케이션의 대표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 사례연구를 통하여 공공외교 위기 발생시 어떻게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커뮤니케이션 해야 할 지제언하였다. 그 결과 공공외교 학문 및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 모델(Public Diplomacy Crisis Communication Model, PDCCM)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공공외교위기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원칙으로 신속성, 개방성, 일관성, 진정성을 제시하고, 실행 내용으로 상시소셜리스닝과 소셜모니터링을 통한 위기의 탐지,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센스메이킹을활용한 상황분석 및 위기대응목표설정, 네트워킹과 메시징을 통하여 상황에 맞는 위기대응전략과이미지회복전략을 활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 효과적인 공공외교 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형

        조기숙,김화정,Kisuk Cho,Hwajung Kim 한국공공외교학회 2022 Journal of public diplomacy Vol.2 No.2

        배경: 조셉 나이(Joseph Nye)의 선구적 저서, 연성권력(Soft Power)이 출간된 이후 소프트파워는 공공외교 연구의 중심 개념이 되었다. 그러나 이 개념은 아직 논쟁 중이라 이를 과도하게 강조하는 정치학자들로 인해 현장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지식의 생산은 지체되어 왔다. 나이는 연성권력을 성공적인 공공외교의 수단이자 결과로 정의함으로써 체계적인 분석을 어렵게 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공공외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공함으로써 연성권력과 공공외교의 관계를 나이와는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이론적 모형은 각국에 신공공외교가 언제 어떻게 도입되었는지 비교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연성권력과 경성권력 자원을 검토하였다. 결과: 다섯개의 차원으로 구성된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은 효과적인 공공외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모형을 통해 연성권력 그 자체보다는 공공외교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사상과 가치, 제도, 거버넌스, 리더십, 의사소통 체계와 같은 정치체제 내의 변수와 홍보학에서 사용하는 평가모형을 결합함으로써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지식을 창출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공공외교에 관한 정성 분석은 물론 정량분석에 필요한 수많은 가설의 도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공외교의 이론적, 분석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Since the seminal publication of Joseph Nye's Soft Power, soft power became the central concept to public diplomacy. However, over-emphasis on soft power, which is still controversial, deterred academics from producing valuable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practices in the field. Soft power is a cause and effect at the same time and thus it makes systematic analysis almost implausible because it is not only a tool for successful public diplomacy, but it is a result of successful diplomacy. This study aims at offering a theoretical framework linking soft power and public diplomacy by including various factors that may affect the outcomes of effective public diplomacy. This theoretical framework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diplomacy will make it possible to explore how and when new public diplomacy was adopted in a certain country and examine hard and soft power resources. The model also includes political system variables such as ideas and values, institutions, governance,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system,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public diplomacy effectiveness rather than soft power itself. The model yields the effectiveness of public diplomacy by assessing outcome and impact relative to input and output that are applicable to practices. The model is expected to enabl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generating possible propositions from the model with some preliminary outcomes of comparative case studies.

      •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개발과 적용

        김장열,Jangyul Kim 한국공공외교학회 2023 Journal of public diplomacy Vol.3 No.2

        본 연구는 예고 없이 발생하는 초국가적 위기에 정부가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것인지 공공외교 측면에서 주목하고, 이를 위해 PR 분야에서 발달한 위기커뮤니케이션 연구를 토대로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PR 에서 중요한 분야인 위기커뮤니케이션의 대표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 사례연구를 통하여 공공외교 위기 발생시 어떻게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커뮤니케이션 해야 할 지 제언하였다. 그 결과 공공외교 학문 및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 모델(Public Diplomacy Crisis Communication Model, PDCCM)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원칙으로 신속성, 개방성, 일관성, 진정성을 제시하고, 실행 내용으로 상시 소셜리스닝과 소셜모니터링을 통한 위기의 탐지,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센스메이킹을 활용한 상황분석 및 위기대응목표설정, 네트워킹과 메시징을 통하여 상황에 맞는 위기대응전략과 이미지회복전략을 활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This study find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efforts have focused on promotional activities such as the "K-wave" or responses to controversial historical issues. Howe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be more prepared for strategic responses to unexpected crises and subsequent communications. This paper attempts to apply crisis communication research developed in the field of public relations to public diplomacy. To do so, this research reviewed theories in crisis communication, an essential area of public relations, and developed a crisis communication model. The model was then applied to several crisis case studies to suggest how to develop response strategies and conduct communications. As a result, this research developed an Ongoing Public Diplomacy Crisis Communication Model (PDCCM) that can be applied to public diplomacy research and practice. The model identifies four crisis communication principles (be quick, be open, be consistent, be authentic) that should be applied in six phases. Following continuous social listening and monitoring, governments should analyze crisis situations using sense-making, develop short- and long-term crisis response objectives, response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messages depending on the level of responsibility, implement crisis communication, and conduct post-crisis evaluation.

      • KCI등재후보

        K-POP 팬덤과 한국의 국가 명성: 미국의 BTS 팬 중심 분석

        김수진,이혜은 한국공공외교학회 2023 공공외교: 이론과 실천 Vol.3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류의 다양화와 함께 이루어진 K-POP의 확산이 한국의 국가 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있다. 해외 시장에서의 K-POP 열풍은 기대 이상의 성과와 긍정적인 평가로 대내외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왔고, 디지털 매체를통한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K-POP 스타들은 그들과 관련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하고팬 활동을 펼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을 만드는 등 팬덤과의 상호작용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팬덤이공동체를 형성하고 미디어를 활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K-POP 스타와의 준사회적 관계를 통해 국가 명성에 대한 K-POP의 관련성을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BTS 팬을 대상으로 아마존 설문조사회사인 Mechanical Turk를 이용하여, 영어로 온라인 설문조사를진행했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195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결과: 한국의 국가 명성에 대한 BTS 팬의 소셜미디어 이용의 영향력을 상정한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 BTS팬의 소셜미디어 참여 활동 그 자체만으로는 한국의 국가 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BTS 팬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전제한 <연구문제 2> 의 분석결과, BTS 팬의 소셜미디어 참여 활동은 BTS와의 준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BTS와의 준사회적 관계는 국가명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한국의 국가 명성에 대한 BTS 팬의 소셜미디어 이용과 참여는 그 자체로는 유의한 영향이 없으나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여 국가 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K-POP 팬의 준사회적 관계는 국가이미지를 제고하고, 한국의 국가 명성을 높이는 전략적 기제로 활용할 수 있다. 미디어 효과 차원에서 다양한 팬덤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국제커뮤니케이션의 영역에서 국가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지만, 공공외교의 관점에서 팬덤과 국가 명성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연구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접 학문의 학제간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국가 명성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점에 학문적 의미와 실용적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ow the spread of K-POP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Korean Wave affects Korea's national reputation. K-POP stars are diversifying their interactions with fandom by creating an online space to consume various products and services related to their stars and engage in fan activities. Because of thi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K-POP to national reputation through a parasocial relationship with K-POP stars by fandom forming a community and utilizing media.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English using the Amazon survey company Mechanical Turk for BTS f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A total of 195 people's data,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BTS fans' social media participation activities themselves did not directly affect Korea's national reputa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BTS fans' parasocial relationship was found. That is, BTS fans' social media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arasocial relationships with BTS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national reputation. Conlusions: The use and participation of BTS fans in social media in Korea's national reput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itself, but it has been found that it affects the national reputation through forming parasocial relationships. From the study results, the parasocial relationship of K-POP fans can be used as a strategic mechanism to enhance the national image and Korea's national reputation.

      • 유튜버 딤디(deemd)의 중국 vlog 시청이 중국 방문의도 및 중국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단순노출효과와 후광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주,김수진,Lee Hyun Ju,Soojin Kim 한국공공외교학회 2022 Journal of public diplomacy Vol.2 No.2

        목적: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에서 중국에 대한 비호감도는 매년 상승하고 있으며, 2022년 현재 세계인의 반중정서는 70%에 달하고 있다. 중국은 공공외교에 천문학적인 예산 편성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이미지 회복에 실패하고 있다. 국가이미지 상승을 위한 새로운 공공외교가 필요한 지금, 한국인 중국 유학생 유튜버 딤디(deemd)의 시청자들이 딤디의 중국 vlog 시청 이후 중국에 대해 우호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딤디의 중국 vlog 시청이 중국 국가이미지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보고자 단순노출효과를 이론을 적용했다. 또한 국가이미지 개선이 중국으로의 방문의도 증가 및 중국 제품 구매로 이어지는 '후광효과(Halo effect)'를 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 설정한 5개의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설문을 실시했다. 설문 대상은 유튜버 딤디의 중국 vlog를 한 번이라도 시청한 경험이 있고, 중국 방문 경험이 없는 시청자로 편의 표집했다. 결과: 가설 검증 결과, 딤디의 중국 vlog 시청은 중국의 경제적 이미지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딤디의 중국 vlog 시청이 빈번할수록 중국의 경제 이미지는 긍정적으로 변화했고, 이는 궁극적으로 중국으로의 방문의도와 중국제품 구매의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vlog시청과 국가이미지, 해당국가 방문의도와 해당국가 제품 구매의도의 관련성을 탐구함으로써 해외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공공외교의 구체적 방향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미디어 외교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을 비롯한 비대면 공공외교의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외교에 대한 혜안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espite an astronomical budget for public diplomacy, China is experiencing successive failures in public diplomacy. The unfavorable feeling towards China is increasing every year in the world and China needs a new public diplomacy to resolve anti-Chinese sentiment. Here, we found that viewers of Korean-Chinese student YouTuber Deemd formed a friendly image towards China after watching Deemd's China vlog.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whether Deemd's vlogs affect the improvement of China's country image theoretically guided by the theory of mere exposure effect.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the improvement of a country image causes the 'Halo effect' that leads to an increase in the intention to visit China and purchase intention of Chinese produc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new digital media diplomacy solution for countries, including China, that want to capture the hearts of foreign public in the era of a new digital public diplomacy.

      • KCI등재후보

        대립하는 세계와 한국의 공공외교: 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과 정책공공외교를 중심으로

        한의석 한국공공외교학회 2023 공공외교: 이론과 실천 Vol.3 No.2

        Some observers call current conflic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s a new Cold War.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old War are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the Cold War. Under this condition,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2nd Basic Plan for Public Diplomacy in 2022. Compared with the 1st Basic Plan, the 2nd plan shows several progress such as expansion of items for knowledge (public) diplomacy and inclusion of global value as a part of public diplomacy for policy. The 2nd plan also emphasizes digital public diplomacy as a tool for enhancing the Korean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Despite substantial progress, the plan does not suggest definite and reliable global values as a part of Korean public diplomacy for policy. This study provides several important points to develop Korea’s public diplomacy in a new Cold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