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에서의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지원방식에 대한 연구 : 국내대학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김다희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청년실업률이 이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문제로 인식하고 심각성을 느낀 바이며, 정부에서는 최근 5년간 청년실업의 해결책으로 10조원 이상을 투입하였지만 2018년 4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청년실업률은 9.9%로 역대 최고 수치를 보였다. 또한 높은 청년실업률에 비해서 사회는 낮은 고용률로 일자리부족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년취업률 저조에 있어 많은 복합적인 문제 중 각 대학에서의 취업관련 지원방식이 사회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임을 말하고 있다. 현재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을 잘 살려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이 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와 더불어 취업률이 가장 낮은 예술계열학과 중 한때 붐이었던 국내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 때 K-POP과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용음악전공 희망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국내 대학의 실용음악학과 개설도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용음악이 발달 된 것도 언 30년이 되어가는 지금 정작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휴학률이나 졸업 후 미취업자는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음악이나 예술산업현장에서는 전공자의 인력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각 대학의 실용음악전공 교육이 이제는 음악 산업현장과 더 나아가 문화 산업까지 필요한 교육이 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각 학교 별 취·창업지원 운영방식과 학생들의 요구에 근거하여 대학과 각 학과의 역할, 그리고 대학 내의 취·창업지원센터의 운영방식과 필요성에 대한 방향 설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첫 째, 실용음악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교육체계와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국내 대학의 학교 별 취·창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사례 현황을 분석하였다. 실용음악의 선행연구에서는 근 10년 동안‘실용음악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있었고, 더불어 실용음악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조사도 함께 연구되어 있었다. 그에 따른 교육문제로는 교수는 교수의 전공불일치 또는 재즈에 편중된 교수가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 채용에 대한 문제도 제기 되어있었다. 교수의 전공 불일치로 인하여 학생들은 불만과 자신의 전공에 대해 혼란이 오는 경우도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채용에 있어서는 학과의 불명확한 음악적 특성을 가지게 되고,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었다. 그 외에도 학생의 실력차나 졸업에 대한 준비 부족, 학교의 교육시설이나 교육내용, 교재 등 여러 가지의 교육체계에 대해서 문제제기가 되어 왔었다. 한 때 대학에서는 실용음악전공을 개설하는 수가 양적으로 팽창되었으나 이제는 그 거품이 줄어들고 있다. 10년 전 실용음악에 대한 유행이 지나가면서 그 피해는 졸업생들한테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현재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나 취업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각 학교 별 제시하고 있는 학생들의 졸업 후 전망과 학생들이 재학 중 희망하고 있는 직종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졸업 후 전공생들의 취업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둘 째, 우리나라와 외국 대학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사 대상 대학은 실용음악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예술대학과 종합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예술대학으로는 서울예술대학교와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의 일곱 개 대학이다. 국내 종합대학은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단국대학의 여섯 개의 대학으로 국내는 총 13개의 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를 제외한 총 13개의 대학교는 실용음악과가 개설된 대학들이다. 외국대학은 미국 대학의 버클리 음악대학, 영국 대학의 리즈대학교 음악대학, 일본 대학의 도쿄음악전문학교로 이들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 째, 취·창업지원의 실제 수요자인 실용음악전공 학생들과 관련이 있는 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우선 학교는 비수도권에서 취업률 1위인 백석대학교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교수진’과 학교 내에 설치되어 있는‘취·창업지원 센터’와 학교에서 실제로 교육을 받아보고 지원을 받았던 5년 이내의‘졸업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취·창업 지원방식과 관련 관계자들의 실제의 요구가 부합하는지 분석하였다. 이상 과정을 통해 대학에서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방식에 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은 결과로 도출하였다. 첫째, 취업·진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적 특성에 맞는 취업·진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국내외 인턴십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별 특수성에 따른 통합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취·창업지원 프로그램들이 각 학과별 지원에 있어 도움이 되고 대학에서의 여러 가지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이루어짐으로 앞으로의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광범위한 직업의식을 심어주며, 이제는 불확실한 미래가 아닌 자신의 전공에 대한 자신감과 음악 산업현장에 나아갔을 때는 전문인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문화 산업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귀한 인재양성이 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was based on the situation of Korea that youth unemployment have been increased and the entire society has to consider this issue as a social problem. Despite of 10 trillion won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for the last 5 years, the youth unemployment rate of 2017 were raised to 9.9%,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search on 4th January 2018. Recently, furthermore, the society of South Korea has been suffered by low accession rate and it has been caused jobs crunches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reports that working support system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mong different factors, takes a significant role in the effort of the entire society to solve the issue. In order to explain the topic,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the universities and checks the system works efficiently in the basis of the student’s major. Especially, this article’s research focuses on the working support system for students that who majors in practical music as art-related majors show very low accession rate.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opened practical music major curriculum because of popularity of K-pop audition programs for a while. However, even though practical music field has been developed for 30 years in South Korea, many students that specialized in practical music leave of absence or fail to have a job after graduation. It means the lack of actual specialized human resource in practical music and art-cultural field. Because of these reasons, in order that education of practical music is able to be a necessary part of musical field and even cultural field,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actual role of a university and department and actual direction of government support center’s management and requirements in the basis of demand of a student and management of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system. First of al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current state of accession rates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from existing researches.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focused on‘educational system of practical music’ for the recent decade, including insight of a demand of a student for practical educational system. The researches point the tendency that a professor’s major is not matched with his/her curriculum or a professor majored in jazz music usually lead practical music curriculum. They also point the issues caused from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Because of discordance of a professor’s major, the students report that they are confused to figure out their actual speciality, and they also claim that the curriculum’s musical speciality also has been unclear and the program is not able to use various human resources, because of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Additionally,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claimed different issues including lack of preparedness for capacity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heir graduation, and low quality of facilities,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have opened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but now the trend was passed and the students take the burden. In order to research the issue in detail, this article researches the ideas about employment and job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checks the reports on the universities regarding prospect of employment. The researcher also surveyed the types of jobs which the students want to have after graduation and researched the current state of employment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Secondly, the researcher compares working support systems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ith overseas countries’ one. For the research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on 7 colleges and 6 universities. The colleges includes Seoul Institute of the Arts,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 Paekche Art College, Busan Arts College, Yewon Arts University, Daegu Arts University, and Baekseok Arts Univeristy. The universities include Hanyang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Dongduk Women’s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Except Ehwa Women’s University, all of these researched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For the research of overseas college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U.C. Berklee College of Music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versity of Leeds in United kingdom, and Tokyo College of Music in Japan. Third, the researcher ha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staffs who are in charge of working support program including the professors and the staffs of working support department of Baekseok University, and alumnae graduated in last 5 years from the university as the university’s employment rate is most highest among the universities established in non-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Following the process of, the research fou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surve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working support program’s support system for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First,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best environment for employment. Second,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consider the special factors of the field of art. Third, a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be able to establish different network channels. Fourth, internship program has to be encouraged. Fifth, integrated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e basi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earch helps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program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and establish organic network to give different and wide professionalism to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The researcher also hopes that the universities can encourage each student to have confidence and educate them as a professional musician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in cultural field of South Korea.

      • 황자(黃自)의 고시사 예술가곡과 현대 시사 예술가곡에 대한비교 연구

        완밍샤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63

        예술가곡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유럽에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그로부터 100여년이 지난 후 중국에서는 외국유학에서 돌아온 음악가와예술가들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으로 중국의 예술가곡은 큰 발전과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중국 예술가곡’은 중국의 고대시나 현대시를 가사로 사용하고, 서양의 작곡기법을 접목시킨 것으로 중국 민족음악의 특징을 살린 가곡을 지칭한다. 중국의 ‘예술가곡’ 창작은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 있지는 않지만, 고유하고 독특한 중국 예술가곡 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황자(黄自, 1904-1938)의 고시사 예술가곡은 중국 예술가곡 초기 대표작품으로써그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주고 있다. 황자는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알 수 있다. 첫째,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은 사회적 격동기, 수난기 및 문화 변혁기내에서 시작되었으며, 동·서양의 우수한 문화가 융합되고 내표되어 있다. 둘째, 서양의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동시에 동양 고전주의가 가지고있는 미학의 정수(精髓)와 강한 애국주의 정서도 함축되어 있다. 이를 통해 황자는 후대에 ‘애국 노래의 왕’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의 대표로써 황자의 초기작품은음악교재편찬을 목적으로 시작되었고, 황자는 가곡창작 뿐만 아니라 교육및 학문적 연구에도 관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황자의 가곡창작 시기와 작품을 분석한 후, 분석내용을 바탕으로그의 작품들이 후대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를 확인하였다. 그는 중국의민족음악과 서양의 작곡기법을 연구하여 새롭게 변화되고 완성도 높은 그만의 음악세계를 완성하였다. 그 결과, 황자의 음악은 후대의 많은 음악가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끼쳤다. 중국의 후대 음악가들은 황자의 음악적 영향을 받아 고전 예술가곡을계승 발전시켜 중국내 근현대음악사의 중요한 음악가로 성장하였다. 이에황자는 ‘중국 예술가곡의 대가(大家)' 라는 칭송을 받기도 했다. 황자가 지니고 있는 예술성을 서양가곡의 왕인 슈베르트와 단순 비교할수는 없지만, 시대적, 사회적 배경이 다른 상황 속에서 황자는 중국 예술가곡의 개척자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고시(古詩) 와 예술가곡에서나타나는 문학적 소양과 음악적 특성을 융합시킨 그의 시도는 슈베르트가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서양가곡을 새롭게 작곡했던 것과 같은 역할이었다. 또한 황자의 작품에 나타난 독창성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데, 이는 슈베르트와 같은 서양 음악가들의 획기적인 음악적 특성을 흡수한 것으로보인다. 이 때문에 황자는 ‘중국의 슈베르트’라고 불린다. 20세기 초 대표적인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은 황자를 통해 동·서양 문화의 종합적인 영향을 받아 중국 예술가곡의 기초적 배경이 되었음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황자의 짧은 생애를 구체적으로 정리함과 동시에고시사 예술가곡 다섯 작품과 현대 시사 예술가곡 세 작품을 비교·연구하고 그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중국고전 미학사상을 분석하고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예술가곡 및 황자의 예술가곡 연구 기초자료 제공과 추후 세계 각국의 성악가들이 중국의 초기 예술가곡에 대한 이론 연구에 활용되었으면 한다.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art songs gradually began to prevail in Europe. More than 100 years later, with the exploration and efforts of a group of musicians and writers studying abroad, artistic songs have gradually prospered in China. Generally speaking, we call them "Chinese art songs" that use ancient Chinese poetry or modern poetry as their lyrics, follow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folk music. Among these kinds of works, Huang Zi's art songs, especially the ancient poetry and art songs, have a relatively early history, and they also have the most characteristics of Chinese art songs. The study of yellow poems and art songs since ancient times shows that Chinese art songs were born under the turbulent period of the country, the national hardship period and the period of cultural change, which contains the inheritance and integration of the two excellent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At the same time, Huang Zi‘s modern poetry and art songs not only have the influence of Western Romanticism, but also have the aesthetic essence of Oriental classicism, and also have strong nationalistic or patriotic feelings. Because of this, Huang Zi is called "the King of patriotic songs". This study also found that many of Huang Zi's vocal music works represented by ancient poems and artistic songs were originally written for music teaching materials, and Huang Zi was also undertaking heavy teaching tasks during the creation process.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these works have strong teaching and research purposes. After analyzing the creation time sequence of these works, he also found that the innovation of the integration of folk music and western techniques was also gradually mature only after continuous practice and exploration. At the same time, these achievements have deeply influenced Huang's students through Huang's teaching. His students later created a large number of classic art songs, many of whom became important figures in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music. Therefore, Huang Zi is also known as the "generation of music master". Although due to different times, different social background, artistic achievements can not simple analogy, but if shubert as huang reference object, huang in Chinese art songs is very key, in his ancient poetry art songs reflected in the literary accomplishment and music bold breakthrough, and shubert in the German art songs create a similar role. The innovation of The Times reflected in these works is scientific, rational and orderly, which is reflected in Huang Zi's modern poetry and art songs, which also draws on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Schubert and other Western music figures. Therefore, Huang Zi is also known as the "Schubert of China". This study in Chinese art songs cannot independently born and developed, as an important representative of huang poetry art song is by social factors, cultural factors, western culture, Oriental thought and other comprehensive factors based on the fact, in the early 20th century Chinese art songs as the background, specific comb huang short life,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uang Zi's five ancient poems and three modern poems. to read the profound Chinese classical aesthetics, put forward the academic view of this study, etc. Therefore, this study hope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birth of Chinese art songs and the study of Huang Zi's art songs, and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nspiration for the vocal music peers in various countries to sing Chinese ancient poetry works in the future.

      • 예술산업 종사자의 신기술 인식 및 수용의도 연구 : 공연예술 및 시각예술을 중심으로

        안현우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63

        4차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창발한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예술분야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기술은 예술의 창작과정과 예술가를 비롯한 예술분야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최근 4차산업혁명 기술이 빠른 속도로 예술 분야에 접목되고 대중의 관심을 받는 과정에서 기술의 수용정도에 따라 예술 분야가 양극화되고 소외된 예술 종사자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거시적으로는 4차산업혁명 기술에 사회적 신뢰가 부족한 경우 예술 산업간, 예술 종사자 간에 차별과 편향성 등의 문제가 커지기도 한다. 본 연구는 신기술의 발달이 예술산업 종사자들에 어떻게 인식되고 받아들여지는지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주목적이 있다. 신기술이 예술산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임을 예상하면서도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예술계 종사자들이 많이 있다. 본 연구는 예술 종사자들의 기술수용을 높이기 위해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및 개인의 특성이 무엇인가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조직의 기술준비도,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 신기술관여도, 신기술의 지각된 가치와 유용성 등의 변수를 선정하여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이어서 공연예술분야와 시각예술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변수 간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고 최종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 및 시각예술 조직의 기술에 대한 이해도, 기술친숙도, 기술이용경험도에 비해 기술개발비용과 기술 관련 인프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연 및 시각예술 종사자 개인의 신기술에 대한 관심도나 수용의도는 높은 반면, 신기술에 대한 인지도나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은 다소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신기술 수용의도 평균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신기술이용경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신기술이용경험 평균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신기술 수용의도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연 및 시각예술 조직의 기술준비도가 높을수록 조직에 속한 구성원인 예술 종사자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이 높을수록 신기술에 대한 인지도나 관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그러나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이 높을수록 신기술의 지각된 유용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내면서 신기술로부터 오는 혜택을 온전히 느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개인의 신기술관여도가 높을수록 신기술의 지각된 가치와 유용성을 더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개인의 신기술관여도가 높을수록 신기술 수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신기술별 기술이용경험 정도와 시장활성화 도움 정도에 있어서 빅데이터, 인공지능, 가상현실 기술은 상위를 차지한 반면, 사물인터넷, 로봇, 3D프린팅 기술은 하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기술이용경험과 신기술 수용의도가 모두 높은 집단은 조직의 시장선도노력과 개인의 신기술인지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으며, 신기술 수용의도가 낮은 집단은 신기술에 대한 기술적인 불완전성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술적 · 실무적 ·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술적으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이 예술 종사자들의 수용의도에 적용되는 연구방법론의 다양화에 기여했다. 더불어 공연예술과 시각예술을 통합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과 예술 종사자가 연구대상이라는 점에 의미를 둔다. 빅데이터, 가상현실, 3D프린팅 신기술은 이용경험이 높으면서도 시장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측정되었고, 앞으로 아트앤테크 분야에서 더욱 기술개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강조되어야 할 분야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시장활성화 도움 정도가 낮게 측정된 사물인터넷, 로봇, 블록체인 등은 이용경험도 낮게 나타났다. 공연예술과 시각예술 분야에서 아직은 많이 활용되지 않는 분야로도 판단할 수 있지만 기술의 고도화, 전문화 내지 교육이나 선제적인 과감한 시도가 필요한 분야로도 볼 수 있다는 실무적인 시사점도 도출할 수 있었다. 공연예술 종사자들이 시각예술 종사자들보다 신기술이용경험과 신기술 수용의도가 다소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신기술을 활용 및 접목해볼 수 있는 시제품 등을 적극적으로 노출시키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직적 차원에서 기술에 대한 이해, 기술친숙도, 기술이용경험, 기술개발비용 등의 무형자산과 기술 관련 인프라 등의 유형자산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려는 노력이 요구되었고 공연 및 시각예술 종사자의 신기술이용경험과 신기술 수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재 기술이 갖고 있는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 · 전문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시사점도 얻었다. 이렇게 본 연구를 통해 신기술이용경험과 수용의도에 대한 유형을 진단하고 조직 유형별 대처 방안을 실무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 시작이 되었다는 의미를 부여한다. 한편 정책적 차원에서 예술에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신기술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도록 물리적인 공간과 비용 그리고 인프라 구축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다양한 신기술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및 프로그램 설계와 시도되지 않은 기술의 활용, 시장개척에 대한 정부 지원은 예술산업계와 예술 종사자들의 기술수용 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공연 및 시각예술분야에 정확히 접목할 수 있는 기술적인 고도화와 기술개발비용의 지원, 법률리스크 관리와 같은 예술과 기술 융복합 진흥과 관련한 사항에 있어 정책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예술분야 종사자의 목소리를 담는 데 있어 총 70명의 자료만 사용되어 모수를 추정하는 데 있어 다소 적은 표본만 활용되었다. 또한, 공연예술분야와 시각예술분야로만 한정하여 살펴봄으로써 기타 다른 예술분야에 대한 해석에 부족함을 지님과 동시에 예술분야에 적합한 신기술을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7대 기술로만 한정하여 살펴보았다는 한계도 지니지만 본 연구가 발판이 되어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동시대 공연 및 시각예술분야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기를 기대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art. Technology inevitably affects the creative process of art, artists, and many factors in the art field.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rapidly incorpora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to the art field and receiving public attention, art workers are polarized and exclud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echnology acceptance. When social trust is insufficient in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and bias may arise between the art field and art workers. This study shall start from the premise that the emergence of all new technology, inclu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evitably brings changes to the art fiel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is recognized and accepted by art organizations and workers.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interaction with the art field intensified, and related studies are also being conducted, but relatively few case studies or qualitativ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targets workers in the fields of performing and visual arts, which ar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us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 addition, the study sets as core new technology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virtual reality, blockchain, Internet of Things, robots, and 3D printing, which are judged to have the highest ripple effect in the art field. This study presents a hypothesis with variables such as the organization's technology readiness, individual experience in using new technology, new technology involvement, and the perceived value and usefulness of new technology. Subsequently, a survey was conducted on 70 people engaged in the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fields, follow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is as follows. Firstly,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st and technology-related infrastructure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of performing and visual arts organizations, technology familiarity, and technology use experience. Secondly, individual performing and visual arts workers' interest or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y was high, while their awareness of new technology and individual experience in using new technology were slightly low. Thirdly, the group with a higher average of individual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showed a higher average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 than the group that did not, and the group with a higher average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 showed a higher average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 Fourthly, the higher the technical preparation of the performance and visual arts organization,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using new technology by individual art workers of the organization. Fifthly, the higher the individual's experience of using new technology the higher the awareness or interest in new technology. However, the higher the individual's experience of using new technology, the more negative the perceived usefulness of new technology was expressed, and the benefits from new technology were not fully felt. Seventhly, the higher the individual's involvement in new technology, the higher the perceived value and usefulness of new technology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y. In addition,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ranked top in the list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 and market revitalization, while IoT, robots, and 3D printing technology remained at the bottom. Finally, the group with high experience in using new technology and willingness to accept new technology showed high market-leading efforts and individual awareness of new technology, while the group with the low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y felt great technical imperfections. Through this study,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When it comes to academics, it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ologies applied to the acceptance intention of art workers. In addition, it is meant that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were studied integrally and that art workers were the subjects of research. Big data, virtual reality, and 3D printing new technology have been measured to help revitalize the market also having high experience, and efforts to revitalize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art and technology sector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The Internet of Things, robots, and blockchain, which were measured to have a relatively low degree of assistance in revitalizing the market, also showed low use experience. Although it can be judged as a field that is not yet widely used in the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practical implications can also emerge that it can be seen as requir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specialization, education, or preemptive daring attempts. The performing arts workers have a slightly higher experience in using new technology and willingness to accept new technology than visual arts workers. Therefore, the strategy to actively expose prototypes that can utilize and combine various new technology is needed. Also, when it comes to organizations, efforts were required to actively secure intangible assets such as technical understanding, technology familiarity, technology use experience, technology development cost, and technology-related infrastructur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that it has begun to diagnose the types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s, acceptance intentions and to seek practical countermeasures for each type of organization. When it comes to policy, physical space, cost, and infrastructure support were needed to experience various new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art, and the government's support for designing and using untried technology to experience various new technology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rt industry and art workers. This study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to determine policy priorities in matters related to the promotion of art and technology convergence, such as technological advancement, support for technology development costs, and legal risk management. In this study, only a total of 70 samples were used to contain the opinions of workers in the art field, and only a few samples were used to estimate the parameter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new technology suitable for the art field was limited to seve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t was insufficient to interpret other art fields by limiting them to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However, it is to be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othold and capture the voices of the contemporary performance and visual arts field through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 공공문화재단의 메세나 지원사업에 관한 연구 : 광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

        박은경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문화예술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사회적 인식이 매우 중요해지면서 민간지원의 자율성을 높이고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민간 후원 활성화에 다양한 노력이 수반 되고 있다. 기업이 문화예술 지원을 통해 사회에 공헌한다는 의미를 지닌 ‘메세나’ 활동은 1967년 미국에서 예술지원기업위원회가 최초 창설되며 이후 유럽, 일본 등 각 국으로 확산되었고 우리나라는 1994년 한국메세나협회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본래 기업을 회원으로 두고 협회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던 메세나 사업이 민간 후원 활성화, 지역 특성화를 위해 공공문화재단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이러한 활동이 바람직한 것인가에서 출발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지원사업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메세나의 기원은 고대 로마 제국에서 문화, 예술인의 창작 활동을 지원한 가이우스 마에케나스의 이름에서 유래하였으며 기업의 문화 예술 후원을 통한 사회적 책임 실현을 뜻한다. 세계 각 선진국들의 공통점은 경제와 더불어 문화가 강하다는 점이다. 글로벌 문화산업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그들의 문화력은 탄탄한 기초체력에서 비롯되며 문화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초예술에 대한 투자를 통해 길러진 결과물이다. 우리나라의 예술 기부에 대한 인식은 현저히 낮은 편이며, 그 중 문화예술 분야의 기부 불균형 해소를 위해 기업이 메세나 활동의 주체가 됨으로써 실질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후 민간의 문화예술후원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문화예술후원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며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한 근거법이 제정되게 되었다. 최근 광역단체 문화재단에서 시민이나 예술가를 돕는 지원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기업과 예술단체를 매개해주는 지역 메세나 사업이 확산되며 현재 13개의 광역단체 문화재단 중 서울, 경기, 대구, 대전, 부산 총 5개의 문화재단이 메세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활동 사례 조사를 통해 유형별로 활동을 분석 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위해 문헌조사 외에 실무 전문가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기업과의 네트워크, 메세나 단체 간의 네트워크, 매칭펀드 지원사업, 인증제도 및 예우, 전문인력 양성, 홍보 방향 등에 관한 인터뷰를 통해 여섯 가지의 대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조직구조 개선필요, 기업과 상생하는 파트너십, 메세나 사업 주체들간의 네트워크 활성화, 예우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홍보방향 개발이다. 첫 번째로 공공문화재단에서 메세나 사업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위한 조직구조 개선이다. 전문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업무를 분담할 수 있는 조직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로 기업과 돈독한 마케팅으로 관계를 유지시키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 메세나 사업 주체들 간의 네트워크 활성화이다. 사업을 끊임없이 공유하고 아이템을 공유할 수 있도록 소통의 장이 필요한 부분이다. 네 번째로 기부 고객에 대한 진정성 있는 예우가 필요할 것이며 다섯 번째로 이러한 지역 문화를 잇는 전문성을 갖춘 매개자 양성 및 실무자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더 많은 기업과 예술단체 그리고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홍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사업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 하였으나 인터뷰를 하는데 있어서 메세나 관련 전문가가 한정되어 있었으며 공공문화재단의 메세나 사업 또한 충분한 홍보가 되어 있지 않아 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이 있지만 본 연구는 공공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활동 현황에 관한 자료가 아직까지 없다는 것과 앞으로 점차 발전될 지역문화재단에서의 메세나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기 위해서 필요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가 갖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문화예술발전을 위해 기업에 문화예술이 지닌 고유의 예술 가치와 예술이 삶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해 메세나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지역 문화재단에서도 다양한 메세나 사업을 시행해 나감으로써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고 타 지역에 바람직한 사례로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In recent years with the rise of awareness on expanding the base of arts and culture,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enhance the private sponsorship on arts and culture that would enable the autonomy of private support. ‘Mecenat’ which originally means corporations’ contribute to the society by sponsoring arts and culture with providing arts funding has been officially established in USA with the foundation of the Business Committee for the Arts(BCA) in 1967. From then on, mecenat activities have quickly spread to various countries in Europe and to Japan. In Korea, mecenat activities to funding various arts has officially set up with the launch of Korea Mecenat Association in 1994. Starting point of this essa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preading of mecenat projects from its limited exercise only through the Korean Mecenat Association with its membered corporates to public foundations for arts and culture and to regional art councils should be welcomed and promoted, especially under the current climate of initiatives of sponsoring arts being executed by more and more public foundations. This essay aims to study closely on the mecenat activities carried out by public foundations. The term, ‘Mecenat’ originates from the character’s name of Gaius Clinius Maecenas in Roman Empire and has acquired the meaning of corporations’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funding in arts and culture. Developed countries not only have strong economy but also have rich and flourishing culture. The flourishing culture that play key roles in leading the global cultural business stems from their long history of corporate funding in the foundation of pure arts. On the contrary, Korean corporations have little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arts funding and this led to mecenat activities predominantly being carried out as a practise of philanthropic efforts by many corporates. However, culture and arts sponsorship facilitation law was legislated to promote more active private arts funding. With these legal grounds, more corporations can participate sponsoring arts and culture through various means. As a result, regional arts foundations have launched the mecenat projects and started playing key roles to intermediate between many corporations and art councils outgrowing their passive functions of supporting artists or artistic communities directly. There are 5 regional arts foundations - in Seoul, Gyeonggi, Daegu, Daegeon and in Busan that are actively executing mecenat projects out of total 13 regional foundations nationwide. This on-going mecenat projects in 5 regional communities enabled this essay to investigate closer on the effect of mecenat by categorising and analysing the activities carried out so far. During the study, various interviews with field workers and documentary surveys were carried out aiming to present some alternative measures in tacking the present problems in arts funding on a regional level. As a result, this essay reached the conclusion of 6 alternative proposals to reinforce the mecenat activities of regional arts foundations – strengthening networks between arts foundations and corporations, revitalising networks between regional mecenat organisations, promoting of matching fund business, setting up certificate system and courteous treatment for sponsors, training industry experts and lastly stepping up with reinforced marketing tools. These proposals are to make an improvement of organisational structure, beneficial partnership with corporations, reinforcement of activities between mecenat organisations, developing courteous treatment for sponsors, training experts and developing marketing campaigns. First proposal i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in the regional arts foundations, so that they can build up strong networks with regional and national corporations. It is vital for the organization to have expertise and experience to sustain good work. Second is to maintain great partnership with corporations through beneficial marketing strategies. Third is to stimulate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mecenat organizations. Good communications would be the main key to keep each other updated on business plans and future and on-going projects. Fourth is to develop courteous treatment to the sponsoring corporations as return of their providing. Fifth is to train industry experts who understand the regional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Last proposal is to develop powerful marketing strategies for a lot more businesses, art councils and general public to enforce their understanding arts and culture. So far, this essay has examined the current practice of mecenat projects on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and proposed some alternative measures for the mecenat activities to head in the right direction. However, it had faced some difficulties in finding sufficient materials due to lack of expertise in the business field and inexperienced practice of mecenat on regional level. Nevertheless, this paper has great meanings by presenting alternative measures for mecenat activities to be able to thrive in regional communities, especially considering there haven not yet been any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regional mecenat projects that have been executed by region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ducating corporates on how important the artistic value that arts and culture contain and how big the influence the arts can impact on everyday lives. Hopefully this essay can contribute these mecenat activities to spread to regional arts foundations that mecenat project has never been in place and as a consequence, it assists to flourish regional arts and culture.

      • 문화정책에서의 책임성 제고에 대한 사회적 선호의 역할 분석 연구 : 서울무용센터의 레지던스 사업을 중심으로

        송이채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공공부문에 가치비판적 관점이 소외된 것은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가치중립적 관점으로 비합리적인 사회현상에 대한 명확한 설명 제시가 어려울 때도 있다. 그러므로 비합리적인 요소까지 포괄하여 사회와 구성원들을 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관점이 오히려 더 합리적이라는 논지가 이 연구의 중심이다. 이 연구는 문화예술정책 결정과정의 집합적 행위상황 속에서 행위자들이 비용 부담과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이타성을 발휘하는 공공의 선호를 사회적 선호로 정의하고, 사회적 선호가 문화예술정책 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무용센터 입주예술가 창작지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지원결정과정의 사회적 선호를 분석하였다. 서울무용센터 입주예술가 창작지원 결정과정은 협력을 필요로 하는 집합적 행위로, 이 결정과정에 내포된 사회적 감성요소 방향으로 접근하여 행위자들의 관계와 구조를 책임성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이 결정과정은 정책대상자인󰡐무용예술인󰡑과 󰡐서울시민 및 지역주민󰡑, 정책집행자인󰡐서울시󰡑, 󰡐서울문화재단󰡑, 󰡐서울무용센터󰡑가 행위자로, 이들의 선호가 모두 대칭상태가 아니어서, 선호의 비대칭을 게임상황으로 보고 게임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서울무용센터 입주예술가 창작지원 결정과정의 게임상황은 딜레마게임상황과 조정게임상황으로 상정하여 사회적 선호가 전략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딜레마게임상황은 죄수의 딜레마 게임(PDG: Prisoner’s Dilemma Game) 모형을 적용하고, 조정게임상황은 외부대안이 있는 연인간의 갈등게임(BSG: Battle of Sexes Game)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딜레마게임은 서울문화재단과 서울무용센터의 2인의 경기자가 참여하는 자연상태의 죄수의 딜레마 게임과 전략 유인이 작용하는 진화적 죄수의 딜레마게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연상태의 죄수의 딜레마게임의 경우 서울문화재단(경기자 1)과 서울무용센터(경기자 2) 모두 비협조 전략을 선택해 서울무용센터 입주예술가 창작지원은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사회적 선호를 전략 유인으로 개입시킨 진화적 죄수의 딜레마 게임은 사회적 선호가 경기자가 가져갈 수 있는 보수를 크게 만드는 역할을 하여 서울문화재단(경기자 1)과 서울무용센터(경기자 2)는 모두 협조전략을 선택해, 서울무용센터 입주예술가 창작지원이 실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분석결과는 사회적 선호가 서울무용센터 입주예술가 창작지원 결정과정에서 경기자 자신과 상대 경기자에게도 사회적 성격을 고려하도록 만드는 강제성을 발휘하는 것을 증명한다. 다시 말하면, 사회적 선호는 정책집행자인 서울문화재단(경기자 1)과 서울무용센터(경기자 2)가 정책대상자인 무용예술인이 창작활동을 통해 행복과 복지를 만족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강제성을 발휘하여 이 지원을 추진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정게임은 조정자를 포함한 3인의 경기자가 참여하는 순차적 게임으로 서울무용센터 입주예술가 창작지원 결정과정의 2014년 예산과 2016년 예산을 중심으로 결과를 역(逆)으로 추적하여 올라가는 방법인 논리회로 후방귀납법(backward induction)을 게임의 해를 구하는 방법으로 택하여 분석하였다. 2014년에는 정책대상자인 무용예술인의 강한 선호가 서울무용센터 입주예술가 창작지원에 반영되어 서울문화재단, 서울무용센터, 무용예술인 모두 고르게 높은 보수를 얻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실제로 2014년에는 이 지원이 추진되었다. 2016년에는 정책집행자의 선호 중심으로 정책대상자인 무용예술인의 선호가 강하게 반영되지 않아 정책대상자가 비교적 낮은 보수를 얻었으나 정책집행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보수를 얻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제로 2016년도에 이 지원은 추진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문화예술정책 결정과정의 사회적 선호는 정책 행위자들의 전략 선택의 폭을 좁히고 경기자들의 보수의 값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화예술정책 결정과정에서 정책집행자가 정책대상자의 선호를 반영하는 관점은 단기적으로는 예산 추가, 성과 미달성 등의 손해를 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정책순응과 사회 전체의 행복과 복지 추구 등의 편익 증가의 가능성을 높인다. 이 과정에 작용하는 사회적 선호는 문화예술정책에 존재할 수 있는 불완전성을 보완할 수 있다. Public policy is an effort to solve problems in societies and to seek public interest based on societal values. Public policy should aim for human dignity as its highest values and should be based on human respect and morality. Human dignity, the basic human right, is achieved by altruism, the unselfish caring of others. This value, however, is often ignored by policy makers who tend to focus on tangible results and self-interest.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explain maximizing the efficiency, economy, rationalism, productivity, etc. of decisions made by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societies. These studies rarely discussed the effect of 󰡒irrational󰡓 human factors based on altruistic values of the community members. This study began from my belief that the seemingly “irrational” altruistic human factors play, in fact, a meaningful role as part of “rational” policy making approaches. This research seeks to explain what role social preference of the intended the policy enforcer play in making their seemingly irrational decisions that in fact maximize benefits of the community members. I am defining that altruistic values ― caring for others, fairness, and empathy ― to be Social Preference in trying to establish the theory why Social Preference should be part of the cultural policy making process. The concept of Social Preference is based on Dr. Choi’s Social Preference theory who is an economist. Aiming to show whether Social Preference can be a deciding factor in making a cultural policy, I selected the Residence Project of the Seoul Dance Center as my analysis subject and the Game Theory as my methodology. My case study subject, the Residence Project of Seoul Dance Center, involves many actors: The Seoul Foundation for Art and Culture, the Seoul Dance Center, and dance artists. They interact within a particular rule-structured situation linked to a specific environment. They may also adopt their own behavioral strategies in relation to the others, which can be analyzed with the Game Theory. I designed two game situations for comparison: 1. a dilemma game(PDG: Prisoner’s Dilemma Game) situation and 2. a evolutionary game(BSG: Battle of Sexes Game with outside option) affected by Social Preference. In the dilemma game(PDG) situation,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Player 1) and the Seoul Dance Center (Player 2) both adopted a non-cooperation strategy, resulting in the loss of the support for the Residence Project. In the other game, however, Social Preference played a role in creating a substantial payoff for both participants,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Player 1) and the Seoul Dance Center (Player 2), resulting in the support for The Residence Project. In the evolutionary game(BSG) situation, the strong preference of dance artists, as beneficiaries was reflected in the game and the Seoul Foundation for Art and Culture, the Seoul Dance Center and the dance artists all benefitted almost equally in 2014. In 2016, however, when the preference of the Seoul Foundation and the Seoul Dance Center as the policy enforcers prevailed, they were paid highly at the expense of dance artists who received low pays. In fact, the Resident project did not come to fruition in that year. My study identified a structural condition that induces altruistic cooperation among players, by showing that promoting Social Preference will foste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the actors. Successful culture policy, therefore, should pursue the common societal good to benefit the community members equitably and extend the opportunities to all.

      • 작가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미술품 가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상범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63

        It is true that most artists have financial difficulties, but there are also artists with high income as their values have been recognized in the art market and their artworks have been traded for high values. This study assumes that high-income artists could be different from ordinary artists, and particularly focuses on their social network that is how the artists' social network is related to the price of there artworks in the art market.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pricing of artworks are lim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s or artworks. It seems that they have overlooked the impact of artistic exchanges. Therefore, this study derives the characteristic exponent of artists' social network activities focusing on their career experience and examines its relationship with the pricing of artworks. The following shows the findings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on auction records of the last 10 years and the top 50 artists on the list. First, the career of top artists can be classified as the follows artists who became active after winning at an art contest(48%), artists who grew into leaders of the art sector such as professors or heads of artistic organizations(36%), artists who had no history of exchange in the art sector(10%). 54% of artists have studied abroad, and 72% of artists were born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network and trading performance, the artist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and power of network showed good trading performance and those with high constraint showed poor trading performa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network and trading performance, the artist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showed good trading performance. Fourth, in terms of the impact on artists' experience and network characteristics, studying abroad and membership in an organization affected the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of organizational network and social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group exhibitions affected degree centrality of organizational network. Solo show and award-winning history affected constraint and gallery, sponsorship, and age affected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and constraint. Also, it was found that the galleries played a critical role in improving the trading performance of artists and hade a great impact on the artists' position in the market. In terms of age, living artists significantly affect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in the organizational network, while deceased artists significantly affect degree centrality and constraint in the network with other artists. This means that the impact of network varies by times. In other words, deceased artists were at the center of network with other artists, while top living artists are at the center of organizational network.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discussed the relativity between the artists' social network and trading performance. Second,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analyzed the artists'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ocial network between artists and organizational network with interested parties. Also studies only considered limited characteristics of network, but this study identified the artists' trading perform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o show the expandability of studies on social network. Third, as a result of the study, high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and power of network between artists and low constraint led to good trading performance. For the artists who engage in organizational network, those with high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showed good trading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artists' network is a critical variable that affects pricing. Fourth, this study shows that social network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trading performance of artists and artworks in the field of art. * Keyword : Artists, Social Network, Social Network between Artists, Social Network with Organizations,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onstraint, Power, Trading Performance 대부분의 예술가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미술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거래성과가 높은 고소득 작가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는 고소득 작가가 일반 작가들에 비하여 여러가지 다른 특성이 있을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특성 중에서 특히 작가들의 사회적 관계형성(Social Network)에 주목하였다. 미술품 가격형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예술가나 예술품의 특성요인에 한정되어 있다. 이는 예술적 교류 관계의 관점을 놓치고 있다고 보인다. 본 연구는 작가의 경력특성 요인을 중심으로 작가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의 특성지수를 도출하고 미술품 거래가격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최근 10년간 경매거래성과 상위 50명의 작가를 대상으로 네트워크분석, t-test,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 작가들의 경력은 다음 5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미술대회에서 수상을 기반으로 작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하는 경우(48%)와 교수나, 미술계 단체의 수장경력 등 미술 분야의 리더로 성장(36%)한 작가가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0%는 미술 분야에서 교류한 경력이 전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작가들의 해외유학경험은 54%로 나타났으며 시대별로는 해방이전 시대의 작가들이 72%를 차지하였다. 둘째, 작가 간 네트워크와 거래성과 관계 분석결과 네트워크의 중앙성, 매개성, 파워성이 높은 작가들의 거래성과가 높았고 반면 제약성은 높은 작가가 거래성과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교류단체 네트워크와 거래성과 관계에서는 중앙성, 매개성이 높은 작가의 거래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작가의 경력과 네트워크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①해외유학과 소속단체여부는 교류단체 네트워크의 중앙성, 매개성에 영향을 주었고 ②사회경력과 단체전 참여빈도는 교류단체 네트워크에서 중앙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첫 개인전과 수상경력은 제약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④갤러리, 후원, 생존여부는 중앙성, 매개성, 제약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가들의 거래성과를 높이는데 갤러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작가들의 시장위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생존여부에서는 생존한 작가는 교류단체 네트워크에서 중앙성, 매개성에 유의함을 나타내고, 작고한 작가는 작가 간 네트워크에서 중앙성, 제약성에 유의함을 나타냈다. 이것은 시대에 따라 네트워크의 영향이 달라짐을 시사다. 즉, 작고한 작가들은 작가 간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한 반면, 생존한 상위 작가들은 상대적으로 교류단체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작가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거래성과의 관계에 대해 미술 분야에서 처음으로 연구한 의의가 있다. 타 예술분야뿐만 아니라 미술 분야에서도 작가와 작품의 거래성과에 대한 사회적 네트워크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둘째, 미술작가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을 작가 간 사회적 네트워크와 작가와 이해관계자인 교류단체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다. 타 연구에서는 네트워크의 일부특성만을 연구에 이용한 것과 달리 여러 특성에 따른 작가의 거래성과를 파악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연구의 확장성을 보여 주었다. 셋째, 연구결과 작가 간 네트워크는 중앙성, 매개성, 파워성이 높으면 거래성과가 높았으며 제약성은 낮은 작가의 거래성과가 높았다. 작가와 교류단체 네트워크는 중앙성과 매개성이 높은 작가의 거래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작가의 네트워크 변수가 가격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 국내 문화예술 정책연구 경향 분석 (2007∼2016) : 정부·광역지자체 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백현태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Culture and art are the strong resources, ideology, history of country and the heritage which can be handed over to the coming age. Korean are a people with immemorial historical background and we have been inherited fine culture and art and cultural policies for protecting them have been enforced. Now Korean culture and arts polices can be seen to have been started since 1970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Day, fifth day of August 1945, Korea had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to be cleared off promptly and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account of ideology differences laid all the key industrial complexes in ash and caused the loss of economic power and severe famine. In these phases of time, culture and art were regarded as luxurious and only for the elite by the public therefore they were hard to be realized in the national policy. For Culture and Art Promotion Acts was established in 1972, full-fledged Culture and Arts policy set cornerstone of support and through the foundation of Korean Culture and Art Foundation,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Raising started and built five-year revival project of art and literature. However, those policies during Yushin regime included artist control and censorship by state-run system and this widened cultural inter-regional inequality. Later, inaugurated Civilian Government seeking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higher degrees of enjoyment of culture started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and tried to expand cultural programs and facilities. Finally local culture and art policies have been transformed to adapt features of each local and are pursuing improvement of life quality via balanced develop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utilization form of local government’s culture and arts policy which was enforced since Civilian Government by the various regions. And it is the study on policy-trend judged by the report of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researchers in local-government and we make the statistical indicator which people can get the degrees of utilization based on.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14 Korean broader unit/local governments researchers issued 934 cases of culture and art-related-policy research report. Research reports classified as 10 divisions of Cultural Industry, Local Culture, Cultural Basic Facilities, Cultural Welfare, Cultural Betterment, Indicators Development, Artistic Promotion, International Culture, Man-power Policy, Financial System is analyzed by 3 sectors: Years, Regions, Fields. First is trend analysis by the years. There has been total 943 cases of research report for 10 years. 84 cases in 2007, 85 cases in 2008, 83 cases in 2009, 81 cases in 2010, 100 cases in 2011, 102 cases in 2012, 101 cases in 2013, 109 cases in 2014, 96 cases in 2015 and 102 cases in 2016. Average 94 cases of researches have been reported, average 83 cases were reported from 2007 to 2010 and average 101 cases from 2011 to 2016 increased 18 cases a year. In overall, ceaseless studies on policy were progressed and these were seen as the effects of balanced development including special account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 1990s by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regional research institution opened and on 2016, Daejeon Sejong Research Institution made its debut, too. Now 14 research institutions of local government and Korea Culture Tourism Institution study Culture and arts policy and try to improve and keep policy. This way, the active role of local policy research institutions and balanced-development policy enabled local cultural infrastructure and local cultural industry support resulting in consistent research report. Second is trend analysis by the regions. Central governmental institution, Korea Culture and Tourism Research Institution account for 37% and there has been 346 cases of overall research activities on Korean Culture and Arts policy. Looking at the research cases by each local institution, there have been 63 cases by Seoul Institution, 30 cases by Gyeongi Institution, 35 cases by Incheon developmental Institution, Daejeon Sejong Institution, 27 cases by Gwangju Jeonnam Institution, 48 cases by Jeonbuk Institution, 88 cases by Gangwon Institution, 25 cases by Ulsan Developmental Institution 38 cases by Chungbuk Institution, 50 cases by Chungnam Institution, 58 cases by Daegu Kyungbuk Institution, 30 cases by Kyungnam Developmental Institution, 33 cases by Busan Developmental Institution and 31 cases by Jeju Institution. Gangwon Institution reported 88 cases and this accounts for 9% of total cases as the festival-related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increased for recent years. The number of total festival-related research reports is 63 and 23 them are reports by Gangwon Institution. Most of them are talking about assessment and plans for development. Third is trend analysis by the fields. This paper is classified as 10 fields of Culture and Arts policy. 268 cases of Cultural Industry, 238 cases of Local Culture, 97 cases of Cultural Basic Facilities, 79 cases of Cultural Welfare, 74 cases of Cultural Betterment, 57 cases of Indicators Development, 51 cases of Artistic Promotion, 38 cases of International Culture, 32 cases of Man-power Policy and 9 cases of Financial System. Cultural Industry takes up the biggest part as 28% of total, Local Culture accounts for 25% and Cultural Basic Facilities and Cultural Welfare follow. Wide spectrums of cultural industry made a big influence in addition Korean wave and content business having emerged as higher value added industry took up a large amount of percent. And also after the set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there has been trials for developing local products and programs such as local festival where people can taste ow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Now, the various contents have become the major resources of nation’s industry in these times. Culture has been subdivided therefore improvement of policy and the range of policy research are getting widen. The other fields except for culture and arts are being studied on their trend analysis. However, due to the vagueness of boundary, culture and arts lack of trend analysis materials. Research reports by different governmental cultural polices were active. However, according to report of local research institution, quantities of culture and arts polices are only a few for the last 10 years. Culture and Arts of Modern society rapidly move to software system however local cultural industry is still staying in hardware such as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y. Especially, policy report is seldom if ever or only related to tourism or cultural property. They do not come up with the speed of current culture and arts trend and only imitate precedents. On the other side, along with the cultural industry, local cultural industry is changing its aim to the software and reflect its own features into cultural brand development.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policy-reports by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ion and researchers of 14 local-government. Therefore, this excluded activity of extra government and civilian. There is a possibility of minute error between research of center and local however the paper is based on documents of researchers in local comprehensive Policy Study Institution. Through this result, analysis on trend of policy of recent 10 years are able to be utilized as base line data to discuss of trend of culture and arts policy. 문화와 예술은 국가의 강력한 자원이자, 이념이며, 역사이고 후대에 물려줄 유산이다. 유구한 역사를 지닌 우리 민족은 오래 된 역사만큼이나 수려한 문화와 예술을 물려받았고 이를 지키고 지원하기 위한 정책 역시 과거부터 시행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정책은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의 우리나라는 36년 간의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난 터라 국내 질서 확립과 일재 잔재 청산이 시급하였고 이념 차이로 발발된 6·25 전쟁은 남한에 모여 있던 주요산업시설을 초토화 시키며 국가경제력 상실과 국민의 극심한 빈곤을 야기하였다. 이와 같은 당시 시대상에서 문화예술은 상위 부유층이 즐기는 고급향유문화로 치부되었고 대다수의 국민들에겐 사치문화로 인식되었기에 국가정책으로 구현되기 어려웠다. 1972년 제정된 ‘문화예술진흥법’의 제정으로 본격적인 문화예술정책은 지원의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고 1973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을 설립하여 문예진흥기금 모금을 개시하며 문예중흥 5개년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하지만 유신체제 속에 수립 된 문화예술정책은 국가주도로 시행하며 예술인 통제와 검열을 거쳤으며 중앙 정부중심의 문화행정으로 지역과의 문화격차를 벌려놓게 되었다. 이후 출범한 문민정부는 균형발전과 문화향유 증대를 위하여 지방자치제로 분권하며 문화시설과 프로그램의 확충을 과제로 삼았고 지역문화예술정책은 지역별 특성에 맞게 변모하며 현재까지 균형 발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화예술 정책 수립 과정을 거치며 생긴 중앙 집권의 문화예술 정책이 문민정부 이후 시작된 지방자치제의 문화예술정책 중 지역별 활용 형태에 대해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각 지자체 연구원의 연구 보고서를 통하여 정책연구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근거로 현재의 지역문화예술 정책의 활용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통계지표를 만들고자 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전국 14개 광역·지자체 연구원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문화예술 관련 정책 연구보고서는 934건 발행되었다. 문화산업, 지역문화, 문화기반시설, 문화복지, 정책개선, 지표개발, 예술진흥, 국제문화, 인력정책, 재정체계 등 10가지 영역으로 분류 된 연구보고서는 연도별, 지역별, 분야별 등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도별 경향 분석이다. 10년간 전체 연구보고 활동은 943건으로 2007년 84건, 2008년 85건, 2009년 83건, 2010년 81건, 2011년 100건, 2012년 102건, 2013년 101건, 2014년 109건, 2015년 96건, 2016년 102건이다. 평균 94건의 연구보고 활동이 매년 이루어졌는데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평균 83건이었으며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평균 101건으로 연간 18건으로 증가하였다. 1990년대 지방분권으로 지역별 연구원이 개원하였는데 2016년 기존의 대전연구원이 대전세종연구원으로 새롭게 개 원되며 현재 지자체 14개 연구원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문화예술정책을 연구 하며 지역개발과 정책개선 및 유지를 위하여 활동 중이다. 이처럼 지역정책연구기관의 활동과 균형발전 정책으로 인한 지역문화기반시설 및 지역문화산업 지원 등으로 꾸준한 연구보고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두 번째, 지역별 경향분석이다. 중앙 정부 소속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전체 37%로 346건의 국내 문화예술 정책에 대한 전반적 연구 활동이 있었다. 각 지자체 연구원을 살펴보면 서울연구원 63건, 경기연구원 30건, 인천발전연구원 35건, 대전세종연구원 41건, 광주전남연구원 27건, 전북연구원 48건, 강원연구원 88건, 울산벌전연구원 25건, 충북연구원 38건, 충남연구원 50건, 대구경북연구원 58건, 경남발전연구원 30건,부산발전연구원 33건, 제주연구원 31건이다. 강원연구원은 88건으로 전체 9%의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 산재되어 있는 축제 관련 연구보고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건수도 증가하였다. 전체 축제 관련 연구보고서는 총 63건인데 그 중 23건이 강원연구원의 연구보고서이며 대부분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가 주요를 이루었다. 세 번째, 분야별 경향 분석이다. 10가지 분류 된 문화예술정책 영역으로 각 연구보고서를 분류하였는데, 문화산업 268건, 지역문화 238건, 문화기반시설 97건, 문화복지 79건, 정책개선 74건, 지표개발 57건, 예술진흥 51건, 국제문화 38건, 인력정책 32건, 재정체계 9건이다. 문화산업이 전체 28%, 지역문화가 2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문화기반 시설과 문화복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문화산업이 가진 넓은 범주도 영향이 있지만 한류열풍과 콘텐츠 사업 등 문화산업이 국가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등장하며 전체 연구의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지방자치제 이후 지역문화의 개발로 지역의 특성과 유산에 대한 상품 개발, 그리고 각 지역별 지역축제의 육성으로 많은 연구활동이 이어졌고 주요를 이루었다. 현대 사회가 가진 다양한 콘텐츠는 이제 국가 산업의 주요 자원이 되었고 그 범위 또한 세분화되어 정책의 개선과 정책연구의 범위 또한 넓어지며 변하고 있다. 문화예술 이외의 다른 분야는 현재 경향분석에 대한 활동이 다양하고 많이 연구되고 있는 반면, 문화예술은 경계의 모호함으로 경향분석 자료가 많지 않으며 최근 경향의 다각적 분석 자료도 드물다. 정부별 문화정책에 대한 연구 보고는 활발하지만 지역의 연구원 연구보고서를 살펴보면 10년간의 문화예술정책 범위와 양은 그리 많지 않다. 현대사회의 문화예술은 빠르게 소프트웨어로 이동하지만 지역의 문화산업은 아직 하드웨어 즉, 문화재 관리, 유산 보존, 전통문화 등에 머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예술 관련 정책보고서는 없거나 1~2건에 그치며 나머지는 관광, 혹은 문화유산에 관계되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문화예술 속도에 미치지 못하고 과거 문화예술 정책연구에 대한 답습 현상이 보이고 있다. 한편으로 문화산업과 더불어 지역문화산업은 빠르게 성장 중이며 그 발전 가능성을 짐작하게 할 수 있다. 지역문화 분야별 연구 활동을 살펴보면 하드웨어 중심인 것들이 많지만 조금씩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하고 있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브랜드 개발과 자료보고 활동이 이어진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14개 지자체 연구원의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경향 분석이 이루어졌기에 민간 활동과 타 지자체의 시행활동에 대해서는 분석되지 않았다. 중앙과 지역의 문화예술정책과 연구 활동에 대한 오차는 있을 수 있지만 지역의 종합적인 정책 연구 시행기관인 연구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경향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최근 10년간 예술에 도달하는 정책 변화를 분석하여 문화예술 정책사업의 현황 파악 및 기초자료로서 세부적인 지역문화예술발전이 이루어지길 소망한다.

      • 공공단체 예술인의 노조몰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국공립예술단원을 중심으로

        이영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63

        From the late 1990s, public art organization’s operations have been slowly privatized through contracting out and performance-based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movement was to restore an efficiency and the autonomy from excessive bureaucracy in management. Ironically, making profit for the financial independence became a main goal while ensuring the autonomy in operation became less important and a superficial goal. In addition, opinions from public organization artists’ and the general public were neglected. Lack of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created conflicts. This research focused on this particular background explained above.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union commitment 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art organizations. An artist working for the government and engaging in union commitment should be differentiated with private sector employees. Therefore, the artistic features would be designated as a control variable to apply the artists' occupational features into research.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past literature related to union commitment were reviewed to identify key variables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the commitment. These variables were tested to view their actual aspects.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artists currently participate in a governmental or the public owned organization unions. Research proceeded as follows: focus group interview, then set up target specified research a theory,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re provided below: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nd union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in union commitment. Second, to examine the linkage in un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high union commitment results in better work satisfaction. Third, the core of governmental or public affiliated artist union in between, attitude towards union commitment. Fourth,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in union activities and union commitment, the union activities follows as of the result of labor union activities and positively affects to union commitment. Fifth, contribution of labor union and union commitment, it has indefinite positive result in public welfare and union commitment as well. Labor and management relationship culture and union commitment exposed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labor union with union commitment as sixth. Seventh, examine six variables above to find highly effective in which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ected as the most. Finally, high publicity in governmental and public owned organization’s artists and their results provided more concentration in union commitment. Control variable, publicness of art, interactively effects to both attitude of managers and co-worker perception. This result reflects the more publicness negatively. It shows that publicnes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manager attitude and the co-worker's perception. From the research, we found artists belong to those of non-private organization has cognizance in public of art. Member of a labor union affiliated artist should aware their specialty in culture and art, therefore, an independent, target oriented in providing an art and culture to the public should possessed in person or particular. 1990년 후반부터 문화예술단체는 관 운영에서 민간위탁 및 책임운영 방식을 도입하는 등 점차 민영화되기 시작했다. 그 배경 취지는 운영의 관료주의를 극복하고 자율성을 보장하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재정 자립을 위한 수익성 추구가 실질적인 목표이고 자율성은 명목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추진과정에서 공론화 과정이나 기관 소속 예술인의 의견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결국 이런 문제로 인해 많은 갈등이 표출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 주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의 목적을 공공재원으로 운영되는 우리나라의 국공립예술단체에 있어 예술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예술인이 노조몰입에 참여하는 실질적인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공립예술단원의 노조몰입은 일반 근로노조원과 같은 시각의 노조몰입으로 보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고 전제하고, 국공립예술단체의 예술활동과 예술인이 갖는 직업적 특성을 예술의 공공성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예술의 공공성이 가질 수 있는 중요한 명분을 강조하여 조절변수로 선정하고 연구에 반영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먼저 노조몰입에 관한 기본이론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국공립예술인 노조몰입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변수가 실제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국공립예술단체의 단원으로 노조에 가입한 실연 예술인으로 대상을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연구목적을 감안하여 대상자 인터뷰를 거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도구로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나타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몰입도와 노조몰입의 관계를 살펴보면, 조직몰입도는 전반적으로 노조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직무만족도와 노조몰입의 관계를 살펴보면, 활발한 노조몰입은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셋째, 국공립예술단 노동조합에 대한 동료의 인식 및 관리자의 태도와 노조몰입의 관계에서는 동료의 인식 및 관리자의 태도는 노조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노조만족도는 노조활동의 결과로서 효과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노조몰입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노동조합의 공헌도는 사회에 공익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노조몰입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노사문화는 노동조합에 대한 우호적인 긍정적 태도로 나타나며 노조몰입에 긍정의 영향을 미친다. 일곱째, 위의 여섯 가지 변수가 노조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변수가 가장 높은지 알아보는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조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조직몰입도이다. 여덟째, 국공립예술단체 예술인과 예술활동의 공공성이 높을수록 노조몰입은 증가된다. 또한 조절변수로서 예술의 공공성은 관리자의 태도와 동료인식에 상충적인 상호작용을 한다. 이는 공공성이 있을수록 관리자 태도와 동료인식이 노조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낮춘다는 것을 시사한다. 국공립예술단체에 속한 예술인은 예술의 공공성이 의무이며 중요하다는 사실에 모두 공감하고 있다. 국공립예술기관은 공공성을 지향하는 운영 목적에 맞게 관리자, 예술단원, 노동조합이 힘을 합하여 질 높은 공연예술 활동으로 국민 문화향유에 기여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어 나가기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한다. 주제어 : 노조몰입, 조직몰입, 직무만족, 예술노조, 예술의 공공성

      • 총액예산지원제도 도입을 통한 지역문화재단 재정안정화에 관한 연구

        김백기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간 문화편차를 줄이고 문화도시로서의 이미지 향상과 문화를 통한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지역문화정책 및 실행의 제3섹터로서 지역문화재단의 설립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행정중심의 문화정책 및 집행이 문화정책의 지속성, 전문성, 효과성, 문화 현장과의 네트워크 등에 한계가 있다는 인식도 지역문화재단 설립 가속화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설립 속도에 비해 지역문화재단은 필연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다양한 구조적 문제를 안고 설립되고 있다. 행정주도 설립에 의한 행정기관 종속화,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천편일률적 조례와 미션 설정, 수익성 위주의 사업으로 인한 공공성 훼손, 문화예술기관으로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의 법적, 행정적 규제 등이다. 무엇보다도 공공재원 의존에 따른 행정종속화와 매년 유동성이 큰 예산은 지역문화재단이 해결해야 할 숙명적 과제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와 함께 정부의 공공지원 방식 또한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고 있으며, 예산편성에 있어서는 전통적 예산제도인 품목별예산제도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문화정책 체계에 있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불명확한 역할구분으로 많은 사업이 중복되고 있으며, 복잡한 행정절차로 말미암아 지역문화재단의 유연 경영에 장애가 되고 있다. 결국 지역문화재단이 재정종속 및 행정종속 관계를 탈피하며 해마다 반복되는 예산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궁극적 해결방안으로 본 논문은 총액예산지원제도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의 선제적 도입으로 안정적 공공재원 하에 지역문화예술을 꽃 피우고 있는 일본 이바라키현 미토시의 총액예산지원제도의 성과를 주목해 보았다. 미토시 및 미토예술진흥재단의 성과 및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보고 이를 통해 국내에 제도의 도입방안과 도입 시 고려조건 등도 제시해 보았다. Recentl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accelerating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cultural foundation as the third section of local cultural policies and implementation to reduce cultural deviation between regions and find growth engines through improving their image as a cultural city. In addition, the perception that administrative-oriented cultural policies and enforcement are limited in the sustainability of culturaal policies, expertise, effectiveness, and network with cultural sites is also a major factor in accelerating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cultural foundation. In contrast to the speed of its establishment,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has been established with a variety of structural problems that inevitably result in exposure. The government's legal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First of all, the government's continued administration and highly liquidated budgets that depend on public funds can be considered a fatal task to be solved by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Along with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s public support system is also very inefficient, and its undue reliance on the traditional budget system, the item-by-item budget, is also a challenge. As for the cultural policy system, many projects are overlapping due to unclear divis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omplex administrative procedures have hindered the flexible management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In the end, the paper suggests the need to introduce a total budget support system as an ultimate solution for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to avoi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relations and simplify the annual budget process. With the preemptive introduction of such a system, the government paid attention to the results of the total budget support system in Mitoshi Ibaraki Prefecture, Japan, which is enjoying local cultural arts under stable public fund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Mitoshi and the Mito Arts Promotion Foundation were analyzed in detail and the plans for introducing the system and the conditions for consideration in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in Korea were also suggested.

      • 공립예술단체 민간법인 소속화 과정 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 : 경기도립예술단 중심으로

        이건왕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With the establishment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and the launch of the Fifth Republic of popular election, the domestic culture and art policy has changed rapidly. In particular, with the economical development, citizens' cultural interests and desir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and public agencies' cultural policy has changed rapidly. This rapid change is remarkable in public agency-operated performing art centers and its affiliated art organizations. Therefore, citizens can experience this change firsthand via such organizations. It is because public agency-operated performing art centers and its affiliated art organizations have a vertically structured delivery system of public agencies' cultural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and improvement strategy of incorporation of public art organizations. For this,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operation and incorporation of art organizations belonging to the existing legal foundations or performing art centers, focusing on Gyeonggi Art Center (legal foundation) and Gyeonggi Provincial Art Groups which launched in November 1, 2009 as an integrated organization belonging to Gyeonggi Art Center. Ten years have elapsed since Seoul City Art Groups were incorporated into the Sejong Center for Performing Arts. It is very meaningful that at this point of time, 4 Gyeonggi provincial art groups have been simultaneously incorporated. This incident will provide motives to the incorporation of local public art groups and result in a chain reaction as a new strategy of operation of art groups. In this vein,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problem and improvement strategy of incorporation of local art groups, focusing on the incorporation case of Gyeonggi Provincial Art Groups. Study methods were preceding study analysis, examination of related theories, case studies, researches on polici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The scope of study was the examination on the operational patterns of domestic public performing art centers and permanently stationed groups from the aspect of contents, together with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foundations and its affiliated art groups home and abroad. In the first chapter, the background, purpose and scope of study on the process and improvement strategy of incorporation of public art organizations were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the outline of operational patterns of public performing art centers and permanently stationed groups was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the operational statu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Gyeonggi Provincial Art Groups were analyzed. In the fourth chapter, the process of incorporation of Gyeonggi Art Center (foundation) was looked into. The art group-oriented incorporation of Gyeonggi Art Center was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of members of Gyeonggi Provincial Art Groups after incorporation was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operation of art groups, it is necessary to get out of the rigid and uniformed conventional method of operation and then convert its direction to new methods. Second, at the time of considering the incorporation of public art groups into public funding legal foundations, it is necessary to grope after a settlement strategy of anxious psychology of members who are facing up to changes first of all. Third, all the goals and processes of incorporation must be centered on art groups. In case of Gyeonggi Provincial Art Groups' incorporation into Gyeonggi Art Center,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ts organization via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its members, rather than enforcing radical changes. About ten years have passed since domestic art groups' incorporation or affiliation into legal foundations was initiated. So, this study seemed to have limitation in this point. The investigator hopes continuous researches and diagnoses of public art groups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n order for various art groups nationwide to establish alternative strategies and desirable methods for operation and find out their true identity. 지방자치가 시작되고 민선5기를 맞이하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의 문화예술 정책이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특히 경제적인 발전과 더불어 시민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문화 수혜욕구가 크게 요구되면서 공공기관의 문화정책의 변화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은 공공기관주도형 공연장과 그 공연장 소속 산하예술단체에서 변화의 모습이 가장 빠르고 시민들에게 피부에 직접 와 닿는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공연장과 산하 예술단체들은 공공기관에서 수립된 문화정책이 바로 수직적으로 전달되는 시스템구조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공립예술단체 민간법인 소속화 과정 분석 및 개선방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기존 재단법인 또는 공연장 산하 소속화 한 예술단체, (재)경기도 문화의 전당과 2009년 11월1일 전당 소속 통합출범한 경기도립예술단의 운영현황 및 전당 법인 소속화 과정을 분석하여 예술단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재)세종문화회관에 서울시예술단이 소속화가 된지 10년이 경과된 이후 경기도립 4개 예술단이 한꺼번에 법인으로 출범한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이것은 향후 각 지방의 공립예술단체의 법인 소속화 추진에 동기부여가 되고 예술단의 새로운 운영방안으로 연쇄적인 반응이 일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향후 지방 예술단체의 법인 소속화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개선점을 경기도립예술단의 법인 소속화 예를 들어 연구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선행연구 분석, 관련이론 검토, 사례분석, 정책연구, 설문조사을 통한 의견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우리나라 공공 공연장과 상주단체 운영유형의 분석하고 국내, 외 재단법인 또는 소속 예술단체의 운영현황 조사 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하여 공공예술단체 민간법인 소속화 과정 분석 및 개선방향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 등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실증에 앞서 전문 공공 공연단체의 이해를 위하여 공공 공연장과 상주단체 운영유형의 개요를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경기도립예술단의 운영 실태와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재)경기도문화의전당에 법인 소속화 추진과정을 연구 분석하였다. 예술단 중심의 전당 법인 소속화 주요 개선사항을 5개 항목별로 조사하였다. 또한 법인화 후의 경기도립예술단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직되고 획일화 된 기존 운영방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예술단체 운영의 방향전환이 필요하였다. 2. 공립예술단체의 공공출연 재단법인 소속 전환 검토 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변화에 직면한 단원들의 불안한 심리상태에 대한 해결 방안 모색이다. 3. 법인화 추진 목적 및 과정 등 모든 사항이 예술단 중심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도립예술단의 경우 전당 법인 소속화 이후 급진적인 조직변화의 모색보다는 단원들과 소통을 통해 충분한 검토를 거쳐 제도를 보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제언한다. 국내 예술단체 법인화 및 법인 소속화 전환의 역사가 단지 10여년으로 볼 때 본 연구는 그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지속적인 공공예술단체의 연구와 진단을 통한 대안을 마련하여 전국 각각 유형의 예술단체가 바람직한 운영방법을 모색하여 정체성을 찾는 것이 향후 연구 과제로 남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