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극전용극장 설립과 무대공간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강영근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창극이 국가를 대표하는 전통음악극으로 면모를 갖추고 관광문화상품으로서의 가치를 갖기 위해 창극만을 공연하는 전용극장의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대두되어 왔다.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전통적 형식미학과 내용적 정서를 농축한 창극전용극장의 설립과 운영은 경제적 타산성을 뛰어넘는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고부가가치를 창조한다. 따라서 창극 상설무대화를 위한 기초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시급히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창극전용극장의 설립과 창극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극공연에 관련된 극장의 형태를 역사적으로 살피고 창극공연 극장의 공간구성과 전속창극단의 운영 및 공연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창극전용극장의 설립요소와 무대공간의 구성요소를 분석적으로 제시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창극의 개요와 전개과정 및 창극공연극장의 변천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행해졌던 역대 전통극장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전 연구자료를 분석하였다. 셋째, 창극공연극장인 국립중앙극장, 국립민속국악원, 광주문화예술회관,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 일본, 중국의 전통공연극장 운영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 외 연구자료를 활용하였다. 넷째, 통계분석을 위하여 전문가인 창극단 단원 151명과 관람객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창극전용극장 설립 요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했다. 창극 및 창극전용극장에 대한 인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술통계분석을 모집단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Frequency Analysis) 및 변수집단 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차분석(Crosstabs Tables)을 실시하였으며 교차분석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제곱(χ2) 검정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바람직한 창극전용극장 무대공간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창극단 예술감독, 창극연출가, 무대감독, 창극실기인 등을 대상으로 방문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극의 장르적 특성에 대해서는 관람객과 전문가 모두 창극과 판소리 장르가 혼재된 양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동시에 다른 전통 공연에 비해 대중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은 공연이라는 인식도 일치했다. 창극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원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창극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원정책 미비, 창극에 대한 인식부재, 전문공연장 부재로 나타나 정부의 지원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에 창극전용극장이 없다는 사실을 모두 잘 알고 있었으며 창극전용극장 건립의 필요성에 동의했다. 건립의 방식에 대해서는 기존극장을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보다 새로 건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이것은 창극전용극장 신설이 창극의 발전과 대중화의 선결과제로 인지하고 있는 결과이다. 셋째, 일본, 중국에 전통음악극 전용극장이 있다는 사실을 전문가들은 알고 있었고 일반인인 관람객들은 모르고 있었다. 그러나 관람객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주지시킨 후에는 우리도 창극전용극장을 건립해야 한다는 데에 동의했다. 더 나아가 전문배우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부설교육기관과 이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여 창극의 전문화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넷째, 바람직한 창극전용극장의 형태에 대해서 관람객은 전통궁중의례공간을 전문가는 사가의 대청과 마당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객석의 규모는 모두 대략 1,000~2,000석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보았다. 운영의 주체에 대하여 관람객 대부분은 정부-전문가-민간기업이 공동 운영하는 것이 좋겠다고 대답했고 반면 전문가는 창극 관련 전문가가 운영하는 것이 맞다고 했다. 재정 운영방식도 관람객과 전문가의 의견이 갈렸는데 전자는 정부와 민간 공동운영을, 후자는 국가기관 운영을 지지했다. 다섯째, 인터뷰 결과 창극전용극장의 무대면은 많을수록 좋다는 데에 의견이 모아졌다. 궁중의례공간과 같은 전통적 양식을 기본 구조로 하되 회전무대, 이동무대, 승강무대 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하부무대에 설치하고 여기에 마당과 같은 돌출무대를 결합된 무대 형태를 제시했다. 여섯째, 부속공간은 우선 분장실은 배역과 성별에 따라 세분화되어야 하고, 연습실은 가무악 각 분야에 맞게 구성하되 대, 중, 소 규모로 구분되어야 하며, 무대세트와 의상 등을 제작하는 제작실과 보관실이 별도로 있어야 한다. 일곱째, 객석공간은 500석 이내 소극장이나 800석 내외의 중극장 규모가 적당하고, 무대간 가청거리는 25m 내외가 적합하며, 가시거리는 30m 내외가 적절하다. 또한 공간 전체에 대한 계측을 기반으로 한 음향공학적 설계를 통해 객석공간에서의 자연음 가청성을 높여야 한다. 여덟째, 음향구성은 기계음을 배제한 자연음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단, 기계장치를 쓸 경우에는 이를 최소화하여 자연스러움이 훼손되지 않 To promote changgeuk a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music theater of Korea, as well as to elevate its value as a product for cultural tourism, the necessity of a theater devoted exclusively to changgeuk has long been recognized.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uch a theater, specifically for this art form which incorporates a unique traditional esthetic and comprises the essential inner sentiments of Koreans, would yield social and cultural value far beyond economic calculation. Therefore, the need for systematic research into the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changgeuk theater is urgently propou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lici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changgeuk-specific theater and its vitalization. For this, I examine the forms of theaters related to changgeuk performances, their construction of space, their current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changgeuk troupes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onents required for the founding of a changgeuk-only theater and the formal elements of its stage space. I us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I did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present an outline of changgeuk and its development, and to study the change of changgeuk theater. Second, I analyzed historical documents in order to examine the forms of traditional theaters in Korea. Third, using Korean and foreign resources,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at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Folk Performing Arts, the Gwangju Culture and Art Center, and the Sori Arts Center of Jeollabuk-do—all of which stage changgeuk—as well as at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aters in Japan and China. Fourth, for the purposes of statistical analysis, I surveyed 151 professional changgeuk performers and 165 audience members; results were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compon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hanggeuk theater. I used SPSS Statistics 17.0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lso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examine people’s perception of changgeuk and changgeuk-only theater, cross-tabulation analysis for frequency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sample and characteristics among variable groups, and χ2(chi-square) tests for the validation of results from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Fifth, I interviewed art directors, producers, stage managers, and professional changgeuk performers in order to identify desirable components of stage space in an exclusively changgeuk theater.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resulting from these interviews. Fir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geuk as a music genre, both audience and professionals recognize changgeuk as a genre incorporating pansori. At the same time, they acknowledge it as an under-popularized genre, compared to othe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ehind that lack of recognition, the absence of changgeuk-specific theaters and the shortage of governmental support are felt to be the elements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changgeuk; governmental support is seen as necessary and urgent. Second, all interviewees were well-aware of the absence of a changgeuk exclusive theater, and there was a consensus among them about the need for building one. In addition, as they were of the opinion that the establishment of a changgeuk-only theater is a prerequisiteforthedevelopmentandpopularizationofchanggeuk, many people supported the idea of building a new exclusive theater, rather than utilizing existing theaters. Third, the changgeuk professionals were aware of the existence of exclusive theaters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Japan and China, whereas the audience members were not. However, after being informed about the specialized theaters in foreign countries, audience members approved of the establishment of a changgeuk exclusive theater in Korea. Furthermore, there were opinions in support of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es for professional and amateur performers, in order to increase expertise in changgeuk. Fourth, regarding the design of the space in a changgeuk-specific theater, the audience preferred the ceremonial space of traditional palaces, while the professionals chose the court and wooden floor of a private house. From one to two thousand seats would be adequate for such a theater. In terms of management structure, the audience considered co-management by the government, professionals, and private enterprise as an appropriate form, whereas the professionals chose management by experts involved in changgeuk. The audience favored financial co-management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enterprise, while the professionals opted to assign that role to the government alone. Fifth, both the audience and professionals agre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s many stage sides available as possible. Although the stage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ceremonial space in traditional palaces, it should also have a revolving stage, a sliding stage, and an elevated stage, in addition to thrust staging, designed to resemble the court of a private house. Sixth, in other areas of the theater, dressing rooms sh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roles and genders of the performers; practice rooms should be designed in various sizes to accommodate singing, dancing, and instrumental music, respectively; and workshops for scenery and costumes, as well as a repository, are necessary. Seventh, regarding the space devoted to audience seating, it was felt that five hundred seats would be proper for a small theater, and eight hundred seats for a medium-sized one. Twenty-five meters was indicated to be appropriate as the range of hearing, and thirty meters suitable for visibility. Also, the natural acoustics of the house should be enhanced through special sonic design, based on the dimensions of the whole theater. Eighth, the sound quality should be natural, and exclude mechanical noise. Even when audio equipment i

      • 한 중 문화예술교류 발전방안 연구 : :한국 전통검무와 중국 고전검무를 중심으로

        멍두오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전통 검무를 비교 연구함으로 한·중 양국의 검무의 특징과 가치를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양국 간의 전통 문화예술 교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양국 검 무의 ‘유래와 역사’, ‘문화적 의미’, ‘연구와 전승’을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 한다. 검무의 유래와 역사는 양국 검무의 전승과 발전 과정을 연구하고 역사 문화 전승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한다. 문화적 의미에서는 검무 가 각 사회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위상을 비교 분석하고 문화 교류 및 사회 활동에서 검무의 역할과 의미를 탐구한다. 다음으로 양국 전통 검무의 동작 구조와 미학 특성을 ‘구조와 형식’, ‘전통문화와의 연관성과 미적 가치 비교’로 나누어 서술한다. ‘구조와 형식’에서는 양국 검무의 춤동작을 신체자세, 스텝, 검술 등의 유사점으로 비교분석하여 춤의 기교와 공연 스 타일의 특색을 제시한다. 또한 각국의 검무에 사용되는 검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검의 형태, 재질, 기능 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서술한다. 이후 음악, 의상, 무대 배치 등을 포함한 검무의 심미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공연 스타일과 예술 표현의 특성을 밝힌다. ‘전통문화와의 연관성’에서는 역사, 지리, 종교, 철학 등 두 검무가 처한 문화적 배경을 연구하고 문화 적 함의 및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미적가치 비교’에서는 두 검무 의 유사점 차이점을 밝힌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한 결론과 ‘한·중 문화 예술교류 방안’을 제언하 며 연구를 마친다. 본 연구가 한·중 문화예술교류 발전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raditional martial arts dance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based on these findings, propose methods for traditional cultural art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ly, the theoretical framework presents the 'Origins and History', 'Cultural Significance', and 'Research and Transmission' of martial arts dance in both countries. The origins and history section delves into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al trajectory of martial arts dance in both countries, explo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inheritance. The cultural significance section comparatively analyzes the influence and status of martial arts dance in each society and culture, investigating its role and significance in cultural exchanges and social activities. Subsequently, the study describes the structural featur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artial arts dance in both countries under the categories of 'Structure and Form' and 'Comparison of Aesthetic Value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Culture'. Under 'Structure and Form', the dance movements of martial arts in both countrie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body posture, steps, and swordplay, presenting distinctive features of choreography and performance styles. Additionally, the stud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words used in martial arts in each country,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erms of form, material, and functionality. Furthermore, the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dance, including music, costumes, and stage arrangement, highlighting performance styles and artistic expressions. Under 'Association with Traditional Culture', it examines the cultural backgrounds-historical, geographical, religious, philosophical-within which these martial arts exist, analyzing cultural implication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Lastly, the study concludes by proposing suggestions for 'Cultural Artistic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iming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the advancement of cultural artistic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 한국과 중국의 예술가곡에 내재된 시대성 고찰 : : 1920년대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인홍원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발전사를 네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대표적인 한국 예술가곡 홍난파의 《봉선화》, 김성태의 《산유화》, 최 영섭의 《그리운 금강산》, 이수인의 《내 맘의 강물》과 중국 예술가곡 샤오유메이의 《질문》, 황자의 《장미삼원》, 메이리치거의 《초원에 떠 서 지지 않는 태양》, 그리고 레이위안성의 《안녕, 대벽산》을 선정하였다. 각 시기의 중국과 한국의 예술가곡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비교 분석 하며 시대가 가지고 있는 시대성과 민족이 가지고 있는 시대의 정서가 예술가곡에 어떻게 투영하였는지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특정 시대의 예술가곡이 단순히 작곡가의 개 인적인 감정 표현을 넘어 각 시대의 시대상과 국가, 백성들의 모든 정서 들을 아우를 수 있는 것이 예술 가곡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두 나라의 작곡가들은 주로 자국의 시대적 정서를 담은 시를 선호하 였는데, 한국가곡은 주로 전통적인 시의 형식, 새야화현, 그리고 장구 리듬과 같은 역동적인 템포 등을 통해 표현되었다. 또한 중국가곡은 중국 전통 음계를 기반으로 지방민요 등을 차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과 중국에서는 서양의 예술가곡 형식을 기반으로 한 작품의 역사가 짧지만, 두 나라의 작곡가들은 서양음악의 기법을 사용하면서도 동시에 전통 적인 특징을 통합하여 각 나라의 독특한 특징을 드러내었다. 본 논문의 한국과 중국 예술가곡 비교 연구가 후대 문헌적 자료로 활용되어 향후 양국의 예술가곡 연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divides the development history of South Korea and China into four periods and selects representative Korean art songs and Chinese art songs from each period. For example, Korean art songs include Inpatients Balsamina by Hong Nan-pa, There are flowers in the mountain by Kim Sung-tae, Missing Geumgangsan by Choi Young-seop, The River of My Heart by Lee Su-in. And four Chinese artists, Question by Xiaoyu Mei, Hwang Zi 's Rose Three Wonders, The sun rises on the meadow and never set by Meirichger, and Bye, Daebyeoksan by Ray Yuan Sung. This article comparativel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Korean artistic repertoire in various periods, with the purpose of observing how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the era and the contemporary emotions of the nation are reflected in art song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found that art songs of a specific period not only express the personal emotions of the composer, but also include all the emotions of people of different period, different nation, and every times. As a result, composers from both countries primarily preferred poems that reflected the sentiments of their owntim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ngs are mainly expressed through the form of traditional poetry, new night chords, waist drum and other dynamic rhythms.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ongs are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scales and use for reference to local folk songs. In South Korea and China, works based on Western art song forms have a shorter history, but composers in the two countries combine traditional features while using Western music techniques, show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It is hoped that this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Korean art songs can provide literary materials for future generations and be helpful to future research on the art songs of the two countries.

      • 황자(黃自)의 고시사 예술가곡과 현대 시사 예술가곡에 대한비교 연구

        완밍샤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예술가곡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유럽에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그로부터 100여년이 지난 후 중국에서는 외국유학에서 돌아온 음악가와예술가들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으로 중국의 예술가곡은 큰 발전과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중국 예술가곡’은 중국의 고대시나 현대시를 가사로 사용하고, 서양의 작곡기법을 접목시킨 것으로 중국 민족음악의 특징을 살린 가곡을 지칭한다. 중국의 ‘예술가곡’ 창작은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 있지는 않지만, 고유하고 독특한 중국 예술가곡 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황자(黄自, 1904-1938)의 고시사 예술가곡은 중국 예술가곡 초기 대표작품으로써그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주고 있다. 황자는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알 수 있다. 첫째,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은 사회적 격동기, 수난기 및 문화 변혁기내에서 시작되었으며, 동·서양의 우수한 문화가 융합되고 내표되어 있다. 둘째, 서양의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동시에 동양 고전주의가 가지고있는 미학의 정수(精髓)와 강한 애국주의 정서도 함축되어 있다. 이를 통해 황자는 후대에 ‘애국 노래의 왕’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의 대표로써 황자의 초기작품은음악교재편찬을 목적으로 시작되었고, 황자는 가곡창작 뿐만 아니라 교육및 학문적 연구에도 관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황자의 가곡창작 시기와 작품을 분석한 후, 분석내용을 바탕으로그의 작품들이 후대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를 확인하였다. 그는 중국의민족음악과 서양의 작곡기법을 연구하여 새롭게 변화되고 완성도 높은 그만의 음악세계를 완성하였다. 그 결과, 황자의 음악은 후대의 많은 음악가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끼쳤다. 중국의 후대 음악가들은 황자의 음악적 영향을 받아 고전 예술가곡을계승 발전시켜 중국내 근현대음악사의 중요한 음악가로 성장하였다. 이에황자는 ‘중국 예술가곡의 대가(大家)' 라는 칭송을 받기도 했다. 황자가 지니고 있는 예술성을 서양가곡의 왕인 슈베르트와 단순 비교할수는 없지만, 시대적, 사회적 배경이 다른 상황 속에서 황자는 중국 예술가곡의 개척자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고시(古詩) 와 예술가곡에서나타나는 문학적 소양과 음악적 특성을 융합시킨 그의 시도는 슈베르트가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서양가곡을 새롭게 작곡했던 것과 같은 역할이었다. 또한 황자의 작품에 나타난 독창성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데, 이는 슈베르트와 같은 서양 음악가들의 획기적인 음악적 특성을 흡수한 것으로보인다. 이 때문에 황자는 ‘중국의 슈베르트’라고 불린다. 20세기 초 대표적인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은 황자를 통해 동·서양 문화의 종합적인 영향을 받아 중국 예술가곡의 기초적 배경이 되었음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황자의 짧은 생애를 구체적으로 정리함과 동시에고시사 예술가곡 다섯 작품과 현대 시사 예술가곡 세 작품을 비교·연구하고 그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중국고전 미학사상을 분석하고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예술가곡 및 황자의 예술가곡 연구 기초자료 제공과 추후 세계 각국의 성악가들이 중국의 초기 예술가곡에 대한 이론 연구에 활용되었으면 한다.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art songs gradually began to prevail in Europe. More than 100 years later, with the exploration and efforts of a group of musicians and writers studying abroad, artistic songs have gradually prospered in China. Generally speaking, we call them "Chinese art songs" that use ancient Chinese poetry or modern poetry as their lyrics, follow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folk music. Among these kinds of works, Huang Zi's art songs, especially the ancient poetry and art songs, have a relatively early history, and they also have the most characteristics of Chinese art songs. The study of yellow poems and art songs since ancient times shows that Chinese art songs were born under the turbulent period of the country, the national hardship period and the period of cultural change, which contains the inheritance and integration of the two excellent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At the same time, Huang Zi‘s modern poetry and art songs not only have the influence of Western Romanticism, but also have the aesthetic essence of Oriental classicism, and also have strong nationalistic or patriotic feelings. Because of this, Huang Zi is called "the King of patriotic songs". This study also found that many of Huang Zi's vocal music works represented by ancient poems and artistic songs were originally written for music teaching materials, and Huang Zi was also undertaking heavy teaching tasks during the creation process.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these works have strong teaching and research purposes. After analyzing the creation time sequence of these works, he also found that the innovation of the integration of folk music and western techniques was also gradually mature only after continuous practice and exploration. At the same time, these achievements have deeply influenced Huang's students through Huang's teaching. His students later created a large number of classic art songs, many of whom became important figures in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music. Therefore, Huang Zi is also known as the "generation of music master". Although due to different times, different social background, artistic achievements can not simple analogy, but if shubert as huang reference object, huang in Chinese art songs is very key, in his ancient poetry art songs reflected in the literary accomplishment and music bold breakthrough, and shubert in the German art songs create a similar role. The innovation of The Times reflected in these works is scientific, rational and orderly, which is reflected in Huang Zi's modern poetry and art songs, which also draws on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Schubert and other Western music figures. Therefore, Huang Zi is also known as the "Schubert of China". This study in Chinese art songs cannot independently born and developed, as an important representative of huang poetry art song is by social factors, cultural factors, western culture, Oriental thought and other comprehensive factors based on the fact, in the early 20th century Chinese art songs as the background, specific comb huang short life,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uang Zi's five ancient poems and three modern poems. to read the profound Chinese classical aesthetics, put forward the academic view of this study, etc. Therefore, this study hope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birth of Chinese art songs and the study of Huang Zi's art songs, and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nspiration for the vocal music peers in various countries to sing Chinese ancient poetry works in the future.

      • 한국, 미국, 중국의 실용음악대학교육과정 비교 연구

        리나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is a new discipline and is becoming a new field of music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field of practical music is not only promising, but also a great challenge for music education in China. The history of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is not long, but in recent years, new disciplines have been set up in various music and art colleges, comprehensive universities, teachers'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ina, with the goal of cultivating practical music talents.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status quo of pop music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hat are constantly striving and developing. There is no systematic curriculum system for pop music in China's universities, so it is urgent to research and develop an educational system suitable for China's current situ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pop music education in four national representative universities, including the post-modern music major of Kyung Hee University in Korea, Berkeley Conservatory of Music in the United States, MI Modern Conservatory in the United States, and Sichuan Conservatory of Music in China, and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pop music education courses, educational facilities, teachers' status and quality in Chinese universities. The researcher worked as a leading teacher of pop music in Chinese universities. Most of the teachers of practical music in universities in China rely on their own experience to teach, which makes the students' style cut across the board and has no personality. It can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actual pop music experts that the society wants. Therefore, the researchers first analyzed the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by comparing the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that i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investigated and studied it from the aspects of development status, education status, teaching materials status,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which describe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s well as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music education and pop music education conducted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third chapter is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pop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China and other countries. It has learned about the teaching materials and curriculum analysis, teachers' status and professional facilities of pop music department in universities in three countries. From the six aspects of development status, professional education status, professional teaching materials status,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and puts forward the professional curriculum of pop music and vocal music that conforms to the actual situation of universities in China. The researcher thinks w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n the process of pop music vocal music teaching, and puts forward the teaching strategy of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i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Based on its research conten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urses, it is found that the current situation of pop music courses offered by Sichuan Conservatory of Music of University of China is not satisfactory compared with the number of lectures and the proportion of professional lectures offered by thre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Second, in terms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pop music departments of three universitie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re higher than those of Kyung Hee University in South Korea.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umber of teachers in the pop music department of Sichuan Conservatory of Music in China is large, but the quality is far lower than that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some pop music education courses of professors in the pop music department of Sichuan Conservatory of Music, University of China,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completed and lack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of pop music. Finally, the fifth chapter, as a conclusion, makes an in-depth discussion on the systematic talent training,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construction of pop music development in universities in China.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the researchers put forward in-depth suggestions on systematic talent training,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construction for practical music education courses that meet the actual situation of universities in China.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교육은 신설학과이면서 새로운 음악교육영역으로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에 실용음악 분야는 발전적 전망을 가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중국음악교육의 커다란 도전과제이기도 하다. 중국대학에서의 실용음악교육 역사는 길지 않지만, 이 근래에 이르러중국의 각종 음악 및 예술대학, 종합대학, 사범대학 등에서 새로운 학과로신설되었으며, 실용음악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끊임없는 노력과 발전을 하고 있는 중국 대학 내 실용음악 전공의 현황을 알아보고 분석하는데 그 중점을 두었다.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은 아직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구축되어 있지 않고 중국 현재 상황에 맞는 교육체제의 연구와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경희대학교포스트모던음악전공, 미국의 버클리 음악대학, 미국MI현대음악대학,중국의 사천음악대학 등 네 나라의 대표적인 대학 내 실용음악전공의 교육현황을 살펴보고, 중국 대학 실용음악교육 커리큘럼, 교육시설, 교원 현황및 자질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중국대학에서 실용음악 보컬 교사로 재직 중에 있다. 중국 내 대학 실용음악의 대부분의 교사들은 자신의 경험에 의존하여 교수하는데, 이로 인해 학생들의 스타일은 획일적이고 개성이 없으며 그것은 현재사회가 원하는 실질적인 실용 음악 전문가의 요구에 적응할 수 없다. 따라서 연구자는 우선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 교육과 미국, 한국 등의 실용음악 교육과 비교분석을 통해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 교육을 분석을 해보고, 발전현황, 교육현황, 수업 교재 현황, 교육의 중요성 등 가지 측면을통해 고찰 및 연구를 하였다. 제 1장은 서론부분으로 연구 목적과 의의 및 연구 내용과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은 선행연구를 통한 음악교육과 실용음악 교육을 고찰해보았다. 제 3장은 한국, 미국, 중국, 실용음악 교육과정 분석 연구로 세 나라의대학 내 실용음악과 교육 교재 및 커리큘럼 분석, 교수진현황과 전공시설을 알아보았다. 중국 대학의 실제 현황에 맞는 실용 음악 보컬전공 교육과정을 발전현황, 전공교육 현황, 전공 수업 교재 현황, 교육의 중요성등 여섯 가지 측면에서 고찰 및 제안하였다. 연구자는 실용음악 보컬 교수 과정에서 중시해야 할 문제는 무엇이며, 또한 중국대학의 실용음악 교육과 미국, 한국 등의 실용음악 교육과 비교분석을 통해 중국 대학 내 실용음악 교육의 교학 전략을 하고자 한다. 그 연구 내용을 토대로 결론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커리큘럼을 통해 비교분석한 결과, 중국대학 사천음악학원의실용음악 커리큘럼 개설 현황은 미국 · 한국 3개 대학의 강좌 수나 전공강좌 비율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교육시설은 중국과 미국 셋 대학의 실용음악과가 한국의 경희대학교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세 번째, 교원 수는 중국 사천음악학원 실용음악과의 교원 수는 많지만그 질적 부분은 한 · 미 양국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중국 대학인 사천음악학원 실용음악과 교수 중 일부 실용음악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이수하지 못하는 등 실용음악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제 5장은 결론으로서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발전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인재 양성, 교재 개발 및 과정 구축을 심층적으로 논의하며,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필자는 중국 대학 실정에 맞는 실용음악 교육과정을 위해 체계적인 인재 양성, 교재 개발, 교과과정 구축 등에 대해 심도 있는제의를 하고자 한다.

      • 음악축제 활성화요인에 관한 분석 연구

        김태관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631

        우리나라의 문화관광축제는 1995년 지방자치제 이후 급증하기 시작하여 현재 1,200여 종류의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축제의 양적확대에도 불구하고 지역 활성화와 지역이미지의제고, 시민문화향수기회확대, 지역주민의 화합과 일체감조성이라는 축제의 근본적인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의 경우에도 매해 60여 종류의 축제가 개최되고 있으나 투자하는 만큼 효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고 있다. 반면, 제주의 독특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고유한 문화와 자연환경에 음악분야가 접목된 음악축제는 제주를 방문한 국내‧외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다양한 이벤트로 사회‧교육‧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제주국제관악제와 제주국제합창제는 국제규모의 음악축제로서 정부와 지자체에서 보조금을 지원받는 사업이며 많은 방문객으로 지역사회의 기여도가 높은 음악축제이다.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성공한 음악축제와 국내를 대표하는 음악축제에 대한 활성화요인 연구를 바탕으로 제주에서 개최되는 국제규모의 음악축제인 제주국제관악제와 제주국제합창제의 운영현황, 조직 및 재원, 프로그램, 활성화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제주지역 음악축제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축제 활성화요인에 대한 문헌분석을 토대로, 음악축제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실증분석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음악축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소재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축제장으로 접근 편의성을 향상시켜 관광객과 지역 주민의 참여도를 높임으로서 음악축제를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도를 높이는 방안을 주요 정책과제로 추진해야한다. 둘째, 제주국제관악제를 홍보하기 위해서는 관악의 특성인 기동성을 활용한 거리시가행진 및 야외관광지연주 등 다양한 야외공연 프로그램과 자연환경과 접목한 프로그램 개발을 주요 정책과제로 추진해야 한다. 셋째, 제주국제합창제를 홍보하기 위해서는, 제주민속문화의 특성을 활용한 프로그램인 제주민요와 신화에 관한 소재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을 주요 정책과제로 추진해야 한다. 넷째, 제주지역 음악축제에 재 참가를 유도하는 요인과 타인 추천을 위한 요인으로는 관광객과 지역민이 공감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축제장소로의 접근 편의성 확보를 통한 지역주민의 참여확대와 방문객의 확대로 지역사회 기여도를 높이는 방안을 주요 정책과제로 추진해야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음악축제 활성화요인을 중심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획 및 프로그램요인에서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소재로 제작된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과 관광객과 지역민이 공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해야한다. 이를 바탕으로 관악제 중심의 야외관광지공연을 강화하고 합창제 중심의 실내공연을 강화해야한다. 또한 야간상설공연운영과 여름철공연을 벗어난 시즌화방안 등 유동적인 운영시스템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홍보 및 네트워크요인에서는, 축제의 사전프로그램으로 제주도내 음악관련 단체와 일반인 대상의 축제 홍보교육 아카데미의 운영, 전국 대도시와 세계의 음악축제 관련 단체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교류공연 및 투어공연, 해외유학생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유학생음악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홍보를 강화해야한다. 셋째, 인프라 및 접근성요인에서는, 축제 장소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순환버스 시스템을 적용하고 택시 운영 체계가 발달된 제주의 특성상 콜택시 시스템을 적용하는 등 효율적인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재원 및 조직요인에서는, 대기업과 후원조직시스템 부재인 제주의 현실에서 예산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의 확대 또는 국제적인 후원회 조직 및 악기점과 음악관련 외국기업의 후원금 확보 등을 강화해야한다. 이를 위해 제주에 적합한 조직모델인 행정가, 외부전문가, 도내 예술가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성된 전문가 조직구성이 시급하다. 다섯째, 사회 기여측면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역민 참여로 지역화합 및 정체성을 제고하고 외부 관광객의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의 경제효과 및 지역의 문화예술 이미지를 상승시켜야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와 추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제주지역 음악축제 발전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과 방문객의 참여 확대를 통해 지역 정체성 제고 및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상승시켜 사회기여도를 높여야한다. 둘째, 국내‧외 대도시에서의 음악축제 홍보 투어공연, 해외 유학생음악회 등 다양하고 독창적인 프로그램을 통한 축제홍보를 강화해야한다. 셋째, 관악제의 특성을 살린 야외관광지음악회, 합창제의 특성을 살린 전시공간 또는 호텔실내공간에서의 음악회,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상설공연 시스템 운영 등 제주의 특성과 접목된 맞춤공연시스템을 도입해야한다. 넷째, 유료공연을 통한 입장료 수입확 Culture & Tourism Festivals in Korea started increasing since autonomous local government was launched in 1995, and there have been over 1200 kinds of festivals produced until now.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the festival such as local invigoration, improvement of local image, expansion of increasing opportunities of cultural nostalgia for local residents and construction for unification and sense of unity between local residents haven''t been quite accomplished yet despite the enlargement in numbers of the festival. In case of Jeju, about 60 kinds of festival with commitment of huge budget are held each year, yet beneficial effects are not quite there as expected. Fortunately, we have been lucky enough to create Arts & Culture Festival based on the combined elements of Arts and tourism due to locally unique properties of traditional culture and specialized tourism environment. This kind of distinctive festivals have satisfied tourists with both visual and emotional entertainment and those events have made various outputs out of them. Especially,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JIWEF)and Jeju Internatioanl Choir Festival (JICF) are the representative festivals of Jeju which have been officially sponsored by local and national governments and have contributed to the local society bringing more and more tourists into Jeju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ment plans for music festival by process of comparing and analyzing successful elements of management condition & programs, organization & financial resources, vitalization factors of JIWEF & JICF which have been known to be worldwide music festivals held in Jeju area based on analysis of the study about management condition and revitalization factors of both nationally representative festivals and internationally successful festivals. In order to achieve goals of the study, a survey of music festival experts, who have participated in local music festivals, was conducted and analyzed thoroughly. This study has showed following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First, in order to vitalize local festivals, various programs based upon indigenous local culture should be coordinated and convenient access route to festival for local residents should be created so that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could more easily take part in the festival. This project will eventually increase level of contribution to local development, so it should be carried forward as a major official policy issue. Second, in order to promote JIWEF,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wind instruments should be brought into different kinds of outdoor performance and nature-friendly programs such as street parade and outdoor concert around tourist attractions. Third, in order to promote JICF, programs utilized materials of Jeju folk songs and myths should be created and promoted as a major policy issue. Finally, another major policy issue to attract more people from home and aborad should focus on developing and organizing programs that both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could share the sympathy and that the residents could be more easily motivated to be a part of the festival with convenient access route to the venue. Following plans are recommended with 5 primary factors of revitalizing local music festivals. First, in terms of coordination and program, various genre of programs based on materials of exotic local culture should be invented and coordinated, and those intrinsic programs would be able to attract both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Second, in terms of promotion and network, various programs like exchange promotional exhibition, international concert performed by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tour concerts around the nation and world should be organized through network between major big cities in Korea and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Third, in terms of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accessability, there should be shuttle buses and convenient taxi system such as call-taxi avaliable for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so that they could have transportation access to the festival from anywhere around Jeju. Fourth, in terms of financ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 sponsorship for local art field from major companies and organizations in the nation are very substandard due to faraway location, and other ways of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strengthened by boosting governmental sponsorship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r the support and by securing donations from international music stores and companies Fifth, in terms of social donation, economic effect and social image must be raised in local community by securing more tourists out of Jeju with local identity and community spirit accumulated through local music festivals. Abstracts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and conclusion extracted from it are listed as follows First, local music festivals in Jeju should be able to enhance the level of economic growth and socal contribution by motivating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to take part in them. Second, various ways of promoting festivals should be pushed forward throughout music tour concerts around major cities in the nation and internationally coordinated concerts with students studying abroad. Third, appropriate performance system should be applied to each kind of music festival. Especially the most proper and practical plan for each festival should be prepared such as permanent show system suitable for tourists, wind music concert fit in outdoor tourist attractions and choir concert coordinated in indoor space that would be appropriate for choir performances. Fourth,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improve based on securing social identity in local community which is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the festival. Moreover, realistic ways to enhance the level of financial independency should be planned out throughout more profits made out of th

      • 예술산업 종사자의 신기술 인식 및 수용의도 연구 : 공연예술 및 시각예술을 중심으로

        안현우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4차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창발한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예술분야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기술은 예술의 창작과정과 예술가를 비롯한 예술분야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최근 4차산업혁명 기술이 빠른 속도로 예술 분야에 접목되고 대중의 관심을 받는 과정에서 기술의 수용정도에 따라 예술 분야가 양극화되고 소외된 예술 종사자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거시적으로는 4차산업혁명 기술에 사회적 신뢰가 부족한 경우 예술 산업간, 예술 종사자 간에 차별과 편향성 등의 문제가 커지기도 한다. 본 연구는 신기술의 발달이 예술산업 종사자들에 어떻게 인식되고 받아들여지는지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주목적이 있다. 신기술이 예술산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임을 예상하면서도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예술계 종사자들이 많이 있다. 본 연구는 예술 종사자들의 기술수용을 높이기 위해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및 개인의 특성이 무엇인가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조직의 기술준비도,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 신기술관여도, 신기술의 지각된 가치와 유용성 등의 변수를 선정하여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이어서 공연예술분야와 시각예술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변수 간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고 최종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 및 시각예술 조직의 기술에 대한 이해도, 기술친숙도, 기술이용경험도에 비해 기술개발비용과 기술 관련 인프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연 및 시각예술 종사자 개인의 신기술에 대한 관심도나 수용의도는 높은 반면, 신기술에 대한 인지도나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은 다소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신기술 수용의도 평균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신기술이용경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신기술이용경험 평균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신기술 수용의도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연 및 시각예술 조직의 기술준비도가 높을수록 조직에 속한 구성원인 예술 종사자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이 높을수록 신기술에 대한 인지도나 관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그러나 개인의 신기술이용경험이 높을수록 신기술의 지각된 유용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내면서 신기술로부터 오는 혜택을 온전히 느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개인의 신기술관여도가 높을수록 신기술의 지각된 가치와 유용성을 더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개인의 신기술관여도가 높을수록 신기술 수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신기술별 기술이용경험 정도와 시장활성화 도움 정도에 있어서 빅데이터, 인공지능, 가상현실 기술은 상위를 차지한 반면, 사물인터넷, 로봇, 3D프린팅 기술은 하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기술이용경험과 신기술 수용의도가 모두 높은 집단은 조직의 시장선도노력과 개인의 신기술인지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으며, 신기술 수용의도가 낮은 집단은 신기술에 대한 기술적인 불완전성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술적 · 실무적 ·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술적으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이 예술 종사자들의 수용의도에 적용되는 연구방법론의 다양화에 기여했다. 더불어 공연예술과 시각예술을 통합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과 예술 종사자가 연구대상이라는 점에 의미를 둔다. 빅데이터, 가상현실, 3D프린팅 신기술은 이용경험이 높으면서도 시장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측정되었고, 앞으로 아트앤테크 분야에서 더욱 기술개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강조되어야 할 분야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시장활성화 도움 정도가 낮게 측정된 사물인터넷, 로봇, 블록체인 등은 이용경험도 낮게 나타났다. 공연예술과 시각예술 분야에서 아직은 많이 활용되지 않는 분야로도 판단할 수 있지만 기술의 고도화, 전문화 내지 교육이나 선제적인 과감한 시도가 필요한 분야로도 볼 수 있다는 실무적인 시사점도 도출할 수 있었다. 공연예술 종사자들이 시각예술 종사자들보다 신기술이용경험과 신기술 수용의도가 다소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신기술을 활용 및 접목해볼 수 있는 시제품 등을 적극적으로 노출시키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직적 차원에서 기술에 대한 이해, 기술친숙도, 기술이용경험, 기술개발비용 등의 무형자산과 기술 관련 인프라 등의 유형자산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려는 노력이 요구되었고 공연 및 시각예술 종사자의 신기술이용경험과 신기술 수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재 기술이 갖고 있는 불완전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 · 전문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시사점도 얻었다. 이렇게 본 연구를 통해 신기술이용경험과 수용의도에 대한 유형을 진단하고 조직 유형별 대처 방안을 실무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 시작이 되었다는 의미를 부여한다. 한편 정책적 차원에서 예술에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신기술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도록 물리적인 공간과 비용 그리고 인프라 구축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다양한 신기술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및 프로그램 설계와 시도되지 않은 기술의 활용, 시장개척에 대한 정부 지원은 예술산업계와 예술 종사자들의 기술수용 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공연 및 시각예술분야에 정확히 접목할 수 있는 기술적인 고도화와 기술개발비용의 지원, 법률리스크 관리와 같은 예술과 기술 융복합 진흥과 관련한 사항에 있어 정책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예술분야 종사자의 목소리를 담는 데 있어 총 70명의 자료만 사용되어 모수를 추정하는 데 있어 다소 적은 표본만 활용되었다. 또한, 공연예술분야와 시각예술분야로만 한정하여 살펴봄으로써 기타 다른 예술분야에 대한 해석에 부족함을 지님과 동시에 예술분야에 적합한 신기술을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7대 기술로만 한정하여 살펴보았다는 한계도 지니지만 본 연구가 발판이 되어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동시대 공연 및 시각예술분야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기를 기대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art. Technology inevitably affects the creative process of art, artists, and many factors in the art field.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rapidly incorpora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to the art field and receiving public attention, art workers are polarized and exclud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echnology acceptance. When social trust is insufficient in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and bias may arise between the art field and art workers. This study shall start from the premise that the emergence of all new technology, inclu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evitably brings changes to the art fiel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is recognized and accepted by art organizations and workers.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interaction with the art field intensified, and related studies are also being conducted, but relatively few case studies or qualitativ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targets workers in the fields of performing and visual arts, which ar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us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 addition, the study sets as core new technology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virtual reality, blockchain, Internet of Things, robots, and 3D printing, which are judged to have the highest ripple effect in the art field. This study presents a hypothesis with variables such as the organization's technology readiness, individual experience in using new technology, new technology involvement, and the perceived value and usefulness of new technology. Subsequently, a survey was conducted on 70 people engaged in the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fields, follow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is as follows. Firstly, the technology development cost and technology-related infrastructure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of performing and visual arts organizations, technology familiarity, and technology use experience. Secondly, individual performing and visual arts workers' interest or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y was high, while their awareness of new technology and individual experience in using new technology were slightly low. Thirdly, the group with a higher average of individual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showed a higher average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 than the group that did not, and the group with a higher average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 showed a higher average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 Fourthly, the higher the technical preparation of the performance and visual arts organization,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using new technology by individual art workers of the organization. Fifthly, the higher the individual's experience of using new technology the higher the awareness or interest in new technology. However, the higher the individual's experience of using new technology, the more negative the perceived usefulness of new technology was expressed, and the benefits from new technology were not fully felt. Seventhly, the higher the individual's involvement in new technology, the higher the perceived value and usefulness of new technology a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y. In addition,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ranked top in the list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 and market revitalization, while IoT, robots, and 3D printing technology remained at the bottom. Finally, the group with high experience in using new technology and willingness to accept new technology showed high market-leading efforts and individual awareness of new technology, while the group with the low intention to accept new technology felt great technical imperfections. Through this study,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could be derived. When it comes to academics, it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ologies applied to the acceptance intention of art workers. In addition, it is meant that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were studied integrally and that art workers were the subjects of research. Big data, virtual reality, and 3D printing new technology have been measured to help revitalize the market also having high experience, and efforts to revitalize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art and technology sector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The Internet of Things, robots, and blockchain, which were measured to have a relatively low degree of assistance in revitalizing the market, also showed low use experience. Although it can be judged as a field that is not yet widely used in the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practical implications can also emerge that it can be seen as requir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specialization, education, or preemptive daring attempts. The performing arts workers have a slightly higher experience in using new technology and willingness to accept new technology than visual arts workers. Therefore, the strategy to actively expose prototypes that can utilize and combine various new technology is needed. Also, when it comes to organizations, efforts were required to actively secure intangible assets such as technical understanding, technology familiarity, technology use experience, technology development cost, and technology-related infrastructur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that it has begun to diagnose the types of new technology use experiences, acceptance intentions and to seek practical countermeasures for each type of organization. When it comes to policy, physical space, cost, and infrastructure support were needed to experience various new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art, and the government's support for designing and using untried technology to experience various new technology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rt industry and art workers. This study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to determine policy priorities in matters related to the promotion of art and technology convergence, such as technological advancement, support for technology development costs, and legal risk management. In this study, only a total of 70 samples were used to contain the opinions of workers in the art field, and only a few samples were used to estimate the parameter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new technology suitable for the art field was limited to seve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t was insufficient to interpret other art fields by limiting them to performing arts and visual arts. However, it is to be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othold and capture the voices of the contemporary performance and visual arts field through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 중국 대학교 대중음악 전공 개설 및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 :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청두의 4개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지앙팅팅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대중음악 전공 개설과 교육 현황을 주제로 문헌 연구를 통해 전공 개설 과정과 발전을 서술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교육 현황에 관한 시사점과 제언점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상정한 중국 대학교 대중음악 전공 시스템은 어떻게 개설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 대학교 대중음악 전공의 발전 맥락에 대해 시작 단계, 전면적 발전 단계, 막연한 논쟁 단계와 개혁 보완 단계 등 4가지 발전 단계로 요약하고, 각 단계에서 중국 대학교 대중음악 전공의 특징 및 과거에 직면하였던 문제점과 해결 대책을 설명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과 청두의 4개 대학교를 사례로 대중음악과 관련된 전공의 인재 양성 모델, 커리큘럼 설치, 교재 구축 및 교사 역량을 분석한다. 또한 대학교 재직 교사 및 대중음악 종사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실무자들의 시작으로 보는 대중음악 전공의 문제점과 기대를 분석하고 요약한다. 마지막으로, 심층 면담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논의점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결론으로 지시함으로 연구를 마친다. 현재, 중국 대중음악 시장은 날로 확장되고 있으며, 대중음악 인재 수요가 끊임없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써 중국의 많은 대학교에서 대중음악과 관련된 전공을 설립하고 교육과정을 확장하고 있지만, 대중음악의 발전 맥락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인재 양성 모델, 커리큘럼 시스템, 교재 구축 및 교사 현황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가 대중음악 전공 교육 연구에 관한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research aims to describe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programs in popular music at Chinese universiti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detailing their curriculum and progression. It also seeks to present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By doing so, this study initiates a discussion on how the system for popular music undergraduate programs at Chinese universities should be structured. To achieve this, it initially summarizes the developmental context of these programs into four stages: initial phase, comprehensive development phase, vague debate phase, and reform and improvement phase. It elucid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music undergraduate programs in each stage and explains past issues faced along with their corresponding solutions. Using a literature review, it analyzes case studies from four universities-Beijing, Shanghai, Guangdong Province, and Chengdu-regarding talent cultivation models, curriculum design, textbook development, and faculty capacity related to popular music programs. Furthermore, it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current university instructors and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popular music to analyze their perspectives on the problems and expectations within these programs. Finally, based on the outcomes of these interviews, it concludes by summarizing various discussion points derived from prior studies and offering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Despite the rapid expansion of China's popular music market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talent in this field, there remains a dearth of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developmental context of popular music, specific talent cultivation models, curriculum systems, and the status of teaching materials and faculty.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fundamental groundwork for studies in popular music undergraduate education and be widely utilized.

      • 21세기 초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 분석 연구 : : 작곡가 요청,이연, 왕용의 작품을 중심으로

        쉬위에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Art Song use classical Chinese poetry as lyrics. Classical Chinese poetry is characterized by its tone and rhyme, deep meaning expressed through exaggeration, metaphor, and symbolic techniques embodying high cultural significance, which contain inherent aspects of Chinese identi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ese society and culture in the 21st century, Chinese art songs have become richer and more sophisticated in terms of composition styles and vocal methods. They have consistently strived for national, artistic, and contemporary development in both creation and performance aspects. This thesis delves deeply into the investigation of early 21st-century Chinese art songs based on classical poetry, specifically the works of composers Liu qing's Yueren Song(越人歌), Li Yan's Qingyuan Yuanxi(青玉案元夕), and Wang Long's Jin Se(锦瑟). Through the aforementioned analysis, it is evident that Chinese art songs of poetry uphold traditional composition techniques while emphasizing a coexistence of various techniques within the creation format. The three composers examined in this thesis have all combined elements of the Chinese national style with Western scales and tones in their compositions. These art songs continuously innovate, striving to adapt to the times in terms of creative material, composition techniques, and aesthetic aspects, thus forming contemporary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featur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as an analysis of performance considerations of the works of Liu qing, Li Yan, and Wang Long,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exploration and advancement of 21st-century Chinese art songs of poetry.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은 중국 고시사를 가사로 사용하여 창작한 가곡 장르이다. 중국의 고시사는 시사 내 평측, 압운의 특징이 있으며, 과장, 비유, 상징 기법을 통해 시에 내재된 의미를 심도 있게 표현한 문학적 가치 가 매우 높고, 중국 민족의 정체성도 내포되어 있다. 21세기 이후 중국 사회 문화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중국 예술가곡은 창작 스타일과 가창 방법 측면에서 더욱 풍부해지고 향상되었으며, 창작과 연주 측면에서 모두 민족적, 예술적, 시대적 발전의 길을 꾸준히 견지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1세기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에 대한 연구를 작곡가 요 청의《월인가》(2013), 이연의《청옥안·원석》(2020), 왕용의《금슬》 (2021)작품을 통해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위의 분석 연구를 통해 살펴보면,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은 전통적인 창작 기법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기법이 공존하는 창작 양식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룬 세 명의 작곡가들도 모두 중국 민족 양식과 서양의 장·단조를 결합하여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을 창작하였다.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은 창작 소재, 창작 기법 및 심미적 측면에서 시대 에 발맞추어 끊임없이 혁신을 추구하면서 시대적 창작 특성과 심미적 특징을 형성해 나갔다. 본 논문의 요청, 이연, 왕용의 작품의 분석 연구와 연주에 대한 고찰이 21세기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의 탐구와 발전을 위한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

      • 쟁 창작 독주곡의 발전사 연구 : : 1950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리우위한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Zheng is a traditional Chinese musical instrument with a history of over 2,000 years, throughout which the unique landscape, i.e., China’s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olo Zheng compositions,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 creative thinking of composers and its distinctive periodical characteristics. Against that backdrop,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il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analyzed solo compositions from the four timeline intervals, i.e., the 1950s, the 1960s–1970s, the 1980s–1990s, and the 2000s–present, as well as delved into their creative grammars. Afterward, the associated performance techniques were organized, and the macroscopic trend ofsolo Zheng compositions since the 1950s researched in order to acquire a conclusive grasp of the performance techniques. From that, a projection of solo Zheng compositions going forward was laid out, offering significant academic references for the topic. Since the foundation of New China in 1949, social stability and economic recovery have provided an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Zheng. In the 1950s, Zheng solo compositions were created using traditional Chinese five-tone scales, and the musical melody was adapted based on the melody of folk music, containing a rich Chinese traditional local musical character. In addition, composers during this period began to encounter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for the first time, so they did not stop at using traditional Chinese music forms in the creative process. In the 1960s and 1970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the time, Zheng's works mainly praised government materials, so the works lacked the expression of the composer's inner thoughts. As the formal structure of Zheng's solo work was complete, the music vocabulary became very diverse. In the 1980s and 1990s, Zheng's works developed rapidly based on the fusion of traditional and Western elements, and professional composers were influenced by Western music and made breakthroughs in creativity and aesthetic concepts. It has achieved an unprecedented breakthrough in the exploration of the creativity of music and the aesthetic concept. Since 2000,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globalization, various foreign music and art forms hav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Chinese music culture. Composers led the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zheng compositions by showing unique characteristics in scale, musical structure and beat through the fusion of traditional Chinese music,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and contemporary music ideology. 쟁은 중국 전통악기로 2000년이 넘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쟁의 작품 발전의 역사에서 중국의 정치·사회·문화는 작곡가들의 창작 사고에 직간접적 중요한 영향을 미쳐 시기별로 독특한 음악어법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1960년대-1970년대, 1980년대-1990년대, 2000년부터 현재까지 네 시기로 나누어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먼저 고찰하고 당시의 작품 분석을 통해 각 시기별 쟁 작품 창작 어법을 심도 있게 연구하며 쟁 연주 기법을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사회 안정과 경제 회복은 쟁의 발전을 위한 환경이 제공되었다. 1950년대 쟁 독주작품은 중국 전통 5음 음계를 사용 해 창작하였으며, 음악적 선율은 민속음악의 선율을 바탕으로 개작하여 중국 전통 지방적인 음악적 특색이 짙게 담겨 있었다. 또한 이 시기의 작 곡가들은 서양의 작곡 기술을 처음 접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창작 과정에 서 중국 전통 악곡 형식을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1960-1970년대 쟁 독주 작품은 당시 정치 환경의 영향으로 주로 정부를 찬양하는 소재를 사용한다. 쟁 독주 작품은 형식 구조가 완비됨과 동시에 음악 어법은 매우 다양해졌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중국의 개혁개방 기간 동안 대외 문화교류가 지속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쟁의 창작은 중국의 전통과 서양의 요소의 융합 기조 위에서 번영하고 발전하였다. 2000년 이후에는 세계화 시대로 서양의 음악과 예술 형식이 중국 음악 문화에 영향을 끼쳤고, 작 곡가들은 중국 전통 음악, 서양 작곡 기법, 현대 음악 이념의 융합을 통해 음계, 악곡 구조, 텍스쳐와 박자 등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이며 쟁 작품의 혁신과 발전을 이끌었다. 이러한 시대별 쟁 독주곡의 음악 특징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자는 1950년대 이후 쟁 독주 작품의 발전 과정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며 쟁 연주 기법의 발전 흐름을 파악하였다. 또한, 시기별 작품 분석 연구를 바탕으로 21세기 쟁 독주 작품 발전을 위해 연구자의 소고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쟁 작품의 발전을 위한 귀중한 문헌적 자료로 사용되길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