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製造業 生産職 人力難의 要因分析과 人力政策의 課題

        차철호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998 산업경영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업부문 生産職人力의 부족문제는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른 勞動力需給구조상의 不均衡을 최소화 해야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990년대 초반에 나타난 인력난 문제에 대한 해답은 ㄴ[제조업부문의 생산직 就業減少와 서비스업종사자의 과다현상]이라는 산업간 (제조업--서비스업), 직종간 (생산직--서비스직) 노동移動構造의 특성에서 찾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노동력수급구조와 노동력 不足의 實態를 살펴보고 그 不足要因을 규명하기 위해 산업간, 직종간 노동이동구조의 변화추이를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90년대에 들어서 우리 산업구조가 단순 노동집약산업에서 자본, 기술집약 산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산업구조의 고도화는 ??吸收力(고용탄성치)의 감소를 수반하게 될 것인바 이러한 산업구조의 고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人力需給構造의 不均衡이 우리 경제의 成長潛在力을 약화시키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하기 위한 인력정책의 기본과제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여 필요한 기술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중고령층의 단순노동력을 활용하는 低부가가치업종에서 탈피하여 高부가가치업종의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우리제품의 국제경쟁력을 강화시킬수 있는 제조업 人力政策方向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shortage in the production workers in manufacturing sector. With the foregoing awarenes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dentify desirable approaches to the manpower policy measures. Form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evidence presented in this study, we have recognized the following three problems enumerated below: First, the problem concerning the basic viewpoint of the manpower bottleneck of Korea economy. This problem being with especially the understanding of the shortage of the production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awareness of the necessity to minimize the unbalance in the manpower supply structure brought forth by the sophistic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answer to the manpower stortage problem o the Korean economy is “the phenomenon of the decrease in the manufacturing employment sector.”: In the viewpoint of finding the answer from the characteristics underlying the manpower mobility structure between the industries (manufacturing and service) and between occupations (manufacturing and service),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manpower supply structure and shortage actuality of manpower and survey the changing trend in the manpower mobility structure between industries and between occupation. Second, the problem of what is the basic task of manpower policy.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Korea industrial structure from the unskilled-labor intensive industry to the capital-technology intensive industry when the sophistic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is bound to espouse the decrease in the employment absorbability (employment creation value): preventing the unbalance in the manpower supply structure arising from such sophistication proces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cts not as a negative factor to weaken the growth potentiality of Korean economy. This condenses into the problem of creating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to accommodate manpower who are entering the labor market every year under the condition of the increase in the highly educated unemployment and the shortage of technological manpower. Third. The problem of supplying adequately the skilled-labor an technological manpower who could concentrate in the sophistic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product made by the small and medium industries under the global technology hegemonism trend to underwite and ore research and development manpower who can spearhead the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y and multi-kind and small quantity production system. In the midst of the 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he world economy, the technological protective barriers imposed by the advanced industrial nations are heightening. And with the acceleration of the technological competition among the nations, the post-cold war era international order is being formulated centering around the technological strength there should be established the technological manpower supply scheme to systematically train and deliver the high level technological manpower that could spearhead the technological renovantion.

      • 기존 조직과 비교를 통한 가상조직의 특성에 관한 연구

        양경훈,김정윤,유훈상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999 산업경영연구 Vol.8 No.1

        요즘 사회에서 정보는 현대 경영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정보기술은 조직구조를 조직하부로부터 재조직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가상기업″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화 사회에 기업의 경쟁력을 극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상기업의 모델을 제시하고 그 특징을 조직론적 입장에서 연구하는데 있다. 가상기업의 모델 제시와 조직적 우수성을 입증하려는 이유는 가상기업의 도입으로 기업이 현재와 미래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경영을 할 수 있는 조직을 구성하게 됨을 보이는 것이다. 제2장은 아직 초기 단계의 개념인 가상기업의 개념 정립을 하였다. 먼저 인터넷 자료와 문헌 연구를 통하여 가상기업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모델에서는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여 가상기업의 정의를 내리고 정의를 중심으로 특징과 단점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가상기업의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제조업체 2개사와 서비스업체 1개사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가상기업의 특징으로 제시한 부분을입증하였다. 제 4장에서는 가상기업이 이루는 조직이 기존의 조직보다 우수성을 가짐을 Galbraith가 제시한 조직을 설계하는 요소들을 현대적인 입장에서 다시 구성하여 이를 기준으로 Minzberg가 분류한 조직의 유형들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제 5장은 결론으로 전체내용의 요약과 본 논문의 공헌과 약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Nowadays, information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n modern management environments.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computer reorganizes the organization structure from the bottom. This situation makes new concept ″Virtual Corporation″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odel of Virtual Corporation which will have competitive advantages in information society and account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show how to build the Virtual Conporation In chapter two. We synthesize existing researches and present model of Virtual Corporation and characteristics. Also I present the risk of virtual corporation to show week points of Virtual Corporation. In chapter three analysis three Virtual Corporation cases and show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Virtual Corporation. The factors of organization design, given by Dr. Galbraith, are restructured by our point of view and compared with other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are given by Dr. Minzberg. In chapter five, the conclusion is summarized. Also we present this research′s contributions, weak points and future study.

      • Economic Transformation the Korean Way : Lessons from · Korea's Expericence

        Cha, Cheol-Ho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1 산업경영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박정희 시대(1962∼1979)의 경제발전 실적을 토대로 당시 정부가 선택한 경제개발전략을 평가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글로벌 경제시대에 펼쳐야 할 신산업발전정책의 추진을 위한 교훈으로 삼고자 한다. 이 논문의구성은 첫째, 박정희 시대에 추진된 수출주도형 고도성장전략을 체계화함으로써 한국의 공업화 성장모형의 특징을 정리하고 둘째, 정부주도형 경제개발전략의 선택이 빚어낸 시행착오와 정책효과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종합하여 셋째, 정부의 역할과 관련하여 경제개발전략의 한계를 인식함으로써 글로벌 경제하의 신산업발전정책의 추진을 위한 교훈으로 삼고자 한다. 한국 경제가 박정희 시대의 수출주도형 공업화 성장전략을 통하여 제1의 도약을 달성하였다면 선진국의 성숙경제에로 진입하기 위한 제2의 도약을 성취하기 위한 당면과제는 무엇인가. 그것은 국제분업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동태적 비교우위를 확보하여 경쟁력 있는 신산업군의 성장원동력을 이끌어 내는 산업구조를 재편성하는 일이다. Having adopted a strategy of export-led industrialization under the government of Park Chung Hee, the Korean Economy has experienced remarkable development for the period of 1962∼1980. Th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per capita income was well in excess of 7 percent, making it one of the fastest growing economies in the world during this period. Korea has experienced one of the most rapid structural transformations from one of the poorest agricultural economy to a member of the OECD. Accordingly, Korea dramatically shortened the usual phases of industrial transformation which most of today's developed countries experienced over a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overview of the Korea's export-led development strategy and to discuss its influences on the Korea's economic transformation, which have implications both for the Korean economy today and for other developing countries.

      • Forecastiong Technological Manpower Requirements in Knowledge Based Economy : Some Empirical Studies in Korea

        Cha, Ghelo-Ho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2 산업경영연구 Vol.11 No.1

        산업구조는 경제발전과정에서 기술·지식집약적 구조로 전환된다. 따라서 지식기반경제하의 기술인력예측의 문제는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라 고용구조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의 문제로 집약된다. 이때 고용구조의 변화는 소요인력의 총량규모뿐 아니라 직종별(기술수준별) 구성의 변화를 수반한다. 기술인력의 예측을 위한 기본 모형으로 잘 알려진 인력예측방법(manpower projections approach)은 고용계수와 기술인력계수(기술수준별 직종구조)가 고정(fixed coefficients)되어 있다는 가정 위에서 출발한다. 이 가정은 고용탄력성(고용흡수력)이 산업별 고용탄력성과 직종별 고용탄력성이 모두 1과 같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가정은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첫째, 고용계수고정의 가정이 비현실적이라는 것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이러한 비현실적 가정을 완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세계은행(IBRD)의 Zymelman의 방법(Dynamic Manpower Programming Method)과 비교접근방법(comparative approach)을 소개한다. 셋째, 한국의 연구기관들의 실증연구에서 원용된 기술인력 예측방법의 이론적 특성과 취약점을 검토한다. 끝으로 동태적 기술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술인력의 대체탄력성의 변동을 어떻게 모형화할 것인가의 문제를 연구과제로 제기한다. Korea faces a great challenge in preparing for the global standards of fair competition. Therefore, Korea should continue to meet the challenges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through developing higher value-added products to enhance its products' competitiveness in the word market, to develop new products and new services where it has comparative advantage. Accordingly, there should be major shift in the Korea's industrial development strategy toward promoting a greater role for the technological manpower in the knowledge based economy. In order to restructure the industrial structure towarding technology & knowledge intensives, technological manpower development plan should be adjusted to the changing pattern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dvantag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the theoretical properties of the forecasting models adopted in Korea's research projects and discuse the empirical issues of the manpower requirements approaches in Korea. Then, its implications for technological manpower development policy in Korea will be suggested.

      • 디지털 경제에서 조직의 CIO의 역할 분석에 관한 연구

        양경훈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0 산업경영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CIO 제도의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발전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전략과 세부 이행 계획을 세워 새로이 CIO 제도를 도입하고자하는 조직에는 지침이 되고, 현재 실행 중인 조직에는 현재 자신들이 속해있는 단계를 인식하여 앞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여 앞으로 지식경영을 위해 CIO가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또 본 연구에서는 크게 제도 발전 단계를 5단계로 세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추진전략, 이에 따른 이행계획을 세움으로써 새로이 CIO 제도를 도입하려는 조직에 지침을 제공한다. 그리고 CIO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조직에는 현재 조직이 처한 위치를 인식하고 앞으로 CIO 제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실증조사로 국내 민간기업과 공기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This research has two objectives. One is to establish the role of the CIO in the organizations for the knowledge management environments. The other is to set up the evolutionary mode, strategy and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for the CIO systems in the organizations. Two emphases are given in this research. The first one is that this research provides guidelines for the non CIO-adopted organizations for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adoption strategies and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The other one is that this research assists the organizations to adopt the CKO systems under the knowledge management environments and sets the boundaries of the roles of the CIO in the organizations under the knowledge management of organizations.

      • 지방자치단체의 오염물질 배출업체 관리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문태훈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2 산업경영연구 Vol.11 No.2

        지방화의 촉진과 더불어 중앙의 행정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하거나 위임하려는 분권화의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환경행정도 물론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중앙행정권한의 지방 이양이나 위임은 획일적인 위임이 아니라 정책의 분야별 특성과 자치단체별 환경행정의 집행역량에 따른 차등적인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환경행정의 집행역량은 자치단체별로 그 의지와 능력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 행정권한의 지방 이양이나 위임이 자치단체의 역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되는 것이 합리적이라면 자치단체의 환경행정역량과 배출업체에 대한 지도단속역량을 평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배출업소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도단속역량에 대한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이의 적용가능성과 활용방향, 그리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유형별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모델의 적용이 전국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여야 할 것이나 자료 구득의 어려움으로 모델의 적용을 경기도의 기초지방자치단체들에 한정하였다는 것은 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그러나 배출업소 지도단속역량 평가를 위한 모델의 개발과 이의 적용가능성, 문제점의 탐구라는 기본취지에는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위한 회계기준의 국제화 방안

        최정호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998 산업경영연구 Vol.7 No.1

        최근에 초래된 IMF관리체제는 대기업이 해외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과도하게 차입하여 수익성을 무시하고 무분별하게 투자함에 따라서 차입금을 적기에 상환할 수 없음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IMF나 IBRD와 같은 국제금융기관이 우리 나라에 주제금융을 제공함에 따라서 국내기준을 국제회계기준에 맞게 정비하고 결합재무제표를 작성할 것을 요구해왔다. 기업이 다국적화되고 많은 기업들이 해외로부터 자금을 조달함에 따라서 국제회계기준을 마련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는 통일된 국제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각국으로 하여금 국제기준을 채택하도록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기업이 국제화되고 많은 국가가 국제회계기준을 강력히 지지하고 잇는 추세로 볼 때, 국내기준도 국제기준에 맞도록 개정하는 것은 불가피하게 생각된다. 그러나 회계기준은 각국의 독특한 경제현실을 반영하고 회계규제는 국내 기업의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국제기준의 도입은 그 경제적 파급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회계기준을 국제화하는 데에 대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도입후 국내경제에 미미한 효과를 미치는 국제기준은 불필요한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하여 즉각 도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기준은 국내기준을 대체기준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재무제표를 국제회계기준에 따라서 작성하는데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해외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필요성이 있는 대기업에 국제기준을 먼저 적용하여야 한다. 셋째, 국내 세법을 우선시하는 국내 기업의 현실을 감안하여 국내기준을 세법과 일치시키는 노력을 병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조문식으로 되어 있는 국내회계기준의 구조를 의미를 보다 명확히 하고 적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국제기준처럼 기술서 형식으로 전환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The foreign currency crisis occurred recently brought the IMF control systems to our country's economy. This crisis was resulted mainly from heavy borrowings from foreign banks and over-investment into various projects without considering their profitabilities. The international finance organizations such as IMF and IBRD required our country to harmonize our accounting standards with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and provide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As the business are multinational in scope and many companies raise their capital from the foreign capital markets, a need for the universal accounting standards has emerged.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Committee has made much efforts to prepare uniform accounting standards and strongly encouraged each country to adopt them. It seems inevitable that our country's accounting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in view of the globalization of business and many nations' strong support for such uniform standards. Since accounting standards reflect each nation's unique economic situations and accounting regulations have much impact on the domestic business activities, however, the international standards need to be adopted after in-depth review of their impact on our economy.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proposals about harmonizing our accounting standards with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First, it seems desirable tha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with minimal economic influence should be introduced quickly. However, we need to make our accounting standards which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our business activities, if changed, allowed as alternatives. Second,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should be applied to the relatively large companies with a need for raising their capital from foreign capital markets in the first place because preparing financial stat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requires much costs. Third, domestic accounting standards need to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ax laws. Lastly, the structure of the domestic accounting standards should be changed to statement in form like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 order to clarify their meaning and promote convenience in their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