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 활성화와 장소 마케팅 : 일본 오이타현 유후인(湯布院町)의 이미지 전략 Image Making Strategy in Yufuin

        정근식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1998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1 No.1

        이 글은 일본 큐슈의 유명한 온천지역 유후인을 사례로 하여 장소 마켓팅이 어떤 과정과 전략을 통해 이루어졌는가를 살피려는 것이다. 이 사례에서 지역이미지 전략은 온천이미지 차별화, 자연 이미지 살리기, 문화 끌어들이기, 그리고 지역경관 만들기라는 4개의 축으로 되었다. 이런 과정은 초기에는 자치단체장을 중심으로 후기에는 주민주도형으로 진행되었는데, 실제로는 양자간의 긴밀한 협조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다. 특히 후자는 지역의 공식조직과 그의 배후에 있는 비공식 조직이 주도하였다. 이런 지역발전전략은 내부의 이해관계의 분화, 지역정체성에 대한 도전집단의 형성에 의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다. This paper analyses the process and strategy of place marketing of the Yufuin, a famous hot spring town in the north Kyushyu, Japan. This place-marketing strategy is composed of 4 principles, making difference of town image, revitalizing of nature image, taking cultural elements into town festival, localizing of landscape. The early stage of this process was led by the chief of self governing-body, the latter was led by the various resident organizations. In the latter, some formal organizations and informal group of local leaders carried out an important role. The sustained development strategy depends on the coordination of diverse interests and the absorption of challenges to the town identity.

      • 지역활성화 운동과 지역정체성의 형성 및 분화양상 : 일본 湯布院町의 핵심 활성화운동 집단의 운동전략과 역사를 중심으로

        홍성흡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2001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3 No.2

        이 글에서는 일본 九州의 湯布院町 연구대상으로, 지역정체성이 형성되고 분화되는 양상을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지역활성화운동을 이끌어온 '선도집단'의 운동전략과 활동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湯布院町의 세 차레에 걸친 條例 제정은 '환경보호론자'와 '개발론자'간의 차이가 점차 확연해지는 과정이었다. 환경보호론자들은 행정기관과 각종 사회단체에 자신들의 입장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보다 많이 확보해 나간 반면, 개발론자들은 외부의 개발업자들과 결탁하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 지역에서의 두세력간의 갈등은 그 동안 지역사회 내외적으로 심어놓은 '보양관광지', '생활관광지'로서의 이미지와 정체성이 주민들에게 환경보존과 함께 경제적으로도 큰 이점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에 격렬하게 표면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In this paper, 1 have tried to manifest historical processes of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in community identity in Yufuin-Cho. Especially I have focused to analyse movement strategies and behavior patterns of 'entrepreneur groups' in revitalization movement. During three times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the split of opinions between 'environmentalist' and 'developmentalist' has clarified more and more. But the conflict between this two factions has not disclosed furiously because of economic succes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revitalization movement.

      • 중산간지역의 농업적 특성과 정책 대응 : 일본 중산간지역을 중심으로

        박광서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1998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1 No.1

        논문요약이 논문은 일본 중산간지역의 농업적 특성을 고찰하면서 일본정부가 이에 어떻게 대응하영 왔는가를 해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그 동안 全國總合開發計劃, 山村振興法, 過疎法, 特定農山村地域活城方法 등과 같이 중산간지역을 직간접적인 대상으로 한 법률이나 계획의 수립을 통하여 이에 대한 정책을 전개하여 왔다. 이들 정책이나 법률은 중산간지역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발전과 함꼐 보다 구체화되고 내용도 단순한 효율성 제고의 차원을 넘어 공익적 기능의 확보도 고려하는 수준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들 정책이나 법률은 중산간지역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발전과 함계 보다 구체화되고 내용도 단순한 효율성 제고의 차원을 넘어 공익적 기능의 활보도 고려하는 수준으로 발전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산간지역은 인구정주력과 영농담당자의 취약화 문제로 아직도 그 존립 자체가 무너지는 등 그 동안의 조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책의 초점이 기반시설정비 차원을 넘어 인재 육성과 그 합리적 배치로, 정부 주도 방식으로 부터 주민 주체의 방식으로 점차 이행하고 있는 점은 향후 주목되는 점이다.AbstractIn this papaer, I have tried to explicate how the Japanese government has treated agricultural problems in the hilly- and semi-plain areas, explaining the changing nature of agriculture in the areas. Japan has developed policies about the areas by menas of the National-Developing-Plan, the Mountain-Village-Promoting-Law, the Sparse-Population-Area-Promoting-Law, and the Mountain-Village-Promoting-Special-Law. Those policies and laws have been improved more concretely, according to the more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of the areas. Therefore, in the Japanese policies, special regard is, now, paid to not only the efficiency of agricultural production but alsothe public role of the areas. In spite of these developments in the policies, the decrease of population has been kept up, and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agricultural laborers has been lowered continuously in the hilly- and semi-plain areas. It is, however, worth to observe that the points of policies are changing from building-infrastructures to nurturing-human-resources. It also has to be paid attention to the way of implementation, which is not organized by the government, but dwellers themselves in the areas.

      • 內發的 發展方式에 의한 山村의 地域活性化와 農協 : A Case of Oyamamachi of Oita in Japan 日本九州北部의 大山町을 중심으로

        박광서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1999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2 No.1

        논문요약 이 논문에서는 중산간지역 지역활성화운동 중 농협주도형에 관심을 가지고 이 유형이 지역의 내발적 발전에 얼마만큼 기여하였는가를 일본 大分縣의 산촌지역인 대상정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大山町은 호당 경지면적이 46a에 불과한 가난한 곳이었지만 농협과 자치단체의 협동으로 3차에 걸친 NPC운동을 통해 크게 변모된다. 제1차 운동에서는 수도작과 소사육 중심의 농업을 과수농사로 과감히 전환시키지만, 2차 운동에서는 인재의 육성이, 3차 운동에서는 새로운 낙원공동체의 형성을 목표로 한 운동으로 이어진다. 그 결과 輕勞動-輕量作物의 도입, 매월 수입이 확보되는 月收농가의 확립, 작목별 소규모조합 결성을 통한 생산기술 향상, 選果 및 출하과정의 일원화와 유통 및 소비대책 확립, 유선방송국의 설립 운영을 통한 시장정보 제공, 직판점을 통한 농산물판매, 다양한 농림산물 가공공장의 설립 운영 등, 이른바 '大山町式' 지역활성화 방식이 정립된다. 이러한 大山町式은 지역민(=조합원)의, 지역민에 의한, 지역민을 위한 방식으로 전개됨으로서 자치·자립·공동·인간발달이라고 하는 내발적 발전의 원칙이 민주적 농협론의 틀 위에서 전개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운동이 특정 지도자에게 지나치게 의존한 점, 소득의 증대가 이제 한계에 이르고 있는 점, 주민간 소득격차가 발생되고 젊은층 중심의 인구유출 지속으로 과소화와 고령화 문제가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Abstract In this paper I have studied especially endogeneous development method in hilly- areas led by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s Oyama- machi of Oita in Japan. In the place which the acreage of cultivation is only 46a per farm, NPC-Movements were carried on a drive to promote development of the region three times since the beginnings of 1960s. In the process of the NPC-Movements in 3 times, so-called Oyamamachi- Activation-Method was established, which method is the regional development-promotion method "of the dwellers, by the dwellers, for the dwellers", who are the partners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Therefore, the regional development in the Oyamamachi is endogeneous development method, because the principles of self-government, self-sustenance, cooperation of dwellers, and develop-ment of humanity was established in this hilly-region. But Oyamamachi is now confronted with the problem of the limit of income increase, the increase of the earning differentials between the farm-households, and the continuation of outflow of young man from this area in spite of its successful achievements.

      • 일본의 고령자 보건복지정책의 전개와 지역활성화

        엄기욱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1998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1 No.1

        일본의 중산간지역은 젊은 청장년층이 대도시로 이동함에 따라 과소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지역은 고령자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후기고령자의 증가는 介護 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증대시키고 있다. 다른 복지선진국과 비교해서 뒤늦게 출발한 일본의 노인복지정책은 최근 지방분권화의 추진과 발맞추어 지방을 중심으로 한 지역중심형 복지로 전환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지방자치단체가 고령자보건복지계획을 의무적으로 작성하여 추진할 것을 요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介護保險제도를 도입합으로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고령자 복지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소외당해 왔던 중산간지역의 고령자복지사업이 활기를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판단되며, 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九州地域 중에서 大分縣의 고령자 보건복지계획의 책정과 추진상황을 살펴보았다. In Japan, the population in rural areas has been decreased rapidly, as the young labour forces has moved in cities.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the aged in these areas is comparatively higher. Especially the social responsibility, such as care insurance, has been increased by increasing of the old aged. Recently, the elderly welfare policy in Japan, which started behind compared with other welfare states, has changed into emphasizing on the community care. That is, the government demands that the local governments make and implement a health and welfare plan for the elderly. Also,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new welfare system for the aged, adopting the care insurance. These efforts of the government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welfare policy for the aged in rural areas. So it was studied empirically the planning and implementing process of the health and welfare plan for the aged in Oita province, Kusu.

      • 중앙아시아 민족주의 운동과 고려인 집단 정체성 문제

        최한우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2000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3 No.1

        중앙아시아는 과거 5백여 년 전부터 기독교인 러시아인들과 무슬림 튀르크계 민족들 사이의 갈등과 대립 지배 관계 속에서 발달해 왔다. 제정러시아와 그 뒤를 이은 소련은 집요하게 튀르크 민족집단을 해체하고 지배하려는 정책으로 일관하였고, 이에 대해서 중앙아시아와 카프카즈의 튀르크계 민족들(Turkic peoples)은 범튀르크주의(Pan-Turkism)의 이상을 가지고 유라시아의 무슬림 튀르크계 민족 집단의 연합 내지는 연대를 통해 러시아 제국주의 혹은 범슬라브주의에 대항해 왔다. 러시아 및 소련의 집요한 분열 획책 정책으로 중앙아시아와 카프카즈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민족 집단 내에는 서서히 토착민족주의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토착민족주의는 소련 해체이후 중앙아시아 내 민족국가 형성과 발전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의 대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집단의 경우는 대제로 소련 체제하에서 민족주의(nationalism) 운동은 일어나지 않았으며, 도리어 체제 적응을 위한 줄기찬 개별적 노력만이 있었을 뿐이다. 과거의 고려인 집단에 대해 우리가 적응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것은 라이 타라스(Ray Taras)가 제시한, 다수민족에 대한 지배(domination) 관계 하에서 이루어진 소수민족의 공모(collusion)가 있었던 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수 지배민족을 의식한 피지배 소수민족 간 종족 간 경쟁(ethnic competition)이 일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살펴볼 때, 중앙아시아 고려인 집단의 발전을 위해서 먼저 동족애(peoplehood)를 넘어 민족집단 정체성(ethnic identity)을 확보해야 하는 시급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정책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첫재,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현지 국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둘째 한국학 교육이 지원되어야 하며,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을 위한 한국학 내용은 중앙아시아와 한반도 한민족 공동체를 이어줄 수 있는 알타이민족 공동체에 대한 비전의 틀에서 연구되고 제시되어야 한다. 아시아대륙에 전통적으로 슬라브문화권, 중국문화권, 인도문화권, 아랍문화권이 상정되어 있다. 그러나 그 실체가 분명한 알타이 문화권(Altaic Culture Area)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매우 시급하다. 이러한 연구와 구상은 중앙아시아 고려인들뿐만 아니라 신(新)실크로드가 펼쳐지는 21세기 통일한국이후 한민족 정체성과 발전 전력과도 연계되는 것이다. 셋째, 알타이학을 기초로 하는 정체성 있는 교육을 통해 고려인들의 민족 정체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더 나아가서 알타이 공동체 비젼을 발전시킴으로써 중앙아시아에서 소수민족으로써 고려인들이 현지인들과 갈등 관계없이 상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면서 고려인 민족 집단의 발전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Not only in the Soviet system, but also in the politics of the new Central Asian states, nationality has being affected virtually everything. It has not been, as it is sometimes thought, confined to issues such as language and culture. There has been a nationalities component to every facet of Soviet politics. From this perspective, such as the role of diasporas, minorities, the importance of religious differences, regional economic relationship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hould be considered. The central issue of the Soviet empire was that Russian domination exercised throuhg the Soviet state was responsible for nationalist unrest. In the Soviet period, expressions of nationalism represented little more than outgrowths of anti-communist sentiment, and the Soviet peoples knew well that the communist rule was closely linked to Russian domination. To the peoples of the Soviet regime which consisted of more than 150 nationalities, the Sovietization policy or the creation of the soviet narod by the regime was closely relaxed with the Russification intention. In order to understand correctly Pan-Turkism which was the most influential and Powerful national movement in the Soviet Period, we should not reglect the fact that Soviet nationalities problems were more than merely a product of the Soviet era, and that the roots of the emblems were more complex, transcending the nature of direct Soviet ru1e and going to the Russian expansion to Caucasus and Central Asia since 17th century AD. During the early years of perestroika and glasnost, ethnic political mobilizaton reached the height in the Soviet history. After the collapse the Soviet union, the Central Asian states entered the new era of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or rebuilding. Several independent states were formed in Central Asia regardless of the political mobilization of Pan-Turkists for the re-establishment of the Turkistan Republic including all the Turkic republic in Central Asia. This result reflects the success of the Soviet scheme of boosting ethnic nationalism in Eurasia in order to encounter both of the anti-Russian and anti-Soviet national movements of major titular nationalities. On the other hand,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Soviet empire, Koreans faced serious identity crisis; If one considers the fact that the Soviet Koreans was one of the most royal ethnic groups to the Soviet system and that Koreans was most sovietized people group among the Soviet peoples even more than Russians, he can understand why the Soviet Koreans in Central Asia was so embarrassed. In the past of the Soviet rule, there seemed a kind of political collusion between Soviet Koreans and Russians in Central Asia against native majorities, Uzbek, Kazakh, etc. Now it become serious problem for Koreans in Central Asia that most of the Soviet Koreans in Central Asia don't understand their own state language, i.e., Uzbek, Khazak, Kyrghyz, Turkmen languages. It is well known that Koreans have never tried to learn their state language especially in Uzbekistan since independence. During the last 10 years in the past after the Soviet regime, Soviet Koreans have suffered a sort of identity crisis, being at a loss what to be: To remain Soviet Koreans, transforming to South Korean, or to seek to their own identity Korye(高麗) people or an unique Korean, rejecting the identities both of South Koriean or Han(韓) People of North Korean or Chosun(朝鮮) people. Finally, in order to find a way to solve the Korean nationality problem as a minority, the aspect of nationalism of Central Asia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hen when we approach to study together both of nationalism of the Central Asian states and Korean minority problem in Central Asia, in terms of strategy we should consider the fact at first that the Central Asian peoples and Korean are originally of same ethno-linguistic group, i.e. so-called the Altaic Group, together with Mongolian and Manchu-Tungus peoples. Turkic peoples of Central Asia and Turkey are closely related to Korean people culturally, linguistically, and historically.

      • 日本 大分縣의 地域情報化政策과 地域活性化

        정성일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1998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1 No.1

        오이타현은 「大分縣地域情報化計劃」(1991~2000)을 수립하여 지역주민의 복지향상과 지역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계획」의 기본방향은 크게 ㉠ 풍요롭고 윤택한 縣民生活 실현, ㉡ 지역산업의 활성화, ㉢ 정보화 담당 인재육성, ㉣ 정보중추기능의 거점 구축과 균형·조화 있는 지역정보화 추진 등이다. 이를 위해서 오이타현은 ㉠ 생활정보시스템정비프로젝트, ㉡ 산업정보시스템정비프로젝트, ㉢ 정보화담당인재육성프로젝트, ㉣ 고도정보통신기반정비프로젝트, ㉤ 휴먼·커뮤니케이션 도시기반정비프로젝트 등 5가지 프로젝트를 계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The Oita Prefecture Information Society Plan(1991-2000) was selected as the main policy which will guide and plot the course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advanced information systems and welfare of local citizens. The plan was basically oriented to four points : relization of abundant life, revitalization of regional industry, education of young people for the information society, and foundation of a base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plan also promotes the projects for life information systems,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human resources systems, hyper information systems, and human communications systems.

      • 중산간지역 지역활성화와 산업관광의 가능성 : 미야자키현 아야정(町)을 중심으로

        정근식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2001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3 No.2

        이 논문은 큐슈 남부의 미야자키현 아야정에서 전개된 지역수공업을 매개로 한 지역활성화 경험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이다. 아야정은 지역적 특성을 살리면서 외부자원을 끌어들여 지역활성화를 시도하였다. 산림자원 및 유기농업과 함께 수공업이 기초자원인 되었다. 특히 수공업을 기반으로 한 생활밀착형 관광을 '산업관광'이라고 개념화 하고, 지역 중소기업을 활용하여 테마파크를 만들었다. 성공적인 지역활성화에는 정장의 리더십과 자치공민관을 중심으로 한 주민참여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공동체이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This paper is a sociological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regional revitalization by the manual industry in Ayacho, Miyazaki. The official leader of town had tried to combine the inside resources and the outside resources for the town development. The inside resources were the forest and organic cultivation. The outside resources were some traditional manual industries. They have conceptualized their tourism by inventing life-based manual industry as industrial tourism. This is a kind of symbolic wording. Leadership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are main factors for the successful revitalization of town. They appropriated the idea of community for their movement.

      • 미ㆍ일방위협력지침(가이드라인) 개정과 동북아 안보 : 한국과 중국의 대응을 중심으로

        금희연,연현식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2001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3 No.2

        1997년 9월 23일 미일 양국정부가 공포한 '미 · 일방위협력지침(일명 가이드라인)'은 1978년의 방위가이드라인을 전면적으로 개정한 것이다. 새로운 방위 협력지침은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일본 주변에서의 유사사태에 대비하는 대응책을 양국이 구체적으로 강구했다는 것과, 둘째는 탈냉전시대의 신국제질서기에 미국과 일본 양국이 아시아 · 태평양지역 차원 및 세계차원에서 동반자관계를 천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새로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의해 일본의 지역안보에 대한 역할 증대가 제도화되었으며 이러한 조치는 동아시아지역의 안정을 위해 일면으로는 기여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지역의 안정을 해칠 수 있는 요소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의 지역안보 역할 증대는 지역대국인 중국과의 경쟁을 더욱 부채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미일간의 군사적 협력관계의 강화가 결국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중국봉쇄전략"의 일환으로 보고 있는 중국은 新가이드라인에 대해 부정적인 자세를 시종일관 견지하고 있다. 한반도 안보와 관련해서도 유사시 일본의 미군 활동 후방지원이라는 것이 제도화되어 위기관리능력은 제고될 수 있으나, 이와 함께 일본의 한반도문제에의 개입가능성과 영향력 증대라는 부정적인 요소도 내포하고 있다. The Guidelines for U.S.-Japan Defense Cooperation declared on September 23, 1997, were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old guidelines signed by the U.S. and Japan in 1978. The new guidelines have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ir contents and implications to the bilateral U.S.-Japan security relations in the post-cold war period. First, the new guidelines are the concrete policy options for both nations against the possible and potential threat to Japan and Asia-Pacific areas as well. Secondly, the new guidelines clearly showed the strong strategic partnership and security commitment between the U.S. and Japan. The new guidelines, however, also have the negative effect to the security structure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Especially, China views that both the U.S. and Japan are trying to contain them militarily by the new guideline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onflict with China will lead to and expand the tension in the region. With regards to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ew guidelines will not only contribute to crisis management capability of the U.S. by institutionalizing the U.S.-Japan military action in Korea in case of war, but also increase the voice and status of Japan.

      • 일본 산촌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문화산업 만들기 전략 : 九州지역 중산간지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홍성흡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1998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1 No.1

        일본의 중산간지역에서는 독특한 생태적·사회문화적·경제적 조건을 이용한 지역활성화 운동이 지역(주변)과 중심론·지방시대론·국제화시대의 지역론·내발적 발전론 등을 배경으로 하여 70년대 중반 이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중산간지역의 활성화운동의 선진지인 大分縣 湯布院町은 일쩍부터 삶의 질이나 윤택함을 강조하는 경향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최근 '총체적 의미에서의 독특한 지역문화를 매개로 하여 활성화를 도모하는 산업'인 문화산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옷大分縣 湯布院町의 사례는 자발적 문화산업만들기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 문화산업만들기 전략에 동원되는 주요 기제로는 생태적 특성, 의식주에 나타나는 독특한 문화적 전통, 특징적 민속 등을 들 수 있다. Local activation movement in semimountainous rural area in Japan has become active since the middle of 1970's.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is trend is the discourses of center-periphery, glocalization and endogenous development. Yufuin, a famous town for revitalization movement in semimountainous rural area in Japan, has had a strong tendency to emphasize comfort and qualify of life. Recently Yufuin is spotlighted as the model case of making-culture-industry. The main mechanisms and items of strategies for making-culture-industries in the town are based on ecological uniqueness, cultural tradition and peculiar folkl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