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에제 36,16-32절에 나타난 새 마음에 대한 이해

        이창영 인천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에제 36,16-32절은 바빌론 유배 시기 활동했던 에제키엘이 이해한 자신들의 처지와 하느님께서 어떻게 그들을 이끌어주시는가에 대한 신학이 담겨있다. 본문에서 새 마음은 시련의 상황 속에서 해방될 수 있는 근거로 나타난다. 또한 ‘새 마음’이라는 단어는 구약성경에서 오직 에제키엘서에만 언급되는 단어로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논문은 본문 연구, 본문 주석, 신학적 조명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1장 본문 연구에서는 본문 제한, 본문 제시와 번역, 본문 비평, 본문 구조에 대해서 다룬다. 특히 본문 비평에서는 BHS의 비평 사료와 그 밖의 다양한 사본들과의 대조를 통해 본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시도한다. 비교 분석한 이문들은 MT, LXX, Tg, LXXb, OL, Mss, LXX967, Wirceburgensis, Hexapla 등이다. MT와 LXX와는 다르게 LXX967과 Wirceburgensis에서는 에제 36,23b-38절의 내용이 생략되어 있다. 이 같은 차이는 단순히 사본가에 의해 발생한 유사문미와 같은 실수가 아니라 신학적 목적을 두고 후대의 편집자가 편집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새 마음은 에제키엘서에서 부각되는 신학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의 구조는 본문에서 새 마음의 중요성에 대해서 분명하게 부각한다. 본문은 역사적 설명(에제 36,17-21)과 구원신탁(에제 36,22-32)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스라엘 백성들이 처해있는 시련의 상황 속에서 해방의 근거는 바로 이 구원신탁을 통해 나타난다. 구원신탁은 중앙집중 구조를 이루며(A-B-C-X-C`-B`-A`), 핵심 사상이 나타나고 있는 에제 36,26-27a(X)에서는 새 마음과 새 영에 대해 다루고 있다. 따라서 새 마음과 새 영은 구원 신탁을 통한 하느님의 구원 행위의 근본 원리로 이해할 수 있다. 본문의 핵심 구절에서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것은 바로 새 마음이다. 본문의 핵심 사상이 나타나고 있는 에제 36,26-27a절은 다시 한 번 중앙집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A-B-B`-A`-X-A-B-B`-A`), 해결책인 새 마음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중심 구절(X)에는 돌로 된 마음이 치워진다는 내용이 자리하고 있고, 살로 된 마음인 새 마음으로 대치되며, 이 마음에는 새 영, 곧 하느님의 영이 함께 해야 한다는 사실이 나타난다. 즉 이스라엘 백성이 그 동안 저질러온 죄악의 근본 원인이었던 완고한 마음은 하느님의 영이 함께 하지 않는 마음이었지만, 새 마음은 하느님의 영과 지속적으로 함께 하는 순종하는 마음이라는 것이다. 즉 새 마음은 새 영과 함께하는 마음인 것이다. 이것은 병행 구절로서 이해할 수 있는 예레 31,31-34절의 새 계약과 마음에 대한 내용에서 더 발전된 것으로, 새 마음에 대한 에제키엘서의 신학적 깊이를 나타낸다. 3장 신학적 조명은 본문 연구와 주석을 통해 분석한 자료들에서 신학적 개념을 도출하고, 신약과의 연결을 통해 새 마음에 대한 더 구체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신학적 조명은 새 마음이 수여되는 배경과 새 마음의 의미에 대해 개진한다. 새 마음이 가지는 의미는 하느님과의 일치이며 새로 태어나는 것이다. 새 마음이란 하느님을 따르지 않는 돌로 된 마음이 하느님을 따르는 살로 된 마음으로 변화된 상태이며, 하느님의 영과 함께하는 일치의 상태이다. 이것은 새 마음이 하느님의 뜻과 하나가 되는 상태를 지향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구약 성경의 다른 구절들은 이미 한 마음을 하느님의 뜻에 순명하는 상태이며, 하느님을 경외하는 모습으로 이해하고 있다(예레 32,39; 지혜 10,20). 새 마음이 하느님의 뜻을 따르는 일치를 지향한다면, 신약에서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신 그리스도의 마음을 간직하도록 권고하고 있다(필리 2,5). 이스라엘 백성의 변화에는 세 가지 상징이 사용되는데 물과 마음과 영이 그것이다. 마음이 악으로 기우는 것은 죄 중에 태어난 인간의 특성을 잘 나타내며(시편 51), 본문에서는 이 세 가지 상징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이 전혀 다른 존재로 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변화의 중심에는 마음이 있으며, 바로 새 마음을 통해 완전히 변화되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물과 성령으로 태어나야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는 말씀(요한 3,5)은 이러한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In Ezekiel 36,16-32, Ezekiel who was in the time of Babylonian exile, his understanding of their situation and his theology about how God led Israelites is embedded. In this section, the New Heart is shown the source for liberation from the plights. And also the word ‘New Heart’ is shown only in Ezekiel among the old Testaments and had a special meaning. In this thesis, research of the context, textual commentary, and theological view are considered. In chapter 1, the limitation of the text, proposal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 criticism of the text, and the structure of the text is being considered. Especially in criticism of the text, this thesis tries for correct understanding through comparison between critical resources of BHS and many other resources. The resources that have been used for this critical comparison were MT, LXX, Tg, LXXb, OL, Mss, LXX967, Wirceburgensis, Hexapla and etc. Not like MT and LXX, the text of Ezek 36,23b-38 was omitted in LXX967 and Wirceburgensis. This distinction is not a mistake like Homoioteleuton caused by copier, but we can assume that the editor compiled this on theological purpose.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the New Heart is an emerging theological concept. In the text, the structure of the text emphasizes clearly about the importance of the New Heart. The text has historical explanation (Ezek 36,17-21) and Oracle of Redemption(Ezek 36,22-32). This text shows that the source of liberation for Israelites who were in circumstances of trial is through this Oracle of Redemption. The Oracle of Redemption is centralized in the structure of the text (A-B-C-X-C`-B`-A`), and this text of Ezekiel 36,26-27a(X) is the key idea that dealt with New Heart and New Spirit. Therefore New Heart and New Spirit can be understood as a basic principle of God’s saving action through the Oracle of Redemption. In the core text, the proposed solution is this New Heart. Ezek 36,26-27a is the key idea of the text that is again centralized in the structure of the text (A-B-B`-A`-X-A-B-B`-A`), and considered as a specific feature of New Heart as a solution. In the central text, it shows that the heart of stone will be removed and a heart of flesh will be replaced as a new heart that has to be with the New Spirit that is God’s Spirit. This heart of stone that was the root of sins was not of the Spirit of God, but this New Heart is of the Spirit of God is the heart that obey spersistently. This New Heart and New Spirit are being with the heart. At same time we can see this with the new covenant and heart from Jer 31,31-34 that showed a developed idea of the New Heart as a theological depth of Ezekiel. In chapter 3, the theological perspective elicits the theological idea through the research of the text and cementation, and it attempts a specific understanding about the New Heart in connection with New Testament. The theological perspective is a background to give new heart and the meaning of the new heart to develop. The meaning of the New Heart is union with God and reborn with new life. The new heart is in a transformed state that the stony heart that did not remain in God has become the heart of flesh that remains in God and in a state of union with Go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new heart intends the state of union with God’s Will. Other Texts of Old Testaments states obedience to God’s will and to worship God with whole heart (Jer 32,39; Wis 10,20). The new heart attains unity by doing God’s will and the New Testament offers us to have Christ’s Heart as the image of God (Phil 2,5). There are three symbols; water, heart and spirit, for the transformation of Israelites(Ps 51). The heart that inclines toward the evil shows that humans are born in a state of sinfulness. Through these three symbols, the Israelites are being transformed. In the center of this transformation is the heart, the new heart. Through this new heart we can be transformed completely. The Words of Jesus can be understood in this way that we can acquire the Kingdom of God by being born again through the Holy Spirit(Jn 3,5).

      • 프란치스코 전교 봉사 수도회의 소명

        김동준 인천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15

        프란치스코 전교 봉사 수도회는 하느님께서 창설자를 통해서 당신의 일을 가시적으로 드러내셨고, 수도회의 회원들을 통해서 더욱 굳건하게 하고자 한다. 교회의 전통 안에서의 선교사명(제1장)은 하느님께서 예언자들을 통해서 말씀하신 메시아, 곧 예수가 자신의 육화와 지상생활을 통해 말씀과 업적, 표징과 기적, 특히 자신의 수난과 죽음의 시간을 보낸 후 부활한 그 신비 속에서 신적인 자기 본연의 모습을 계시하였다(참조: 요한 20,1-20). 이 계시를 통해 예수는 사도들의 믿음을 굳건하게 하였고(참조: 요한 20,21-23), 그들에게 복음선포의 사명을 부여했다(참조: 루카 24,47-48). 성령강림으로 사도들은 온 세상에 예수가 바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고대하고 기다리던 메시아라고 선포하였다(참조: 사도 2,14-36). 그리고 사도들은 그들의 후계자들과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도 복음선포의 사명을 전수했다(참조: 사도 4,32-34; 6,1-7). 이 복음선포의 사명은 곧 교회의 사명이다. 가톨릭교회는 예수를 통해서 구원이 왔다고 끊임없이 전달해 왔다. 이 사명은 수많은 성인성녀들, 특히 성 프란치스코에게서 더욱 두드러지게 드러났다. 성 프란치스코는 가난의 정신 안에서 복음에 따라 예수와 똑같이 살면서 모든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전하고자 했다. 성 프란치스코는 예수의 모방하였고, 모든 사람들과 모든 피조물들을 하느님의 사랑으로 포용했으며, 그들 모두에게 하느님의 말씀을 선포했다. 그리하여 성 프란치스코는 자신의 말과 표양으로 복음을 선포하며, 자신을 하느님께 봉헌했다. 교회의 전통 안에서의 봉사사명(제2장)은 하느님의 천지창조 때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이 봉사사명은 예수가 “나는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치러왔다”(마태 20,28; 마르 10,45)고 선포한 말씀에서 확정적으로 드러났다. 예수는 제자들의 발을 닦아 줌으로써 “주님이며 스승인 내가 너희의 발을 씻었으면,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 주어야 한다. 내가 너희에게 한 것처럼 너희도 하라고, 내가 본을 보여준 것이다.”(요한 13,14-15)라고 우리를 초대한다. 이 초대는 봉사정신을 통해 자기 자신을 비우고, 하느님의 사랑으로 이웃들에게 사랑의 봉사를 하라는 초대이다. 이 예수의 가르침을 통해서 사도들은 사랑의 봉사를 자신들의 사명으로 삼았고(참조: 사도 5,12-16), 그들의 후계자들에게 봉사직무를 부여하여 그들로 하여금 사랑의 봉사에 투신하도록 권했다(참조: 사도 6,1-7). 이 교회의 봉사사명은 역사의 흐름 속에서 늘 사랑의 눈길을 가난한 이들에게로 향하게 한다. 특히 이 사명은 수많은 수도회의 창설을 촉구했다. 수도자들은 사회적인 변천과정 안에서 자신들의 사명을 인식하고 봉사로써 그리스도를 따랐다. 이 봉사활동을 통해 수도자들은 수많은 사람들을 하느님에게로 인도했는데, 특히 성 프란치스코는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보여 주었다. 성 프란치스코는 나병환자들에게 봉사하며, 그들을 안에서 가난의 정신을 찾았다. 이 가난은 성 프란치스코로 하여금 모든 피조물들을 향한 사랑의 봉사를 가능하게 했다. 이 사랑의 봉사를 통해서 성 프란치스코는 하느님의 사랑으로, 하느님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되었다. 성 프란치스코는 예수 그리스도를 자신의 삶으로 받아들여 온 마음과 온 정성과 온 힘으로 하느님을 사랑하였고(참조: 신명 6,4-5; 루카 10, 27), 자신을 따르는 수많은 프란치스칸들에게 이 삶을 전해 주었다. 프란치스코 전교 봉사 수도회(제3장)는 인간의 힘이 아닌 하느님의 계획에 따라 창설자 하이디 브라우크만 수녀에 의해 창설되었고, 예수의 사명인 루카 4,18-19를 토대로 예수 그리스도를 살아가고자 한다. 이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계획 안에서 예수의 활동과 모범은 사도들을 통해서 이어져 내려온 하나의 뿌리이며, 같은 하나의 줄기이다. 프란치스코 전교 봉사 수도회의 수도자들은 성사들, 특히 성체성사를 통해서 힘을 얻고, 화해의 성사를 통해서 하느님과의 완전한 일치를 구축하여, 그리스도의 전교봉사를 그리스도의 빛으로 사람들 앞에 비춘다. 교회의 전통 안에서 전교와 봉사는 통합된 하나이며, 불리 될 수없는 예수 그리스도 그 자체이다. 즉 복음선포 사명은 삶의 증거로써 전달되고, 복음적 삶은 바로 전교와 봉사의 일치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구를 통해 프란치스코 전교 봉사 수도회의 수도자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산다”는 수도자로써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삶의 방향을 바로잡아야 한다. 프란치스코 전교 봉사 수도회 수도자의 삶은 예수 그리스도와 똑같이 살아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정체성을 통해서 프란치스코 전교 봉사 수도회의 수도자들은 사람들의 영적이고 육적인 요구에 사랑의 봉사로써 응답하는 것이다. 이 사랑의 봉사는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모든 사람들에게로 개방되어 있다. 그러므로 프란치스코 전교 봉사 수도회의 소명은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모방하는 것이다. 이 모방적 삶을 통해서 수도회의 모든 회원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살아가게 된다. 모방의

      • 하느님과의 합일을 위한 영적 여정 : 십자가의 성 요한의 가르침

        채명성 인천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15

        오늘날 그리스도교 신앙은 여러 가지 내ㆍ외적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상대주의적이고 다원주의적인 현대인의 종교심성 안에서 계시종교(啓示宗敎)인 그리스도교의 절대주의 신앙이 그 설 자리를 잃어가는 것이 하나의 외적 요인이라면, 하느님을 믿고 사랑하며 섬겨야 하는 의무 인식하면서도 그렇게 하지 못하는 그리스도교 신앙인들이 진리이신 하느님을 만나려는 노력, 즉 내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포기한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내적 요인으로 지적할 수 있겠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교서 「새 천년기」(Novo Millennio Ineunte)에서 비록 세속화가 만연되어 있는 세상 속에서도 '영성에 대한 광범위한 요구', 주로 '기도에 대한 새로운 요구'로 표현되는 이 시대의 영적 갈증과 욕구를 하나의 커다란 '시대적 징표'로 진단하고 있다. 그러면서 교회가 갖고 있는 신비주의 전통 특히 십자가의 성 요한과 아빌라의 데레사의 가르침을 이러한 요구에 대한 대응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십자가의 성 요한의 작품들이 어렵고 비밀스러운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그 작품들은 매우 숭고한 영적 교의로 가득하여 완덕의 삶을 준비하는 신앙인들을 위한 안내자요 지침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성인의 가르침에 대한 많은 오해들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엄격한 성인의 가르침은 자신을 온전히 비우며 살기에 힘겨워 보이는 현대의 평범한 그리스도인들에게 '사랑의 합일의 박사'라기 보다는 십자가와 고통만을 강조하고 있는 신비신학자라는 인식을 더 많이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성인에 대한 이러한 지엽적인 시선은 성인의 가르침을 전체적인 맥락과 큰 전망 안에서 바라보지 못한 데 그 원인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성인의 가르침을 전반적이고 큰 전망의 틀 안에서 연구해 봄으로써 그리스도교 사상의 원천과 교회 정신에서 흘러넘치는 영적 가르침의 정수를 그의 작품과 가르침으로부터 이끌어 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제1장에서는 먼저 영적 여정의 목적지인 하느님과 여정의 주체인 인간의 존재론적 차이는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해 두 주체의 관계성 안에서 그 답을 찾아본다. 그리고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결국 인간이 하느님과의 합일을 위한 영적 여정을 하기 위해서는 그 여정의 동반자요 인도자로서 예수가 필연적으로 요청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인에게 있어서 하느님과 인간을 포함한 피조물은 이원론적 대립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것은 하느님은 모든 것(Todo)이요, 피조물은 무(無) 즉 아무것도 아닌 것(Nada)이라는 대칭개념으로 나타난다. 이런 두 주체의 관계성 안에서 하느님은 인간과 피조물을 '초월'하여 계신 분이시면서 동시에 그 안에 '내재'하여 계신 분이심을 성인은 자신의 작품을 통하여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다음으로 인간이 갖는 기본적인 구조를 스콜라 학문의 체계에 따라 이원론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인간이 갖는 존재론적인 위치에 대해 살펴보면서 죄와 욕(慾)이 인간의 상황에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성인의 관점을 알아본다. 죄는 인간이 갖는 하느님께 대한 지향성을 상실하게 만드는 것이며, 욕(慾)들은 하느님을 향한 인간의 능력들을 쓸모없는 것들로 만들어 버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비참한 처지에 빠진 인간이 갖는 초자연적인 소명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인간을 당신의 사랑으로 창조하시고 당신의 사랑에로 부르고 계시는 인간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의 계획'이다. 성인은 인간이 갖는 희망적 의미와 종국적인 충만함을 하느님 안에서 찾고 있다. 성인은 또한 하느님과의 합일을 위한 여정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오직 그리스도를 통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그리스도의 육화와 십자가가 지니는 의미가 단순한 비극적인 고통을 의미하지 않고 오히려 하느님과의 일치를 위한 채움이며 부활을 향한 비움임을 우리에게 가르쳐주고 있다. 제2장에서는 여정을 위한 구체적인 준비가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성인의 가르침에 대한 전(前) 이해의 과정으로서 몇 가지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점들을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특히 성인이 강조하고 있는 '무(無, Nada)의 길'에 대한 오해와 자아포기에 따르는 '고통'의 문제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하느님과의 일치를 위한 실제적이고 가장 확실한 수단인 향주삼덕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여정의 준비를 마무리 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성인의 엄격한 가르침에만 주목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오해를 해결하기 위해 성인이 제시하는 종국적인 목표, 즉 하느님과의 합일이라는 가르멜 산의 정상에서 바라본 전망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전망 제시야말로 우리가 좁은 길을 선택하도록 이끌어줄 수 있으며, 성인의 가르침이 자아포기와 고통 그 자체에 머물지 않고 오히려 가슴 설레이는 하느님과의 사랑의 일치를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깨우쳐 준다. 이런 전망 아래에서 바라볼 때 자아포기와 고통은 단지 하느님과의 사랑의 합일을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영정 여정을 시작한 이들이 그 고통을 이겨낼 수 있는 긍정적인 동기를 여기에서 비로소 발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성인은 시작부터 끝까지 '향주삼덕'을 완덕의 길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필요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영적 여정에 있어서 향주덕의 개별적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즉, 믿음을 통한 지성(이성)의 정화와 희망을 통한 기억의 정화, 그리고 사랑을 통한 의지의 정화가 인간을 얼마나 하느님과의 합일에 맞갖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제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성인의 가르침에 따라 영적 여정의 길을 걸어 본다. 능동적인 밤과 수동적인 밤에 있어서 기도의 변화, 그리고 감각과 영의 정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하느님과의 합일의 단계를 영적 약혼의 단계와 영적 혼인의 단계로 나누어 고찰해 본다. 능동적인 밤에서는 추리적 묵상의 단계에서 능동적인 관상에로 넘어가게 되면서 겪는 여러 변화들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자기 자신과 세상의 모든 사물들에 대한 애착을 끊으면서 나아가려는 영혼들에게 성인이 제시한 가르침들을 그의 작품을 통해 제시해 본다. 영의 능동적인 정화 과정은 이미 전 장(前章)에서 향주삼덕의 역할 부분을 언급하면서 많이 다루었으므로, 여기에서는 믿음과 희망과 사랑을 통해 정화된 영혼이 어떤 변화된 모습을 갖추게 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본다. 하느님은 이성의 빛이 아닌 신앙의 빛으로만 바라볼 수 있는 분이시며, 기억을 완전히 비웠을 때만 온전히 희망할 수 있는 분이시고, 하느님 아닌 모든 것에서 벗어나 영혼의 온 힘을 다해 오직 그분만을 사랑해야 하는 분이심을 알 수 있다. 수동적인 정화의 어둔 밤에 들어서면서 영혼은 매우 고통스런 관상적 메마름을 겪게 되는데, 이는 인간이 갖는 감각의 힘과 모든 감각적 기쁨을 영의 영역으로 바꾸시려는 하느님의 주도적인 개입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감각의 수동적인 정화의 밤이 지나면 하느님께서는 이보다 더 고통스럽고 메마른 영혼의 수동적인 밤으로 이끄신다. 이는 인간의 낡은 정신 안에 남아 있는 얼룩을 말끔히 벗기시려는 하느님의 이끄심으로, 작품 안에서 비유적으로 설명한 성인의 가르침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그 과정과 정화 후의 열매들에 대해 알아본다. 이제 영혼은 하느님과의 합일이라는 정화의 궁극적인 목적에 다다르게 되었다. 성인은 하느님과의 합일 상태를 영적 약혼과 영적 혼인으로 나누고 있다. 영적 약혼의 단계에서 영혼의 의지와 하느님의 의지는 영원히 결합되기 때문에 이를 '의지의 합일'이라고도 부른다. 이 단계는 아직 새벽의 여명이 밝아오는 밤과도 같은 것으로 여전히 어둠을 동반하고 있는 것이며 악습의 힘을 온전히 굴복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전적인 봉헌의 지연과 장애가 남아있다. 그러나 영적인 결혼은 사랑하는 님 안에서의 온전한 변형으로 이 세상에서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단계의 상태이다. 이제 영혼은 혹독한 정화 과정을 통하여 사랑으로 완성되어 모든 수고와 고통을 벗어나 온전한 기쁨과 평화와 영광 그리고 사랑의 일치를 누릴 수 있게 된다. 하느님과의 합일과 그분과의 친교는 전적으로 자신의 삶을 관상적 삶에로 봉헌한 이들에게만 허락된 것은 아니다. 하느님께서는 모든 이의 아버지이시며, 따라서 모든 그리스도인은 하느님의 참다운 자녀로서 하느님과 함께 살기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십자가의 성 요한은 모든 이에게 하느님과의 합일로 가는 안전하고 빠른 영적 여정의 길을 보여주고 있다. 그 길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따라 가는 길, 끊임없이 세상과 자신에 대한 부정의 길이며, 자신의 뜻을 잘라 버리고 하느님의 뜻을 살아가는 길이고 진정한 긍정의 길이다. Today Christian faith is confronted with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ne of the external causes is that the christianity as a absolute truth is losing its position in the religious trend of modern thoughts, which are relativistic and pluralistic. We can also diagnose the internal cause. Today it seems that modern Cristians who know the duty of faith, their love and service to God have difficulty in leading a religious life as they know. They seem to throw up the effort to meet God and give up the endeavor to recover their interiority. In「At the beginning of the new millennium」(Novo Millennio Ineunte) Pope John Paul Ⅱ indicated that the wide-spread demand about spirituality or the spiritual thirst is a prominent sign of the present age which is secularized. And he introduced the mystical heritage that the church has held as a counterplan for these demands, especially the teaching of St. John of the Cross and Theresa of Avila. It is the fact that the works of St. John of the Cross deal with the problems which are difficult and mystical to understand. Nevertheless, they are appropriate enough to be a guide book and a signpost to christians who intend to live in the perfection because those are filled with the sublime spiritual doctrine. There is, however, still misunderstanding about Saint's teaching. Because the strict teaching of St. John of the Cross tends to make common christians who seem to have difficulty in forgiving self-centeredness in modern times misunderstand that he is a mystic theologist who stresses only the suffering of the cross, instead of a 'doctor of union of Love'. The cause of this digressive understanding about his teaching is that it isn't understood in entire context and extensive view. In this treatise, therefore,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tract the essence of the spiritual teaching which is overflowing in the source of christianity and the spirit of church through studying the Saint's teaching in overall and extensive view.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treatise, above all, we bring up a very important question. What is the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n this essential question, God is the goal of spiritual journey and human being is the subject of the journey. And then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answer of the essential question, finally we recognize that human being necessarily needs Jesus who is as a company and a guide of the spiritual journey for the union with God. St. John of the Cross understands that God and all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 are in the dualistic opposite relationship. This shows the symmetrical notion that God is All〔Todo〕, and all creatures are Nothing〔Nada〕. St. John of the Cross explains through his works that God not only transcends human being but also is immanent in them. In the following, we look at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human being dualistically by Scholastics. Then commenting about the existential status that human being is placed in, we will find out, in the view of St. John of cross, what the bad effect of the sin and the desire〔los apetitos, la concupiscencia〕 is. The sin causes humans to lose an intention toward God, and the desire makes abilities of humans toward God useless. Nevertheles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supernatural summon of humans who are in such miserable situations. It is the loving plan of God on the purpose of human being created in His love and called to His love. St. John of the Cross seeks the meaning of hope and ultimate fullness of humans in the God's love. St. John also argues that the journey for the union with God can be accomplished only through Christ.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incarnation and crucifixion of Christ is not just miserable suffering but filling for the union with God, and vacating toward the Resurrection. In the second Chapter, the concrete preparation for the journey is treated. As previous understanding of Saint's teaching, we have a chance to restudy things which are misapprehended. The misunderstandings about 'the way of nothing(Nada)' and the matter of 'Suffering' that Saint specially argues are studied. Then, we finish this preparation of the journey, examining 'the three theological virtues', which are actual and certain means to unite with God. First of all, to solve several misunderstandings arisen by only concentrating his strict teaching, we explore the ultimate purpose, the viewpoint of the top of the mountain Carmel, which is suggested by St. John of the Cross, as the union with God. This view can make us choose a narrow path, and realize that the Saint's teaching is the divine union of love rather than only the self-giving up and the suffering. In this context, the self-giving up and the suffering are the only way to do the divine union of love, in which beginners of this spiritual journey can find affirmative motive to overcome the suffering. St. John of the Cross mentions constantly that 'the three theological virtues' are fundamental necessities for a way of the perfection. Here, in the spiritual journey, particular roles of the three theological virtues are treated; It is considered how the intelligence is purified by the faith, the memory by the hope and the will by the love, which makes humans transformed as being acceptable for the union with God. In the third chapter, on a full scale, we walk into the path of the spiritual journey in accompany with the Saint's teaching. The change of prayer in the active night and the passive night, and the process of purification of the senses and the soul are treated. And then the step of the divine union is managed separately by the soul's engagement and the soul's marriage. In the active night, we deal with the different variations that we undergo, passing from the stage of reasoning meditation to the active contemplation. Through John's works, we look into the Saint's teachings that suggest to souls who intend to advance, getting rid of attachment to themselves and all properties in the world. In this chapter, we concentrate only what kind of transition of the soul is purified by the faith, the hope and the love, because the process of soul's active purification was already studied in the three theological virtues of the previous chapter. We can realize that God can be seen only by light of the faith rather than that of the reason, hoped only when the memory is perfectly blank and only loved with all of soul's strength, getting rid of all others except God. Souls experience the very anguished contemplative dryness when they enter the dark night of passive purification. This is because God intervenes initiatively to change the strength and the joy of the sense into the region of soul. After passing the night of passive purification of the sense, God leads the soul to the passive night of the more anguished dryness of soul. This is God's leading to taking off spots which remained in the musty mind of humans. Through Saint's teaching expressed allegorically in his works, the process and result after the purification are studied in concrete. The Soul has now come to be the union with God as the ultimate goal of the purification. St. John of the Cross divides the divine union into the soul's engagement and the soul's marriage. In the step of soul's engagement, it is called as 'the union of the will' because the will of God and soul is united constantly. This step seems like dawning in the dark sky, still it has darkness, and the power of bad habit is not completely overcome. Thus, the retardation and obstacle of dedication are remained. However, the soul's marriage, complete transformation in God's love is the highest condition which is able to reach in this world. Now, completed by love, the soul enjoys truly joy, peace and glory, getting out of all of troubles and sufferings through the process of the severe purification. The union and communion with God is not only permitted to people who dedicate their all lifetime to the contemplative life because God is a father to all, and all of christians want to live with God as true children of God. St. John of the Cross shows all people the safest and fastest way of the spiritual journey toward the union with God. The way is just to follow the Cross of Jesus Christ, which is a continual negation about oneself and the world, to live as God's will instead of own will, that's to say, a true positiv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