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교회의 사목적 대응 연구 : 인천교구의 사목지역을 중심으로

        라현준 인천가톨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서론 현재 우리나라는 성폭력 발생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나라이다. 이를 증명하듯 현대 우리 사회에서 대두되는 심각한 사회문제는 성폭력 범죄이다. 성폭력 범죄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성폭력의 피해 대상이 된다. 다시 말해 사회 구성원 모두는 성폭력의 대상에서 제외 될 수 없으며, 성폭력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자신이 성폭력의 피해자가 되었을 때, 오직 침묵만이 가장 현명한 선택으로 오인하지만, 결코 침묵은 현명한 처세가 아니다. 침묵은 성적 가치관의 혼란을 조장하며, 이는 성폭력 후유증들과 결합하여 또 다른 성폭력의 가해자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사회의 심각한 현상 안에서 인천교구는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실천적인 사목의 방향을 모색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성폭력 피해자들의 심각한 사회 상황과 사회의 문제들을 교회는 쉽게 간과할 수도 없다. 교회의 소극적 자세는 사회의 조장을 가중시키는 것이며, 성폭력 피해자들이 사회의 은폐된 곳에서 홀로 겪는 고통을 방치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성폭력 피해자들의 심각한 현실 상황을 직시하고, 그들을 바라보는 시각의 정립하며, 교회 대응의 구체적이고도 실천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1장 제1장에서는 성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지평의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성폭력이 무엇이며, 인간의 역사와 함께 이어져온 성폭력의 역사, 현대 사회에서 자행되는 성폭력의 종류, 성폭력의 많은 종류로 인해 피해를 입은 성폭력 피해자들의 후유증의 심각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심각한 후유증을 안겨주는 성폭력의 발생원인을 다루었다. 제2장 제2장에서는 현대 우리사회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의 실태를 제시하였다. 놀라운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성폭력의 발생추이는 성폭력 피해자들의 수치를 반영해주고 있다. 이러한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해 국가와 민간단체는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들에게 어떠한 제도 및 지원을 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민간단체 부분에서는 논문의 부제와 관련하여 인천지역에서 활동 중인 민간단체들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그러나 성폭력 피해자들의 사회적 재기를 위한 민간단체의 도움의 손길은 성폭력 피해자들의 혼란해진 성적 가치관의 올바른 정립에는 미비점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민간단체 대응의 미비점과 사회 안에서 은폐된 채 존재하고 있는 수많은 성폭력 피해자들은 사회적 약자들을 위하여 봉사해야하는 교회에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제3장 제3장에서는 민간단체의 미비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성(性)에 대한 올바른 가르침을 가톨릭교회의 성경과 교도권의 가르침 안에서 제시하였다. 그리고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사목의 방향과 교회의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논하기에 앞서서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교회의 시각 정립과 구체적인 실천을 제시하기 위해 사회교리의 원리들, 즉 인간 존엄성의 원리·공동선의 원리·연대성의 원리·보조성의 원리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사목적 대응을 제시하였는데, 우선 가톨릭교회에서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지원을 하고 있는 서울대교구의 ‘천주교성폭력상담소& 쉼터 평화의 샘’을 모델로 제시하고, 성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인천교구의 사목적 대응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후 어떠한 사목적 방향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는 인천교구에 구체적인 대응 방안으로 교구차원, 본당차원, 신학교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결론 예수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모범을 따라 교회는 이러한 가난한 이들과 약자들에 대한 선택과 보호를 하도록 모든 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모든 인간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통하여 하느님 구원 계획에 동참하는 형제들로서 이 구원의 보편성 안에서 교회는 모든 인간에게 봉사해야 한다. “너희가 내 형제들인 이 가장 작은 이들 가운데 한 사람에게 해 준 것이 바로 나에게 해준 것이다”라고 예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그 사명을 이 지상에서 완수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되어 사회에서 고통 받고 있으며, 울부짖고 있는 사회적 약자인 성폭력 피해자들을 쉽게 간과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하여 필자는 성폭력 피해자들을 올바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구체적인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성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특수 사목의 장이 지역교회 안에서 열리기를 소망한다. Introduction. Our country is currently compare to many other coutnries second in a sexual violence occurrence world. Proving this our society treated and suffers from sexual harassments as the major rising society problem towards the mordern stage of the time. Hitherto the man becomes a victim of the sexual violence as well as woman, this insists any member of the society can not become the exclusion in the object of the sexual violence. The victim of the sexual violence hid within the point to become him/herself exposed, and when they only think silence is most wise selection. The silence is never wise conduct of life and it promotes the confusion of a grade sense of values to the victim and bring probable mental sequela and incur another host to the another danger of a sexual harrassment. Such the serious phenomenon inside of our society, Incheon Diocess fail to react and bring a clear direction of pastoral solution for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Also it is the problems of society and cannot be ignored by overlooking its situation and fact. The Church's fallacious posture may add the promotion to the society's evil practice and concealed victims of sexual violence as to bring the result which victim may suffer alone and this will be neglecting the pain of neighbors. Thus this paper look seriously into real situation of sexual violence victims squarely and to see consequently analysis of the facts and offer solutions to countermeasure to come to probable operational actions. Chapter 1 From the first chapter we were treated in the dimension of general understanding horizon about the sexual violence, what the sexual violence is, and The history of the sexual violence which have been connected with the history of the human. The types of the sexual violence which is committed in modern society is also inclusive and due to different sexual violence and its types we will look into the seriousness of the harrassment and its victims to be damaged of the sequela. Lastly we will investigate the cause and occurrence reason of the sexual violence and aftermath of effect of the serious sequela. Chapter 2 Second chapter was present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exual violence to happen in modern stage of our society. This could confirm surprising numerical value and occurrence indorsement of the sexual violence reflects the numerical value of sexual violence victims. We also look through national and private non governmental organizations(NGO) are making any effort about such sexual violence victims, and their policies and systematic cooperations within the other atmosphere and institutions. For mainly on NGOs focused on the Incheon district as stated on the title of the paper. However outstretched hand of the NGOs to serve but to be social measures of sexual violence victims of the aid is because of confused grade sense of values of sexual violence victims showing the uncleared position to overall genre. Such NGO's uncleared confrontation and lots of sexaul violence victims which with concealing is extant in a society inside, this insists a request to a operational plan which is specific at the church to charity for socially poor and ignored characters. Chapter 3 Third Chapter overviews on possible sexual educational participation overcoming what may be the NGOs' vulnerability reflecting to Christian Bible of Catholicism and its teaching of magisterium. Before proceeding towards the discussiong of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about sexual violence victims and specific practice plan of the church, the possible fixture of viewpoint of the church about sexual violence victims and the principles of the social doctrine to present specific practice, which is due to add principle of a human dignity, communal goods, solidarity and supplementary respectively. Lastly this paper concede to possible pastoral confrontations, which undertook the model from 'Catholic Centre for counseling of sexual violence & arbor, pond of peace' of Seoul Arch diocese where sexual harassed victims are supported, and look into actual condition of Incheon parish about treating the sexual violence victims. Then it offers what may be the practical solution to incompetent Incheon Diocese of pastoral direction within spectrums of parish, diocese and seminary. Conclusion Take the model which Jesus Christ shown, the church is still and ever teaching everyone so that to protect the people who are poor and weak, and through a crucifixion of Jesus Christ everyone is the brothers in participation of God's salvation plan, thus the church must serve for all human in an universality of salvation. As Jesus said "as you did it to one of the least of these my brethren, you did it to me." The Church have the duty to complete this as the mission on earth. The dignity of the human is corrupted and they are conceiving a pain from the society. We should not overlook easily on sexual violence victims who are in need and socially ignored and disregarded. Therefore through this paper I insist look upon the sexual violence victims with clear conscience, and prepare to mobilize organizational systematic device where we may hope to open the new special pastoral vocation on sexual violence victims.

      • 가톨릭교회 고유목적사업 회계자료에 대한 분석적 고찰과 제언 : 천주교 인천교구 2006-2011년 예산 · 결산서를 중심으로

        하선호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It has been 200 years for Catholic declared the gospel in Korea. During that time, the scale of Korean Catholic Association becomes large after quality and quantity growth. However, it is true that shows many problems with using property in order to manage the church. For the Korean Catholic Association to grow and to the church in a transparent, its basis and consider the contents of the financial executive with the necessary budget and accounting state systematic for the church management. The major sources of revenue to run the church is devoting money and consisting of Denarius Cultus(교무금) which likes tithes as an expression of gratitude to the grace that believers have received from God. The budget that formed to run a church based on financial should manage by evangelical in a first place. Jesus Christ loved those people who have marginalized. (Mt 25, 31-40). The reason why the church pays attention for the poor, the people who are avoid and suffering is the goal and mission of church. However, if it is not practically love and care these people, the church will lose the meaning of its existence. The researcher of this essay will search for the church that is using and managing the property and working practical charity business, the specific purpose of church by the data of Incheon Diocese of Catholic Church in Korea. In the first chapter, the major source of church’s income, like the tithe and donation, is theoretical background of bible how it has written in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The tithe from the Old Testament is those people who are represented faith and expression of gratitude to God. The tithe appeared in several Old Testament, such as Pentateuch, Historical Books, and Prophetic Books. Moreover, it shows that the purpose and meaning of tithe has changed for Israelite time after time. The present writer looked over the feature and meaning of the tithe in Old Testament by a chart. The similarity of the tithe in every Old Testament is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dedicated to God and God owns the propert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tithe changed start with the origin of the tithe and extend to belief, a point of tithe, social and religious, the meaning of the tithe, shows the gratitude, confession to God and love neighborhood. In New Testament, the tithe and donation mentioned through Synoptic Gospels, Acts of the Apostles, and the Epistle of Saint Paul. Compare with Old Testament, New Testament does not refer to the tithe and donation. However, through Jesus Christ’s clear statement, the definition of the tithe and donation can find by keep and restore “justice,” “mercy,” “faithfulness.” In Act of the Apostles and the Letter of Paul, it shows teaching of St. Paul about donation and the reason of it. If you look at the description of the contribution of Paul, he is talking about donation with a clear purpose. The purpose was to distribute the meaning of Christian’s love and mercy, justice and peace, sharing, friendship and unity for the Jerusalem that was fallen under famine. Through New Testament, Christians should be solid, sharing, devoted to promise, act justice other than their own property or possession. By teaching of Jesus Christ and action of Paul, the reason of tithe and donation can find easily.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look through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how they teach a conception of material goods by order of the church. The goods are for worship to God, required property of living expenses for priest, also expend for the donation as holy missionaries with charity. To accomplish a goal of church, the present writer inquired about church’s possession by church regulation about using property and the law of the country where the church belong. The reason for this investigation is the asset and goods of church for volunteering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church. Therefore, it should have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possession in church is for helping. In third chapter, the writer of this essay made an analysis of business accounting data based on Diocese of Incheon in Catholic Church of Korea. The financial management of Incheon Diocese, look over its regulation, and estimation and settlement of accounts to operate the church. A study for analytic based on synod of Incheon Diocese and estimation and settlement accounts between 2006 and 2011. With this basis, we may find that church is working what the Bible teaches properly. Loving the neighborhood is an intention and a mission of church, which cannot force by other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not blaming the church management about proper managing church and practicing purposed business. It is about reflection and innovation of church. Through synthetic analysis and a suggestion, church should come to maturity, use the possession of God and love the neighborhood with care. All the church’s property does not have its goal in itself. It is a tool of church’s ultimate goal and service for others. Therefore, not only we should work with the church property, but also with all possessions and goods; we must be interest to practice all of these. The Possession is not only for one’s self, but also for share with the neighbor, especially for the poor and people who are apart. It should be a tool for definition of loving neighbor hood and common goods. Church performs a unique goal business for the poor as a moral and charity. When the church establishes the budget, the best thing to do is performing the estimation for the people who are volunteering for church and the poor so that makes an action and a purpose justify the means of the business. As this research of accounting data of Diocese of Incheon, the present writer certain the flexible control on budget management will allow church to execute its plan. Budget to operate the church can be an im 한국 천주교회가 이 땅에 복음을 선포한지 2백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한국천주교회는 양적과 질적인 성장을 거듭하면서 그 규모가 방대해졌다. 하지만 교회를 운영하기 위한 재산 사용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보여준 것 또한 사실이다. 한국천주교회가 투명성 있는 교회로 성장하기 위한 그 기초는 교회운영을 위해 체계적인 회계 상태와 필요한 예산과 결산의 집행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교회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수입의 주된 원천은 신자들이 하느님께로부터 받은 은총에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드리는 헌금과 십일조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교무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재정을 바탕으로 교회를 운영하는데 형성된 예산은 그 처음부터 복음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 되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보잘 것 없는 사람들인 소외된 사람들을 사랑하셨다(마태 25, 31-40 참조). 교회가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교회의 사명이자 목적이지만, 이들에 대한 사랑과 관심, 배려가 제대로 실천되지 못할 때는 교회는 그 존재 의미를 상실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한국천주교회 인천교구의 고유목적사업 회계자료를 통해 교회가 올바르게 재산을 사용하고, 관리하고 있는지 또한 교회의 실천적 애덕사업인 고유목적사업이 적절하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교회 회계의 이론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교회의 주된 수입의 원천인 십일조와 헌금에 대해 성경에서는 과연 어떤 말씀으로 가르치고 있는지 구약과 신약성경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구약에서의 십일조는 하느님의 백성이 창조주 하느님께 드리는 감사의 표현과 믿음의 원리로 표현되고 있다. 구약의 모세오경과 역사서, 예언서에 등장하는 십일조는 시간 흐를수록 이스라엘 민족들 안에서 그 의미와 목적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도표로 나타내어 구약성경에서의 십일조가 지니고 있는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십일조에 대한 일반적인 공통점은 하느님께 바치는 종교적인 의미와 그 소유가 하느님의 것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십일조가 지니고 있는 특징들도 십일조의 기원으로 시작하여 신앙적인 부분, 십일조의 항목과 사회적, 종교적인 측면으로 확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십일조의 의미 역시 하느님께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시작하여, 만물의 주인이 하느님이심을 고백하며, 이웃사랑을 실천해야할 책임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약성경에서는 공관복음서와 사도행전, 바오로 서간 등을 통해서 십일조와 헌금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구약성경에 비해 신약성경에서는 십일조와 헌금에 대한 언급은 많이 찾아볼 수는 없다. 하지만 십일조와 헌금이 지니고 있는 참된 의미인 ‘정의’(正義)와 ‘자비’(慈悲), ‘신의’(信義)를 지키고 회복해야 함을 예수 그리스도의 ‘설파’(說破)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사도행전과 서간에서는 사도 바오로의 헌금에 대한 가르침과 모금하는 이유가 자세히 제시되고 있다. 사도 바오로의 헌금에 대한 언급을 보면 그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헌금에 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 목적은 기근에 빠진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그리스도인들의 사랑과 자비, 정의와 평화, 나눔과 분배, 친교와 일치의 의미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신약성경을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은 연대적인 사람, 나눔의 중요성, 계약과 약속에 대한 충실성과 정의 실천이 그 어떤 재물과 소유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것을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사도 바오로의 실천을 통해서 십일조와 헌금의 목적을 찾을 수 있다. 제2장에서는 교회가 지닌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재화, 재산의 개념과 성경에서 물질재화에 대해서 어떤 가르침을 주고 있는지 구약과 신약성경을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물질 재화는 하느님께 경배를 드리고, 성직자들과 교역자들을 위한 합당한 생활비를 조달하는데 필요한 재산인 동시에 거룩한 사도직과 애덕적인 차원에서 특별히 자선 사업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산이다. 교회가 지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재산의 사용에 관하여 교회법과 그 교회가 속해 있는 국가의 법을 준수하는 가운데 교회 재산에 관한 규정을 알아보았다. 그 이유는 교회의 재산과 재화는 그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 안에서 재산과 재화의 중요성은 그것이 봉사라는 목적을 지니고 있는 관점에서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한국천주교회 인천교구를 중심으로 고유목적사업 회계자료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인천교구의 재정규정과 교회를 운영하는데 필수적인 재무관리에 관한 규정들을 살펴보고, 고유목적사업에 대한 예산과 결산서를 중심으로 분석적 고찰을 시도했다. 분석적 고찰은 인천교구의 시노드와 2006년부터 2011년도까지 교구의 예산과 결산서가 중심이 되었다. 이를 기준으로 성경의 가르침을 교회가 올바르게 실

      • 농인선교에 관한 교회 역할 연구 : 인천교구를 중심으로

        김재현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Catholic church has the duties and the rights to trying to preach the Gospel to all over the world. Today, seeing the widespread ‘Religious Individualism’, I have studied the function and the course of Church for the deaf neglected from society and church because of losing their hearing. In chapter 1, I have re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Deaf in internal and external levels looking through the population tendency. During the research, I couldn’t get exact data or present state concerning the Deaf in the Catholic Church except for that only 0.2 percent of deaf people. Moreover, short of priests, masses and restrictive facilities for deaf Catholics showed so poor of mission for the deaf. In this condition, I looked into condition of ministry of Inceon Diocese for deaf Catholics to seek ways for getting close to them and to preaching the gospel. In chapter 2, I looked into meanings of the Deaf from various angles to define objectively. It is hard to give a intergrative definition of the Deaf, but we can various definitions to define the deaf objectively. It is too difficult to define the deaf synthetically, but we can define the Deaf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point of view them and period of hearing loss. On the other hand, through investigation of characters of the Deaf, for example physical, intellectual, linguistical, social and cultural, I could find that many deaf people live in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These circumstances make the Deaf tough and make them cut off from society. In chapter 3, I reflected on status of the Deaf Ministry of Incheon Diocese after analyzing to how the deaf who are expressed in bible, in instruction of catholic church and in the situation of this day, I reflected on pastorship for the deaf in Incheon Diocese. Deaf people(vrexe, κωϕός)in the Bible were frequently referred to the people of the lowest class who were ignored and isolated from society. It is the proof that there were many deaf people at that time regardless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e Bible shows the deaf people were instruments of God to reveal God’s work through them with a lot of difficulties(John 9,3). Like the Bible, the Catholic Church also teaches the Deaf not to be ruled out of salvation because of a handicap. Rather, the Catholic Church emphasizes the hope of receiving salvation through the faith of the Deaf. Looking into situation of the time, the welfare for the Deaf roots in the concept of achieving social intergration through a whole society participation and equlity of the Deaf. Based on this, today’s society is making rights of the Deaf growth and progress with intergrated and the diversification. Protestant, Buddhism, Seoul Diocese, Busan Diocese are the examples. The growth of Deaf ministry of InChoen Diocese needs finacial support and infrastructure for Deaf ministry, but I reflected that it can be accomplished by based on understanding, concern and love to the Deaf. In chapter 4, I have presented the vision to activate for Deaf ministry in three stages –Diocese, Parish, and pator under this directivity and principle: “Go into the whole world and proclaim the gospel to every creature (Mk 16:15)” One of the essential missions of the Church is preaching the Gospel. So all members of the Church has a duty to work this mission. The Deaf do the same. The Deaf, as the member of the Church like us make kingdom of God with us and the Deaf as part of the body of Christ have the same mission. They constitute the God’s nation like hearing people. They are the Christ’s Mystic limbs and the body. “If (one) part suffers, all the parts suffer with it; if one part is honored, all the parts share its joy(1Cor 12:26).” We can see the future of Deaf ministry through this phrase. If Deaf ministry continues to grow based on love to them, the Church will be reborn for ‘the Church which all parts are rejoyce as a part being honored, not suffered the Church by suffered the Deaf. Therefore the Deaf ministry is not a consideration of the Church for the Deaf but preparing for ourselves and parts of ourselves. 가톨릭교회는 온 세상 모든 시대의 전인류에게 복음이 전파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의무와 권리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 신앙주의’가 확산되어가는 오늘날 청각의 손실로 인해 사회에서뿐만 아니라, 교회로부터 소외되고 있는 농인에 대한 교회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1장에서는 인구 동향을 통해 교회 내․외적 차원에서의 농인의 현실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사 과정에서 한국가톨릭 신자 수 대비 0.2%의 신자만이 농인으로 조사된 것 외에 가톨릭교회 안에서 농인신자에 대한 정확한 자료나 현황을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외에도 가톨릭 농인 선교의 열악함은 턱없이 부족한 농인전담사제와 농인미사 현황 그리고 제한적인 농인시설 등에서 나타났다. 이런 상황 안에서 농인들에게 접근하고, 그들에게 복음을 선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인천교구 농인 사목 현실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농인에 대한 객관적인 정의를 내리고자 다양한 각도에서 농인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농인에 대한 통합적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렵지만, 농인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청력손실 시기에 따라 다양하게 농인을 정의할 수 있다. 반면 농인의 특성(신체적, 인지적, 언어적, 사회·문화적)에 대한 조사를 통해, 많은 농인이 ‘오해와 편견’ 속에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는 오늘날 농인을 더욱 힘들게 하고, 사회로부터 단절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3장에서는 성경과 교회 가르침, 그리고 오늘날 시대적 상황 안에서 농인을 어떻게 조명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후 현재 인천교구의 농인사목 현실을 성찰해 보았다. 성경에서 농인(vrexe, κωϕός)은 소외당하고 무시받는 하층민으로 자주 언급된다. 이는 구약과 신약에 상관없이 당대 많은 농인이 존재했다는 반증이다. 성경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인의 모습을 통해 농인이 하느님의 일이 드러나기 위한 하느님의 도구라는 것을 이야기한다(요한 9,3). 성경에서와 마찬가지로 교회 역시 농인이 장애 때문에 구원에서 배제되지 않음을 가르친다. 오히려 그들이 가진 믿음을 통해 구원이 이루어지리라는 희망을 강조한다. 시대적 상황에서 살펴본 농인의 사회복지 또한 ‘농인의 완전한 사회 참여와 평등을 통하여 사회통합을 이루는 것’을 기본개념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사회는 농인으로서 당연히 보장받아야 하는 권리를 통합적이고, 다각화된 방향에서 빠르게 성장·발전시키고 있다. ‘개신교와 불교’, ‘서울교구와 부산교구’가 이를 보여주는 실례이다. 이를 바탕으로 인천교구 농인사목의 발전은 재정적 지원과 농인사목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농인들에 대한 이해와 관심, 사랑이 바탕이 될 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성찰하였다. 4장에서는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마르 16,15)라는 방향성과 원칙 아래 농인사목 활성화를 위한 비전을 교구, 본당, 사제의 세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교회의 본질적 사명은 ‘선교’이다. 그렇기에 교회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그 사명을 수행할 ‘의무’를 가진다. 이는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농인’들 역시 마찬가지다. 농인들 역시 우리와 ‘똑같은’ 교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한 하느님 나라를 이루며, 한 그리스도의 신비체를 이룸으로써 우리와 ‘똑같은’ 선교 사명을 가진다. “한 지체가 고통을 겪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고통을 겪습니다. 한 지체가 영광을 받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기뻐합니다.”(1코린 12,26) 이 표현을 통해 ‘농인선교’가 마주하게 될 미래를 미리 맛볼 수 있다. 농인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농인선교가 발전해 나간다면, 교회는 고통을 겪는 농인들로 인해 아픔을 겪는 교회가 아닌 ‘한 지체가 영광을 받음으로써 모든 지체가 함께 기뻐하는 교회’로 거듭날 것이다. 따라서 농인 사목은 약자로서 농인들을 위한 교회의 배려가 아니라, 바로 우리 지체를 위한, 우리 스스로를 위한 ‘준비’라 할 수 있다.

      • 19세기 베트남과 조선 교회 박해 비교 연구 : 뜨득 황제 박해와 조선 병인박해 중심으로

        TRAN ANH DUONG 인천가톨릭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19세기 베트남과 한국은 각각 역사상 가장 가혹한 천주교 박해를 겪었다. 천주교가 베트남과 한국에 전파된 시기와 방법은 서로 다르지만, 양국 모두 초기부터 심각한 박해를 당했다. 특히 19세기, 베트남의 뜨득 황제 시대와 한국의 조선후기 천주교 박해는 이전과는 다른 특징을 보였다. 박해의 성격이 변화한 주요 원인은 정치적 동기와, 특히 서양 국가들이 동아시아 진출을 종교적 구실로 삼은 것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베트남과 한국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두 나라의 박해 배경과 시기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점은 서양 제국주의 국가들의 아시아 진출이라는 더 큰 맥락 속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 시기 파리 외방 선교회의 선교사들이 베트남과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었고, 일부는 프랑스 정부의 개입을 통해 자신의 선교 지역에서 종교의 자유를 추구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천주교가 식민주의적 침략을 돕는다는 일부 견해의 근거가 되었으며, 선교사들의 정치적 개입은 가톨릭 교회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천주교도들이 반국가적이고 외국과 공모하여 자국을 침략한다는 레이블을 붙임으로써,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남아 있는 결과를 초래했다. 특히 베트남에서 그렇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 정치, 사회, 외교의 맥락에서 이러한 박해의 배경을 분석하고 두 나라 사이의 비교를 통해, 그 당시의 박해가 단지 국가 내부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우리는 두 나라에서의 천주교 박해에 대해 더 넓고 다양하며 객관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다. 19세기 초, 베트남과 조선은 이미 천주교 박해가 일어났다. 이 박해는 각 나라의 다양한 천주교 신자들과 동양 전통 종교나 사상, 서양 학문에 대한 배척 정책 등의 이유로 발생했다. 이 시기 동안 박해는 때때로 심해지기도, 줄어들기도 했으나 완전히 중단되지는 않았다. 이와 동시에 서양 제국주의 국가들이 아시아로의 진출을 시작하며, 파리 외방 선교회의 선교사들이 베트남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따라서 자국의 천주교도인 선교사들을 보호한다는 핑계로 서양 국가들이 이들 국가에 공격할 가능성이 컸다. 이에 따라 1858년 프랑스는 다낭을 공격하고, 1866년에는 광화문으로 진군하는 등, 이 시점부터 두 나라는 천주교 박해를 더욱 강력하고 잔인하게 진행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의 제1장에서는 19세기 초부터 베트남의 교회에서의 역사적, 정치적, 종교적 배경 및 박해의 배경을 조사한다. 특히 1848년 첫 번째 금교령에서 1862년 종교 자유령까지의 기간, 뜨득 황제에 의한 박해 기간에 중점을 둔다. 이 기간은 국내 및 동아시아 지역의 내부 정치 사건들로 특징 지어진다. 국내에서는 뜨득의 형인 홍바오가 왕위를 되찾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것이 대표적이다. 이 사건은 일부 가톨릭 신자의 개입과 협력으로 인해 홍바오의 왕위 탈취를 지원하였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실제로는 몇몇 신자만이 이 사건에 참여하였고, 그들은 가톨릭이나 종교적 목적을 대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인하여 뜨득이 첫 번째 금교령을 발표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에는 뜨득 황제 1858년에 프랑스가 다낭에 진출할 때까지 총 4회의 금교 칙령을 발표하였다. 1848년에 조정의 몇몇 고관들이 가톨릭에 대한 앙갚음을 품고 있었기 때문에 이전 황제들의 금교 정책을 계속하기 위해 황제에게 요청하였다. 왜냐하면 그들의 주장은 유럽의 현재 정세가 불안정하여 가톨릭 신자들을 박해해도 다른 국가의 군사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1851년의 칙령은 홍바오의 반란 실패 후에 발표되었다. 이 음모 반란에 대해 가톨릭 교회는 전혀 관련이 없었으나, 결국 그들은 혼란을 일으킨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비난을 받았다. 조정에서는 회의가 열렸고, 그 회의의 결과로 1851년 3월에 가톨릭을 금지하는 명령이 내려졌다. 1855년의 제3의 칙령은 베트남 해안에서 프랑스 군함의 활동이 중단된 점에 따라서 대신들은 이것이 가톨릭을 소멸시키기에 적절한 계기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뜨득에게 박해 칙령을 내리도록 요청하였다. 1857년의 제4의 칙령은 프랑스 전함이 베트남에 상업을 요구하였으나 거절하고 충돌이 발생한 후에 발표되었다. 뜨득 황제에 의한 제2 단계 박해 기간은 1858년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뜨득 황제가 가능한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 가톨릭을 멸망시키려고 시도한 시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1862년에는 뜨득이 프랑스와 조약을 체결하고 종교 자유 조항을 포함해서 가톨릭 신앙 자유 명령을 발표하였다. 제2장에서는 1866년부터 1873년까지의 조선의 흥선대원군에 의한 박해에 대해 연구한다. 이 기간 동안 러시아는 한국과의 무역 통상을 요구하면서 위협하였고, 흥선대원군은 국내에서 활동하던 선교사들의 도움을 청하였다. 그러나 러시아가 군대를 철수하자 흥선대원군은 마음이 급변하여 1866년 초에 가톨릭을 박해하기 시작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12명의 선교사 중 9명 선교사와 수많은 신자들이 체포되어 사형당하였다. 나머지 3명의 선교사(리델, 페롱, 칼레)는 프랑스를 조선에 개입하여 천주교를 보호하기 요청하였고, 프랑스의 로즈 제독은 자국의 선교사들의 죽음에 보복하기 위해 강화도로 군함을 보내어 조선을 공격하였다. 이 사건은 병인양요라고 불리고 이 사건이야말로 박해의 두 번째 단계를 초래하였다. 다음은 1868년 “덕산 굴총산건” 사건으로, 가톨릭 신자들이 이 사건의 후폭풍을 겪게 되었다. 네 번째 단계는 1871년 미국의 함대가 한국으로 진출한 사건으로, 다시 한번 가톨릭 신자들이 피해를 입게 되었다. 제3장에서는 두 나라의 박해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박해의 시기, 박해자의 정치적 지위, 문헌, 그리고 선교사의 정치적 개입 등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적 정치 배경, 오랜 전통과 문화를 지닌 동아시아 문화, 군주 제도를 가진 계급 사회, 그리고 당시 유럽 강대국들과의 관계에서의 입장을 조명하였다. 그러나 모든 것이 끝나고, 박해 시대에 유사함과 차이가 있던 두 나라의 교회는 많은 순교자들을 배출하면서 동시에 가혹하고도 영광스러운 시기를 겪었다. 이것은 신앙의 동기이자 자부심으로써, 조상들이 피를 흘리며 지켜온 신앙의 유산을 후손들이 계속해서 보존하고 전파하는 데 중요하다. 그러한 과감한 용기, 희생적인 정신은 오늘날의 사회에서도 여전히 필요하다. 역사를 돌아보면 우리 조상들의 용기와 투지를 볼 수 있지만, 동시에 문화, 사상, 정치 역사의 문제에서 수정해야 할 부분들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혜로운 방법을 찾아서 교회나 예수 그리스도를 모르거나 잘못 인식하는 사람들과의 오해를 없애고, 동아시아의 땅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이 더욱 빛나게 해야 한다. 본고는 19세기 베트남과 조선의 박해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하면서 객관적인 관점으로 볼 수 있도록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During the 19th century, both Vietnam and Joseon(Korea) endured some of the most severe persecutions of Catholics in their respective histories. Despite differences in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Catholicism in both countries, they have faced severe persecution from their early encounters with the catholic faith. The 19th century, marked by the reign of Emperor Tu Đuc in Vietnam and the late Joseon Dynasty in Korea, witnessed unique characteristics of persecution compared to their prior periods. The major reason for this shift was political motivation and the West ern expansion into religious grounds in the big stream expansion into East Asia. This trend was evident in both countries. While there were slight discrepancies in the contexts and timings of the persecutions, but, they both notably occurred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Western imperialistic endeavors in Asia. During this period, missionaries from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were active in both countries, with seeking religious freedom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French government. It created a perception that Catholicism aided colonial invasions, had led to misunderstandings about the Catholic Church. Especially in Vietnam, such events stigmatized Catholics with labels suggesting anti-nationalistic tendencies and collaborations with foreign invaders, consequences of which persist to date. This research provides an analytical perspective on the persecutions in historical, political, social, and diplomatic contexts, emphasizing that the persecutions weren't limited to internal national issues.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acquire a broader, diversified, and objective view on the Catholic persecutions in both countries. In the early 19th century, already witnessed Catholic persecutions in both Vietnam and Joseon(Korea), which arose due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domestic Catholic faithfuls, rejection of Western thoughts, and the traditional East Asian religions. Throughout this time, persecutions sometimes intensified or diminished but never ceased entirely. Concurrently, Western imperialistic nations commenced their expansion into Asia, while missionaries from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were active in Vietnam. Thi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Western nations attacking these countries either to protect their Catholic faithfuls and missionaries or using them as a pretext. Consequently, intensified and brutal persecutions were initiated by the governments of both countries from this point, highlighted by France's attack on Da Nang in 1858 and their march to Gwanghwamun in Joeson in 1866. Chapter 1 investigates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religious contexts of the persecutions in Vietnam from the early 19th century, focusing especially on the period between the first prohibition in 1848 and the Religious Freedom Decree in 1862 during Emperor Tu Duc's reign. Chapter 2 delves into the persecutions by Korea's Heungseon Daewongun between 1866 and 1873, detailing events leading up to the French retaliatory attack known as the Byeongin Yangyo. Chapter 3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secutions in both countries, discuss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ersecution perieds, persecutors political status, documentary evidence, and missionaries political involvements. This comparison illuminates the broader historical-political backdrop of East Asia, its deep-rooted traditions and cultures, hierarchical societies under monarchical systems, and relations with then-major European powers. However, after everything ended, the Churches in both countries, despit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uring the persecution era, went through a period that was simultaneously harsh and glorious, produced many martyrs. This, as a motive and a source of pride, is crucial for the future generations to preserve and propagate the legacy of faith that our ancestors protected with their bloods. Such a bold courage and vicartous spirit are still needed in today's society. Looking back the history, we can see the courage and determination of our ancestors, but at the same time, there are aspects in the realms of culture, ideology, and political history that need rectifications. Through this understanding, we must find a wise way to eliminate misunderstandings with those who do not know or have misconceptions about the Church or Jesus Christ, ensuring that the face of Jesus Christ shines brighter in the lands of East Asia. This paper hopes to provide a diverse, rich, and objective perspective on the persecutions in the 19th-century Vietnam and Joseon, offering insights and understanding for its readers.

      • 가톨릭 전례 공간 안에서 이콘 수용에 관한 연구

        조은수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보다 인간적이고 현실적인 표현에 중점을 두는 가톨릭 교회의 전례 공간에, 외적인 표현보다는 내적인 요소를 강조하면서 오랜 전통의 화법을 유지시켜온 이콘을 적용해 봄으로써 가톨릭 전례를 더욱 풍부하게 하는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톨릭 전례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된 구원의 역사가 현재화 되는 장(場)이요, 그 업적에 감사드리는 ‘교회와 하느님의 만남’이라는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정교회 전례는 종말에 다가올 천상 잔치를 이 지상에서 미리 경험하고 의식을 통하여 인간을 성화시키는 측면에 비중을 둔다. 가톨릭 교회의 전례공간은 그리스도의 구원이 현재화되는 성찬례가 이루어지는 제단을 중심으로 사제와 전례 봉사자, 성가대와 회중들이 각자의 직무를 수행하며 긴밀히 연결되어 그리스도와 한 몸을 이루는 ‘하느님 백성의 집’이라는 성격을 갖는다. 이에 비해 지성소, 회중석, 서쪽 현관 등 세 부분으로 나뉘어진 정교회의 전례공간은 각 부분이 의미하는 바를 이콘과 벽화들로 장식하면서 고유한 신학적 도식에 따라 전체적인 건물이 천상의 예루살렘을 상징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가톨릭 교회의 성화상이나 정교회의 이콘이 그 강조점과 특성은 서로 다르지만, 이러한 매개체를 통해 신자들의 신앙교육와 구원의 신비에 더욱 다가서게 한다는 주된 기능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 두 매개체를 서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이콘이 배치된 가톨릭 전례공간을 살펴보면 다섯 성당 모두 제단을 중심으로 이콘들이 장식되어있다. ‘하늘의 문 성당’과 ‘성 바오로 성당’의 제단 위 십자가 이콘은 그리스도가 완성한 구원의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묵상하도록 도와준다. ‘참회와 속죄의 성당’과 ‘성 요셉의 작은 딸 수도회’의 제단화는 종말에 완성될 교회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배치하였다. ‘목5동 성당’, ‘하늘의 문 성당’과 ‘성 바오로 성당’의 제단 장식 이콘은 제단을 더욱 풍부하게 장식하면서도 신자들로 하여금 바로 그 곳에서 거행되고 있는 구원의 신비를 더 깊이 깨닫도록 도와준다. 마지막으로 ‘하늘의 문 성당’ 측랑 벽면의 십자가의 길은 이콘의 기법인 템페라를 이용한 이콘의 현대화를 위한 훌륭한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거룩한 제단에 수용된 이콘들은 작가들의 의도에 따라 그 기능을 훌륭히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각 성당들이 성찬례를 중심으로 전례공간이 구성된다는 전례 원칙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배치된 이콘과 전례공간의 구심점이며 성찬례가 거행되는 제단이 긴밀히 연결됨으로서 더욱 풍부한 효과를 내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전후로 하여 일어나고 있는 ‘교회일치 운동’에도 이러한 이콘의 가톨릭적 수용은 분명 가치있는 일이 될 것이며, 이콘이 가톨릭 전례 공간 안에서 효과적으로 뿌리내리기 위해서 본당 사목자들이나 일반 신자들에게 이콘에 관한 지속적인 교육과 그 안에 담겨있는 의미들과 상징들을 자세히 이해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 아동기 신앙발달을 위한 사목적 방안 연구 : 인천교구 유소년 사목부를 중심으로

        방성수 인천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Today, The education of faith is grew worse from various and serious matter that cause from society and older system for faith education in catholic church. In this time, today critics says that catholic church will face with losing crisis about children who might be a important social group. therefore, Asking what is to disturb communication of catholic church’s doctrine is necessary condition for diagnostic and management this present. In this way, when we realize dangerous element cause from church’s inside to outside for faith education, we are possible to thinking how we can educate catholic church’s doctrine. catholic church can protect immature sense of children’s faith through proper method considering transition of the epoches. eventually, I attempt to searching for solution through social environment and church’s doctrine. this thesis make a study centering around Incheon diocese in the catholic korean church. and I suggested a subject is based on diagnosis of childhood’s pastoral department, and method of activation about childhood’s evanzelization and development of faith that be run into dangerous environment. first, I searched objective data be closely related to changing rate of attendance of church’s school from “Catholic numeral statement” in a soci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roblem of the law childbirth, and decrease of elementary population be brought about change a sense of child value, and insecurity of hire, a heavy burden of bringing-up expenses is primary primitive about decrease of children in Incheon diocese. in addition to them, the increase of time for study, and of emphasis from importance of study for social prosperity is connected stress that bring up child of the parent and study-stress of child, it cause to decrease interaction of parents and children. accordingly, as presupposition to make attendance to them in church’s activation I thought that church’s importance is not devaluated to them in this crisis. but I am known decrement of church’s child that national childbirth rate is not related in Incheon diocese. definitely, decrement of church’s child is found high rate from infant baptism to first holy communion time. this problem is found that church have not only appealed various values church’s own self but they also not appealed to parent and children about necessity take part in church. therefore, I found that this present for faith education is demanded to prevent these problem. that is to say, I realized that resonable education need to them to emphasiz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faith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To fulfilling resonable education need to understand about object of the education on the whole. I considered growth course(about body, emotion, cognition, morality) through a developmental psychology for understand on the whole into chapter 3. In this way, faith-developmental theory of the J.W. fowler that is highly probable with cognition and morality theory. this faith specific of childhood can not simply be comprehended by growth course without thinking about God’s grace and transcendence. however, we can deduce possibility to partial prehension of faith specific about through this faith developmental theory. also, we can deduce educational meaning that educator should be consider this totally developmental course for a understand of the educatee himself. and educator should participate by resonabl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In chapter 4, I studied from purpose that suggesting about future process of the Incheon diocese in Korean catholic church and, analyzed existing tasks of Incheon diocese. concretely, I desire to discover universal merit and grounds of the education works on the basis of catholic church’s document. also, I studied what is contemporary people’s central value and desire, and analyzed threatening element for church in the spirit of times. this traditional and situational elements is established a foothold of theological reflection suggesting future tasks. this process have a purpose to confirm children’s pastoral department in Incheon diocese is accord with traditional elements. in addition to this, I examined closely how children’s pastoral department in Incheon diocese have made a judgement judiciously for education works in the sign of time. In chapter 5, I seek pastoral plan on the basis of this theological analysis and theory of the childhood’s developmental course. concretely, I suggested parent catechisation for solution of family problems, and experience education to lead active participation and, design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psychology consultation for universal faith development and, debate class model for moral development by pastoral plan. In the future, children’s pastoral department in Incheon diocese should encourage participation and agonize with various specialist for this pastoral plan of problems. today, it is clear facts to appear decreasing phenomenon of children in Incheon diocese. this phenomenon press for an answer like continuous change and challenge and clear measure. therefore, active movement is demanded to considering various measure from the children’s pastoral department in Incheon diocese. I finished writing from speaking that foundation of this attempt will be place children with church’s value and, be helped so children walk along the street rightly. 오늘날 아동의 신앙교육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야기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과 교회 내 침체된 교육 시스템과 여건 등 다각적인 부분에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오늘날 평론가들은 특히 교회가 가장 중요한 사회의 그룹이 될 어린이들을 잃어버릴 위기에 놓여 있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무엇이 오늘날 어린이들에게 가톨릭교회 가르침의 전달을 가로막고 있는가?’를 묻는 것은 곧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을 진단하고, 대처하기 위한 필연적인 물음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교회 내․외적인 부분에서 야기되는 신앙교육의 위험인자를 깨닫게 될 때, ‘어떠한 방법으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을 전달할 것인가’하는 방법론적 회의에 도달하게 된다. 변화를 감지한 시대 착안적인 방법론의 구상이야말로 교회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위험 인자들 속에서 아동의 미숙한 신앙 감각(Sensus Fidei)을 보호․발전시킬 줄 수 있는 것이라 생각했다. 따라서 논자는 본고에서 오늘날 교회 내․외적(사회,문화적) 측면과 교도권의 가르침을 토대로 적합한 신앙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본 논문의 부주제인 인천교구 유소년 사목부를 중심으로 한 방법적인 구상이 이루어지게 되며, 유소년 사목부의 현행 과업을 진단하고 아동기의 신앙발달과 복음화를 위한 과제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교회 내 아동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대 한국사회의 동향과 문화를 살피고,『‘가톨릭통계』를 통해 인천교구 내 아동 및 주일학교 참여아동의 변화율에 밀접하게 연관되는 객관적 자료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 결혼 및 자녀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고용 불안정, 자녀 양육비용의 부담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저 출산 가속화 문제와 이에 따른 학령인구의 감소 문제는 교구 내 아동 수 감소원인의 가장 큰 변인임을 살펴보았다. 또한 경쟁 사회 속 사회적 이동상승을 위한 자녀의 학업의 중요성 강조 및 아동의 학업 시간의 증가는 자녀의 학업 스트레스,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로 이어졌으며 이는 곧 부모와 자녀와의 상호작용 감소를 야기하였다. 필자는 이러한 맥락 안에서 교회 내 부모와 아동이 교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전제로서, 사회 문화적 위기 속에서 교회활동의 중요성이 결코 그들에게 평가절하 되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 국가적 출산율 감소와 관계없는 인천교구 내 아동의 이탈율을 발견하였고, 구체적으로 유아 세례 이후에서 첫 영성체를 받는 시점 사이에 아동의 이탈율이 높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탈율 증가의 문제는 적어도 교회가 시대의 흐름 안에서 적합한 방법으로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부모와 아동에게 신앙 교육의 필요성을 피력하고 있지 못하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게 하였다. 따라서 인천교구 내 신앙교육의 현실은 위와 같은 문제의 예방과 방지를 위한 합목적적 변화가 촉구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인천교구 신앙교육의 위기와 변화의 필요성을 발견하면서 아동 신앙교육의 중요성과 신앙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깨달았고 교육을 위해서는 반드시 교육 대상에 대한 전인적 이해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필자는 아동의 전인적 이해를 위한 과정으로 아동기 발달의 총체(신체, 언어, 정서, 인지, 도덕)를 살펴보았다. 이어 3장에서는 J. piajet과 L. kohlberg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J. W. fowler의 신앙발달이론을 살펴보았다. 인지적․도덕적 발달과정에 개연성을 갖고 발달되는 아동기 신앙의 특성은 은총과 초월성을 배제한 채 단순히 아동의 신앙을 발달과정의 평범성에 맞출 수는 없다. 하지만 J. W. fowler의 이론을 통하여 보편적인 아동의 신앙 발달특성이 일정부분 파악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교육자는 아동의 총체적 발달 상태뿐 아니라 신앙의 발달 상태도 두루 살피면서 적합한 내용과 교수법으로 교육에 임해야 한다는 교육적 의의를 도출해 내었다. 4장은 아동기 신앙교육을 위한 인천교구 유소년 사목부의 현행 과업을 분석하고, 향후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학적 성찰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교회문헌들 속 신앙교육에 관한 내용을 토대로 유소년 사목부의 교육사업의 본질적인 근거와 가톨릭 교회교육의 보편적인 가치를 발견하고, 사회․문화․종교적 차원에서 현대인들의 중심적 가치와 욕구, 교회에 대한 시대정신의 위협요소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전통적 요소와 상황적 요소는 유소년 사목부의 향후과제를 제시할 신학적 성찰을 위한 준거가 된다. 전통 충실성 검토에서는 보편교회의 교육정신과 유소년 사목부의 교육정신을 비교해보았다. 만일 인천교구 유소년 사목부가 교회의 전통적 교육 가치를 잘 계승하고 있다면 ‘A(인천교구 교육정신) - B(보편교회의 교육정신)= 0’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점검하였고, 현재 교구차원에서는 아동의 능동적․자발적 참여를 위한 강조점, 내용과 체험의 연결성 대한 강조점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

      • 교구 시노드 문헌 분석을 통한 주일학교 활성화 방안 연구 : 가톨릭청소년성취포상제도를 중심으로

        채수민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is a youth activity program that is actively introduced by various religious communities. The Korean church also operates Sunday School in conjunction with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However, the Incheon Diocese developed and operated a Catholic Youth Achievement Award that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is complemented by Catechesis.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s low due to the lack of activation, so its effectiveness was doubtful.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amine whether the Catholic Youth Achievement Award is a plan to revitalize the Sunday School that implements the catechetical education requested and proposed by the people of God. This study consists four chapter, and the content of each chapter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universal church recognizes youth as the future and the challenged of the church, considers the importance of juvenile catechism education and suggested voluntary activity oriented catechesis. Along with this, Sunday School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Korean church in a form of education in which knowledge and living are harmonious, but it has been adhered to a form of infusion education and confirmed that it is in crisis. In chapter II, The diocesan synod confirms that the whole of God's people finds the problem and seeks an alternative, meaning in terms of mission, fellowship, diagnosis and renewal. Therefore, through the diocesan synod documents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to the existing Sunday schools is analyzed and confirmed the ways of activating the Sunday schools which are presented in common. In chapter Ⅲ, all the dioceses in the South Korea that held the synod, linked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to the Sunday School.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each diocese considered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to be suitable for the synod alternative proposed for the Sunday school revitalization. To confirm this, the similarity between the synod documents and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is examined. As a result, all the ideas except balance are similar, confirming that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is suitable for the alternative of the synod proposed to activate Sunday school.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has excellence of a youth education method in the international as well as the limitations as a method of catechetical edu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Catechesi Tradendae󰡕, whether the alternative of the synod is suitable for the catechesis of the universal church is examined. However, the limit is confirmed that the centered-doctrine education and the life-oriented education method do not harmonize. So, The Catholic Youth Achievement Award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synod and standards of the universal church was considered as a way of activating the Sunday School. And contents, the Principle of Design and verification of effectualness of The Catholic Youth Achievement Award is confirmed. In Section IV, In order that evaluate the value of the Catholic Youth Achievement Award as a way to activate the Sunday School, difference of the Catholic Youth Achievement Award is compared other Achievement Award. And Through the 󰡔General Directory for Catechesis󰡕, it is checked whether it is faithful Fundamental task of catechetical education, Through the 󰡔Ad normam decret󰡕, it is judged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adolescent catechism education, Through the 󰡔Diocesan synod documents󰡕, it is appraised whether it is appropriate a plan to activate Sunday School. Most of the evaluation results are positive, but some weak points are found. In order to supplement these, an alternative is that ‘each proposal’ and ‘the people of God’, based on the spirit of Synod, through constantly interact crossing online and offline, should ‘renew’. As a result, The reasons for lack of activation of the Catholic Youth Achievement Award are not a matter of education methods. Along with the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new catechesis, the matter is the operational problems that the most of education methods were experienced in the early stages of implement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an alternative which is addible and scalable rather than modification to the current program. Although it may not be satisfactory in many ways now. But the future will be bright if all members of the Diocese cooperate.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는 여러 종교계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한 프로그램으로 가톨릭도 주일학교와 연계해 운영했다. 인천교구는 기존 포상제 원리에 교리교육을 보완한 가톨릭청소년성취포상제를 개발해 운영했으나,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저조해 효용성이 의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구 시노드 문헌을 분석해 가톨릭청소년성취포상제가 ‘하느님 백성’이 요청하고 제안하는 교리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구현하는 주일학교 활성화 방안인지 살펴보려 한다. 본 연구는 총 4장이며,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 보편교회가 청소년을 교회의 미래이자 도전으로 바라보며 청소년 교리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해 능동적인 활동 중심 교리교육 방향을 제시했음을 확인했다. 한편 한국교회는 청소년이 그릇된 경쟁사회의 영향으로 교리교육에 무관심하다고 보아 청소년기에 적합한 교리교육 방향을 제시했음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주일학교는 지식과 생활이 조화된 교육형태로 한국교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지만, 주입식 교육형태로 고착되어 위기에 처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Ⅱ장에서 교구 시노드는 하느님 백성 전체가 문제점을 찾고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선교와 친교, 그리고 진단 및 쇄신의 측면에서 의의가 있어, 교구 시노드 문헌을 통해 기존 주일학교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을 분석해 공통으로 제시하는 주일학교의 활성화 방안을 확인했다. Ⅲ장에서 시노드를 개최한 모든 교구가 주일학교 활성화를 위해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를 연계한 사실을 확인하고, 각 교구가 주일학교 활성화를 위해 제시한 시노드 대안에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가 적합하다고 여겼다고 보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노드 문헌과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교육 이념의 유사성을 확인한 결과 균형성을 제외한 모든 이념이 유사해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가 주일학교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시한 시노드의 대안에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의 청소년 교육방법으로서의 우수함과 함께, 교리교육 방법으로서의 한계성도 확인했다. 따라서 󰡔현대의 교리교육󰡕을 통해 시노드의 대안이 보편교회의 교리교육 기준에 적합한지 살펴보았는데, 전통적 교의 중심 교육과 생활 중심 교육방법이 조화를 이루지 못한 한계를 확인했다. 따라서 가톨릭청소년성취포상제를 시노드의 요구와 보편교회의 기준을 충족한 주일학교 활성화 방안으로 보고 그 내용과 설계원리 그리고 효과성 검증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 가톨릭청소년성취포상제가 주일학교 활성화 방안으로 지니는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다른 성취포상제와 비교를 통해 무엇이 다른지, 󰡔교리교육 총지침󰡕을 통해 교리교육 근본과업에 충실한지, 󰡔교리교육 일반지침󰡕을 통해 청소년기 교리교육에 적합한지, 󰡔교구 시노드 문헌󰡕을 통해 주일학교 활성화 방안으로 적절한지 평가했다. 평가결과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나 일부 미흡한 점이 발견되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노드 정신에 따라 ‘각각의 제안’과 ‘하느님의 백성’이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끊임없이 상호작용해 ‘쇄신’할 대안을 제시했다. 연구결과 가톨릭청소년성취포상제의 활성화가 저조한 이유는 교육방법의 문제가 아니었다. 새로운 교리교육에 대한 인지도 및 이해 부족과 함께 대다수 교육방법이 시행 초기에 겪는 운영상 문제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시행 중인 프로그램을 수정하지 않고, 추가로 적용하고 확장 가능한 대안을 제시했다. 비록 지금은 여러 면에서 불만족스러울지 모른다. 하지만 교구 구성원 모두가 힘을 모은다면 그 미래는 밝을 것이다.

      • 21세기 그리스도교 패러다임 : 한스 큉(H. Kung)의 사상을 중심으로

        최현식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스 큉(H. Küng)은 1928년 스위스의 수르제(Sursee)에서 태어나 로마 교황청 설립 그레고리안(Gregorian) 대학에서 철학과 신학 과정을 이수하였고, 1954년 사제로 수품 된 후 파리의 소르본느(Sorbonne) 대학원에서 의화론(義化論)에 관한 신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제2차 바티칸공의회 신학 자문위원으로 활동했고, 교의신학과 교회일치 신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1996년 정년을 맞아 명예교수로 있다. 20세기의 문이 열리면서 가톨릭교회는 이상기류(異常氣流)를 감지할 수 있었다. 다시금 전성기의 중세시대로 돌아가려고 노력 즉 제1차 바티칸공의회 (1869-1870)의 정신이 더 이상 용납되지 않음을 깨달았던 것이다. 더 이상 "교회밖에 구원이 없다"는 논리는 성립 불가능했다. 큉도 여기에 있어 마찬가지 경우다. 그는 고등학교 시절 가톨릭교회의 도그마에 대해 그리고 로마에서의 유학시절 비그리스도인의 구원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고 한다. 이것이 그를 '위험한 신학자'가 되게 한 근원이었다. 한 인간은 시대, 문화 그리고 작게는 가정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주고받는다. 따라서 20세기 중반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물결은 그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이 사상의 특징인 '중심성의 상실, 표준의 해체'는 그를 다원주의적인, 가톨릭교회가 유일한 종교가 아님을 생각하게 했고, '종교 간의 대화'에 관심을 가지게 했다. 한스 큉은 자신의 신학사상을 통해서 주변의 상황 변화에 따라 자신의 관심대상을 확대하고 수많은 저서를 내었다. 그리고 최근에 있어서 유다교와 그리스도교 그리고 이슬람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종교 간의 대화를 위한 활동에 매진하였는데 그 가운데 눈길을 끄는 작품이「그리스도교」(Das Christentum)와「세계윤리구상」(Projekt Weltethos)이다. 즉 전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업적에 대한 믿음으로 역사와 조직신학의 종합을 감행하려는 뜻으로 서술하였고, 후자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깊이 있는 문화적·종교적 사귐이 가능한 세상을 기획하고자 저술하였다. 이 두 작품의 가치는 현재 큉의 관심 대상이 무엇인지를 확연하게 보여주고 있다는데 있다. 그는 우리의 모습 즉 나를 포함하고 있는 가톨릭교회를 먼저 보고, 그 주변 환경 즉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종교들에 대해서 시각을 넓힘으로써 그 동안 진척이 없었던 '종교 간의 대화'와 '하느님께서 만드신 이 세상에서의 평화 에 새로운 물꼬를 트고자 시도하였다 즉 그가 ' . 주장하는 '내적 충실성'과 '외적 개방성'이 바로 여기서 그 출발점을 가지고 있었다. '21세기 그리스도교 패러다임'은 구체적으로 한스 가다머(H. Gadamer)의 지평 융합 이론과 토마스 쿤(T. Kuhn)의 패러다임 이론에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즉 그는 하나의 수용된 모형 또는 유형으로 특정 집단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가치와 기법 등의 구성체이며, 동시에 구체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모델 또는 범례가 되어 정상과학에 남아 있는 퍼즐을 푸는 근거가 되며, 명백한 법칙을 대체할 수 있는 패러다임 개념을 그리스도교의 역사적인 모형과 문제해결의 방법적 도구로 활용했고, 유한한 인간존재의 진리체험과 진리인식의 한정된 범위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전망범위의 확장 가능성을 암묵적으로 나타내는 매우 탄력적인 은유라는 뜻의 지평 개념을 모형 변화와 이에 대한 문제해결의 방법적인 면을 이해하는 지평융합이라는 측면으로 받아들였다. 결국 큉의 여섯 가지 그리스도교 패러다임 즉 원그리스도교의 유다계 묵시문학, 고대 그리스도교의 보편적 헬레니즘, 중세의 로마 가톨릭, 종교개혁의 개신교 복음, 근대의 이성과 진보 그리고 일치 이론은 '역사적 상황과 전통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문화 인류적으로 '지평융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동안 가톨릭교회는 2000년의 긴 역사 속에서 많은 갈등과 모순 그리고 시행착오를 거쳤다. 큉은 이러한 면을 고려하여 그의 저서인「교회란 무엇인가」에서 '참다운 교회'의 특성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즉 순례하는 교회, 신뢰하는, 봉사하는, 죄인들의, 순종하는 교회가 그것이다. 이 다섯 가지는 무엇보다 이 시대 즉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대표되는 종교다원주의시대에 어느 하나 불필요한 요소가 아니다. 현재 큉은 신학자이기 전에 일반 신앙인으로서 예언직의 소명을 다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깊은 내면을 보지 못하고 그를 종교다원주의자로 치부하는 것은 매우 경솔하다. 그의 저서 -「그리스도교」- 에서 분명히 다음과 같은 그리스도교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스도교 역사 안에 덕지덕지 쌓여온 것들을 치워놓는다면 그리스도교의 원천에는 다름 아닌 한 인물이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오로지 이 인물에게서 그리스도교의 항구적 중심을 만날 수 있고, 그리스도교의 본질 물음의 대답을 얻을 수 있다." 그의 심장에는 일반적인 종교다원주의자의 피가 아닌 그리스도 중심의 피가 살아 숨 쉬고 있다. 이로써 그가 자신의 신앙과 학식을 통해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교회의 앞날인 종교다원주의시대에서의 가톨릭교회를 점치고 있음이 자명하다.「그리스도교」(Das Christentum) 와 「세계윤리구상」(Projekt Weltethos) 을 통한 '21세기 그리스도교 패러다임' 이론이 바로 그것이다. Hans Kung was born in 1928, in Sursee, Swiss. He studied philosophy and theology at Gregorian University established by the Vatican. After being ordained as a priest in 1954, Kung obtained his doctoral degree in the theory of Justification at Sorbonne Graduate School in Paris. Kung served as an advisor of theology for the Second Council of Vatican, and worked as a professor in doctrinal theology and Ecumenical Theology. Currently, Kung continues his mission as the chairperson of the Institute of Ecumenical Theology. The first Council of Vatican(1869-1870) was a trial to return to the Medieval Age when church was flourishing the most. As the 20th century began, the church began to realize the trial was in vain. People don't admit the argument of church, "you can't be saved outside church," any more. It was same with Kung. As a high school student, Kung questioned about the dogma of catholic church. When he was studying in Rome, Kung asked about the salvation of non-christians. These searchings imprinted him as a "dangerous theologian." As I will say in the introduction of this thesis, people influence each other personally and culturally living in the same period. Accordingly, the waves of postmodernism critically affected Kung. First of all, the main ideas of postmodernism, "the loss of centeredness," and "disperse of standards" lead Kung to plurally think that catholic church is not the only religion. In result, Kung has become rather separated from catholic church, and he eagerly participated in the conversations with other religions. As written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body, Kung has broadened his horizons according to the changing situations, and produced many writings. Recently, Kung has poured his endeavors on understanding other religions and seeking ways to communicate with them, studying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The most representative writings are Das Christentum(1994) and Projekt Weltethos(1990). The former is written to synthesize systematic theology based on the belief in the personality and of achievements of Jesus. The latter is done to promote a world where people can get together peacefully with different cultures and religions. The value of these two writings is that they show us what Kung is most interested currently. With his main ideas, "internal loyalty" and "external openness" Kung tries to broaden one's perspective, to embrace various religions on earth, and in the long run, to make it possible to "communicate between religions"and to "open the sluice" for peace in the world God created. The subject of this thesis, "the paradigm of 21st century Christianity" is much influenced by "horizon merging theory" of Hans Gadamer, and by "paradigm theory" of Thomas Khun. You can find it in the chapter three and four of the thesis. A paradigm is an accepted model or a pattern which is condensed with beliefs, values, and methods of the members of a society. Kung makes use of the paradigm theory as a tool to explain Christianity in its historical context and to solve problems. Kung also applies the concept of horizon to understand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truth of humans as mortal beings. The concept can also suggest vision and expansible possibility for human beings. To sum up, Kung's six Christian paradigms-- proto-Christian Judaic Apocalyptic literature, universal Hellenism of ancient Christianity, Roman Catholic in Middle Ages, Protestant gospel in the Reformation, Modern reason and progress, and unison-- are merging different horizons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situations and tradition." Through two thousand years of history, the catholic church has undergone many conflicts, contradictions, and trials and errors. With a deep understanding on church, Hans Kung suggests five characteristics of a genuine church in his writing, What is Church? The five characteristics of church are church on its pilgrimage, believing church, serving church, church for sinners, and obeying church. Those five characteristics are equally important in the post-modern period of religious pluralism. Currently, Kung is fully performing his prophetic mission as an ordinary Christian instead of as a theologian. So, it is a very impetuous to judge Kung as a religious pluralist. Kung clearly suggests the mission of Christianity as follows in his book, Das Christentum. "If we remove the layers of dirt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we can surely find that in the very center of Christianity, there resides only one figure. Only through this figure, we can meet the eternal resource of Christianity, and get the essential answers about Christianity." In conclusion, Kung is not a religious pluralist but a genuine Christian. Through his knowledge and belief in Christ, Kung is working as a true apostle of Christ, and one of the outcomes is the paradigm of 21st century Christianity he argued in Das Christentum and Projekt Weltethos.

      • 개항기 제물포 본당 신자들의 생활 : 박순집(베드로)의 인천 이주 후 활동을 중심으로

        유동식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It is thought that checking today, planing future with reminding past is essential things in living life. For that reason, finding root of faith is important because that is finding course of how one’s faith was begun, has been preserved and continued to present state. Korean Catholic church has history started by lay believer’s sweat and brood in 18th century.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Korean Catholic church rooted in this faith could be expected to image that a lay believer’s role becomes highlighted even after persecution period. But, studies about lay believer, unfortunately, seems to insufficient yet. In this thesis, I’ll study about roles of Peter SoonJip-Park and his companies in establishment of Jemulpo parish(Dapdong parish at nowadays), which is first parish in Incheon area. ‘Memoirs of Sr. Francis saverius Hangwol-Park’, published in 2013, contains aspects of author’s father, Soonjip-Park, and Jemulpo parish at the period of opening port. In this thesis, I tried to studying about role of Soonjip-Park as president in establishment of Jemulpo parish at that time, and lifes of lay believers, based on this memoirs and letters of Paris missionaries society. In chapter 1, I tried to focus on changes in Jemulpo at the period of opening port. situation of Chosun in before and after at the period of opening port, changes of Jemulpo because of opening port, contents and course of contracting the Chosun-France Intercourse Treaty which influenced faith life much. Throughout this works, I could surveyed changes with opening port season and situations at that time. In chapter 2, I attempted to survey situations of that times concentrated on establishment of Jemulpo parish and lifes of lay believers. In chatper 3, however, I focused on activities of Soonjip-Park’s in Incheon. Based on ‘Memoirs of Sr. Francis saverius Hangwol-Park’, ‘Letters of missionaries’, ‘Collection of Chosun church customs’, I surveyed life of Soonjip-Park, his household and lay believer’s life in Jemulpo.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opening port area influenced Koreans at that times including the faith who were native and immigrated very much, Particularly, and made them more poorly and difficultly. Because foreigners had entered and immigrated by opening port, city was expanded gradually and native Koreans were pushed out to outside area while was deprived theirs residential sites. On the other hand, for this people,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opening port area, Jemulpo, made possible more abundant faith life and sacrament living. Many missionary projects helped people in hurt and hardness it might be. In this age, Soonjip-Park lived his faith life with zeal while conducting his president duties. He searched the faith and took care them, and aided funeral of the death. Soonjip-Park became footstone in developing and leading the Jemulpo parish community in hard and confused environment. Specially, at the early days in establishment of Jemulpo parish when missionaries had changed frequently, helping missionaries, he became model to lay believers and be faithful in president role as a bridge between lay believers and missionaries. Not only missionaries but also lay believers in Chosun had made efforts for growth of community and one’s faith. Nowadays, church arrives to this position because of many peoples’s efforts like these people. Therefore, I want that roles, which is efforts for the church, of lay believers who is constitution of church in Korea church history, would be studied continually. 역사를 돌아보며, 오늘을 점검하고 미래를 계획하는 것은 인간이 살아감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신앙의 뿌리를 찾는 일은 중요하다. 자신이 가진 신앙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보존되어 왔는지, 또 어떻게 이어져 현재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찾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한국 천주교회는 18세기 말 평신도의 피와 땀으로 시작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신앙의 뿌리를 둔 한국교회는 박해 시기가 끝난 이후에도 평신도들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러한 평신도들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미흡하게 느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인천 지역의 첫 본당인 제물포 본당(현 답동 주교좌 성당)의 설립 과정에서 박순집을 비롯한 평신도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13년 출판된 『박황월(프란치스코 사베리오) 수녀 회고록』에서 자신의 아버지 박순집과 개항기 제물포 본당의 모습에 대한 언급을 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회고록과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의 서한문을 토대로 하여 당시 제물포 본당의 설립과정에서 회장으로서 박순집의 역할과 신자들의 생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개항을 중심으로 하여 제물포에 생긴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하였다. 개항 전후 조선교회의 정세, 개항으로 인한 제물포의 변화와 신앙생활의 큰 영향을 준 조불수호통상조약 체결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개항과 함께 제물포에 찾아온 변화와 상황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2장에서는 제물포 본당의 설립과 평신도의 생활에 초점을 맞추어 당시 상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물포 본당의 설립과 성장, 그 안에서 신자들의 역할과 관련된 사건들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박순집(베드로)의 인천에서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박황월 수녀 회고록』과 『선교사 서한문』, 『조선교회 관례집』을 토대로 하여 제물포에서의 박순집과 그 집안, 그리고 신자들의 생활을 알아보았다. 개항지 제물포의 변화와 발전은 당시 그 곳에 살고 있던 그리고 이주하여 살고 있던 천주교 신자들을 비롯한 조선인들의 삶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그들의 삶을 더욱 가난하게 만들었고 어렵게 만들었다. 외국인들이 많이 들어와 거주하게 되면서 도시가 점차 팽창하게 되었고 조선인들은 점점 외곽으로 밀려나면서 자신의 삶의 터전을 빼앗기게 되었다. 이들에게 제물포 본당의 설립은 개항기 제물포 신자들에게 더 풍성한 성사생활과 신앙생활을 가능하도록 해 주었다. 여러 선교사업은 어렵고 아파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다. 이 시기 박순집은 열성적으로 자신의 회장직을 수행하며 신앙생활을 했다. 신자들을 찾아다니며 가르치고 돌보았으며, 죽은 이들의 장례를 도왔다. 박순집은 힘들고 혼란한 환경 안에서 설립된 제물포 본당 공동체를 이끌고 발전시키는 데에 초석이 되었다. 특히 제물포 본당 설립초기 선교사들이 자주 바뀌는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선교사들을 도우며 신자들에겐 모범이 되고 신자들과 선교사들을 이어주는 다리로서의 회장의 역할에 충실하였다. 선교사들뿐만 아니라 조선인 신자들도 새롭게 주어진 환경 속에서 교회 공동체의 성장을 위해, 자신의 신앙을 위해 노력해왔다. 오늘날 교회는 이러한 많은 이들의 노력으로 지금 이 자리에 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계속해서 교회의 구성원인 평신도들이 한국 천주교회사 안에서 교회를 위해 노력한 역할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가톨릭 교회 전례에서의 오르간 음악의 역할과 위상 : 한국 교회를 중심으로

        지병찬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liturgy is the mystery of Christ and also public respect accomplished by the church, the people of God. It is the prayer of Christ and the church and the paramount of prayer revealed by the acts of people. Through the history of church, sacred music has added its holy, glorious and brilliant color in the liturgy as prayer. Thus, <Sacrosanctum Concilium> (The encyclical about liturgy in Catholic church) says that among so many kinds of arts as ways we give God praise, music is the most superior one. In Catholic church, Pipe Organ is defined as official musical instrument for liturgical music. <Sacrosanctum Concilium> promulgated by the 2nd Vatican Council proclaims that pipe organ needs to be esteemed as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in Latin church (Nr.120). Also, it says that the sound of pipe organ can add brilliant color and exalt our faith towards God. In fact, the beautiful and opulent sound of pipe organ has great value as for art. Also, it has affirmative effects that enhance the mind of people purified by beauty. More than 20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atholic faith flowed into Korea and the situation of economy made good progress. However, the status of pipe organ, the official musical instrument of the liturgy in Catholic church is still lack of understanding and ill-informed. Even though the sacred music is not the essence of liturgy, the faith of people will be elevated higher. When the pipe organ which is the pivot of sacred music gets better understanding, the liturgy of Korean Catholic church will have enter on a new phase. It is the reason that this thesis has the theme of the function and prospect of pipe organ music in the liturgy of Catholic church in Korea. In chapter 1,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faith is referred by studying the basis of liturgical music in Bible. The process and history of liturgical music in the history of church helps us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principle that pipe organ was appreciated as the official musical instrument in the liturgy of Catholic church. In chapter 2, the process that organ was flowed into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is mentioned. Also, we will have the chance of understanding the most effective way that pipe organ is used. Even though the style of accompaniment and color-tone depend on organists and some difference will happen by the place and liturgical year, in this thesis, I tried to inform the most general kinds. In chapter 3, the situation of hoding pipe organs in Korea is informed so that it helps us apprehend the phase of pipe organ in Catholic church in Korea. Finally, the role and duty of organists as the holy servants of liturgy and the circumstances and problems around them will be introduced so that it will give us the chance tothink out the best measure that liturgy can be sublimed into the gift fot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