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융합의 관점으로 바라본 예술 음악의 대중성에 대하여

        오영경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8 음악예술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융합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예술 음악이 가질 수 있는 대 중성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로, 윌슨(Edward Osborne Wilson)의 ‘통섭 (consilience)’ 이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융합이 사회 전반적으로 일반화 된 상황에서 순수예술 음악이 어떻게 대중성을 가지게 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에 따른 부가가치를 발견하는데 초점을 둔다. 예술 음악을 대상으로 한 선 행 연구는 클래식 음악회의 대중화 방안이나 특정 예술 상품의 대중성과 예술성을 측정하는 데에 국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예술 음악에 관한 객관적 지표의 부족함으로 인해 통섭 이론을 기반으로 시장 변화에 따른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선행 연구 자료들을 인용하였다. 실제 사례를 살펴본 결과, 융합은 사회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단순히 예술 장르끼리의 융합을 넘어 이제는 장르와 장르를 해체하고 통합 하여 제 3의 문화가 탄생하는 흐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대중적이고 산업적인 음악이 가지던 위치는 변화되고 예술 음악이 가질 수 있는 상업적인 부분이 확대될 것이며 그에 따른 문화산업적인 부가가치도 점차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섭을 이용한 분석은 후에 예술 음악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문화에 대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변화되는 문화산업 속 예술 음악 시장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만들어 질 수 있을 때에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유사한 주제의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research to discuss a popularity and direction of artistic music based on consilience. Based on theory of consilience by Edward Osborne Wilson, the study looks into how artistic music became popular in cultural society where consilience has been generalized and finds out related added-value. Most of previous studies on artistic music, except for those about public music, were mainly about the ways to improve popularity of classic concerts or about measuring popularity and artistic values of certain artistic music.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d on practical examples of the changes of market structure based on consilience, and due to the lack of objective related-indicators, this study referred to any relevant researches that had been carried out in advance. This study figured out that the music, more over art, should overcome crossover between genres as consilience generally appears in the society. The emergence of new type of culture in inevitable, dissolving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genres and combining them. This may result in replacement of an existing commercial music, extension of artistic music and increasing of added value in cultural industry. The analysis using theory of consilience will be used for not only artistic music but also for the general culture, and can be widely used for preparing objective statistical indication references on developing artistic music market. Add to that, as a researcher, any follow-up researches on similar topics would be highly welcomed.

      •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연주회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고찰 -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이주혜,김민주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7 음악예술연구 Vol.7 No.1

        This article focuses on the growth of [The Pianissimo-The Musical Arts Association, The PP-MAA] and understands the domestic trends of chamber music concerts through investigating the 38 concerts composed of 306 musical pieces given by [The PP-MAA] from 2005 to 2016. During the period, [The PP-MAA] held 95% of the concerts under a certain subject and average 6.6 times per year since 2012, when the number of the concerts was sharply increased. It prefers vacation season, even number months, weekends, and evening for a concert. The number of stages is gradually, but that of performers are rapidly increased. The Romantic and Contemporary repertoires account for 91% of the entire program and the result look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piano ensemble. Performers favor program music, duo, and piano ensemble. 10% of world premiere pieces, 45% of arranged pieces, and 17% of Korean composers' works are contained in the whole programs. 164 single performers participated in the concerts, of which 59% played more than twice. Among the performers, 73% are in piano major, 76% are doctors, doctoral candidates, and Konzertexamen, 95% studied abroad in 12 countries and earned bachelor's degree or more. [The PP-MAA] held 61% of the concerts at Seoul Arts Center and 90% in Korea. The trend of [The PP-MAA]'s piano ensemble repertoire is similar to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The PP-MA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chamber music in Korea for last 12 years with the increase of the yearly number of concerts and performers, the expansion of repertoire by commission, new arrangement, and Korean composers, the group of outstanding performers, and holding most concerts at the best concert halls in South Korea. For the pursuing aim and ideology of the associ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P-MAA] to be exposed more at international arena. 본 연구는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의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총 38회, 306곡에 달하는 12년간의 연주회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학회의 성장과정을 조명해보고, 연주활동 현황 및 국내 실내악 음악회의 연주 동향을 파악하였다. 공연 구성에 있어 95%를 특정 주제를 가지고 개최하였으며, 공연 횟수는 2012년부터 급격히 늘어 연평균 6.6회의 연주회를 열었다. 개최시기는 방학 기간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짝수 달, 주말, 저녁시간의 비중이 높았다. 전체 공연의 무대 구성의 수는 평균 6.7개, 출연한 연주자 수는 평균 14.1명이나 2012년부터 급격히 증가 추세를 보여 2016년 공연의 평균 연주자 수는 21.3명에 달하였다. 사회자는 음악에 대해 전문 지식을 가진 음악가가 사회 진행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연주곡의 경우 3번 이상 연주된 곡들에서는 낭만시대 작품이, 전체 프로그램에서는 현대 작품이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 낭만/현대 작품이 전체의 91%에 해당하는 결과를 보이는데 이는 피아노 앙상블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주곡의 장르는 표제음악을 선호하며 연주 편성은 인원별로 2중주>4중주>3중주의 순서로, 매체별로는 피아노 앙상블>실내악>성악>국악이다. 세계초연곡이 전체의 10%, 편곡 작품이 45%, 한국 작/편곡자의 작품이 17%를 차지한다. 출연한 연주자 수는 538명, 중복 인원을 제외하면 164 명이고 2회 이상 출연한 연주자가 59%이다. 연주자의 전공은 피아노가 73%, 이후로 바이올린, 첼로, 성악이 뒤따르며 이들의 학위 수준은 모두 석사 및 전문사 이상으로 박사, 박사 수료, 최고연주자의 경우가 76%이며 한국을 제외한 12개국에서 학사 이상의 학위를 받은 연주자가 95%이다. 공연 장소는 예술의전당에서 61%로 가장 많이 공연하였고 한국에서의 공연이 90%이다. 피아노 앙상블만 따로 비교 분석한 부분에 있어 결과는 선행논문의 결과와 비슷하였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는 연주 횟수와 연주자 수의 증가, 창작곡과 한국 작/편곡자 작품의 초연과 재연을 통한 레퍼토리 확장, 우수한 인재들의 모임, 국내 최고의 연주장에서의 높은 공연 비율 등으로 대한민국 실내악 장르의 발달과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앞으로도 지금까지 추구해온 목표와 이념에 걸맞게 국제적인 활동의 영역을 넓힐 것을 제안한다.

      • 미국 공립학교 음악 교육의 새 방향성에 대한 고찰 : 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현대음악 교육

        윤은혜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5 음악예술연구 Vol.5 No.1

        본 논문은 현재 미국 공립학교 음악 교육의 열악한 상황 때문에 생긴 음 악 교육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들과, 이런 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해 자발적 으로 생겨난 협력 교육 프로그램 (partnership program) 이 제시하고 있 는 현대음악을 통한 새로운 교육 방법을 관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새로 작곡되는 현대 음악들의 소리와 박자의 구성은 대중들에게는 종종 이해가 어려운 음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학교 음악 프로그램에서도 현대음악 에 대한 교육은 활발하지 않았었다. 2001년 미국에서 발표된 새 교육제도 의 영향으로 공립학교의 음악교육 과목이 점점 줄어들게 된 이후로 학생들 이 음악을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더욱 낮아지게 되었으며 그로인해 학 생들은 현대음악에 대해 더욱 어려워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현대음악을 전문으로 연주하는 음악인들은 앞으로 그들의 음악을 이해하고 들어줄 대 중이 대폭 줄어들 것을 인지하고 전문 연주 단체들을 중심으로 협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 하단에는 New York과 Chicago의 공립학교들과 협력 교육을 활발히 하고 있는 International Contemporary Ensemble (ICE)의 교육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ICE가 추구하는 현대 음악을 통한 음악교육이 미국의 공립학교와의 협력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지도 되고 있는지에 대해 나눈 얘기를 소개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raises the issue of music education within the American system of public education. Music and art programs in many public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o Child Left Behind educational policy in 2001. Compounding the problem of classical music's lackluster appeal to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 particular, young students, is the lack of opportunity to study the discipline through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Because of this, the genre is foreign to most young people; putting profess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s especially those that specializing in modern music and independent musicians in danger of losing their audience. In the article, the author makes the case for robust partnership programs between underfunded public schools and professional modern music organization. This study urges professional musicians and performing organizations to seriously consider employing this fresh, innovative model of music education. By doing so, they will not only strengthen music programs in public schools but also secure future generations of enthusiastic audience members to preserve the genre of modern classical music.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w approach to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autho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Dr. Jacob Greenberg, a director of education in International Contemporary Ensemble (ICE).

      • 음악과 의식 변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소리의 크기(Loudness) 와 정서변화를 중심으로

        마준호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7 음악예술연구 Vol.7 No.2

        본 논문은 음악과 의식에 변성의 관계에서 소리의 크기(loudness)와 정서의 변화에 초점을 둔 연구이다. 음악과 의식의 변성(trance)은 다각도로 해석되었고 이 둘의 관계는 다양한 요인을 바탕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음악의 크기를 요인으로 본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그 동안 많은 청취 실험, 음악 치료 등 관련 분야에서도 이의 중요성은 간과되었다. 이에 음악과 의식 변성의 관계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관련 분야에 음악의 크기에 대한 보편적인 기준점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에 나타나는 음악과 의식 변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각적인 고찰을 한 뒤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성인 159명의 예술계 종사자와 학생들을 약 30명씩 다섯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마다 55dB, 65dB, 75dB, 85dB, 95dB 크기의 글래스 아르모니카 음악을 들려주었다. 시각비유척도(VAS)을 통해 정서의 즉각적인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정서 변화를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피실험자들의 성별과 몰입력(TAS-K)에 따른 정서 변화의 분석을 더 하였다. 실험 결과 음악의 크기에 따라 피실험자의 정서 변화는 65dB과 85dB 크기의 음악에서 우울 정서가, 75dB에서는 편안의 정서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추가 분석에서 정서변화에 피실험자들의 성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몰입력은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95dB 크기의 음악에서는 즐거움의 정서가, 85dB에서는 편안, 이완 정서가 피실험자들의 몰입력과 비례함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discussed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rance, focusing on loudness and emotional change. Music and trance has been interpreted by numerous methods and factors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loudness of music as one of factors, had been insufficient and under-estimated by music related experiments, therapies and etc. Therefore, this study gives new suggestions to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rance as well as guide line for other related music fields. After examining over multilateral preceding studies, the experiment had been proceeded. 159 adults of music professionals and students were set to 5 groups and each group listened 55dB, 65dB, 75dB, 85dB, 95dB of music of glass armonica. As music’s loudness had been set to be moderating variable, VAS and TAS-K were used to examine subject’s emotional change and absorption scale. As a result, music’s loudness had difference influences on emotional change of subjects. At 65dB and 85dB, sadness emotion has been increased, while relaxing emotion has been increased at 75dB. Subject’s gender and absorption level were considered for deeper analysis. As a result, music’s loudness had influence over emotional change, not affecting by gender, but differing by subject’s absorption level. At 95dB, absorption and happy emotion had a proportion relationship. At 85dB, comfort and relax emotion had proportion relation with absorption level.

      • 전문직업적 정체성, 자기효능감이 음악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최상기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8 음악예술연구 Vol.8 No.2

        본 논문은 음악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과 자기효 능감(self-efficacy)이 음악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 이다. 인간이 존재에 대한 고민을 시작한 이래로 현재까지도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논의되고 있는 행복에 대한 고민은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의 발달과 함께 일반인들에게도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하 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음악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찾아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음악인의 행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음악인이 가지는 다양한 특성 중 그들이 전문가라는 특성에 집중하여 음악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이 음악인의 행 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인, 전문직업적 정체성, 자기효능감, 그리고 행복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변인들 간에 서로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고찰한 후 143명의 음악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다른 직업군들을 대 상으로 한 선행연구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효능감과 행복(주관적 안녕감) 수준 역시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음악인의 행복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음악인의 행복 간에도 유의미한 정 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악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과 자기효능감은 음악인의 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은 음악인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설 명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논문의 결과는 앞으로 수행될 음 악인의 행복에 관한 다양한 연구의 선행 자료로서 가치를 가질 것이며, 지 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잘 시도되지 않았던 음악인의 행복이라는 주제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of musicians affect their personal happiness. happiness and how to achieve happiness has been an important question to mankind since the birth of metaphysics. With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y, the general public has also taken an interest in the seeking of happiness. Despite the increase in interest in happiness, not many papers focus on the happiness of musicians. Therefor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happiness of musicians, specifically on the fact that professional nature of musicians and how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affects their happiness. After reviewing past studies on mu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self-efficacy, and happiness, this paper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conducted a survey. The survey was targeted toward 143 musicians and was conducted onlin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compared to past studies on other occupations, musicians scored highly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levels of self-efficacy and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were also favorable. Second, both happiness and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and happiness showed to have a static relation. Lastly, both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show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appiness, showing that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having explanation power on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valued as it is focused on the happiness of musicians, a subject ignored in the past in Korea and will stand as preliminary data for various future studies on happiness of musicians.

      • 휴고 디슬러(Hugo Distler, 1908-1942)의 코랄 모음곡 Op. 8-3: 모음곡의 배경과 특징, 디슬러 음악의 역사적 위치

        소정화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4 음악예술연구 Vol.4 No.2

        20세기에 짧은 생을 살다간 휴고 디슬러(Hugo Distler, 1908-1942)의 코랄 모음곡 Op. 8-3을 통하여 모음곡의 배경과 용도, 그리고 그의 음악 적 경향을 살펴봄으로서, 작곡자와 그의 음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사상적으로는 루터교의 음악적 상징주의를 기반으로, 바로크 이전시 대의 음악적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그의 음악적 언어는 현대적이며 독창 적이다. 그가 사용한 음악적 형식은 주로 르네상스와 초기 바로크에서 보 이는 파르티타, 비치니움, 리체르카, 그리고 전원곡(pastoral)과 같은 형식 을 취하고 있고, 음악적 구조 역시 독립된 선율들의 대위적 짜임새와 더불 어, 디슬러의 독창적인 음악적 언어를 보이고 있다. 즉, 미분화된 리듬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오르간의 음색을 독특하게 사용하며, 정선율에서 새 소리를 모방하는 선율, 리듬적 특징을 보인다. 루터교 음악가로서 중요하게 간주되었던 요소는 음악적 상징주의인데, 이는 가사의 의미를 음형, 선율, 리듬 등의 음악적 요소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디슬러는 쉼 표, 넓은 도약에 의한 특징적인 음형, 오르간의 음색 등을 통해 이러한 가 사에 대한 음악적 상징을 표현했다. 이러한 그의 음악은 철저히 루터교의 음악적 사상에 입각하여 작곡됨으로서 초기 바로크 작곡가 사무엘 샤이트의 음악적 이상을 추구하고 있다. 코랄 모음곡을 통하여 살펴본 디슬러의 음악적 특징 및 역사적 성취는 세 가지로 요약 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르네상스 음향의 구현, 두 번째는 전통적 형식에 덧입혀진 개인적 음악언어에 의한 독창성, 세 번째는 샤이트의 음악적 이상을 추구함으로서 이룩한교회음악의 개혁이 바로 그것이다. 본 논문은 디슬러의 짧은 코랄 모음곡을 통하여, 그의 음악뿐만 아니라 작품의 배경 그리고 작곡자 자신의 음악세계를 논의함으로서 잘 알려지지 않고, 자료가 부족한 디슬러와 그의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20th century, German organist, Hugo Distler(1908- 1942)'s music is known of Neo-Baroquecism in that his musical derived from the Renaissance and early Baroque periods', which are partita, ricercar, bicinium, and pastorale. In this, his musical language is modern and personal. His melody imitate often bird song by dividing rhythm into small note-value and decoration. His music, like other Lutheran musician‘s in Germany, is based on Lutheran philosophy that music should be a instrument for delivering theology. Based on this idea, Distler suggested his unique musical-language with the traditional musical form. Through these musical features, it could be said for his contribution to the musical history that Distler realized Renaissance-sound through organ, and achieved the musical uniqueness by his musical language in the history of church music.

      • 고령화 시대에 따른 노인사회음악교육 현황 및 전망: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노단비,함인아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8 음악예술연구 Vol.8 No.1

        고령화 시대는 전 세계가 겪고 있는 사회 환경 변화이며 이에 따라 노년 평생교육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에 대한 연구 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의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공공복지 기관 및 시설, 민간시설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정부 산하 문 화예술 관련 기관에서도 정책적으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는 대전 지역의 노인복지관, 노인요양원, 노인생활음악단체, 공공문화기관 에서 운영되고 있는 노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종류와 실태를 조사하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조사하기 위 해 노인복지관 및 공공문화기관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였고, 보충 자료를 위 한 전화 및 방문문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도움을 받고자 현재 노인문 화복지기관 사회복지사 전문가와의 인터뷰와 사회음악교육 관련 프로그램 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어르신들과의 인터뷰도 함께 진행하였다. 연구 결 과는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째, 노인들이 가장 많이 참여하는 프로그램 은 노래와 악기 배우기 프로그램이다.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노인들의 참 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악보 읽기와 같은 적극적인 노인음악교육이 이루 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노인문화예술교육이 노인문화복지의 개념으로 확장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 By the age of ag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increasing. Social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run by public welfare organizations and private institutions in various ways. These kinds of business as a policy are also operated in relation with elder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under the government, which could be called the culture welfare in this study. The culture welfare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examined through seniors welfare center, elderly nursing homes, music institutions for elderly people, and public culture institutions. Phone surveys, face-to-face interviews, and visiting researches are done in over 30 institutions of Daejeon area. Findings are follows. First, many elderly people participate in music program of singing or playing any instruments through senior welfare centers and public culture organizations. Therefore the instruments classes and singing classes are the most favored in elderly welfare centers and public culture organizations. Second, elderly people who are educated in elderly welfare centers and public culture organizations are very interested in learning and practicing for the advanced level. The elderly are eager to participate in playing instruments actively in music communities. To activate social activities in music fields, organized and systematic music education such as reading music should be included in music program center for elderly people. Third, although most of culture welfare programs are run with little or a little expense, continuous economic support by government is also required.

      • 음악의 공간성, 공간의 음악성

        이주혜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8 음악예술연구 Vol.8 No.1

        음악의 공간성은 음악이 주체가 되어 음악의 필요에 따라 특정 공간이 가진 소리로 그 공간을 표현하는 것이고, 공간의 음악성은 공간이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음악에 역할을 부여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의 음악성은 음악 외의 목적에 따라 만들어진 음악을 의미하는 ‘실용음악’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 음악과 공간이 서로의 필요에 따라 어떠한 음악적 특징을 가지게 되는지, 그리고 그러한 음악의 예를 통해 음악과 공간의 긴밀한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The spatiality of music is to describe the space with the sound of the specific space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music, and the musicality of the space can be classified as giving the role to the music according to the purpose pursued by the space. Here, the musicality of the space also has the character of 'practical music' which means music made according to purpose other than music. I will examine what kind of musical features music and space have according to each other's needs, and how music and space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 examples of such music.

      • A STUDY ON THE MUSICAL APPLICATIONS OF MAGIC SQUARES AND GOLDEN SECTION PROPORTIONS

        Jee-Ean Kim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3 음악예술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대 수학적 개념인 마방진(magic square)이나 황금분할 비율(golden section proportions) 같은 수학적 원리들이 현대 음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 예술음악은 과거로부터 여러 영향을 받으며 통합되기도 하고 분화되기도 해 왔다. 특히 작곡가들이 그들의 창의적인 작품 활동을 위한 원천으로서 과거에 사용되던 수학적인 아이디어들을 이용한 작곡 절차에 몰두해왔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그 중에서도 난해한 형식적 구조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 마방진(魔方陣) 이나 황금분할비율(黃金分割比率) 같은 수학적 원리를 그들의 예술창작의 전개에 사용해 온 방식들은 이러한 양상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마방진은 중국 수학자들에게 이미 알려져 있던 것으로 BC 65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 무려 4,120년 이상을 존재해 왔다. 황금분할비율(golden section ratio) 또한 각양의 관심을 가진 서양 지식인들에게 적어도 2,400년 동안 매혹의 대상이 되어왔다. 적어도 르네상스 시대부터 각 분야의 예술가들과 건축가들이 그들의 작품을 황금분할 비율에 의해 비례해 왔고 분할해 왔다. 이 비율은 그들에게 심미적인 만족을 주는 것으로 믿어 왔다. 마찬가지로 마방진도 수 세기에 걸쳐 인류에게 매혹의 대상이 되어왔다.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Sir Peter Maxwell Davies b. 1934)는 마방진(魔方陣)을 그의 음악적 재료에 있어서 구조적인 결정 요인의 근원으로 사용한 작곡가로 알려져 있고, 잭 브라우닝(Zack Browning, b. 1953) 또한 마방진과 황금분할 비율 등을 사용한 고도의 음악 예술적 전개과정을 대중문화의 미(美)를 가미하여 이끌어 낸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대 수학적 개념을 음악에 적용한 방식이 데이비스에 의해서 현대 음악으로 전환된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잘 알려진 브라우닝의 음악을 그 예로 설명하고 이러한 형태가 서양의 대중음악의 영향을 받은 음악적 패턴들과 어떻게 병합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sers drawn upon compositional procedures of the past mathematical ideas as a resource for their creative process. Using compositional methods such as magic square and golden section proportions, derived from abstruse formal structures, stand at the forefront of the style. Magic squares were known to Chinese mathematicians, as early as 650 BC and have been around for over 4,120 years. Also the golden section ratio fascinated Western intellectuals of diverse interests for at least 2,400 years. At least since the Renaissance, many artists and architects have proportioned their works to approximate the golden section ratio - believing this proportion to be aesthetically pleasing. Peter Maxwell Davies (b. 1934) is known for his use of magic squares as a source of musical materials and as a structural determinant and Zack Browning (b. 1953) is known for his bringing together the procedures of high musical art such as magic squares and golden section proportions with the taste of popular culture. Not much has been written about music compositions that incorporate magic squares as compositional models and these works remain largely inaccessible. This research examines the use of a compositional system that is based on the structural application from remote ages' mathematical concepts to contemporary musical form and how that form incorporates patterns influenced by Western popular music.

      • 음악의 가치와 교육적 방향에 관한 소고

        박영현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8 음악예술연구 Vol.8 No.2

        As music education focusing on the value and roles of music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revised extensively to apply and realize it to school classes.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awareness on the value of music has not been raised and music education recognizing the value of music and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have been overlooked as music education has fallen behind other subjects when it comes to educational competition for university entrance. This thesis first reconsiders the value and necessity of music and demonstrates a variety of roles and functions of music to contemplate the essence of music with regard to the current situation. By studying a range of roles and the nature of music from their origin and concept and classifying them into an artistic aspect, a social aspect, and a cultural aspect, the thesis is aimed at rediscovering the value of music and reviewing the idea of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thereb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The artistic value of music profoundly influences consciousness, spirit, and soul of human beings and helps them create harmony and balance between rationality and emotion and expand philosophical thinking.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music expresses how music has reflected the life of human beings and has enabled them to perceive the world around us as it is. For that reason, music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historical movement and has been functioning as a role of communication channel raising social interaction, a role of reinforcing social solidarity, and a role of strengthening its synergistic effects with other types of art. In addition, music can help to share positive values rapidly in a social community and can be used asa symbol representing a nation. The purpose of public education lies in self-realization, understanding on others, and cooperation with others as well as cultivation of attributes to be democratic citizens. Music education helps students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self-reflection and is necessary for seeking education to enhance emphatic abilities and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education for improving emotion and social interaction. Furthermore, music education is one of the required subjects in public school as civic education. Therefore, music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al method for improving personal growth and maturity as well as for fostering citizen as a member of the social community and the nation based on these values. 음악의 가치와 역할을 강조한 음악교육은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대대 적으로 개정되어 학교 수업에서 학습하고 실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 만 음악과목이 대학입시 경쟁교육에서 밀려나게 되어 음악교육에서 음악의 가치는 등한시 되고 음악의 가치 실현 교육과 음악 교육의 당위성은 간과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본질을 고찰하기 위하여 음악의 필요성과 가치를 재고하고 음악의 여러 역할과 기능들을 살펴보았 다. 연구의 내용에서 음악의 다양한 역할과 본질을 어원과 개념부터 살펴 보고, 예술적ᆞ사회적ᆞ문화적으로 나눠 살펴봄으로써 음악의 가치를 다시 금 발견하여 음악 교육의 중요성과 당위성에 대해 재고하고, 그에 따른 음 악교육의 방향을 고찰해 보았다. 음악의 예술적 가치는 사람의 의식, 정신, 영혼에 깊은 영향을 주는 것으 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이성과 감정의 조화와 균형을 이끌어 내며, 철학적 과정을 실현하는데 도움을 준다. 음악의 사회적ᆞ문화적 가치는 음악이 인 간의 삶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세계를 있는 그대로 직면하게 한다. 그리하 여 음악은 역사에 따라 변화되어 온 것으로서 음악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소통의 기능을 하고, 사회적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며, 호소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음악은 사회 공동체 안에서 긍정적 가치를 빠르게 공유시키며, 국가를 대표하는 상징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학교 교육의 목적은 자아실현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협동, 그리고 나아 가서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데에 있으며, 음악교육은 자아 성찰과 반성을 통한 자아실현을 이끌어 낼 뿐만 아니라, 감정교육과 사회 적 상호작용 등, 공감과 소통의 교육에도 꼭 필요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 다. 또 더 나아가 음악 교육은 시민교육으로서 공교육에서 필수적으로 이 루어져야 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악교육은 이러한 가치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성장과 성숙,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사회 공동체와 국가의 한 일원으로서의 시민 성장을 위한 교육 방안으로 그 역할을 다해 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