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율곡 몸공부법의 교육적 재음미 -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장(立志章)>과 <지신장(持身章)>을 중심으로 -

        서명석 ( Seo Myoungseok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율곡은 그이 나이 42세인 1577년 어린 아이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교재로 『격몽요결(擊蒙要訣)』이라는 책을 편찬했다. 율곡은 그가 그리려는 성학(聖學)을 구현하는 실제적인 설계도를 이 책안에 구상해 두었다. 이 책 안에서 <입지장>과 <지신장>은 율곡이 생각하는 사유 방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장들이다. 이 글은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장>과 <지신장>을 중심으로 거기서 율곡이 보여주는 학문과 공부를 입체적으로 검토하고, 그것들이 오늘날 어떤 메시지를 갖고 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즉 율곡이 그의 사유 구도 속에서 생각하는 학문과 공부 그리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그가 어떤 방법을 구축해 놓았는가를 입체적으로 탐구하고 성찰하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목적이다. 율곡은 오늘날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배움[學]을 설명한다. 그가 생각하는 배움은 성인됨에 있다. 성인이 되기 위하여 배우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입지를 율곡은 강조한다. 이런 배움의 성격은 매우 존재론적이다. 그리고 그는 배움과 더불어 물음[問]도 매우 강조하게 되는데, 이것은 `우리가 왜 배워야 하는가?`, `우리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우리가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를 성학의 축 안에서 묻는 것이다. 이러한 물음에 답을 찾아가는 배움이 율곡에게는 진정한 배움이다. 이러한 배움과 물음이 하나로 묶여 학문을 구성한다. 이런 점은 오늘날 특정 분야의 체계적인 지식 등을 탐구하는 것을 학문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매우 다르다. 더 나아가서 그는 그가 그리는 학문을 위한 공부의 방법론과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그것들이 이른바 구용(九容)과 구사(九思)라는 몸공부법이다. 이 공부법은 몸과 마음을 잘 규율하고 조절하여 인간을 아름답고 훌륭한 존재로 만들어가는 빌둥인 것이다. 이렇게 율곡이 성학, 학문, 입지, 구용과 구사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했던 그의 사유는 오늘날 율곡의 독자적인 인문 프로그램이었다. 또한 인간의 본성도 인간의 후천적인 노력으로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율곡이 알려준다. 즉 구용과 구사를 통한 몸공부는 습관이 제2의 본성이 된다는 점을 율곡이 일깨워 주고 있다. 오늘날 자신의 세속적인 욕망을 실현하는 것이 공부의 유일한 목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율곡은 존재론적 공부의 위상과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In the year 1577, at the age of 42, Yulgok published Gyeogmongyogyeol, in which he formulates a practical map of design for sage learning. The chapters of Ibji and Jisin in the book reveal important insights into Yulgok`s form of thinking. This work systematically reviews the learning-questioning and gongfu in Gyeogmongyogyeol, focusing on the chapters of Ibji and Jisin, and inquires into the messages that they bring for the modern day.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and reflect upon the learning-questioning and gongfu within Yulgok`s structure of thinking and the methods he constructed to realize them concretely. Yulgok explains learning very differently from how we do in the present day. He believes that learning lies in sagehood and emphasizes the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learning that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will to learn in order to become a sage. This kind of learning is very ontological in character. In addition to learning, he great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questioning, which consists of posing question such as `why must we learn?`, `what must we learn?`, `how must we learn?` within the axis of sage learning. To Yulgok, true learning constitutes searching for the answers to these kinds of questions. This manner of learning and questioning consolidate to construct the idea of learning-questioning. This differs greatly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that inquires into the systematic knowledge of a particular sphere. Furthermore, he proposes a set of methods and programs of gongfu for learning-questioning. These are what is called the gongfu method of mom of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This gongfu method is the Bildung that regulates and controls the heart and mind to make man into a beautiful and excellent being. Today, the thinking that Yulgok sought to show through sage learning, learning-questioning,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learning,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is his original humanitas program. Additionally, he shows that even human nature may change through the postnatal effort of man. In other words, Yulgok enlightens us to the point that the gongfu of mom through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become habit that is second nature. Yulgok evokes the topology and importance of ontological gongfu for the modern man whose only purpose of gongfu in the present day is to actualize his secular desire.

      • KCI등재

        지혜교육의 개념화와 모형화

        서명석(Seo, Myoung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이 논문은 지혜를 정의하고 이를 기초로 해서 지혜교육과 지혜교육 모형을 개념화하는 것이다. 방법 이것은 개념적 명료화를 통한 철학적 연구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우선 서로 반대되는 지혜와 어리석음의 대척선을 이용하여 이 속에서 지혜를 개념화하였다. 이때 지혜란 지식과는 다른 차원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삶의 질을 끌어올리는 인간의 고차적 능력이다. 결과 이 안에서 지혜교육은 어리석음에 빠져있는 인간을 지혜로움의 세계로 나아가도록 도와주는 일련의 총체적 활동이다. 이러한 지혜교육은 현대교육과 매우 다른 패러다임이다. 또한 지혜교육 모형은 교사는 학생들을 어리석음에서 지혜로움으로 나아가도록 중재하는 깨우침과 학생들은 교사의 도움을 통하여 지혜를 획득하는 깨달음을 기본 축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혜교육 모형은 현대교육 패러다임의 교수-학습 장치와 다른 차원에 위치한다. 오늘날 지혜를 가르치고 배우지 않는 교육 관행에 지혜교육의 세계는 교육의 또 다른 차원을 열어주고 있다. 결론 지혜교육이란 교사가 학생들의 지혜적음에서 지혜많음으로 나아가도록 중재하는 모든 교육 활동의 총화다. 그러니 지혜교육의 프로그램과 방법론을 더욱 구체화해야 하는 후속 과제를 우리 앞에 남겨 놓고 있다 하겠다. Objectives This paper is to define wisdom and conceptualize education for wisdom and model of education for wisdom based on it. Methods This is a method of philosophical research by conceptual clarification. To this end, I first conceptualized wisdom by using the opposite lines of wisdom and foolishness. In this case, wisdom is located on a different level from knowledge, and is a higher human ability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Results In this context, education for wisdom is a series of holistic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who are immersed in foolishness into the world of wisdom. Such education for wisdom is a paradigm very different from modern education. In addition, the model of education for wisdom is designed on the basis of mental awakening, where the teacher mediates students to transfer from foolishness to wisdom, and the enlightenment that students acquire wisdom through the help of the teacher. Such a model of education for wisdom is located on a different level from the teaching-learning device of the modern education paradigm. Today, the world of education for wisdom opens up another dimension of education to the teaching practice without teaching and learning of wisdom. Conclusions Education for wisdom is the sum total of all educational activities that intervene to move students from less wisdom to more wisdom.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follow-up task to further detail the program and methodology of education for wisdom is left before us.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의 창의성 발달을 저해하는 환경요인에 대한 성찰 : 가정의 놀이문화와 교실의 수업문화를 중심으로

        서명석 ( Seo¸ Myoung-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이 글은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둘러싸고 있는 두 가지 환경을 교육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이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으로 설정했다. 그런 다음 가정환경이 어떤 조건에 있을 때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에 공헌하는지 그리고 학교환경이 어떤 조건에 있을 때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에 공헌하는지 연구자는 차례로 성찰해 보았다. 성찰해 본 결과 연구자는 가정환경이 아이들의 놀이 활동을 적절하게 보장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한 학교환경의 측면에서는 교실환경 내의 수업문화를 검토하고 현행 수업방식만으로는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을 촉진하기엔 태생적인 한계가 있음을 연구자는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본다면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은 아이들의 창의성 발달을 조장하는 환경으로의 재편이 보다 시급한 과제라고 말할 수 있다. 부연하면 가정에서는 아이들의 놀이권 보장이 필요하고 학교에서는 아이들의 창의성이 발달하는 쪽으로 학습권의 보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an educational reflection of two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hildren. To this end, I sets the home and school environment as areas that affect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I then reflected on which conditions of home and school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On reflection, I found that the home environment did not adequately guarantee children’s play activities. In addition, I reviewed the classroom culture in terms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confirmed that the current teaching has inherent limitations in promoting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Based on this, the home and school environment are more urgent tasks to re-organize into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In addition, families need to guarantee children’s rights to play, and schools need to guarantee their right to study in order to develop their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