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열린 신학(Open Theism)에 관한 연구 : 복음주의 신학에서의 평가

        김병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1695

        ABSTRACT A Critical Evaluation of Open Theism from The Evangelical Theology Perspective Kim Byung Kee Department of Theology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First of all, open theism presupposes libertarian freedom in the sense that free human choices and decisions are unknown even to God, and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In order to theologically support this negation of God's foreknowledge, open theists claim first, voluntary self-limitation of God's sovereignty. This introduces the concept of God's openness, that the future is also open to God. Second, it is explained that this self-limitation of God is for the give-and-take relationship of love between God and humans. Third, for this purpose, it is argued that love is the essence of God and the best attribute. Fourth, since God cannot know the choices and decisions of human libertarian freedom, a risk model for divine providence is introduced. God takes risks in the sense that He allows things to happen that He did not intend. As a result, God experiences failure and setbacks. Fifth, it insists on presentism for the foreknowledge of God. So God knows the past and the present perfectly, but is ignorant of the future, which requires human libertarian freedom to choose and decide. God only predicts these futures with high possibility and probability. Sixth, they modify traditional divine attributes accordingly. For example, they assert that God's omniscience knows all that can be known (the future is not known because it does not yet exist), and that omnipotence is God's ability to cope with any situation. Finally, they claim that open theism is biblical, interpreting Bible passages such as God's regret and change of mind literally. Open theism, which has received the attention of 21st-century American theology, is one of the most fascinating trends in modern evangelicalism. But open theism leaves believers with a God who has nothing to do with our faith and life, and a God who is thoroughly misl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oint out and correct the errors of open theism based on orthodox theology and the Bible. In this respect, research on open theism has important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rst, to prove that open theism is a theology that accepts many theories from process theology, and it deviates from historical and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because it completely denies the paradigm of traditional theology. Second, open theism argues that the Bible should be in dialogue with post-modern culture and emphasizes the need for an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at fits with modern culture, but rather maximizes human freedom and does not mention God as judge at all. It emphasizes only God the Father who experiences failure and learns through frustration through this relationship. I would like to reveal that it is a post-modern theology that fits the current trend of American society. Third, open theism limits God's sovereignty and denies God's meticulous providence. In addition, while criticizing theological determinism, it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and maximizes human freedom. This open theism claim is in direct conflict with the Reformed viewpoint. Reformism adheres to theocentrism, but open theism advocates an anthropocentric view. Accordingly, I would like to critique the claims of open theism on God's sovereignty and providence, predestination and foreknowledge, which are the core subjects of theology, while comparing them with the reformed viewpoint. Fourth, although the debate over whether open theology can be viewed as an evangelical theology continues, by examining the debate on the theological standpoint of open theism, open theism has become the category of Arminian theology that claims to have its own theological roots, would not be considered. In conclusion, open theism is thought of as a theology whose content is full of process theology and whose packaging is Arminian theology. Through this critique of open theism,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the orthodox theology formed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after the Reformation will be further enhanced. Lastly, although open theism has many theological errors, the researcher wants to appreciate its theological motives. Because, first, it tried to connect theology with the practical aspect of faith while trying to give answers to the believers' religious life (especially the problem of prayer) and the problem of evil. And second, It g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nd third, it provided a friendly God to modern people through the dynamic model of God responding to human needs. 논문개요 열린 신학은 무엇보다 먼저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결정들은 신조차도 알 수 없다는 의미에서, 자유의지적 자유(libertarian freedom)를 전제하고 신의 완전한 예지를 부정한다. 열린 신학자들은 이러한 신의 예지의 부정을 신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첫째, 신의 주권에 대한 자발적인 자기 제한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미래가 신에게도 열려 있다는 신의 개방성의 개념을 도입한다. 둘째, 이러한 신의 자기 제한은 신과 인간의 호혜적인(give-and-take) 사랑의 관계성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셋째, 이를 위해 사랑이 하나님의 본질이며 최고의 속성이라고 주장한다. 넷째, 신도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신의 섭리에 대한 모험 모델을 도입한다. 신이 의도하지 않은 것들이 일어나는 것을 허용한다는 의미에서 신은 위험을 감수한다. 따라서 신도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다. 다섯째, 신의 예지에 대해 현재주의(presentism)를 주장한다. 그래서 신은 과거와 현재를 완전하게 알지만,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이 필요한 미래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신은 단지 이러한 미래를 높은 가능성과 확률로만 예측한다. 여섯째, 이에 따라 전통적인 신의 속성들을 수정한다. 예를 들면 신의 전지성은 알려질 수 있는 모든 것을 안다는 것이며(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알려질 것이 없다), 전능성은 신이 어떤 상황에도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후회, 마음 바꿈 같은 성경 구절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면서 자신들의 신학이 성경적이라고 주장한다. 21세기 미국 신학계의 주목을 받은 열린 신학은 현대 복음주의에 있어서 가장 매혹적인 경향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열린 신학은 우리의 신앙과 삶과는 아무런 상관없는 하나님, 그리고 철저히 오도된 하나님을 신자들에게 남겨놓았다. 따라서 정통적인 신론과 성경에 근거하여 열린 신학의 오류를 지적하고 바로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서 열린 신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에서 많은 이론을 수용한 신학으로, 전통적인 신론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부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에서 일탈했음을 입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열린 신학은 성경이 포스트모던 문화와 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현대 문화와 맞는 성경해석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지만, 오히려 인간의 자유를 극대화하고 심판자로서의 하나님은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사랑하고 관용하며 대화하는, 이런 관계를 통해 실패를 경험하고 좌절하면서 배워나가는 아버지 하나님만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열린 신학은 현대 미국 사회의 시류에 영합한 포스트모던 신론임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 열린 신학은 하나님의 주권을 제한하고 하나님의 섬세한(meticulous) 섭리를 부정하고 있다. 또한, 신학적 결정론을 비판하면서 하나님의 완전한 예지를 부인하고 인간의 자유를 최대한 신장하고 있다. 이러한 열린 신학의 주장은 개혁주의 관점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론의 핵심 주제인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 예정과 예지에 관해서 개혁신학을 비판하는 열린 신학의 주장들을 논박하면서 비평하고자 한다. 넷째, 복음주의 신학 안에서 일어난 열린 신학에 관한 논쟁을 고찰함으로써, 열린 신학을 복음주의 신학으로 볼 수 있느냐의 논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열린 신학이 자신들의 신학적 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알미니안 신학의 범주로는 간주 될 수 없음을 밝히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의 수용으로 인해 내용물은 과정 신학으로 가득 차 있고, 포장은 알미니안 신학으로 되어있는 신학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연구자는 열린 신학에 관한 이러한 비평을 통해서 종교개혁 이후 개혁주의 관점에서 형성된 정통적인 신론의 가치가 더 고양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열린 신학이 많은 신학적 오류를 가지고 있음에도, 연구자는 그 신학적 동기는 높이 사고 싶다. 왜냐하면, 첫째, 신자들의 신앙생활(특히, 기도의 문제)과 악의 문제에 답변을 주고자 하면서 신학을 신앙의 실천적인 면과 연결을 시도했으며, 둘째, 범재신론의 관점이 아닌 의미에서 보면, 관계적 신론을 통해 하나님과 인간의 인격적인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주었고, 셋째, 인간의 요구에 응답하는 역동적인 하나님의 모델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친근한 신관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 캠퍼스 선교를 위한 대학교회의 협력적 역할에 대한 고찰 : 대구대학교 대학교회를 중심으로

        홍민혁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논문의 목적은 대구대학교 선교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대구대학교는 기독교 정신으로 시작했지만 오늘날 그 정신이 많이 퇴색되어 있다. 하지만 명백한 사실은 다시 복음의 대학으로 거듭나는 것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바라는 것이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대학복음화에 도움이 되고자 본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본 연구를 통해 먼저, 대학선교의 역사와 정의, 대학선교의 필요성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대구대학교와 대학교회의 초창기 역사를 돌아보며 대학의 기독교적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구대학교 선교의 쟁점을 살펴보며 현재에 해결되어야 할 부분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미 협력적으로 대학선교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들을 조사했고 이 사례들을 교훈 삼아 앞으로 대구대학교 선교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direction for Daegu University’s mission work. Daegu University has been established with the spirit of Christianity. However its spirit has been faded away up to the recent times. It is mandatory that Daegu University needs to reconsider and recover its Christian mission in order to further develop as its founding spirit intended. Therefore, I set out this study to find out ways in which Youngkwang church(on-campus church) can contribute to the evangelization of Daegu University. To this end, I observe the history and missionary work of the University as root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Also, I identify the needs for and the tasks of mission work on the campus. In the next step, I re-emphasize the Christian identity of the University by tracing the history of the early days when it was founded and developed. Mission has always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sustainment of Daegu University. In addition, I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mission work of Daegu University and attempt to proposes issues to be resolved. Finally, I investigate the mission works of other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proved effective in working cooperatively with people and churches both inside and outside campus. This study also promot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Daegu University with local churches off campus as well as organizations and people on campus. Therefore, it is expected in conclusion that Youngkwang Church would play a significant part in creating collaboration and recovering the University''s founding spirit and mission.

      • 聖書朝鮮의 主祈禱의 硏究에 나타난 김교신의 신학연구

        김훈경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1695

        본 논문은 김교신에 관한 역사신학적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聖書朝鮮」중에서 성경연구 관련하여 심도 있게 정리한 ‘主祈禱의 硏究’라는 내용에 관한 개혁 신학적 분석과 정리이다. 이를 통하여 김교신의 신학과 그 배경 그리고 그 내용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다루는 것이다. 기존의 김교신 관련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그의 신학에 대한 관심보다는 일본인 스승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와의 연관성 곧 무교회주의와 조선적 적용이라든가 아니면 조선적 기독교로 대표되는 기독교의 조선토착화를 중심적으로 논하고 있거나 또는 민족주의 교육자로써의 교육에 관련 연구였으나 최근에서야 김교신의 신앙연구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김교신의 활동과 삶을 볼 때 이러한 연구들이 가능하겠지만, 본 연구는 김교신의 신학과 그 내용을 연구함으로서 그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에 한 측면을 감당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내용은 김교신이 「聖書朝鮮」에서 추구한 신학은 종교개혁 전통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밝히는데, 구체적으로 루터의 신학적 고민과 틀에 기초한 개신교(Protestantism)라는 점이다. 이는 김교신 당대 일반교회에서 그와 그의 활동에 대하여 무교회주의라고 비판할 때, 이에 대해 김교신은 변론하면서 무교회주의를 정의하고 있다. 그것은 로마 가톨릭교회를 반대한 루터의 신학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에 따라서 교회를 바르세 세워가려는 노력과 활동인데, 이를 루터 당시에는 저항(Protest)이라고 표현된 것이다. 이처럼 일제 강점기의 상황 속에서 당시 교회가 멍들고 혼란에 있을 때 사람이나 조직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성경에 따라 교회를 세워나가려는 노력으로 즉 보편교회를 강조하는 의미에서 무교회주의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는 교회가 필요 없다거나 지상의 교회가 무의미함을 강조하는 것이 아님은 그의 스승 우치무라의 신학에서도 잘 드러난다. 우치무라는 자신의 신학이 루터에게 큰 영향력을 받았다고 밝히며, 그의 교회론 역시 철저한 성경의 진리에 기초한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의 결과였음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김교신 스스로가 밝힌 「聖書朝鮮」의 주요목적은 성경의 본문연구와 주해(註解)였다. 즉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성경본문을 정확히 해석하고 이를 통해 조선인의 삶에 적용하여 조선을 살리고자 하는 노력과 열정의 산물인 것이다. 이것은 루터가 게르만민족에게 독일어 성경을 통해 민족을 깨웠던 것처럼 김교신 역시 루터의 길을 따라 조선에게 바른 번역의 성경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전체적으로 김교신은 루터처럼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의 신앙과 신학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그의 신학배경을 정리하면 루터와 칼뱅, 벵겔, 고데 등으로 연결되는 개혁주의적인 복음주의 신학이 밑바탕에 깔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bout historical theology study of Kim Kyo Shin. Specifically, his「Sungsuh-Chosun」 in relation to biblical studies in depth of the “Lord''s Prayer” appeared in studies. This Kim Kyo Shin theology, background and the content will be dealt comprehensively. Most of the Kim Kyo Shin was about relationship about his teacher Uchimura Kanzō (内村鑑三) or the non-church movement. rather than his theology. In this study, the overall content is revealing what theology Kim Kyo Shin is pursuing from the「Sungsuh-Chosun」began from the Reformed tradition. In the time of Kim Kyo Shin while general church criticized Kim Kyo Shin and his activities about non-church movement, Kim Kyo Shin defence and defined the non-church movement.It is that Luther ‘s theology opposed Roman catholicism, which is efforts and activities to stand church right according to “sola scriptura” It was expressed as resistance Protest in the age of Luther.Uchimura revealed that his theology was influenced by Luther so his ecclesiology which is based on biblical truth speak his mind of essence of church through agony and self-examination.Kim Kyo Shin, by himself said that the purpose of「Sungsuh-Chosun」is interpret bible text and annotation In other words, through translating the body of bible perfectly which is the revelation of God’s word was to apply to the live of Chosun, and it was the result of effort and passion.Kim Kyo Shin work hard to give a right bible of Choson like Luther. gave german bible to the germanic race to wake them up.Therefore, if you cleaned up his theological background, Luther and Calvin, connected to the reform such as the idealistic to evangelical theology.

      • 칼빈의 욥기 주해와 설교에 관한 연구

        조윤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칼빈의 설교 방법론을 살펴보고 그의 욥기 설교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 설교의 목적을 하나님의 목적에 일치시키기 위한 균형감각을 갖는 데 도움을 얻고, 설교의 영광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설교의 영광을 회복하기 위하여 먼저 우리는 우리 자신의 설교를 돌아보아야만 한다. 그렇다고 하면 우리가 자신의 설교를 돌아볼 때 기준으로 삼을 것이 있어야만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의 앞에 칼빈 같은 설교자가 있었다는 것이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칼빈의 설교를 통해 우리는 우리가 어디로 치우쳐 있는지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는 신학자로서의 칼빈을 먼저 생각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인지 칼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대부분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한 그의 신학사상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온 경향이 없지 않다. 그러나 빌헬름 노이저 교수의 지적대로 우리는 기독교 강요만을 가지고 칼빈의 모든 것을 말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할 것이다. 칼빈에게 있어서 설교는 기독교강요 이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그의 설교에 대한 관심은 그 중요성에 비추어 매우 일천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칼빈의 다른 모습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것은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칼빈의 성경 해석에 관한 관심이 더 해가면서 해석학적 입장에서 칼빈을 연구하는 시도가 있어 왔고, 특히 파커의 ‘칼빈과 설교’는 이러한 연구의 한 결실이라고 보인다. 앞으로 칼빈을 신학자로서가 아니라 설교자로서 바라보는 연구가 많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도 그러한 시도의 일환이라고 하겠다. 칼빈은 설교학에 관한 책을 저술한 일이 없으나 가장 위대한 설교자요, 설교학자라고 해도 지나친 표현이 아닐 것이다. 그의 설교를 한마디로 정의 할 수는 없지만 그의 설교는 ‘성경을 중심으로 당시의 청중들에게 하나님의 뜻을 드러내고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 앞에서 살도록 결단하게 한 강해설교’라고 표현해도 좋을 것이다. 칼빈은 성경만이 하나님의 계시를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길임을 확신하였던 것이며, 설교를 통해서 그것을 청중들에게 전하고, 설교를 들은 청중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게 하려는 높은 뜻을 가진 설교자였다. 그는 성경 본문에 충실한 설교자였다. 그래서 그는 힘을 다해 ‘성경 전부(Scriptura tota)’를 설교하려고 했으며, ‘성경만을(Scriptura sola)’ 설교하고자 했던 것이다. 칼빈은 하나님의 뜻을 전달함에 있어서 죽어 있는 사자처럼 무력한 자가 아니었다. 그는 원어에 대한 통찰을 가지고 쉴 새 없이 구약과 신약을 넘나들었으며, 직유와 은유, 그리고 수사적인 질문 등을 통하여 살아 있는 생생한 언어로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려고 애썼다. 그러면서도 그는 성경을 벗어나 다른 데로 한없이 달려가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그는 언제나 그리스도 중심의 복음적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욥기를 설교함에 있어서도 칼빈은 이러한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그는 욥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한마디 한마디를 깊이 들여다보면서도 성경 전체의 교훈이라는 중심을 흐트러뜨리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리스도 중심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했던 것이다. 특별히 고난의 의미에 관하여 분명한 이해를 위하여 ‘징벌’이란 단어와 ‘징계’란 단어를 대비시킨 점은 의미심장한 것이 아닐 수 없다. 특별히 지금처럼 어려운 시대에 고난의 의미를 밝혀 줄 칼빈의 욥기 설교를 연구하는 것은 뜻있는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칼빈의 욥기 주해와 설교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필자는 설교자와 설교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점검해 보는 기회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욥기를 통해 우리 앞에 다가오는 삶의 정황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이해해야 할 것인지 새롭게 짚어보는 기회를 가졌다. 다만 우리가 이 시대에 욥기를 설교함에 있어서 현대 신앙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고 하겠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looks into sermon methodology of Calvin, and to analyze his sermon from Job. So gets help in order to have a balance sense it is done, and to conform a purpose of our sermon to a purpose of God through the sermon of Calvin, and it is so to be going to recover glory of the sermon. We must look back at our own sermon first in order to recover glory of the sermon. It must be to consider a basis when we look back on own sermon if we say that we are so. It can be very fortunate work that there was a preacher as Calvin in that kind of point at our front. The reason is because we can find where we are giving way to through the sermon of Calvin. In the meantime, it is true to have thought about Calvin as a theologian to infuse first. There has been a lot of study about Calvin throughout being so, but trend achieved his theology thoughts to have mostly did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o the center with the object is. However, We must admit that we were not able to speak all thing of Calvin only with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as indication of a Billhelm Neuser professor. A sermon had holden more important position tha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o Calvin. Nonetheless an interest about his sermon reflects itself in the importance, and being a few interest is very true. It can be very fortunate work that we listens to that kind of point recently, and an interest about other figure of Calvin is becoming large. Until now, it is a fortunate an interest about biblical interpretation of Calvin were added more, a try to study Calvin in analysis position, and it is looked the fruits that this study especially did the `Calvin and the sermon' of Parker. Prospective with what is proceeded very much and will do this study a part of that kind of try in the future. Calvin does not have the work that wrote a book about Theoly of Sermon, but he is one person among the greatest preachers and sermon scholars. Definition cannot do his sermon in a word, but his sermon is indicate a meaning of God and let take decide to live at the existence of God to the audiences in those days. The Calvin was convinced of the street where only the Bible can know a revelation of God clearly and introduced it into the audiences through a sermon, and it was the preacher who had a meaning to be high in order to let did a sermon with the audiences and live according to a meaning of God. He was the preacher who was faithful to the Bible text. Therefore, exhaust force, and he was going to preach `Bible whole (Scriptura tota)', and 'Bible only (Scriptura sola)'. The Calvin was not the ruler which was powerless like a lion dying in communicating a meaning of God. He had insight about the original word and was between an old promise and the New Testament continuously and exerted in order to deliver a meaning of God by a fresh language to be effective through questions to have let there be a simile and metaphor. Though is so, he endeavored not to make a mistake to gets out of the Bible, and run to other way endlessly. He is not to have been getting out of gospel contents centered in Christ all the time. The Calvin did not get out of these principles in preaching Job either. Though he looked deeply into a word and a word of the persons who appeared in Job, dosed not get out of the center of the all teachings in Bible, and the center of Christ. It can be significant thing to have let you contrast 'a disciplinary action' and `a disciplinary punishment' for clear understanding about extra thorny meaning. Specialy, It may be work studying Job sermon of Calvin bringing thorny meaning to light for the hard times as now in particular. Through the study on the Calvin's Exegesis and Sermons from Job I had an opportunity that tries to check on a preacher and a sermon once again and a opportunity to understand that problem of the life through Job. A problem will remains to apply to the life of modern faith in merely our preaching Job for these times.

      •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의 학문성 분석 : 종교론을 중심으로

        진성철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1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chleiermacher’s academic characteristic and academic methods, and to evaluate his theology through his major work, On Religion: Speeches to Its Cultured Despisers (1799).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the Enlightenment finds its roots in reason.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practical philosophy of Immanuel Kant is rooted in the praxis-moral. In On Religion, Schleiermacher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the methods, that is the reason rooted in the Enlightenment and the praxis-moral by Kant. In his opinion, on the premise that religion is to approach the Infinite, he suggests that only a single method such as reason or practice alone cannot approach the Infinite. Therefore, to discuss religion, he states that his academic characteristic is based on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not an independent method such as enlightenment according to Kant. Hence, his method is assessed as the best humanistic approach, inherited from the Enlightenment, because it not only overcame the limitation of reason or practice, but also included even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ctice. Schleiermacher’s academic methods consist of religious intuition (Anschauung) and religious feeling (Gefühl). He says that religious intuition and religious feeling are inseparable. Religious feeling does not exist alone and is dependent on religious intuition, and intuition is based on human nature and does not deny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xis-moral. Rather, because religious intuition comes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 or 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it includes methods of reason or practice. Hence, his academic methods, intuition and feeling, come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and include all of the Enlightenment methods and Kant’s method. Regarding Schleiermacher’s theology, it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enlightenment theology and its groundwork is not revelation but human nature. In On Religion, he defined the Bible not as the Word of God and special revelation, but as document reflecting the fruit of human nature and the age. Hence, he argued that the Bible is not an invaluable record for those who do not develop human nature. This is understandable that he inherited the ideas of the Enlightenment concerning the Bible. However, a difference is the standard of biblical understanding that is not rooted in the reason of the Enlightenment, but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Regarding Christology, Schleiermacher identified Christ not as God but as a perfect human being having God-consciousness (Gottesbewußtsei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od-consciousness, Christ was able to be an intercessor and was approved as God’s son. In addition, by defining Christ’s intercession as an awakening of an incomplete human nature, he excluded redemptive work from Christ’s work. Hence, his Christology is located in the flow of the historical Jesus studies and it reveals that the standard of judgment about Christ shifted from human reason to human nature. In conclusion, how can Schleiermacher’s approach of human nature contribute to Reformed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Reformed theology viewed religion as “the right manner of knowing and serving the true God” which consists of objective religion and subjective religion. In particular, given that subjective religion is a response of a man who was changed by the Holy Spirit, Schleiermacher’s concept of human nature is not appropriate. From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human nature is totally depraved, corrupt and not dependent upon God’s revelation. However, we can partly accept his suggestions of the human nature approach, including practice and reason, under the premise of human nature changed by the Holy Spirit. It is appropriate for theologians to seek for a viewpoint not only depending on practice and reason but hav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s approach to God. 본 논문은 종교론을 통해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성과 그 수단을 연구하고, 그리고 그로 말미암은 그의 신학을 진단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계몽주의의 학문성은 이성에 근거하고, 칸트의 실천철학의 학문성은 실천-도덕-에 근거한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이성과 실천의 방법의 한계를 지적한다. 종교는 무한자에게 나아가는 것인데,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만으로는 무한자에게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종교를 논의할 수 있는 것은 이성, 실천의 개별적인 수단이 아닌,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근거해야 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방법은 그의 학문성이 이성이나 실천의 한계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이성과 실천의 방법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서, 계몽주의의 방법을 계승하는 ‘인본주의적인 수단’의 최고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은 종교적 ‘직관(Anschauung)’과 종교적 ‘감정(Gefühl)’이다. 그는 먼저 종교적 ‘직관’과 종교적 ‘감정’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종교적 ‘감정’은 홀로 존재할 수 없으며, 그것은 ‘직관’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직관’은 인간 내면의 ‘인간성(Menschheit)’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계몽주의의 ‘이성’이나 칸트의 ‘도덕-실천-’의 방법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종교적 ‘직관’은 이성, 실천-도덕-,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全人)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이성적 수단이나 실천적 수단을 모두 수용한다. 따라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인 직관(Anschauung)과 감정(Gefühl)은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계몽주의와 칸트의 방법론들을 모두 포괄하는 수단인 것이다. 종교론에서의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은 계몽주의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계시가 아니라 인간성(Menschheit)에 기반을 두고 있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성경이 특별계시인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 종교에 대한 단순한 기록이면서, 인간성의 산물이고, 시대를 반영한 단순한 기록에 불과한 것이라고 정리한다. 따라서 그는 인간성을 꽃피우지 못하는 사람에게, 성경은 가치없는 ‘기록물’에 불과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는 계몽주의의 성경관을 계승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경관에 있어서 그가 계몽주의와 다른 점은, 성경이해의 잣대를 계몽주의의 인간 ‘이성’이 아니라, ‘이성’을 포함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둔다는 점이다. 종교론에서 슐라이어마허는 그리스도를 하나님(神)이 아니라, 신의식(Gottesbewußtsein)을 가진 완전한 인간으로 규정하고, 그리스도가 신의식의 능력으로 중보자(Mittler)가 될 수 있었으며,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을 불완전한 ‘인간성(Menschheit)’을 일깨우는 사역이라고 규정함으로서,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속죄를 제외시켰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기독론은 ‘역사적 예수 연구’의 흐름 속에 있는 것이면서, 그리스도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인간의 ‘이성’에서 ‘인간성’으로 옮겨놓은 특징을 잘 보여준다.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Menschheit)’의 수단이 21세기 개혁교회에 공헌할 수 있는가? 개혁신학의 통례를 따라 ‘하나님을 알고 예배하는 올바른 방법’인 ‘종교’를 분류하면,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객관적 종교’와, 계시에 대한 인간의 반응으로서의 ‘주관적 종교’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관적 종교는 성령에 의해서 변화된 사람의 ‘계시에 의존적인 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슐라이어마허의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법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의 인간성은 전적으로 타락하고 부패해버린 것이며, 하나님의 계시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슐라이어마허가 제안한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을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식은, 성령에 의하여 변화된 인간 ‘성품’을 전제로 하는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학하는 자가 ‘이성’이나 ‘실천-행위-’적인 방법들에만 의존하기보다, 하나님의 은혜로 변화된 전인(全人)으로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이 마땅한 것이기 때문이다.

      • 욥의 고난에 대한 신학적 이해

        김교만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논문은 욥이란 인물을 통해 하나님께서 자신의 모습을 어떠한 섭리로서 우리에게 보여 주시는지 그 분의 심오한 말씀을 통한 이해와 가르침의 내용에 관한 연구이다. 욥기에 나타난 욥의 고난은 죄의 결과로 인한 인과응보적인 고난이 아닌 천상회의에 의한 욥의 경건성의 시험에서 온 고난이다. 따라서 욥의 고난은 지혜 전통의 가장 지배적인 인과응보적 고난관을 부인한다. 또한 욥기는 인간이 고통의 한 가운데서 어떻게 하나님을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해 답변을 제시하는 책이다. 이 논문은 제 1 장 서론, 제 2 장 성경에 나타난 고난, 제 3 장 욥기에 나타난 고난, 제 4장 고난에 대한 신학적 이해, 제 5장 결론의 순서로 전개 되었다. 논문의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난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알리고자 하는 것은 욥을 통하여 인간 속에 있는 종교적, 신학적인 사고와 그 주위의 친구들의 비판을 가지고 어떻게 욥이 하나님의 섭리를 받아들여서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는가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욥기서는 전통적인 인과응보의 고난관을 훨씬 뛰어넘는 심오한 사상을 전개한다. 바로 대속적 고난관을 통하여 하나님을 만나고 고난 속에서 하나님을 보게 된다. 욥은 자신의 문제를 지혜로 해결하지는 못했지만, 하나님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주시는 분이라는 확신을 얻게 된다. 하나님을 만남으로서 욥의 영혼은 하나님의 전능하심과 무한한 자유로움을 맛보게 된다. 우리는 욥을 통하여 하나님은 천지를 주관하시고 지금도 역사하시는 것을 배운다. 우리에게 고난이 닥칠 때 우리는 왜라는 질문보다는 그분을 믿고 그분의 섭리에 완전히 맡기는 믿음이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고난 뒤에서 하나님은 사랑과 은혜로 역사하시고, 고난의 비밀을 통하여 인간에게 오셔서 고난 속에 감추어진 하나님을 이해하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This thesis represents the study of the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God through His profound words, which were revealed to us by His Providence through a biblical figure Job. Job's suffering written in the Book of Job is not the result of his sins in the form of retributive justice, but the result of heavenly meeting at which the test of Job's devotion was decided. Therefore, the suffering of Job does not belong to the view of retributive justice which is dominant in the wisdom tradition. Also Book of Job gives the answer for the men's question regarding how one can explain God in the middle of suffering. This thesis consists of chapters :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sufferings in the Bible, chapter 3, sufferings in the Book of Job , chapter 4,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suffering, and chapter 5, conclusion. Summary of the thesis is as follows. First, through suffering, God lets us know how Job accepts God's Providence and solve his human problems, which is based on the religious and theological thinking and critics of his friend. The Book of Job shows a view of suffering which goes beyond the traditional view of retributive justice. Job meets God through the view of suffering as the Atonement, and Job understands God's message in the suffering. Job was not able to solve his problems with human wisdom but became convinced that only God could lead him to the solutions of those problems. By seeing God, Job's soul have the taste of God's Omnipotence and unlimited freedom. Through Job's story we learn that God manages universe and does constructive works even now. When we face suffering we should have faith of entrusting everything to God's Providence instead of asking "Why?" Therefore, it i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that God works with love and grace once the suffering passes, and that we must understand the works of God hidden in the human suffering, which approaches us as the secrets of the suffering.

      • 한국에서의 직장선교에 관한연구

        정성봉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21세기 사역과 목회는 "직장인 중심, 평일 중심, 직장중심, 기도와 전도 중심"의 흩어지는 교회 중심으로 목회와 선교방향을 전환하여 선교의 지경을 넓히고 직장선교 강화를 통하여 한국교회의 제2의 부흥과 한국기독교 성장을 가져오게 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한 세기동안 성장을 해오던 한국교회와 한국기독교가 성장을 멈춘 지금의 상황에서 다시 계속적인 성장으로 나아??위한 대안으로서 직장선교 강화를 제시한다. 한국교회 평신도의 대부분이 직장에서 일하는 직업인임과 그들은 일주일 중 5일 이상을 직장에서 불신자들과 함께 일하고 있는 현실상황을 고려할 때 이 기독 직장인들을 복음으로 무장시키고 단련시킴으로 선교역량을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21세기 변화된 직장의 환경과 특성에 맞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선교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기독교의 1세기가 교회를 통해서 성장하고 부흥하였다면 새로운 1세기는 직장선교를 통해서 성장의 길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현재 성장정체에 빠진 한국기독교와 한국교회는 직장선교를 통해서 성장의 정체를 극복하고 계속적인 성장으로 나아??위한 대안으로 삼아야 하며 나아가 민족복음화와 세계선교를 향한 전진을 계속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직장선교 사역자들은 직장마다 직장선교회를 조직하고 모든 기독직장인들을 양성화함으로 그들을 One - Day, Sunday Churchman에서 Daily Working Real Christian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 모든 직장과 사회 그리고 가정에서 기독교문화가 조성되고 복음전파가 생활화되게 하여야 하며 둘째 기독직장인의 해외근무를 활용하는 등 기독 직장인을 통한 다양한 세계선교를 추진하는 것이며 셋째 직장선교와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동일한 선교목표를 향해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교회"에 흩어지는 교회로서의 직장선교는 선교의 사명을 다하고 추구하는 3대 목표인 직장선교의 활성화를 통한 민족복음화와 세계선교, 직장인의 복음생활화를 통한 기독교 사회문화 창조, 평신도 초교파 연합운동을 통한 교회일치를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변화하는 직장사회의 환경에서 흔들리지 않고 항상 목적과 비전을 향하여 전진하는 조직과 운동이 되기 위해서는 한국교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을 필요로 한다. 직장선교는 한국기독교의 공동의 과제이므로 직장에서 활동하는 기독 직장인과 교회에서 사역하는 목회자간의 긴밀한 상호협력을 통하여 성장정체에 놓여있는 한국기독교와 교회의 대안으로 삼을 수 있다. 직장선교의 활성화와 부흥은 동시적으로 한국교회의 성장과 제2의 부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st 20 years' history of Korean workshop miss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subjects of future work based on the theory of workshop mission which have been in congested status, and furthermore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Christianity and church of Korea.

      • 성령의 위격과 '나오심'에 관한 고찰 : 카파도키아 교부들을 중심으로

        이정석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51679

        본 글은 성령에 관한 신앙고백의 역사로 교회의 신앙이 단절됨 없이 지속적·연속적으로 성령을 믿었던 것임을 논한 글이다. 또한 본 글은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필요성의 양측에서 카파도키아 교부들의 개인적 신학 체계와 그들이 몸으로 살아간 4세기 교회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이다. 본 글의 진행은 4세기 교회의 필요성을 고찰하며 교회의 연속성을 입증하기 위해 오리게네스와 그의 제자 그레고리우스(Th.), 그리고 아타나시우스의 신앙을 먼저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4세기 교회가 가지고 있었던 신학적 요구를 찾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바실리우스의 신학 체계화 과정을 논리적 순서에 따라 고찰하였다. 바실리우스는 교회 통합적 입장에서 우시아(ούσία)와 휘포스타시스를 구별했고, 이를 통해 아리우스적 신앙과 사벨리우스주의적 신앙을 동시에 대적했다. 그리고 그는 아타나시우스의 성경해석과 같이 전치사의 용례적인 연구를 통하여 삼위의 상호 원인(αίτίος)을 논증하여, 성경에서 이미 휘포스타시스의 구별과 우시아의 동일성 곧 효모우시오스임을 논했으며, 특히 성령의 신성을 성경과 교부논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바실리우스가 그 이전의 교회적 필요성에 응답했다면, 두 명의 그레고리우스(Naz, Ny.)의 신학 체계화는 바실리우스를 변호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먼저 그레고리우스(Naz.)는 '나심'(γέννησις)과 '나오심'(έκπόρευσις)을 구별한다. 하지만 이 구별은 이미 그레고리우스 이전에도 있었던 구별이다. 그레고리우스는 '나오심'(έκπόρευσις)을 신앙의 전면에 부각시켰다. 그리고 그는 이를 '성경적 하나님의 구원계획'(scriptural economy)이라고 한다. 곧 성경에 이미 계시되어 있지만 인간의 연약함으로 성령께서 가르쳐 주시지 않았다가 인간이 믿을 수 있을 때가 되어 성령께서 가르쳐 주신 것이다. 곧 '계시의 진보'(progressive revelation)다. 또 다른 그레고리우스(Ny.)는 신격(θεότης=하나님이심, deity)과 신성(θειότης, divinity)을 구별하여 바실리우스의 삼신(三神)의 문제를 다룬다. 여기서 신격, 곧 '하나님이심'(θεότης)은 하나님의 존재로 한 하나님(One God)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존재 방식을 말하는 신성(θειότης)에서는 세 하나님(Three Gods)이다. 이것은 원인(αίτίος)의 측면에서 '원인 없는 원인'(성부)과 '원인 있는 원인'이 구별되며, 다시 '원인 있는 원인'은 직접성(성자)과 간접성(성령)으로 구별된다. 그러므로 원인(αίτίος)에서만 삼신(三神)이다. 한편 그레고리우스(Ny.)는 바실리우스의 전치사 연구와 더불어 우시아의 불가분성(不可分性)과 불분리성(不分離性)으로 '한 하나님'(One God)의 신앙을 고백한다. 신격으로는 한 분 하나님이시다. 카파도키아 교부들의 신학 체계는 성령의 신성을 중심으로 삼위일체 신앙을 공고히 고백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카파도키아 교부들에게는 진통이나 로마교회의 우선권 그리고 마리아에 대한 입장 등 개혁의 대상이 되는 주장들이 있다. 이것은 이후 서방 교회의 퇴보적 경향들로 동방 교회 역사 안에서 이미 교회의 퇴보적 모습이 시작되고 있다고 하겠다. 현재의 교회는 카파도키아 교부들의 삼위일체론은 계승, 발전 시켜야 할 것이나 그들이 가지고 있었던 몇 가지의 문제들에 대해서 더 깊은 연구를 통하여, 성경적 판단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our confession to the Holy Spirit, as it has been continually believed in the faith of the Trinity. This study also considers the necessity of the 4th century's churches in which the Fathers of Cappadocia had practiced their theological system through their life in both individual aspects and social requirements. Firstly, the necessity of the 4th century's churches is examined and the faith of Origenes and his followers, Gregorius and Athanasius, is also examined to prove the continuity of the churches.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theological requirements which the 4th century's churches had, is found. On this basis, the theological system and process of Basilius is followed. Basilius discriminated ούσία from ύπόστασις from a unified church's viewpoint, contending with Arius and his followers, Sabellius and his followers. He also proved the mutual origin(αίτίος) of the Three Persons in the Trinity by a study on the use of prepositions as Athanasius had used in his expounding method of the Bible. He continually proved a distinction between ύπόστασις and an equality of ούσία, that is, όμοούσιος. He especially proved the Divine nature of the Holy Spirit by using the Bible and some of the arguments between the Fathers. If Basilius' works were esteemed as an answer for the necessity of the former churches, the theological systematizing by the two Gregorius(Naz. Ny.) was developed towards defending Basilius. The one Gregorius(Naz.) discriminated between γεννησία and έκπόρευσις. But this discrimination had already been used before him. However he had put έκπόρευσις at the front of faith. He called such an element 'scriptural economy', because it had already been revealed in the Bible, but the Holy Spirit did not teach men in weakness, but made men understand it when they could believe it. This was called progressive revelation. The other Gregorius(Ny.)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Three Gods of Basilius by discriminating between θεότης and θειότης. On this basis, θεότης is God's deed, namely One God. But θειότης, as the manner of God's being means Three Gods. These elements are the discriminations between 'the origin which has an origin' and "the origin which does not have an origin'(God the Father) in the aspect of αίτίος, and then 'the origin which has an origin' also is discriminated into both the direct nature(God the Son) and the indirect nature(the Holy Spirit). Accordingly there is only Three Gods in αίτίος. In a way, Gregorius(Ny.) confessed the faith of 'One God' through his study on Basilius' examination of prepositions and on the indivisibility and impartiality of ούσία. By the Godhood there is One God. The theological system of the Fathers of Capadocia firmly confessed that the faith of the Trinity centered on the Diety of the Holy Spirit. But they had a few traditions; the priorit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elements of Mary and anti-Pelagius tendencies. This phenomenon has already showed the deterioration of the Western Church through the Oriental Church. The present churches need to succeed and develop the theory of the Trinity confessed by the Fathers of Capadocia, but it is necessary to put the problems which they had in a Biblical evaluation through a deeper study.

      • 현대 성령의 은사론 논쟁에 관한 연구

        김병대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51679

        본 논문은 성령의 은사들을 현대교회에 적용하는 문제에 대하여 정당성이 있는 것인가를 논증하고 이어서 은사를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은사론의 세 가지 주제의 논쟁인 ‘은사의 지속과 중지론 논쟁’과 ‘오순절의 단회성(單回性)과 영속성(永續性) 논쟁’, ‘성령세례 논쟁’을 집중적으로 고찰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먼저 은사중지와 지속론 논쟁의 역사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교회사를 고찰하고 어떤 견해가 기독교전통이었으며 앞으로 과연 어떤 견해가 현재와 종말론 신학에 기여하는지 분석하여 성경 구속사에 부합하는 신학적 결론을 도출해 보려 한다. 다음에 다루어질 주제는 오순절 사건을 단회적 사건으로 보는가? 아니면 영속적이거나 반복되는 사건으로 보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주제는 은사중지와 지속론의 논쟁의 뿌리에 위치해 있는 문제이다. 대체로 은사중지론자들은 오순절의 단회성을 주장하고 지속론자들은 반복성과 영속성을 주장한다. 이제까지 이 문제를 다루었던 대부분의 문헌과 자료들은 은사의 지속과중지론 논쟁과 함께 이 문제를 함께 묶어서 설명하므로 신자들에게 개념을 구분하여 분명하게 제공하지 못한 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문제를 은사중지와 지속 논쟁과 분리하여 고찰하되 구약 레위기의 오순절 규례에서 근거를 도출해 냄으로써 이 문제를 보다 선명하게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세 번째로 성령세례 논쟁을 다루게 된다. 이는 앞에서 제기된 문제, ‘은사중지와 지속론’논쟁과 ‘오순절의 단회성과 영속성’ 논쟁과 함께 신약시대의 성령의 역사 방법에 대한 교리의 선명성(鮮明性)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개혁신학 진영이 주장하는 구원의 서정은 현실적으로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될 뿐, 성도들이 신앙생활에 실천적으로 적용하지 못하므로 신앙에 생명력을 불어넣지 못하는 사변적(思辨的) 이론이 되고 있다. 성도들이 원하는 것은 성령께서는 언제나 우리 심령에 내주하시며 어떤 방법으로 인도하시는가에 대한 답을 원한다. 왜 나는 초대교회 성도들처럼 능력 있는 삶을 살지 못하는가에 대해 원인을 알고 처방을 받으려 한다. 필자는 이 중요한 질문을 전통 개혁신학이 제시하는 교리와 함께 은사주의(charismatism)와의 조화에서 그 답을 찾아 보려한다. 이에 대한 답은 성령세례에 대한 개념 정립이 없이는 불가능하므로 각 진영의 주장들을 고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은사지속론(continuationism)적 입장의 대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위의 세 가지 논쟁의 핵심을 고찰하고 논쟁의 주제들을 새롭게 이해함으로 은사의 정당성을 확고하게 논증하고 이를 근거로 여러 은사 중에 특히 논쟁 중에 있는 ‘사도직분의 은사’와 ‘방언과 방언통변의 은사’, ‘예언의 은사’, ‘치유의 은사’에 대하여 성경적 적용을 논증함으로 좀 더 실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성령의 은사론 교리 정립에 기어코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monstrate the legitimacy of applying The Gift of the Holy Spirit to the modern church and then present alternatives to how to use it. To this end, we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thematics of the theory of The Gift: the controversy of the continuationism and the cessationism, the controversy of one-time and permanence of Pentecost, and the controversy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first of all, we will examine the church history from where the history of the controversy of the continuationism and the cessationism began, and analyze what views were Christian traditions and how they contribute to present and eschatological theology, drawing a theological conclusion that corresponds to the biblical history of redemption. The next theme to be considered is to view the Pentecostal event as a one-off event. Or it is a permanent or recurring event? This theme is a matter at the root of the controversy between continuationism and the cessationism. In general, advocates for cessationism insist on one-off event of Pentecost, and advocates for continuationism insist on repeatability and permanence. Since most of the materials that have dealt with this issue so far have been tied together to explain the issue with the controversy of the continuationism and the cessationism, there have been aspects that have not been clearly presented to Christians by separating the concepts. Thus, this dissertation considers the issue separately from the controversy of the continuationism and the cessationism, but tries to show this issue more clearly by drawing evidence from the Pentecostal ordinances of the Old Testament Leviticus.Third, this dissertation will deal with the controversy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is, together with the controversy of “the continuationism and the cessationism” and “the controversy of one-off and permanence of Pentecost,” posed an ambiguity in the clarity of doctrine of how the Holy Spirit works in the New Testament. The lyric of salvation insisted by the Reformed theological camp is, in reality, only a subject of study by scholars, but it is becoming a speculative theory that the Saints do not apply practically to the life of faith. The Saints want an answer to when the Holy Spirit dwells in our spirits and how he will lead us. I want to know the cause and get a prescription for why I can't live a powerful life like the Early Church Saints. I try to find this answer in harmony with charismatism with the doctrines of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The answer to this is impossible without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so we will examine the arguments of each camp and suggest an alternative of the continuationism posi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essence of the above three controversies and provides a new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of controversy, thereby firmly demonstrating the justification of The Gift and, on the basis of these, by demonstrating the biblical application of “the gift of administration of apostle”, “the gift of tongue and tongue interpretation”, “the gift of prophecy”, and “the gift of divine healing” especially in dispute among many gifts,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a more practical and future-oriented doctrine of the gift of the Spirit.

      • 개혁주의 성만찬에 대한 재고찰

        이재호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장로교회의 성만찬 신학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을 통하여 먼저 성만찬이란 무엇이고, 어떤 근거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지를 밝히며, 또한 칼빈의 성만찬 신학이 로마 카톨릭, 다른 개혁주의 신학자들과 어떤 점에서 다른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칼빈의 성만찬 신학에 근거할 때, 과연 한국 장로교회의 성만찬 예전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성만찬의 기원과 의미를 구약과 신약의 배경 하에 살펴보았는데, 그럼으로써 성만찬이 임의적으로 또는 주관적으로 행해져서는 안 되는 것이며, 성경에 근거한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임을 살펴봄으로 반드시 순종하고 따라야 됨을 살펴보았다. 또한 성만찬 논쟁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까지 성만찬 신학이 어떻게 흘러왔으며, 또한 어떤 문제점을 우리에게 안겨다 주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가운데 특별히 로마 카톨릭 교회의 화체설에 대한 개혁주의 입장을 루터, 쯔빙글리, 칼빈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취해야 할 개혁주의 성만찬 신학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하여 현재적으로 한국 장로교회의 성만찬 예전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성만찬 신학의 부재, 예전에서의 문제점, 성만찬 논쟁으로 인한 교회분열의 문제점 등을 살펴보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회의 표지로써 성만찬 집행의 중요성과 필요성 강조, 성만찬 예전의 빈번한 집행, 에큐메니칼 운동의 산물인 리마문서의 정신계승과 현실적인 적용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 논문 이전에 이미 성만찬 회복에 대한 수많은 논문과 의견들이 있음에 새삼 놀라게 되었다. 그러나 성만찬에 대하여 그 출발점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 역사적 흐름을 짚어보고, 오늘날 한국 장로교회 성만찬의 문제점에 대하여 개혁주의 입장에서 그 해결점을 제시하였다는 것이 본 논문의 의의라고 할 것이다. 바라기는 본 논문을 통하여 목회현장에서 성만찬 회복을 통한 예배갱신운동을 감당하고 있는 목회자들에게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ver the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For so doing this, first, I'd like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to make clear on what basis it was come up with and to examine how Calvin's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other Reformed theologians. Further, based on Calvin's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I'd like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liturgy of the Lord's Supper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suggest its solution. In this thesis,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Lord's Supper have been examined under the background of the Old and New Testament. Then, it is claimed that the Lord's Supper should be performed not of someone's own accord or subjectively but in the obedience of the order of Jesus Christ based on the Bible. Further, from the historical study on the arguments about the Lord's Supper, it is examined how the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has been formed and what problems have been brought about with regard to it. Especially, the focus has been on the Reformed position with regard to the transubstantiation of the Catholic Church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among the Reformers like Luther, Zwingli and Calvin, and it has been made clear what position we should take. Based upon such a study, the problem of the liturgy of the Lord's Supper in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has been looked into. More concretely, while examining the absence of the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the problem of its liturgy and the disjunction of churches due to the dispute about the Lord's Supper, the followings have been suggested as a way of solving such problem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Lord's Supper as the sign of the church should be emphasized, the frequency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Lord's Supper should be increased and the spirit of the Lima Document or BEM(Baptism Eucharist Ministry), which is the outcome of the ecumenical movement, should be succeeded to and put into practice.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it is surprising to me to find that there have been already lots of papers and viewpoints about the recovery of the Lord's Supper preceding this thesi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stream of the Lord's Supper from its beginning up to now and to suggest a solution for the nowaday problem of the liturgy of the Lord's Supper from the view point of Calvinism. It is my expectation that this thesis may be helpful to the movement of the worship service renewal through the recovery of the Lord's Supper at the field of the ministr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