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열린 신학(Open Theism)에 관한 연구 : 복음주의 신학에서의 평가

        김병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1711

        ABSTRACT A Critical Evaluation of Open Theism from The Evangelical Theology Perspective Kim Byung Kee Department of Theology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First of all, open theism presupposes libertarian freedom in the sense that free human choices and decisions are unknown even to God, and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In order to theologically support this negation of God's foreknowledge, open theists claim first, voluntary self-limitation of God's sovereignty. This introduces the concept of God's openness, that the future is also open to God. Second, it is explained that this self-limitation of God is for the give-and-take relationship of love between God and humans. Third, for this purpose, it is argued that love is the essence of God and the best attribute. Fourth, since God cannot know the choices and decisions of human libertarian freedom, a risk model for divine providence is introduced. God takes risks in the sense that He allows things to happen that He did not intend. As a result, God experiences failure and setbacks. Fifth, it insists on presentism for the foreknowledge of God. So God knows the past and the present perfectly, but is ignorant of the future, which requires human libertarian freedom to choose and decide. God only predicts these futures with high possibility and probability. Sixth, they modify traditional divine attributes accordingly. For example, they assert that God's omniscience knows all that can be known (the future is not known because it does not yet exist), and that omnipotence is God's ability to cope with any situation. Finally, they claim that open theism is biblical, interpreting Bible passages such as God's regret and change of mind literally. Open theism, which has received the attention of 21st-century American theology, is one of the most fascinating trends in modern evangelicalism. But open theism leaves believers with a God who has nothing to do with our faith and life, and a God who is thoroughly misl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oint out and correct the errors of open theism based on orthodox theology and the Bible. In this respect, research on open theism has important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rst, to prove that open theism is a theology that accepts many theories from process theology, and it deviates from historical and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because it completely denies the paradigm of traditional theology. Second, open theism argues that the Bible should be in dialogue with post-modern culture and emphasizes the need for an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at fits with modern culture, but rather maximizes human freedom and does not mention God as judge at all. It emphasizes only God the Father who experiences failure and learns through frustration through this relationship. I would like to reveal that it is a post-modern theology that fits the current trend of American society. Third, open theism limits God's sovereignty and denies God's meticulous providence. In addition, while criticizing theological determinism, it denies God's exhaustive foreknowledge and maximizes human freedom. This open theism claim is in direct conflict with the Reformed viewpoint. Reformism adheres to theocentrism, but open theism advocates an anthropocentric view. Accordingly, I would like to critique the claims of open theism on God's sovereignty and providence, predestination and foreknowledge, which are the core subjects of theology, while comparing them with the reformed viewpoint. Fourth, although the debate over whether open theology can be viewed as an evangelical theology continues, by examining the debate on the theological standpoint of open theism, open theism has become the category of Arminian theology that claims to have its own theological roots, would not be considered. In conclusion, open theism is thought of as a theology whose content is full of process theology and whose packaging is Arminian theology. Through this critique of open theism,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the orthodox theology formed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after the Reformation will be further enhanced. Lastly, although open theism has many theological errors, the researcher wants to appreciate its theological motives. Because, first, it tried to connect theology with the practical aspect of faith while trying to give answers to the believers' religious life (especially the problem of prayer) and the problem of evil. And second, It g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nd third, it provided a friendly God to modern people through the dynamic model of God responding to human needs. 논문개요 열린 신학은 무엇보다 먼저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결정들은 신조차도 알 수 없다는 의미에서, 자유의지적 자유(libertarian freedom)를 전제하고 신의 완전한 예지를 부정한다. 열린 신학자들은 이러한 신의 예지의 부정을 신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첫째, 신의 주권에 대한 자발적인 자기 제한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미래가 신에게도 열려 있다는 신의 개방성의 개념을 도입한다. 둘째, 이러한 신의 자기 제한은 신과 인간의 호혜적인(give-and-take) 사랑의 관계성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셋째, 이를 위해 사랑이 하나님의 본질이며 최고의 속성이라고 주장한다. 넷째, 신도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신의 섭리에 대한 모험 모델을 도입한다. 신이 의도하지 않은 것들이 일어나는 것을 허용한다는 의미에서 신은 위험을 감수한다. 따라서 신도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다. 다섯째, 신의 예지에 대해 현재주의(presentism)를 주장한다. 그래서 신은 과거와 현재를 완전하게 알지만, 인간의 자유의지적 자유의 선택과 결정이 필요한 미래에 대해서는 무지하다. 신은 단지 이러한 미래를 높은 가능성과 확률로만 예측한다. 여섯째, 이에 따라 전통적인 신의 속성들을 수정한다. 예를 들면 신의 전지성은 알려질 수 있는 모든 것을 안다는 것이며(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알려질 것이 없다), 전능성은 신이 어떤 상황에도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후회, 마음 바꿈 같은 성경 구절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면서 자신들의 신학이 성경적이라고 주장한다. 21세기 미국 신학계의 주목을 받은 열린 신학은 현대 복음주의에 있어서 가장 매혹적인 경향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열린 신학은 우리의 신앙과 삶과는 아무런 상관없는 하나님, 그리고 철저히 오도된 하나님을 신자들에게 남겨놓았다. 따라서 정통적인 신론과 성경에 근거하여 열린 신학의 오류를 지적하고 바로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서 열린 신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에서 많은 이론을 수용한 신학으로, 전통적인 신론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부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에서 일탈했음을 입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열린 신학은 성경이 포스트모던 문화와 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현대 문화와 맞는 성경해석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지만, 오히려 인간의 자유를 극대화하고 심판자로서의 하나님은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사랑하고 관용하며 대화하는, 이런 관계를 통해 실패를 경험하고 좌절하면서 배워나가는 아버지 하나님만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열린 신학은 현대 미국 사회의 시류에 영합한 포스트모던 신론임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 열린 신학은 하나님의 주권을 제한하고 하나님의 섬세한(meticulous) 섭리를 부정하고 있다. 또한, 신학적 결정론을 비판하면서 하나님의 완전한 예지를 부인하고 인간의 자유를 최대한 신장하고 있다. 이러한 열린 신학의 주장은 개혁주의 관점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론의 핵심 주제인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 예정과 예지에 관해서 개혁신학을 비판하는 열린 신학의 주장들을 논박하면서 비평하고자 한다. 넷째, 복음주의 신학 안에서 일어난 열린 신학에 관한 논쟁을 고찰함으로써, 열린 신학을 복음주의 신학으로 볼 수 있느냐의 논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열린 신학이 자신들의 신학적 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알미니안 신학의 범주로는 간주 될 수 없음을 밝히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열린 신학은 과정 신학의 수용으로 인해 내용물은 과정 신학으로 가득 차 있고, 포장은 알미니안 신학으로 되어있는 신학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연구자는 열린 신학에 관한 이러한 비평을 통해서 종교개혁 이후 개혁주의 관점에서 형성된 정통적인 신론의 가치가 더 고양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열린 신학이 많은 신학적 오류를 가지고 있음에도, 연구자는 그 신학적 동기는 높이 사고 싶다. 왜냐하면, 첫째, 신자들의 신앙생활(특히, 기도의 문제)과 악의 문제에 답변을 주고자 하면서 신학을 신앙의 실천적인 면과 연결을 시도했으며, 둘째, 범재신론의 관점이 아닌 의미에서 보면, 관계적 신론을 통해 하나님과 인간의 인격적인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주었고, 셋째, 인간의 요구에 응답하는 역동적인 하나님의 모델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친근한 신관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 존 스토트 신학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1966년 전국복음주의자대회(NAE)를 중심으로

        정천화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51711

        인간 역사는 하나님이 주관하시며 하나님의 뜻이 관철되는 것으로 고백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인간의 역사는 타락한 인간들이 벌이는 투쟁의 역사라는 것을 인정한다. 물론 세속사는 전반적으로 타락한 인간의 욕망과 싸움으로 점철된 투쟁의 역사, 전쟁의 역사이지만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뜻에 따라 하나님의 백성을 세우시고 하나님의 나라, 또는 교회의 역사를 배제하고는 정당하게 논의될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의 역사는 하나님의 나라와 교회의 역사라는 조망 속에서 온전하게 파악할 수 있고 조명될 수 있다. 교회의 역사가 인간의 역사 가운데 나타나고 인간의 역사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듯이 세속사도 교회의 역사에 상당한 영향을 끼쳐왔다. 이것은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지만 현실적으로 죄인이면서 의인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신자들의 모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 역사는 한편으로는 인간 역사에서 드러나는 죄악과 잘못들과 오류들과 싸우는 역사로 드러났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별히 종교개혁의 정신과 함께 태동한 복음주의(개신교) 역사는 이러한 교회의 역사를 풍부하게 보여주었다, 20세기 초반 미국의 기독교를 주도하였던 근본주의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신복음주의는 빌리 그래함이라는 전도자를 통하여 비약적으로 성장하였다. 빌리 그래함의 전도집회는 세속주의와 자유주의의 이어지는 공격으로 무너지고 있던 영국 성공회에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영국 복음주의를 이끈 인물이 존 스토트였다. 1967년 ‘키엘대회’를 계기로 당시 청교도적인 복음주의 운동을 주도하던 로이드 존스와 비국교도 복음주의 운동과 존 스토토가 지도한 성공회 복음주의 운동은 결정적으로 결별하게 되었다. 이후 존 스토트는 WCC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고 제삼 세계 마르크스주의자들과 급진적인 복음주의자들과 교류하면서 급진주의로 급격하게 경도되었다고 여겨진다. 1974년 로잔대회를 주도한 존 스토트는 마르크스주의 사상이 드러나는 신학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에서는 존 스토트가 기획하고 지도했던 복음주의의 본질을 신학적인 개념과 영국과 영국 국교회와 복음주의의 역사 속에서 파악하고 현대 20세기에 드러난 복음주의의 분열 모습, 특히 1960년대 존 스토트와 로이드 존스의 분열로 드러난 신학의 차이를 역사적 사실과 신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분석한다. 존 스토트의 복음주의가 당시의 주요한 도전이었던 에큐메니칼 운동과 관련하여 복음주의가 나아갈 길을 모색하였지만 로이드 존스의 경고대로 복음주의의 본질을 훼손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로이드 존스와 존 스토트 논쟁의 핵심 이슈인 교회론과 관련하여 여러 텍스트를 통하여 비교되고 분석되는데 이러한 역사적 신학적 연구를 통하여 로이드 존스와 존 스토트의 역사적 분열에 관한 진실들과 신학적 차이점이 부각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의된 것들과 관련하여 로이드 존스와 존 스토트가 분열한 1966년 대회의 사실적인 재구성을 통하여 당시 복음주의의 핵심쟁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진정한 교회 연합의 기초가 무엇인지 밝히는 더욱 풍성한 논의들이 생산되는 것이 세계 복음주의 미래를 위한 반성적인 토대가 될 것이라 여겨진다.

      • 일터 교회 사역 유형별 영성 성숙도 연구 : 일터 신학의 관점에서

        김동연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51711

        논문의 주제는 [일터교회 사역 유형별 영성 성숙도 연구]이며, 부주제는 [일터 신학의관점에서]이다. 이에 대한 이슈로서, 오늘의 ‘기독교 신앙’(Christian Faith)과 ‘노동의 관계’(Labor Relations)를 규명하는데 많은 관심을 쏟아왔다. 그 시기가 종교개혁 후부터 본격적이라는 것은 점차 그 진실이 그리스도인의 삶의 현장에서 규명되기 시작했다. 현대 개혁주의 신학을 대변하는 신학자나 칼빈주의와 개혁교회의 전통에서 ‘하나님의 부르심’(God‘s Calling)이라는 일-노동의 또 다른 측면을 연구하고 있다. 즉 개혁적인 시각에서 노동의 목적은 하나님을 높이고 인류를 번성케 하는 문화를 창출(創出)하는 것을 성 경에서 명하는 교훈으로 받아들인다. 철학적인 지식의 발판은 노동의 가치에 대하여 기성적이고 단번에 깨뜨릴 수 없는 판도(版圖)와 같이 일에 대한 천박함을 대변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성경의 교훈은 기독교의 일-노동‘에 대한 철학적 진리에 정반대로 다가서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일-노동‘이라는 영역이 우리의 삶과 일터 속에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가를 성경적, 신학적 그리고 영적인 잣대로 연구하여 일터 교회와 관계된 이슈를 목적대로 연구하여 실천 방안과 방향 제시를 내놓는다.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identifying today's Christian Faith and Labor Relations. That the period is in full swing after the Reformation gradually, the truth began to be clarified in the field of Christian life. It’s studying another aspect of work-labor of God's Calling in the tradition of theologians and Calvinism and the Reformed Church with Representing Modern Reformed Theology.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reformative view of labor is take it as a lesson from the Bible to create a culture that enhances God and promotes the flourishing of mankind. The foundation of philosophical knowledge is speak for the vulgarity of work as an established and unbreakable platform for the value of labor. On the contrary, the Bible says, It is approaching the opposite of the philosophical truth about Christianity's "Work-Labor”. So a dissertator how can the area of "Work-Labor" be integrated into our lives and workplaces? It has been studied by theological, biblical and the spiritual yardstick. The title of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pirituality Maturity by the Types of Workplace Church“, And Subtitles are ”From the Standpoint of Workplace Theology“, by study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workplace of the paper as a goal. To present practical measures and directions.

      •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의 학문성 분석 : 종교론을 중심으로

        진성철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1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chleiermacher’s academic characteristic and academic methods, and to evaluate his theology through his major work, On Religion: Speeches to Its Cultured Despisers (1799).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the Enlightenment finds its roots in reason.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practical philosophy of Immanuel Kant is rooted in the praxis-moral. In On Religion, Schleiermacher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the methods, that is the reason rooted in the Enlightenment and the praxis-moral by Kant. In his opinion, on the premise that religion is to approach the Infinite, he suggests that only a single method such as reason or practice alone cannot approach the Infinite. Therefore, to discuss religion, he states that his academic characteristic is based on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not an independent method such as enlightenment according to Kant. Hence, his method is assessed as the best humanistic approach, inherited from the Enlightenment, because it not only overcame the limitation of reason or practice, but also included even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ctice. Schleiermacher’s academic methods consist of religious intuition (Anschauung) and religious feeling (Gefühl). He says that religious intuition and religious feeling are inseparable. Religious feeling does not exist alone and is dependent on religious intuition, and intuition is based on human nature and does not deny the methods of reason and praxis-moral. Rather, because religious intuition comes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praxis or moral, sensuality, and intellect, it includes methods of reason or practice. Hence, his academic methods, intuition and feeling, come from the holistic human nature and include all of the Enlightenment methods and Kant’s method. Regarding Schleiermacher’s theology, it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enlightenment theology and its groundwork is not revelation but human nature. In On Religion, he defined the Bible not as the Word of God and special revelation, but as document reflecting the fruit of human nature and the age. Hence, he argued that the Bible is not an invaluable record for those who do not develop human nature. This is understandable that he inherited the ideas of the Enlightenment concerning the Bible. However, a difference is the standard of biblical understanding that is not rooted in the reason of the Enlightenment, but human nature which includes reason. Regarding Christology, Schleiermacher identified Christ not as God but as a perfect human being having God-consciousness (Gottesbewußtsei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od-consciousness, Christ was able to be an intercessor and was approved as God’s son. In addition, by defining Christ’s intercession as an awakening of an incomplete human nature, he excluded redemptive work from Christ’s work. Hence, his Christology is located in the flow of the historical Jesus studies and it reveals that the standard of judgment about Christ shifted from human reason to human nature. In conclusion, how can Schleiermacher’s approach of human nature contribute to Reformed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Reformed theology viewed religion as “the right manner of knowing and serving the true God” which consists of objective religion and subjective religion. In particular, given that subjective religion is a response of a man who was changed by the Holy Spirit, Schleiermacher’s concept of human nature is not appropriate. From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human nature is totally depraved, corrupt and not dependent upon God’s revelation. However, we can partly accept his suggestions of the human nature approach, including practice and reason, under the premise of human nature changed by the Holy Spirit. It is appropriate for theologians to seek for a viewpoint not only depending on practice and reason but hav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s approach to God. 본 논문은 종교론을 통해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성과 그 수단을 연구하고, 그리고 그로 말미암은 그의 신학을 진단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계몽주의의 학문성은 이성에 근거하고, 칸트의 실천철학의 학문성은 실천-도덕-에 근거한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이성과 실천의 방법의 한계를 지적한다. 종교는 무한자에게 나아가는 것인데,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만으로는 무한자에게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종교를 논의할 수 있는 것은 이성, 실천의 개별적인 수단이 아닌,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근거해야 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방법은 그의 학문성이 이성이나 실천의 한계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이성과 실천의 방법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서, 계몽주의의 방법을 계승하는 ‘인본주의적인 수단’의 최고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은 종교적 ‘직관(Anschauung)’과 종교적 ‘감정(Gefühl)’이다. 그는 먼저 종교적 ‘직관’과 종교적 ‘감정’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종교적 ‘감정’은 홀로 존재할 수 없으며, 그것은 ‘직관’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직관’은 인간 내면의 ‘인간성(Menschheit)’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계몽주의의 ‘이성’이나 칸트의 ‘도덕-실천-’의 방법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종교적 ‘직관’은 이성, 실천-도덕-,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全人)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이성적 수단이나 실천적 수단을 모두 수용한다. 따라서 슐라이어마허의 학문적 수단인 직관(Anschauung)과 감정(Gefühl)은 이성, 실천, 감성, 오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Menschheit)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계몽주의와 칸트의 방법론들을 모두 포괄하는 수단인 것이다. 종교론에서의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은 계몽주의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계시가 아니라 인간성(Menschheit)에 기반을 두고 있다. 슐라이어마허는 종교론에서 성경이 특별계시인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 종교에 대한 단순한 기록이면서, 인간성의 산물이고, 시대를 반영한 단순한 기록에 불과한 것이라고 정리한다. 따라서 그는 인간성을 꽃피우지 못하는 사람에게, 성경은 가치없는 ‘기록물’에 불과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는 계몽주의의 성경관을 계승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경관에 있어서 그가 계몽주의와 다른 점은, 성경이해의 잣대를 계몽주의의 인간 ‘이성’이 아니라, ‘이성’을 포함하는 ‘인간성(Menschheit)’에 둔다는 점이다. 종교론에서 슐라이어마허는 그리스도를 하나님(神)이 아니라, 신의식(Gottesbewußtsein)을 가진 완전한 인간으로 규정하고, 그리스도가 신의식의 능력으로 중보자(Mittler)가 될 수 있었으며,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을 불완전한 ‘인간성(Menschheit)’을 일깨우는 사역이라고 규정함으로서,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속죄를 제외시켰다. 이러한 슐라이어마허의 기독론은 ‘역사적 예수 연구’의 흐름 속에 있는 것이면서, 그리스도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인간의 ‘이성’에서 ‘인간성’으로 옮겨놓은 특징을 잘 보여준다. 슐라이어마허의 ‘인간성(Menschheit)’의 수단이 21세기 개혁교회에 공헌할 수 있는가? 개혁신학의 통례를 따라 ‘하나님을 알고 예배하는 올바른 방법’인 ‘종교’를 분류하면,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객관적 종교’와, 계시에 대한 인간의 반응으로서의 ‘주관적 종교’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관적 종교는 성령에 의해서 변화된 사람의 ‘계시에 의존적인 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슐라이어마허의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법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의 인간성은 전적으로 타락하고 부패해버린 것이며, 하나님의 계시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슐라이어마허가 제안한 이성이나 실천의 방법을 포괄하는 전인적인 ‘인간성’의 방식은, 성령에 의하여 변화된 인간 ‘성품’을 전제로 하는 방식으로 제한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학하는 자가 ‘이성’이나 ‘실천-행위-’적인 방법들에만 의존하기보다, 하나님의 은혜로 변화된 전인(全人)으로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이 마땅한 것이기 때문이다.

      • 교회의 보편성과 한국교회 :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론을 중심으로

        장은총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의 교회론에 관한 연구이다. 바빙크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개혁파 신학자로서 16세기 칼빈 이후 발전된 개혁신학을 체계화시켰으며, 개혁파 전통이 근대에까지 이어지도록 공헌한 신학자라 할 수 있다. 그의 대표 저서 『개혁교의학』을 보면 ‘주관성의 세기’라 할 수 있는 18세기의 개혁파 신학의 요소가 잘 나타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대의 철학과 교회의 역사에 능통한 신학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오직 성경 중심’으로 신학을 전개하였다. 또한 바빙크는 네덜란드 교회의 격동기를 살았던 인물이라 할 수 있는데, 그는 자신이 처한 교회 현실 상황을 외면하지 않았다. 그래서 ‘분리측’(Af'scheiding) 교회 출신이면서도 자신의 입장을 초월하여‘애통측’(Dolean'tie)과 합동에 앞장서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바빙크는 신학과 신앙의 터전인 교회의 일치를 추구하 였을 뿐만 아니라, 기독교가 공적인 영역의 지위를 잃은 채 신앙 안에서만 논구되고 있는 당시 신학 현실을 바라보면서 교회의 보편성의 중요성을 드러내어 밝혔던 신학자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신학적 정황이 담긴 바빙크의 교회론을 그의 교의학적 주저인 『개혁교의학』과 교회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다음 네 가지 차원으로 논구하고자한다. 1.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교회의 본질), 2. 그리스도가 주인인 교회(교회의 통치), 3. 하나님의 법으로서의 교회(교회의 권세)를 통해 개혁파 교회론을 세운다. 4. 세상과 관계하는교회에서는 「바빙크의 일반은총」(Common Grace), 「기독교와 교회의 보편성」을 통해 바빙크가 가지고 있던 세상과 관계하는 교회의 보편성을 고찰한다. 따라서 본 논문이 추구하는 바는 바빙크 자신이 가졌던 박식한 철학, 인문학 지식과 신학 지식을 이론에만 머무르지 않고 네덜란드 교회현장에서 신학과 신앙을 실천했던 것을 고찰해 봄으로서 교회론을 다루는 것은 단순한 이론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이론을 현재화 하고 현실 교회에 적용하며, 또한 미래를 준비하는 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자 함에 있다. 더 나아가 지구촌이 세계화되는 가운데 문화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현실에서도 변함없이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세상을 구원하기를 원하신다. 그러므로 교회는 세상을 섬기는 하나님 백성의 모임이 되어야 한다.”는 교회론의 기본을 떠나지 않는 가운데, 바빙크의 교회론에 입각하여 한국교회의 현 주소를 진단하고 직시함으로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세상과 올바른 관계를 맺는 교회론을 세워 나가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an ecclesiology of Herman Bavinck (1854-1921). As a reformist theologian of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Bavinck systematized Reformed theology developed after Calvin in the 16th century, and contributed to the Reformed tradition extending to modern times. His representative book, "Reformed Dogmatics", shows not only the elements of the Reformed theology of the 18th century,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century of the subjectivity", but also the theologian who is well versed in the philosophy and the history of the church of the time. Based on the above, he developed theology as 'Sola Scriptura(by scripture alone)'. Bavinck also lived in the turbulence of the Dutch church, but he did not turn away from the reality of his church. Thus, although he came from Af'scheiding church, he transcend his position and pioneered the collaboration with Dole'tie church. In this way, Bavinck not only pursued the unity of the church, which is the place of theology and faith, but also revealed the importance of the universality of the church, in a situation where Christianity had only been discussed within faith, but losing its status as a public realm.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scuss Bavinck's ecclesiology with the above theological contexts in the following four dimensions, focusing on the “Reformed Dogmatics”, which is his principal work, and his works which emphasized the universality of the church. Establish a Reformed ecclesiology through: 1. The church as God's people (the essence of the church), 2. The church where Christ is the master (the reign of the church), 3. The church as the law of God (the power of the church). In the 4. The Church's relation with the world, I examined the universality of the Church in relation to the world that Bavinck had, through "Common Grace" and "Catholicity of Christianity and the Chur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fact that dealing with ecclesiology is not a matter of simple theoretical dimension, but that it brings the theory to the present day, applying it to the actual church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Bavinck practiced the theology and the faith in the field of the Dutch church without remaining in his erudite philosophy, humanities knowledge and the theological knowledge. Furthermor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world is becoming globalized and culture is increasingly spreading, without leaving the basis of ecclesiology such as "God wants to save the world through the Cross of Jesus Christ Therefore, the church must be a gathering of God's people who serve the world.",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cclesiology that will make the right relationship with the world by diagnosing and facing up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based on the Babcock's ecclesiology.

      • 곤잘레스의 역사서술에 관한 분석

        고철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1711

        교회사 서술이란 신학의 한 분과로서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담고 있다. 왜냐하면 교회사 서술 방식은 인간중심의 보이는 역사만을 서술하거나 모든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역사하심과 역사의 개입을 더욱 중요하게 살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교회사는 역사신학이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즉 기독교의 역사이해는 역사철학이라기보다는 역사신앙에 더 가까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학문이 가지는 객관성을 외면하지 않으면서 보이지 않는 역사와 그 흐름에 관하여서도 외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자세로 요구된다. 특히 역사이해 역시 신학적 입장이라고 할 때에 개혁주의적인 안목을 가진다고 하는 표현은 성경이 강조된다는 또 다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 안목 속에서는 단지 성경을 인용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경의 사상과 가르침을 인정하면서 교회사를 서술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교회사에 관한 많고 다양한 서술들을 보면 객관적인 자료들은 풍성하게 제시하였으나, 성경이나 성경의 가르침과는 상관없이 단순히 교회의 흐름이나 활동을 정리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이러한 역사서술을 어떻게 보고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 그 대표적으로 한국교회와 신학교에서 많이 사용되는 곤잘레스의 교회사 기록방법에 대한 분석과 그 신학적 전제 그리고 그 신학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곤잘레스 자신만의 독특한 신학적 분류인 A, B, C 유형과 그 역사관을 분석함으로 그가 왜 유형 C를 현대적 대안의 신학으로 제시하게 되는가를 살피게 될 것이다. 즉 곤잘레스의 역사서술 방법은 성경에 근거한 것이라기보다는 자기 전제에 입각한 실용주의적 해석을 담고 있으며, 개혁주의적인 사고와는 차이가 난다. 그러나 그의 역사서술은 대중적인 교회사 서술이기에 신학적인 고민을 담아보았다. The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contains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which is a part of theology. The method of the description is not confined to man-oriented, visible history. It is also to examine seriously the work of God in the process of history. This is the reason why Church history is regarded as a part of theology, and called as the theology of history. In Christianity,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s closer to the faith of history than the philosophy of history. We should, however, not underestimate academic objectivity as well as invisible history and its process.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s the subject of theology. To have Reformed insight means to emphasize Biblical teaching. But it does not mean to simply quote passages from the Bible. What the Reformed insight require is to write Church history with the recognition of the Biblical ideas and teaching. Many studies on Church history have presented plenty of objective historical resources. But most of them have only explained the process of Church history and activities of Church without the recognition of the Biblical ideas and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 to how to see and estimate this kind of the description of history. Gonzalez and his historical description which is familiar to Korean Church and Seminaries, are the main thesis in this study. This study analyses the method that he took for the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and estimates his theology and it's basis. Especially his historical view and his unique the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ontains type A, type B, and type C, are analys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analysis, the reason why he presented type C as an alternative theology, could be explained. In conclusion, his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depends on pragmatic interpretation, rather than biblical interpretation. In fact, his historical description is not based on Reformed theology. However,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his description, the method that he took for the description of Church history, has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 개혁신학으로 재구성한 정신분석적 인간이해모델 연구 : 정신분석전통의 본성, 자기, 대상관계개념을 중심으로

        노승수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1711

        본 연구의 목적은 개혁신학의 인간이해에 근거해서, 정신분석전통의 여러 이론들에 나타난 임상적 인간이해를 재구성하고, 이를 근거로 기독교상담의 실제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간이해모델을 개발하고, 임상장면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핵심감정(nuclear feeling)의 종류를 개략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성경과 신학이 말하는 인간에 대한 다양한 논점들이 있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어거스틴(Augustine)이 말하는 인간본성과 자유의 4가지 상태들 중에 우리가 현실에서 만나는 죄를 짓지 않을 수 없는(not able not to sin) 구도자의 상태와 거듭나서 죄를 짓지 않을 수도 있는(able not to sin) 중생자의 상태를 중심으로 인간이해모델을 논했다. 이는 목회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모두 상담으로 신앙과 삶을 증진하는 도구가 되도록 하는 목적을 지녔다. 또한 본 연구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3가지 주제, 곧 관계성, 본성, 주체를 중심으로 정신분석전통의 여러 이론들을 신학적으로 재구성했다. 이를 기초로 기독교상담의 현장에서 인간에 대한 실제적 이해와 기독교만의 독특한 상담모델을 구현해보려고 했다. 상담자의 치료 과정을 통해, 구도자 개인이 느끼는 핵심감정의 문제와 현실적응 문제를 개선하고 나아가 복음전도의 기회와 방편을 상담을 통해 구현하려고 노력했다. 더 나아가서 중생자의 성화를 촉진하고 영적 질병의 치료과정으로 개혁신학적인 기독교상담에서 치료개입모델을 개발했다. 이동식의 상담모델을 개혁신학의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사도신경과 기독교 강요의 구조를 따라 재구성을 한 치료개입모델을 제시했다. 핵심감정은 두 축, 곧 양육자(Key figure)의 태도와 내담자의 자극-반응 기제라는 축을 중심으로 여러 종류의 핵심감정을 제시하려고 시도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치료개입에서 상담의 시종일관 핵심감정이 다뤄지기 때문이며, 특히 첫 면접 때, 핵심감정과 역동 진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실제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감정의 패턴을 연구자의 임상 경험들과 사례를 통해서 제시하려고 노력했다. 이 노력은 기독교 신앙에 관심이 있거나 기독교 신앙 안에 있으면서 고통 받는 내담자들이 영적 질병과 갈등에서 벗어나 진정한 신앙적 자유와 삶의 행복을 누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실천적 연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an clinical understanding of humanness displayed by various psychoanalytic traditions, and on the basis of that reconstruct, to try to develop and use a useful Christian counseling on based a Reformed Theology for concrete situations and to sort out the kinds of nuclear feeling which can be useful to counseling situations. There are various viewpoints on the humanness which the Scriptures and theologies might tell. I chose to discuss the human understanding model of humanness on the basis of Augustinian view on human nature and the four status, especially the seeker's status of ‘not able to sin' and the born-again status of ‘able not to sin.' It is because we usually meet these two groups of peoples in real counseling situations and we are trying to help these get out of their sickness and struggles into the situations of enjoying the true spiritual freedom and the happiness of life. Next aim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ologically the various theories of psychoanalyses focused on the three main subjects, relationships, human natures, human subjectivity, trying to reconstruct a re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humans and a unique Christian counseling model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try to make clear seeker-counselee's nuclear feelings that a seeker feels subjectively in oneself and to make ways of recovering one's resiliency to life, so as to make use of the opportunities to evangelism. Furthermore, We try to help born-again believers to advance the stages of sanctification, solve the issues of sins, guilts, and spiritual sicknesses. We try to develop a Christian healing model on the basis of a Reformed theology. We suggest a therapeutic intervention model based on Dong Sik Lee's counseling model and according to the structures of the Apostles' Creed and Calvins' Institutes. We try to typify the nuclear feelings through two axis; one is the attitudes of parents as key figures, the other the stimulation-responses. With the first interview we should diagnosis one's nuclear feelings and dynamics; if not, the benefits of the therapy can not be accomplished. So establishing the types of two axes are very important. The whole process of counseling deals with the issue of nuclear feelings. We have tried to suggest the patterns of feelings by ways of our clinical experiences and the real cases we have met. This study is a practical study for the counselees who are in the Christian faith to have and enjoy the spiritual freedom and the live happiness out of spiritual sickness and struggles.

      • 네스토리아즘의 中國 傳來에 대한 神學的 考察

        신길수 웨스트민스터神學大學院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논문은 고대에 중국에 전래된 페르시아의 네스토리우스파 교회인 景敎에 대한 신학적인 연구이다. 주지하다시피 네스토리우스는 에베소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그러나 '네스토리우스는 네스토리우스파가 아니다'라는 말이 나올 만큼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고, 지금도 그 논쟁은 끝이 난 것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1623년 중국의 장안에서 '景敎'라 불렸던, 네스토리우스파 교회의 기념비인 '大秦景敎流行中國碑'가 발굴되었는데, 거기에는 경교의 신학적 진술이 포함되어 있었다. 오늘 날까지 이단의 굴레를 벗지 못한 네스토리우스의 신학을 간접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 대진경교유행중국비를 중심으로 경교의 신학적 입장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먼저는 시리아의 에뎃사를 중심으로 한 原始동방교회가 어떻게 해서 네스토리우스파를 추종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면서, 동서교류사적인 측면에서 동방교회의 동방 선교를 다루었다. 연구 결과 고대 로마 시대부터 이미 중국과 많은 문물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唐代에 페르시아의 선교 지향적이었던 네스토리우스교회가 중앙아시아를 넘어 중국 선교를 시도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는 키릴과 네스토리우스 사이에 있었던 신학 논쟁을 통해서 과연 네스토리우스가 이단을 주장했는가를 살펴보고, 이어서 대진경교유행중국비를 중심으로 경교의 신학을 연구해 보았다. 경교는 이 비문에서 비록 中國化의 과정을 밟고는 있었지만 니케아신조나 에베소신조, 칼케돈신조에 비교해 볼 때, 이단적인 요소를 발견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된다. 무리한 정치적인 결정이 '이단 아닌 이단'을 만들었지만, 네스토리우스파는 세계교회사에서 유래를 찾기 어려울 만큼 큰 선교적 성과를 남겼다는 점에서 재조명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경교가 강한 정치체제로서의 儒敎, 전통 종교이자 황실의 종교였던 道敎, 이방 종교였으나 민중들 속에 이미 자리 잡은 佛敎의 강한 종교적·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던 중국의 唐代에 어떻게 자신들의 입지를 세우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경교는 대진경교유행중국비문에 기록을 남긴 대로, 중국인들이 고유한 개념으로 가지고 있었던 '道'라는 사상으로 자신들의 신앙을 설명하려고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道'의 개념을 사용한 결과 당 태종은 경교를 당대의 다른 종교들과 별다를 것이 없는, 받아도 좋은 종교로 인식하게 되었고, 이후 당 황실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845년 당 武宗의 회창 廢佛 사건 때까지 활발한 선교 사역을 펼치게 되었음을 여러 사료를 통해 확인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화로 편안한 출발은 했을지 모르나 儒敎·佛敎·道敎, 三敎와의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중국인들의 마음 깊이 뿌리 내리지 못했다는 점과 선교 역사 200년이 지나서도 여전히 외래 종교로 인식되는 한계 속에서 지나친 황실 의존주의를 펼쳤던 경교가 당의 패망으로 말미암아 중원에서 변방으로 밀려 났다는 점에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가 있음을 인식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느낀다. This treatise is to conduct a theological study on Nestorian Church, which was transmitted to China from Persia in the ancient times. As you may know, Nestorius was a figure condemned as a heretic at the Council of Ephesus in 431 A.D. However, there has been such an intense controversial dispute on his theology, still going on even today, as the saying that Nestorius is not a Nestorian has come into be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a monument of Nestorian Church called 'Ching Chiao' in China has been excavated at Ch'ang-an in 1623 A.D., it being named "Ta Ch'in Ching Chiao Lau Hang Chung-Kuo Pi" in Chinese characters. A theological statement of Nestorianism was included in the monument inscription. Accordingly, this treatise is to shed light on the theological stance of Nestorianism with the monument inscription as the main topics. In the first place, it studied how the early East Church originated at Edessa in Syria had come to follow Nestorianism and then handled the role of the Eastern missionary in the light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his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known that the East and West had already made an active exchange of commerce and culture since the ancient Roman times.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as a natural result that the missionary-oriented Nestorian Church in Persia at that time had tried to evangelize China across Central Asia. In the second place, this treatise is to examine if Nestorius was really a heretic by studying the theological dispute between Cyril and Nestorius and then to investigate the Nestorian theology by studying the inscription of the monument. After studying the inscription, it is interesting that we cannot find heretical elements of Nestorianism in the light of Nicea, Ephesus or Chalcedon creed even if it went through a Chinese process. Even though the excessive political decision by the Church conference made Nestorians heretics, it should be re-lighted up that they left an unparalleled great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world missionary. In the third place, the treatise is to examine how the Nestorian church had positioned themselves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with a strong and antagonistic religious background. As the inscription put it, we can find that Nestorianism tried to explain themselves by using the idea of 'Tao', moral order which is a unique concept in Chinese people. As a result of such an attempt, Emperor of T'ang came to recognize Nestorianism as an acceptable religion, not particularly different from other religions at that time. We can see through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that after the recognition Nestorian church enjoyed active activities of missionary under the support of Emperor until successor Emperor excited incident of abolishing Buddhist statues. Nestorian Church may have initiated a good start by such a Chinese process.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 church suffered a setback, not rooting deep in the minds of Chinese people, by the limit in that it could make no differentiation from other religion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 聖書朝鮮의 主祈禱의 硏究에 나타난 김교신의 신학연구

        김훈경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1711

        본 논문은 김교신에 관한 역사신학적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聖書朝鮮」중에서 성경연구 관련하여 심도 있게 정리한 ‘主祈禱의 硏究’라는 내용에 관한 개혁 신학적 분석과 정리이다. 이를 통하여 김교신의 신학과 그 배경 그리고 그 내용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다루는 것이다. 기존의 김교신 관련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그의 신학에 대한 관심보다는 일본인 스승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와의 연관성 곧 무교회주의와 조선적 적용이라든가 아니면 조선적 기독교로 대표되는 기독교의 조선토착화를 중심적으로 논하고 있거나 또는 민족주의 교육자로써의 교육에 관련 연구였으나 최근에서야 김교신의 신앙연구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김교신의 활동과 삶을 볼 때 이러한 연구들이 가능하겠지만, 본 연구는 김교신의 신학과 그 내용을 연구함으로서 그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에 한 측면을 감당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내용은 김교신이 「聖書朝鮮」에서 추구한 신학은 종교개혁 전통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밝히는데, 구체적으로 루터의 신학적 고민과 틀에 기초한 개신교(Protestantism)라는 점이다. 이는 김교신 당대 일반교회에서 그와 그의 활동에 대하여 무교회주의라고 비판할 때, 이에 대해 김교신은 변론하면서 무교회주의를 정의하고 있다. 그것은 로마 가톨릭교회를 반대한 루터의 신학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에 따라서 교회를 바르세 세워가려는 노력과 활동인데, 이를 루터 당시에는 저항(Protest)이라고 표현된 것이다. 이처럼 일제 강점기의 상황 속에서 당시 교회가 멍들고 혼란에 있을 때 사람이나 조직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성경에 따라 교회를 세워나가려는 노력으로 즉 보편교회를 강조하는 의미에서 무교회주의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는 교회가 필요 없다거나 지상의 교회가 무의미함을 강조하는 것이 아님은 그의 스승 우치무라의 신학에서도 잘 드러난다. 우치무라는 자신의 신학이 루터에게 큰 영향력을 받았다고 밝히며, 그의 교회론 역시 철저한 성경의 진리에 기초한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성찰의 결과였음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김교신 스스로가 밝힌 「聖書朝鮮」의 주요목적은 성경의 본문연구와 주해(註解)였다. 즉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성경본문을 정확히 해석하고 이를 통해 조선인의 삶에 적용하여 조선을 살리고자 하는 노력과 열정의 산물인 것이다. 이것은 루터가 게르만민족에게 독일어 성경을 통해 민족을 깨웠던 것처럼 김교신 역시 루터의 길을 따라 조선에게 바른 번역의 성경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전체적으로 김교신은 루터처럼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의 신앙과 신학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그의 신학배경을 정리하면 루터와 칼뱅, 벵겔, 고데 등으로 연결되는 개혁주의적인 복음주의 신학이 밑바탕에 깔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bout historical theology study of Kim Kyo Shin. Specifically, his「Sungsuh-Chosun」 in relation to biblical studies in depth of the “Lord''s Prayer” appeared in studies. This Kim Kyo Shin theology, background and the content will be dealt comprehensively. Most of the Kim Kyo Shin was about relationship about his teacher Uchimura Kanzō (内村鑑三) or the non-church movement. rather than his theology. In this study, the overall content is revealing what theology Kim Kyo Shin is pursuing from the「Sungsuh-Chosun」began from the Reformed tradition. In the time of Kim Kyo Shin while general church criticized Kim Kyo Shin and his activities about non-church movement, Kim Kyo Shin defence and defined the non-church movement.It is that Luther ‘s theology opposed Roman catholicism, which is efforts and activities to stand church right according to “sola scriptura” It was expressed as resistance Protest in the age of Luther.Uchimura revealed that his theology was influenced by Luther so his ecclesiology which is based on biblical truth speak his mind of essence of church through agony and self-examination.Kim Kyo Shin, by himself said that the purpose of「Sungsuh-Chosun」is interpret bible text and annotation In other words, through translating the body of bible perfectly which is the revelation of God’s word was to apply to the live of Chosun, and it was the result of effort and passion.Kim Kyo Shin work hard to give a right bible of Choson like Luther. gave german bible to the germanic race to wake them up.Therefore, if you cleaned up his theological background, Luther and Calvin, connected to the reform such as the idealistic to evangelical theology.

      • 한국교회 전도 프로그램의 예비전도(Pre-Evangelism) 유형 연구

        서형석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51711

        Evangelism is not a one-time event, but a progressive and organic flow. William Abraham defines evangelism as a series of intentional activities aimed at initiating people into the kingdom of God for the first time. If so, not only the act of preaching the gospel and the mission related to conversion but also the whole process of entering the kingdom of God becomes important. This process is called 'pre-evangelism'. In the 70s and 80s, Korean Churches left a great legacy in evangelism in Korea with their hard work of passion and devotion, and in the 90s they planned and implemented various evangelism programs, leading to a period of prosperity. However, from 2000 to today, society has passed the postmodern era of relativism, individualism, post-authoritarianism, and pluralism, and it is difficult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gospel and the era in which the gospel is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evangelism program. The majority of the evangelism programs of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in the past were dominated by church-centered, believer-centered, and speaker-centered, implying dualistic theology. Conversely, in the age of postmodernism, it is increasingly required to shift to an extra-church-centered, non-believer-centered, and listener-centered one. Thu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evangelism and understand that evangelism is not a one-time event, but a series of processes for the initiation of the kingdom of God. Evangelism is not a one-time event or a one-time proclamation, but a long-term overall mission. This understanding of evangelism will not only allow a new perspective on the evangelism paradigm, but will also enable more diverse and effective evangelism to prospective believers by developing, supplementing, and strengthening evangelism programs suitable for the times and audiences. To this end, a method is required to lower the cultural barrier and allow prospective believers to accept the gospel more receptively. Therefore, preliminary evangelism is an important axis that lowers the barriers of the church, strengthens the connection with prospective believers, and establishes a cultural bridge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researcher understands evangelism as a process of entering the kingdom of God rather than a one-time proclamation and takes a look at the preliminary evangelistic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served preliminary evangelism are classified into intellectual type, inviting type, service type, and cultural type, and summarized and presented in a concise manner. Chapter 1 hand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overall outline of the thesis, In Chapter 2, we are going to prepare the theological ground for preliminary evangelism by understanding evangelism as a process, and, in Chapter 3, we will examine the objects, definitions, and biblical examples of preliminary evangelism, and introduce the Celtic evangelism of the 4th century to be taken into account as an example of historical preliminary evangelism. Chapter 4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reliminary evangelism by selecting the evangelism programs of Korean Churches. Juan General Mobilization, Taeshinja Evangelism, Happy Day, Evangelism Explosion, Alpha Course, Two Wings Parenting System, Oikos, Duranno Customized Evangelism, CCC Gateway Evangelism, Anglican Emmaus Parenting Program, Oicos, Duranno Customized Evangelism, Labry Community, Nadeulmok Church will be introduced, and preliminary evangelism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each program will be reviewed. In Chapter 5, the analyzed preliminary evangelism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tellectual type, inviting type, service type, and cultural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ill be theologically considered and organized. Finally, Chapter 6 deals with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will conclude by arguing that holistic and diverse preliminary evangelism ministries should be activated and strengthened as an alternative to the crisis of evangelization and the rapidly changing times. Through this study, I intend to contribute as a paradigm and example of evangelism theology that is important for developing and strengthening an evangelism program suitable for the era of rapid change and diversification of Korean Churches. 전도는 단회적인 사건이 아닌 과정적이고 유기체적 흐름 속에 있다. 윌리엄 아브라함은 "전도는 사람들을 처음으로 하나님 나라에 입문(initiation)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되는 일련의 의도적(intentional) 활동"이라고 정의한다. 그렇다면 복음을 전하는 행위와 회심에 관련된 사역뿐만이 아닌 하나님 나라에 입문시키기 위한 모든 과정이 중요해진다. 이러한 과정을 일컬어 ‘예비전도(pre-evangelism)’라 한다. 지난 70-80년대 한국교회는 열정과 헌신의 수고로 인해 한국교회 전도에 위대한 유산을 남겼고, 90년대에는 다양한 전도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며 번영의 시기를 이끌었다. 그러나 2000년이 지나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사회는 상대주의, 개인주의, 탈권위주의, 다원화의 풍조인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지나게 되었고, 기존에 성행했던 전도 프로그램을 고수하기엔 복음과 멀어져가는 시대와의 간극을 좁히기 어렵게 되었다. 지난 한국교회의 전도 프로그램은 이원론적 신학이 함의된 교회 중심, 신자 중심, 화자 중심의 방식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와 반대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에는 갈수록 교회 밖 중심, 비신자 중심, 청자 중심으로의 전환이 요청된다. 이에 우선적으로 전도의 신학적 함의의 이해를 넓혀 전도가 단회적 사건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입문을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전도는 일회적 이벤트나 단회적 선포가 아닌 장기간에 걸친 총체적인 사역이다. 이러한 전도의 이해는 전도 패러다임에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시대와 청중에 적합한 전도 프로그램을 개발, 보완, 강화하여 예비신자에게 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전도를 가능케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적 장벽을 낮추어 예비신자로 하여금 보다 수용적으로 복음을 받아들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예비전도는 교회의 장벽을 낮추고 예비신자와의 연결을 강화하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다리를 놓게 하는 중요한 축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전도를 단회적 선포가 아닌 하나님 나라에 들어서는 과정으로서 이해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개념인 예비전도를 신학적으로 고찰하고, 한국교회의 전도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각 프로그램에 담긴 예비전도적 특성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관찰한 예비전도의 특성을 지성형, 초대형, 섬김형, 문화형으로 분류하고 간명(簡明)하게 요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논문의 전반적인 개요를 다루고, 2장에선 전도를 과정으로 이해함으로 예비전도를 위한 신학적 토대를 마련하고, 3장에선 예비전도의 대상과 정의와 성경적 사례를 살피고, 역사적 예비전도 사례로 눈여겨볼 4세기의 켈트 전도를 소개하려 한다. 4장에선 한국교회의 전도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예비전도적 특성을 살피고자 한다. 주안총동원, 태신자전도, 해피데이, 전도폭발, 알파코스, 두날개 양육시스템, 오이코스, 두란노 맞춤전도, CCC 게이트웨이 전도, 성공회 엠마우스 양육 프로그램, 라브리공동체, 나들목교회를 소개하고, 각 프로그램에 담겨진 예비전도의 특성을 고찰할 것이다. 분석한 예비전도적 특성들을 5장에서 지성형, 초대형, 섬김형, 문화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특징들을 신학적으로 고찰하고 정리할 것이다. 끝으로 6장에선 연구의 결과와 의의를 다루고, 복음화의 위기와 급변하는 시대의 대안으로 총체적이고 다양한 예비전도 사역이 활성화되고 강화되어야 할 것을 주장하며 결론을 맺으려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교회가 급변하고 다원화되는 시대에 적합한 전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전도 신학의 패러다임과 사례로서 기여하고자 한다. 핵심어 : 예비전도, 과정으로의 전도, 전도 프로그램, 예비전도적 특성, 유형별 정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