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한 중국유학생의 우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난난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depression on college adjustment among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Data were gathered from a sample of 203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eoul. Independent t-tests and one-way ANOVA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depression affect overall college adjustment and four subscales of college adjustment among Chinese students in Seoul. Results indicated that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overall college adjustment. Also,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ach of the four subscales of college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overall college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male students have more difficulty in college adjustment than female students. Also, age, GPA for the previous semester and drink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adjustment. The students are younger, have lower GPA and are more likely to drink are struggling with college adjustment. Students reported with longer stay in Korea were negatively linked to person-emotional adjustment.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planning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counseling programs for students feel depressed and have difficulty in college adjustment are needed and interventions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 are also needed. Second, colleges with a high rate of Chinese students should implement multicultural programs for Korean professors and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Third, departments or schools with a high rate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hould consider opening classes given in Chinese. Lastly, programs that aim to provide Chinese colleg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can improve emotional support for Chinese students and promote their Korean proficiency. Key Words: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International Students, College Adjustment, Depress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depression on college adjustment among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Data were gathered from a sample of 203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eoul. Independent t-tests and one-way ANOVA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depression affect overall college adjustment and four subscales of college adjustment among Chinese students in Seoul. Results indicated that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overall college adjustment. Also,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ach of the four subscales of college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overall college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male students have more difficulty in college adjustment than female students. Also, age, GPA for the previous semester and drink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adjustment. The students are younger, have lower GPA and are more likely to drink are struggling with college adjustment. Students reported with longer stay in Korea were negatively linked to person-emotional adjustment.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gram planning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counseling programs for students feel depressed and have difficulty in college adjustment are needed and interventions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 are also needed. Second, colleges with a high rate of Chinese students should implement multicultural programs for Korean professors and stud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Third, departments or schools with a high rate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hould consider opening classes given in Chinese. Lastly, programs that aim to provide Chinese colleg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can improve emotional support for Chinese students and promote their Korean proficiency. Key Words: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International Students, College Adjustment, Depression 본 연구는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우울이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적절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의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우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지역 대학교와 대학원에 재학 중인 재한 중국유학생 203명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이 재한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우울이 대학생활 적응의 4가지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만족 등 하위요인별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성별이 대학생활 적응, 학업적 적응, 대학생활 만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대학생활 적응, 학업적 적응, 대학만족에서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연령과 지난학기 성적, 음주는 학업적 적응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이 낮으면서 성적이 낮고, 음주를 하는 중국유학생들은 학업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넷째, 체류기간과 개인-정서적 적응은 관련성이 있다. 체류기간이 길수록 개인-정서적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재한 중국유학생의 우울감을 낮추고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부적응 학생 대상 상담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전체 재한 중국유학생들을 위한 대학생활 적응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실질적으로 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의 비율이 높은 학교에는 중국 유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상호 교류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이 요구된다. 셋째, 중국유학생이 많은 학과에 중국어 강의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언어장벽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국인 대학생과의 언어교환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재한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재한 중국유학생, 대학생활 적응, 우울

      • OECD 국가의 일·가정양립정책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 퍼지셋 이념형과 결합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류동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55

        At a time when welfare states are entering an ‘era of permanent austerity’,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and supportive of the issue of low fertilit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fertility decline has been recogniz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at cuts across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boundaries. The causes of low fertility have been discussed by academic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including demography, sociology and economics. In late industrial societies, as economic structures change an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s become higher, the issue of work-family balance for women and childcare responsibilities for men has also been widely discussed. As a result,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have been introduced in many countries. However, these policies have taken on different shapes and their effects have varied considerably from country to countr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ses the cor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in OECD countries and examines the impact of various policy combinations on fertility.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in OECD countries and to compare them across countries, this study uses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method of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In addition, fuzzy-set/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is us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ach policy combination on fertility. To ensure that data on total fertility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are available, data from the OECD Family Database a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stage, this paper presents the ‘level of defamilialisation’, ‘state support for childcare’ and ‘level of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childcare leave’, and uses these criteria to classify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in 33 OECD countries into eight types. Firstly,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Iceland, which have a high level of all three of these criteria are classified as type 1, and these countries are all Nordic or continental European countries. In contrast, some countries such as Turkey and the USA are weak in all aspect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and are classified in type 8. Other countries are more or less deficient and are therefore classified in types 2 to 7. By doing so, the paper not only classifies the individual OECD countries, but also identifies the extent to which each country belongs to a particular categor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to some extent, explain many of the new issues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old taxonomy. Second, a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allows for three sets of policy combinations that have an impact on high fertility. They are (1) the higher the Paternity Leave provided to men, the higher the level of public spending on family benefits, and the higher the birth rate if the public childhood care system is well developed. (2) Even if women are not provided with long periods of Paternity Leave, and the level of guarantee of the original wage during the leave is low (the average payment rate), fertility rates can be increased if the state provides families with a variety of cash and services assistance and a sound public childcare system is in place. (3) In the portfolio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that have an impact on high fertility rates, even if the average payment rate is low, the birth rate can be increased by guaranteeing paternity leave for both parents and by increasing the public provision of family benefits and improving the public care system. Of these various policy combinations that affect high fertility rates, male leave is a core condition in both. In addition, public expenditure on childcare and public household expenditure are also identified as recurrent causal conditions, with the latter being the core condition agreed upon by all parties. On the other hand, this thesis also identifies five sets of policy combinations that have an impact on low fertility. There are five policies combinations. They are as follows: (1) Even if parental leave is granted to men with high income security, it is difficult to address low fertility if public finance spending on families is low and public childcare services are weak. (2) Even if parental leave with low income security is granted to women only, low fertility rates will result from lower take-up rates, even if state investment related to childcare is high. (3) Even if parental leave with guaranteed original income levels is provided to both men and women, if the state provides only limited family allowances and the public childcare system is inadequate, it will only end up facing a low fertility crisis. (4) With a weak public childcare system, if the state provides direct cash and services assistance to families and develops a female-centric system of parental leave, it is likely to lead to low birth rates. (5) Even if the state increases its support for the public childcare system (e.g. public kindergartens, etc.), it is likely to lead to a low birth rate if public family allowance spending is low and parents do not have access to income-protected parental leave. In all combinations except combination 1, it was found that providing women with excessively long parental leave is likely to lead to lower fertility rates. In addition, all combinations except combination 5 showed that the absence of a public childcare system had a negative impact on fert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can be drawn. At the theoretical level, firstly, this study does not examine individual cases, but covers almost all OECD countries and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in these countries, making this paper of general relevance. Secondly, this study proposes a new classification and criteria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in OECD countrie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o better reflect the resulting changes in state attitudes towards family policies and social values. This paper uses three categorization criteria (defamilialization, state support for childcare and gender parity). These three dimensions allow for a more precise positioning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in today's societies and identify the position of each country in relation to others, as well as for a dynamic analysis of the changing content of policies. In addition, the following insights can be drawn from the field of practice: firstly, this study derives a portfolio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affecting birth rates through a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a process that has the advantage of proposing a wider variety of solutions for countries coping with low birth rates. Policy makers in each country can use this analytical model to analyze whether their existing policies are appropriate in their own context. In addition, when drawing on the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it is possible to avoid 'copying' foreign cases an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heir experiences to the national context through targeted comparisons. Secondly, new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o respond to the changing macro environment and the improving social division of labor between men and women. Thirdly, the provision of benefits and related social services to familie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s a positive impact on stabilizing fertility rates. Fourthly, there is a need to increase public expenditure on childcare. Fifthly, measures to increase the income of the father or mother of a child on maternity leave do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fertility rate. 복지국가들이 ‘영구적인 긴축시대’에 접어든 오늘날에 저출산 문제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 이유는 출산율 저하의 문제는 경제, 정치, 문화 등 분야에 걸친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어왔기 때문이다. 그동안 저출산의 원인에 대해서 인구학, 사회학, 경제학 등 다양한 관점으로 논의해왔으며, 후기산업사회에서 경제구조의 변화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높아짐에 따라 여성의 직장-가정 간의 균형 문제나 남성의 자녀돌봄 역할에 대한 논의가 많아졌다. 이에 많은 국가들은 일·가정양립정책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각 나라에서 실행되는 정책은 매우 상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들의 효과성도 천차만별이다. 이에 본 연구는 OECD 국가들의 일·가정양립정책의 핵심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정책적 조합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보다 심층적으로 각 OECD 국가의 일·가정양립정책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들을 더 세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퍼지셋 질적비교연구의 이념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여러 정책적 조합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퍼지셋 질적비교연구의 결합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합계출산율과 일·가정양립정책의 세 가지 주요 하위제도에 관한 내용을 모두 수집된 OECD Family Database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분석인 fs/QCA 이념형 분석 단계에서 ‘탈가족화 수준’, ‘돌봄에 대한 국가의 지원수준’ 그리고 ‘육아휴직의 남녀평등 수준’과 같은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OECD 33개국의 일·가정양립정책을 총 여덟 개로 유형화하였다. 우선, 프랑스, 아이슬란드 등 국가는 세 가지 측면이 모두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구축되어 있는 유형1에 속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고 이들 국가는 모두 노르딕 국가나 대륙유럽에 속한다. 이와 반면에 터키, 미국 등 일부 국가들은 일·가정양립정책의 세 가지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국가들은 세 가지 측면을 부분적으로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해당 정책의 탈가족화 수준, 돌봄에 대한 국가의 지원수준(공공성), 이념형 분석을 통해 공통점을 공유하는 국가들을 확인할 수 있고 이들 나라가 해당 유형에 속한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기존의 구분법으로 해석하지 못한 현상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었다. 둘째, 일·가정양립정책과 출산율의 ‘결합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조합은 총 3개가 도출되었다. 세 가지 정책 조합은 다음과 같다. (1) 남성에게 더 많은 육아휴직을 제공할수록, 공공가족수당지출 수준이 높을수록, 이러한 상황에서 공공보육제도가 제대로 갖춰졌을 때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여성에게 긴 육아휴직이 제공되지 않고 휴가기간 동안 원급여의 보장수준이 낮더라도 국가가 가족에게 다양한 현금·현물 지원을 제공하고 제대로 된 공공보육 시스템을 마련하면 출산율을 높일 수 있다. (3) 높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일·가정양립정책 조합은 소득대체율이 낮아도 부모에게 모두 육아휴직을 제공하고, 공공측면에서 제공되는 가족수당이 높고 공공보육시스템이 제대로 마련될 경우, 출산율을 높일 수 있다. 높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책적 조합 중, 남성휴가는 두 조합의 핵심 원인조건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보육에 대한 지출과 공공가족지출은 항상 나타나는 원인조건인 것으로 확인이 되었는데 후자의 경우, 각 조합의 핵심조건으로 나타났다. 다른 한편, 낮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조합은 총 다섯 개가 도출되었다. 다섯 가지 정책 조합은 다음과 같다. (1) 남성에게 소득보장이 높은 육아휴직을 부여해도 가족에 대한 공공 재정지출이 낮고 공공보육서비스가 취약하다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힘들다. (2) 여성에게만 소득보장이 낮은 육아휴직을 제공할수록, 그리고 공공보육에 대한 지출이 높아도 실제로 이용률이 낮으면 결국 저출산의 문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3) 남녀 모두에게 소득이 보장된 육가휴가를 제공해도 국가가 가족수당 등을 제한적으로만 제공하고 공공보육시스템을 제대로 마련해주지 않으면 결국 저출산의 위기를 맞이할 수밖에 없다. (4) 공공보육제도가 취약한 상황에서 국가가 가족에게 직접적인 현금·현물 지원을 제공하고 여성 중심의 육아휴직제도를 마련하면 저출산의 가능성이 높다. (5) 공공보육에 대한 지출이 높고 공공가족수당지출이 부재하고, 남녀에게 소득보장이 제대로 되지 않은 육아휴직을 제공하는 것이 낮은 출산율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다양한 조합 중 조합1을 제외한 나머지 조합에서 여성에게 긴 육아휴직을 제공하는 것이 저출산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또한, 조합5를 제외한 나머지 조합은 공공보육체계의 부재가 출산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이론적 함의로 첫째, 본 연구는 일부 몇몇 국가들의 사례가 아닌 전체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일·가정양립정책을 비교분석함으로 보다 보편적 의미를 갖는다. OECD 국가들의 일·가정양립정책을 비교적 심층적이면서 포괄적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OECD 국가들의 일·가정양립정책을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화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되는 세 가지 유형화 기준(탈가족화, 돌봄에 대한 국가지원수준, 남녀평등)은 시대의 변화와 이로 인해 변화된 젠더관점 및 가족에 대한 국가의 태도 등을 반영하고자 하며 기존의 정책 구분법에 비해 현시대의 일·가정양립정책의 모습을 최대한 그려내 이를 바탕으로 각 나라의 정책적 특징과 상대적인 위치를 동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천적 함의로 첫째, 본 연구는 결합요인 분석을 통해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일·가정양립정책의 조합들을 도출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은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는 데 보다 다양한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며, 정책설계자들에게 현행의 일·가정양립정책이 본국의 실정에 맞는지 혹은 타국의 성공 사례가 본국에 적용할 수 있을지를 검토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둘째, 변화된 거시적 환경과 남녀의 사회역할에 적합한 일·가정양립정책을 조정해야 한다. 셋째, 유자녀 가족에게 제공하는 현금·현물서비스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넷째, 공공보육에 대한 지출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육아비용을 확보하는 것이 부모의 출산과 육아부담을 줄이고 출산율을 높일 수 있다고 여겨왔는데 그것을 휴직 기간 동안의 소득보장(높은 소득대체율)과는 연관성이 높지 않다.

      •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연화 서울시립대하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와의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과에서 실시한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9~24세 다문화 가족 자녀에 포함된 다문화 청소년 6,381명 중 최초입국년도가 없는 청소년을 제외한 중도입국청소년 2,101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그 중에서 독립변수의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540명의 중도입국청소년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Window용 SPSS23 통계패키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독립표본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부모와의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통하여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β=.489, p<.001)은 부모와의 관계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설1은 참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β=.190, p<.001)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2도 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그리고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β=.190, p<.001)의 영향력은 매개변수 부모와의 관계만족도가 투입되면서 사라졌고, 학교생활적응에 부모와의 관계만족도(β=.271, p<.001)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완전매개효과로 가설3도 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Test를 실시한 결과 Z=5.686으로 P<.001 수준에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모와 자녀는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며, 부모와 자녀 간의 소통 시간이 늘어날수록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에 더욱더 도움이 된다. 따라서 부모와의 의사소통 시간을 늘림으로써 부모와의 관계가 더욱 좋아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주요어: 학교생활적응,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 Also, I identified the mediated effect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parents. To do this, I was analyzing the data drawn from the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2015)’ conducted by Multicultural Family Divis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mong 6,381 multicultural youth included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ged 9 to 24, the sample consisted of 2,101 immigrant youths excluding those who did now enter the country for the first time. With the exception of the missing valu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analysis utilized the final 540 immigrant youth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using SPSS 23.0. In addition, a mediated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three-stage medial regression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in relation to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Finally, a Sobel-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β=.489, p<.001) wa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In other words, hypothesis 1 was supported. Secondly, in terms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 communication with parents (β=.190, p<.001) wa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school life. Hypothesis 2 was also supported. Third,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school adjustment, influenc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β=.190, p<.001) disappeared with the input of parameter parents to th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th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in school life adjustment (β=.271, p<.001) has a static effect. Thus, hypothesis 3 was also supported as complete mediation effect. Finall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obel-Test to verify the medial effects, the medi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Z = 5.6866 at the level of p<.001.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Parents and children need to have more time to communicate. The more time parents spend communicating with their children, the be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ir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impro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by increasing communication time with parents Key words: school adjustment,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atisfaction with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