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니엘 모저(Daniel Moser)의 작품 《살풀이》를 통해 본 21세기 음악에서의 탈식민주의 담론

        손민경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23 음악이론연구 Vol.40 No.-

        This article analyzes Austrian composer Daniel Moser’s Salpuri (2017), composed amid the growing interest of Western composers in Korean music due to the recent K-culture trend, and examines the discourses of postcolonialism. Moser critically considered the musical exoticism that had arisen in the use of East Asian music by Western composers such as John Cage and Lou Harrison. He also tried to recreate the non-linear view of time in the East in Korean traditional dance Salpuri in contemporary music. For this purpose, the disintegration of the sense of rhythm, the subversion of the bars, and the juxtaposition of bi-cultural instruments were composed among the musical parameters in Western music. What is significant is that Moser’s use of Korean music was not a tool for other cultures but a reflection of his intention to discover the unique Korean sound by recognizing its relative value and existence of cultural others. Above all, Moser’s work evokes a unique sense of time listening, and ultimately contain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 ‘in-betweenness’ of post-colonial theorist Homi Bhabha. In other words, when the heterogeneous cultures of Korea and the West meet, the third sound space was created, embodying “a dynamic field of negotiation between differences.” 본 글은 오늘날 K-문화 열풍으로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에 대한 진전된 관심 속에서 창작된 오스트리아 작곡가 다니엘 모저(Daniel Moser)의 《살풀이》(Salpuri, 2017)를 분석하여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담론을 고찰한 연구다. 모저는 그간 존 케이지와 루 해리슨과 같은 서양 작곡가들의 동양음악 활용에서 자주 제기된 문화 전유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의 전통 무용인 살풀이에 담긴 동양의 비선형적 시간관을 현대음악에서 재생성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에서는 서양음악에서의 음악적 매개변수 중 박절 감각의 와해와 마디의 전복, 이중문화 악기의 병치가 이루어졌다. 중요한 것은 모저의 한국음악 활용이 타문화의 도구적 전용이 아닌 문화의 상대적 가치와 존재를 인정하여 고유한 한국의 소리를 발굴하려는 성찰(Reflection) 의식이 반영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저의 작업은 무엇보다 독특한 시간 청취 감각을 환기하며, 궁극적으로 탈식민주의 이론가 호미 바바의 ‘틈새’(in-betweenness)의 미적 함의를 담고 있다. 즉, 한국과 서양의 이질적인 문화가 만났을 때 “차이들이 벌이는 역동적인 교섭의 장(field)”을 구현하면서 제3의 소리 공간을 창출한 것이다.

      • KCI등재

        미국인 선교사와 기독교 지식인의 전통음악 인식과 실천: 『조선민요합창곡집 제1집』(1931)을 중심으로

        허지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23 음악이론연구 Vol.40 No.-

        Korean Folk Songs, Vol. 1, published in 1931 by the department of music of Ewha College, is a significant literature in Korean music history in that it is an early case of arranging Korean traditional songs into Western music. This volume contains seven choir pieces based on Korean folk songs, arranged for soprano solo and female 3-parts with piano accompaniment. Missionary Mary Young (美理英, 1880-1967), who was the head of the music department at the time, and Keui Young Ahn (安基永, 1900-1980), a “Christian intellectual” who had just returned from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and was appointed as a teacher of Ewha College, were in charge of the arrangement. In this paper, I investigate Ewha’s folk song project in three aspects. First, the progress of the project is traced in detail. Second, the lyrics of choir pieces are compared with those in Lee Sang-jun’s songbooks. And third, the Western music techniques used for arrangement are analyzed. Through this, I reveal that the lyrics of Ewha’s folk songs were influenced by values of enlightenment, and the indigenous melodies were arranged by introducing various techniques of Western music. Furthermore, I argue that this project was deeply connected to the mission of evangelization and civilization through Christianity.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가 1931년에 발행한 『조선민요합창곡집』은 한국 창작음악계에서 여전히 유효한 화두인 ‘전통의 현재화’라는 문제의식을 드러낸 초기 사례라는 점에서 음악사적 의의가 크다. 『조선민요합창곡집』은 재래의 민요를 피아노 반주가 붙은 소프라노 독창과 여성3부 합창용으로 편곡한 일곱 곡을 수록하고 있다. 편곡은 당시 음악과장이었던 메리 영 선교사(Mary Young, 美理英, 1880-1967)와 막 미국 유학에서 돌아와 교원으로 임용된 ‘기독교 지식인’ 안기영(Keui Young Ahn, 安基永, 1900-1980)이 담당했다. 이화의 민요 합창 프로젝트는 편곡, 공개 연주회 출연, 음반 발매, 악보집 출판 등으로 이어지며 식민지 양악계의 시선을 모았다. 이 연구에서는 메리 영과 안기영이 주도한 이 프로젝트를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한다. 첫째, 프로젝트의 경과를 구체적으로 추적하며, 둘째, 합창곡의 가사를 이상준의 ‘속곡집’에 수록된 가사와 비교하고, 셋째, 편곡에 동원된 서양음악 기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필자는 이화의 민요 합창곡이 계몽적 가치를 담은 가사를 채택하였고, 재래의 선율을 서양음악의 다양한 기법을 동원하여 편곡하였음을 밝혔으며, 더 나아가 이 프로젝트가 기독교를 통한 복음화와 서구 문명화라는 선교적 사명과 맥을 같이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스트리밍 시대 미디어를 통한 한국인의 음악청취행태 분석

        박재록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23 음악이론연구 Vol.40 No.-

        In South Korea, peop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streaming service apps on their smartphones is increasing. According to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there should be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among those who adopt this new technology ear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music listening behavior by these demographic attributes during the period of popularization of the new technology of streaming through smartphones, For this purpose, the Media Panel Diary data provided by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was analyzed. Analyzing data from 2011 to 2022, some interesting changes during this period were found. Overall, music listening rates were found to increase in all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attributes. Within each demographic, women were more likely to use smartphones and streaming than men. In the early 2010s, younger people listened to more music, but by 2020, teenagers listened to less music than 20s, and 30s listened to less music than 40s and 50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music listening rat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music listening by income level. The difference between listening to music on smartphones and streaming also showed little difference by income level. Smartphones and streaming have different properties as media, but there is little difference as media used for listening music. While there are some limitations and unsatisfactory parts in this artic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tracked changes in music listening behavior as the media environment has changed since 2011, and makes meaningful findings across demographic attributes. 한국에서 스마트폰의 스트리밍 서비스의 앱을 통해 평소 음악을 듣는 사람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혁신확산이론에 따르면 이런 새로운 기술을 먼저 채택하는 사람들의 성별, 연령, 학력, 소득에 따라 대체로 채택율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주요한 문화콘텐츠 중 하나인 음악이 스마트폰을 거쳐 스트리밍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대중화되는 시기에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음악청취행태의 차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 다이어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2011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 기간 동안 일어난 흥미로운 변화들이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모든 성별과 연령, 학력, 소득 변수에서 음악청취율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각 인구통계학적 변수별로 보면 성별에 있어 여성은 남성보다 스마트폰과 스트리밍을 더 많이 사용했다. 연령에 있어서는 2010년대 초반에는 연령이 젊을수록 더 많이 음악을 청취했지만 2020년이 되면 10대는 20대보다 적게 음악을 들었고 30대는 40대와 50대보다 음악을 적게 듣는 계층이 되었다. 학력의 경우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음악청취율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의 경우 소득 수준에 따른 음악청취율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스마트폰과 스트리밍을 이용한 음악청취율의 차이도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스마트폰과 스트리밍은 매체로서의 속성은 다르지만 음악청취를 위해 사용되는 매체로서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몇 가지의 한계점과 아쉬운 부분들이 있지만 2011년 이후 음악청취에서의 미디어 환경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음악청취행태의 변화를 추적했고 인구통계학적인 변수별로 의미 있는 발견들을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중음악의 음악교육학적,음악학적 접근 -대중음악의 대학교과를 중심으로-

        손민정 ( Min Jung Son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09 음악이론연구 Vol.14 No.-

        Since 2002, Korea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have included popular music.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a successful story regarding popular music education. Pointing out the lack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musicological research on popular music, this paper deals with how popular music should be taught and studied.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examines the educational approach to popular music, interrogating a popular music curriculum at Aalborg University Centre, Denmark.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musicological approach to popular music, focusing on the semiotics of music suggested by Dunbar-Hall. According to him, two different approaches of semiotics -analytical semiotics and interpretative semiotics-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popular music, emphasizing the authentic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This paper, in the final chapter, comparatively examines two different popular music researches, which were used as textbooks i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History of Rock Music>,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from 2001 to 2004.

      • KCI등재

        서울시향 초대 지휘자 김생려의 한국 교향악 운동 연구: 20세기 중반 한-미교류를 중심으로

        손민경 ( Mingyeong Son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23 음악이론연구 Vol.41 No.-

        국내 관현악단 중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은 1957년 김생려([John S. Kim], 1912-1995)를 주축으로 창단되었다. 이 글은 서울시향 초대 지휘자이자 한국교향악의 선구자 김생려를 한미 음악 교류의 측면에서 조명한 연구이다. 그간의 자료에서는 김생려의 한국의 교향악단 창설과 공헌에 초점을 두었지만, 근대사의 흐름에서 한미관계 속 그의 역할은 덜 논의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김생려의 미국 가교를 해방 후와 한국전쟁기, 정치적 격변기 속 그의 미국 유학, 미국음악인 국내 초청, 아리랑 가무단 미국 순회공연 등 글로벌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의 수행을 선행자료, 구술채록, 뉴스 기사 등으로 연구한 결과, 필자는 김생려가 전쟁과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도 미국 유학을 통한 선진 문물 보급, 미국음악인 한국 초청 등 미국과의 음악 수교와 한국의 클래식 음악계의 근대화를 위해 헌신했음을 주장한다. 이는 한국에서 클래식 음악계의 선진화에 대한 열망과 미국의 문화냉전기 속 국제 문화정치의 질서 가운데 한국으로의 전략적 접근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이며, 한국의 교향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연구는 한국 서양 음악사와 교향악 운동에 중요한 활약을 남긴 김생려 연구를 통해 한국 교향악 역사의 단면을 살펴보고, 한국과 미국 간의 문화 냉전기 속 트랜스퍼시픽(transpacific) 국제교류의 정치의 일면을 조명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pivotal role of Saeng-ryo Kim (John S. Kim, 1912-1995), the inaugural conductor of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SPO),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Korean-American musical interactions. This study aims to examine Kim’s role as a bridg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panning the post-liberation era, the Korean War, periods of political turbulence, his US education, the invitation of American musicians to Korea, and the Arirang Troupe’s US tour. By investigating his global endeavors through various materials, interviews, and newspaper articles, I argue that Kim diligently worked to establish musical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S and modernize Korea’s classical music landscape, even during turbulent political times. This effort, driven by Korea’s aspiration for musical advancement and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the US during the Cold War’s cultural dynamics, ultimate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ymphonic music in Korea. The research highlights Kim’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in Korea, and sheds light on the transpacific international exchange that occurred during the Cold War era.

      • KCI등재

        21세기의 인상주의: 트리스탕 뮈라이(Tristan Murail)의 피아노 음악

        박유미 ( Yoomi Park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23 음악이론연구 Vol.41 No.-

        트리스탕 뮈라이(Tristan Murail)는 프랑스 스펙트럴 음악(Musique Spectrale)의 선구자이다. 스펙트럴 음악은 ‘소리’ 자체의 본질에 집중하여 작곡 재료의 기초를 음향의 배음 구조상에서 얻어내는 음악이다. 전자 음향과 어쿠스틱 악기의 앙상블, 그리고 배음들의 특정한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새로운 색채의 음악에 몰두하였던 작곡가 뮈라이에게서 최근 들어 흥미로운 양상이 관찰된다. 마치 과거인상주의 작곡가들처럼 피아노라는 악기로 회귀하는 것이다. 과연 뮈라이는 피아노의 어떤 면에 자극을 받아 오랫동안 등한시했던 매체에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되었을까 하는 의문을 토대로 뮈라이의 작곡 경향의 진화를 피아노 작품을 통해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테크놀로지 기술로 얻어진 창의적 영감은 초기 피아노 작품 <망각의 대지>에서 잘 나타난다. 피아노라는 악기 고유의 배음 공명을 활용한 다양한 기법들이 선보이고 이는 시간 속에서 프로세스적 진행을 만들어낸다. 피아노는 기존의 피아노 작품들과는 유사성이 없이, 일종의 공명통으로 새로운 역할을 보인다. 하지만 이미 이때부터 뮈라이의 창작에 있어 제1의 원리는 ‘소리 이미지’의 창출에 있음이 드러난다. 뮈라이가 배음 원리를 탐구하는 궁극적 목적은 결국 새로운 청각적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가장 객관적이고도 자연에 가까운 방법을 찾는 데에 있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 테크놀로지는 도구일 뿐이며 그가 추구하는 음악적 미학은 사실상 시적 이미지의 완성에 있다. 그러한 면에서 뮈라이는 20세기 초 프랑스의 인상주의 음악가 그리고 상징주의 시인들과 혈통을 같이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럴 음악가라는 제한적 분류에서 벗어나 프랑스의 인상주의 계보를 잇는 21세기 작곡가로서의 뮈라이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Tristan Murail is the main contributer of the Spectral music. His music explores the acoustical properties and focuses on manipulating the spectral features which defines the timbral representation of sound. While continuing this trend, in the recent years, Murail turns to the piano as the 20th century impressionist composers. It is quite unexpectful because he has manifested the difficulty confronted with this instrument which has the percussive and non-sustained sound. Nevertheless, He is publishing piano works every year in these days. I examine what inspires this new challenge and trace the evolution of Murail’s compositional tendency in the piano music. First of all, I focus on the creative basis generated by technology and the knowledge of the spectral aspects in his early work < Territoire d’Oubli >. After that I will show the consequent development to reengage with the musical tradition in which the poetic aspiration and the symbolistic character incorporate. By this examination I will show that Murail’s piano works can be called the new impressionist music with the colours of the freshly founded spectral harmony.

      • KCI등재

        모방과 창의성 사이의 테크놀로지: 코프(D. Cope)의 초기 AI 작곡 모델 에미(Emmy) 연구

        오희숙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23 음악이론연구 Vol.40 No.-

        AI(Artificial Intelligence) has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human life, and various AI composition models are now active in the field of music. What kind of aesthetic value does music created by AI? Starting from this critical question, this thesis examines David Cope's (b. 1941) early AI composition model called 'Emmy'. Cope developed the Emmy in 1981 while attempting "Experiments in Musical Intelligence." Emmy inputs the works of major composers in Western music history, analyzes each element of original music, discovers stylistic signatures through pattern matching, and recombines them through ATN(Argumented Transition Network) to create her own music. Emmy composed symphonies, piano sonatas, chorales, string quartets, and operas, which were hotly debated and criticized as "no heart," "soulless," and "cheap imitation" aroused all.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esthetic discussion according to Emmy's creative process and acceptance, many prejudices intervened in the evaluation of Emmy's music. This thesis claims that Emmy's work is not a simple imitation of existing music, but implies its own aesthetic valu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newly define the concept of creativity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in music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technology,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e creative activities of AI more appropriately. Thus, we need a new aesthetic perspective that recognizes itself to comprehend the impact of AI on the art of music. 최근 AI는 인간의 삶에 깊숙이 개입하고 있으며, 음악 분야에서도 다양한 AI 작곡 모델이 활동하고 있다. 과연 AI가 창작한 음악은 어떤 미적 가치를 가지고 있을까?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코프(D. Cope, 1941-)의 초기 AI 작곡모델 ‘에미’(Emmy)를 고찰하였다. 코프는 1981년부터 ‘음악 지능 실험’(Experiments in Musical Intelligence)을 시도하면서 에미를 개발하였다. 에미는 서양음악사의 주요 작곡가들의 작품을 입력 및 분석하고, 여기서 패턴 매칭을 통해 양식적 시그니처를 발견하고, 이를 확장천이네트워크(ATN)를 통해서 재합성하여 자신만의 음악을 만들어 낸다. 에미는 교향곡, 피아노 소나타, 코랄, 현악4중주,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의 수천곡의 작품을 작곡하였는데, 이 작품은 “싸구려 모방”, “영혼이 없는 음악”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렇지만 에미의 창작과정과 수용에 따른 미적 논의를 살펴본 결과, 에미의 음악에 대한 평가에는 많은 선입감이 개입하였으며, 에미의 작품은 기존의 음악의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자신의 고유한 미적 가치를 함축하고 있으며, 이후 AI 작곡의 중요한 토대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즉 AI의 음악을 보다 적합하게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테크놀로지의 개입에 따른 음악의 변화에 상응하는 창의성 개념이 새롭게 규정될 필요가 있으며, 컴퓨터가 생산한 음악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관에서 벗어나 AI음악을 그 자체로 인정하는 새로운 미적 시각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클래식 음악’이라는 개념의 형성과 18세기 중엽의 숭고개념: 『음악비평서한』의 “비외빌 씨가 프랑스 음악을 옹호하고 이탈리아 음악을 비판하며 보네 씨에게 보내는 글”(1760)에 나타난 음악비평관을 중심으로

        허효정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연구 Vol.32 No.-

        This paper argues that Longinus’s ancient writing, On the Sublime, built a crucial basis for the concept of “classical music” when it was newly developed in the middle of the eighteenth century. At that time “classical music” meant relatively old and serious music, and it mostly applied to instrumental music. By analyzing the seventeenth section of “The Letter of Mr. Vieuville to Mr. Bonnet, in which French Music is Defended and Italian Music is Criticized (Schreiben des Herrn Vieuville an den Herrn Bonnet, worinnen die französische Musik vertheidigt, und die italiänische kritisirt wird)” from Kritische Briefe über die Tonkunst (Berlin, 1760), this paper traces the critical value of the writer and his contemporaries, examining how their viewpoints reflect Longinus’s philosophy on the sublime. His notion of the sublime emphasizes emotional expression, innate ability, and originality, and it was projected in mid-eighteenth-century musical criticism as a focus on “strong musical expression” and “musical genius.” 1) By valuing strong musical expression, music critics began to appreciate the power of music itself, particularly instrumental music. 2) By projecting the notion of the sublime on music, the idea of greatness was applied to music as well as literature, and it changed the identity of music to being more serious. 3) Celebrating musical genius enhanced the status of music to the level of literature, and it became a basis for which old music could survive and be performed repeatedly. Finally, those aspects became strong impetus to form the concept of “classical music.” 본고는 롱기누스의 『숭고론』으로부터 비롯된 18세기 중엽의 숭고담론이 ‘클래식 음악’이라는 개념의 형성에 주요한 토대를 제공하였음을 주장한다. 본고는 1760년 6월 베를린에서 발행된 『음악비평서한』의 비평문 “비외빌 씨가 프랑스 음악을 옹호하고 이탈리아 음악을 비판하며 보네 씨에게 보내는 글”이 ‘과거의 음악’, ‘진지한 음악’, ‘기악음악’을 골자로 하는 ‘클래식 음악’이라는 개념의 형성을 투영하고 있음을 밝히고, 저자의 음악비평관을 음악사와 사상사의 문맥에서 고찰한다. 저자의 비평관은 넓은 스펙트럼의 강력한 표현성과 천재성(타고난 능력과 독창성)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며, 그것을 숭고하고 고귀한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 당대에 유행하던 롱기누스의 『숭고론』을 반영한다. 이와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본고는 롱기누스의 숭고개념이 ‘클래식 음악’이라는 개념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핀다. 1) 롱기누스의 숭고개념은 넓은 스펙트럼의 강력한 표현성에 높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음악 그 자체의 위력을 부각시켰으며, 이것은 ‘기악음악’ 중심의 ‘클래식 음악’이 형성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또한, 롱기누스의 숭고개념을 반영한 음악비평관은 2) 문학에서 논의되던 위대함이라는 가치를 음악에 투영함으로써 ‘진지한 음악’으로서의 ‘클래식 음악’이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3) 문필가에게 적용되던 ‘천재성’을 음악가에게 부여함으로써, 음악작품의 위상을 제고(提高)하여, ‘과거의 음악’이 일종의 ‘고전(클래식)’으로서 남겨질 수 있는 근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니메드〉의 재해석 -슈베르트의 op. 19의 재구성-

        정이은 ( Yi Eun Chung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09 음악이론연구 Vol.14 No.-

        Since the 1980`s, when Schubert`s sexuality was first debated in the field of musicology,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Schubert`s music has changed radically. Under these circumstances, Ganymed has been considered a significant work in associating Schubert`s sexuality with his music because of the mythical narrative. However, this contention overlooks the inclusion of Ganymed as the final song in Schubert`s op. 19, which contained three independently composed settings of Goethe texts published in 1825. Each piece in op. 19 sings the destiny of human beings in poetic terms. The first work, An Schwager Kronos, deals with the victory of man over time restricting human life. In contrast, An Mignon speaks of the deep sorrow which comes from inescapable fate. Finally, Ganymed sublimates earthly desire into transcendental longing. Whatever Schubert`s interest in composing Ganymed originally, its placement at the end of this particular grouping produces a unified poetic and musical narrative of transfiguration, where the juxtaposition of human wishes and despairs ultimately allow a philosophical transcendence of their orig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