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공립대학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신옥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3

        Nach § 24 Abs. 3 「EDUCATIONAL OFFICIALS ACT」 wählt Empfehlungsausschuss einen Kandidaten für den Präsident/In der betreffenden Universität auf eine der Arten von ① Auswahl auf einer Sitzung des Empfehlungsausschusses; ② Auswahl nach den von den Fakultätsmitgliedern der jeweiligen Universität vereinbarten Methoden und Verfahren aus, wie von der betreffenden Universität vorgeschrieben. Siese Bestimmung gewährt den nat. Universitäten das Selbstverwaltungsrecht. 04.03.2019. wählen 16 Uni.(42.1%) direkt, und 22 Uni.(57.9%) indirekt Kadidat für Präsident/In. Es ist wichtig, bei der Wahlen die Offenheit und Gerechtigkeit des Verfahrens innerhalb der Universitätaautonomie zu sichern. Wie in der früher Lee, Myungbak Regierung geschehen ist, darf die Regierung Universitäten nicht zu dem Aufgeben der direkten Wahl zwingen, indem sie die Wahlart mit der Regierungsfinanzierung im Zusammenhang bringt. Bei der Auslegung des § 24 Abs. 3 「EDUCATIONAL OFFICIALS ACT」 sind insbesondere die teleologische und systematishe Interpretationsmethode zu achten. Wählt eine Uni. direkte Wahl, die als Uni.-Demokratiesierung im Jahr 1987 ein Kernissue von Universitäten war, ist es zu beobachten, zwischen den Universitätsmitglied auf Grund des Wertes der Abstimmung. Die Lösung befindet sich im Art. 31 Abs, 4 verankerter Selbstverwaltungsrecht der Uni. im Zusammenhang mit Art. 22 Abs. 1 Wissenschaftsfreiheit. Das Selbstverwaltungsrecht der Uni. ist eine Voraussetzung der Wissenschaftsfreiheit. Universitätsmitglied haben Recht, sich an der Gelegenheit der Uni. inklusive der Wahl von Präsident/In teilzunehmen. Aber verfassungsrechtlich ist es undenkbar, die Stimmen von Universitätsmitglied in allen Ausschüssen bei allen Angelegenheiten gleich zu bewerten. Daher haben Professoren bei der Wahl von Präsident/In teilzunehmen über die Mehrheit der Stimmen. 교육공무원법 제24조 제3항에서 따라 추천위원회는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학의 장 후보자를 추천위원회에서 선정하거나 해당 대학 교원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에 따라 선정한다. 동 조항은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에 있어서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2019.3.4. 현재 38개 국공립대학교 중 직선제를 통하여 총장임용후보자를 선정하는 대학은 16개교(42.1%), 간선제로 선정하는 학교는 22개교(57.9%)이다. 총장임용후보자의 선정에 있어서 직선의 방식이나 간선의 방식은 모두 장・단점이 나타나는 제도여서 이중 어느 한 제도가 국・공립대학교의 총장임용후보자의 선정을 위한 이상적인 제도라고 보기는 어렵다. 중요한 것은 대학교원의 합의에 따라 총장임용후보자를 선정할 수 있는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교육공무원법상 총장임용후보자 선정규정, 대학교의 관련의 학칙 등 관계 법령 등을 합리적으로 정비하여 선정절차의 투명성, 공정성 등을 보장하는 것이다. 직선제를 통한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을 하는 경우 과거와 같이 대학에 대학 재정지원과 총장임용후보자 선정방식을 연동하여 직선제 방식을 포기하도록 강제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에 관한 교육공무원법 제24조 제3항의 규정들은 헌법상 대학의 자율성보장에 상응하고 총장임용후보자 선정과 관련된 규정들의 취지에 맞게 체계적이고 합목적적으로 해석・적용될 필요가 있다. 동 규정에 따라 추천위원회는 “해당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추천위원회에서의 선정 또는 해당 대학 교원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에 따른 선정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대학의 장 후보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총장이 해당 대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총장임용후보자 선정 관련의 학칙을 개정하는 경우, 대학교원의 심의・의결 없이 총장 단독으로 개정하여서는 아니되며, 또한 대학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는 의미를 대학구성원 전체의 의사를 동일하게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른다고 해석하면 대학교원의 합의에 따른 총장임용후보자 선정방법의 규정과 모순된다. 총장임용후보자의 직선제 선정방법을 택하는 경우 각 대학구성원이 행사한 표의 가치평가문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은 헌법상 보장되는 대학자율성의 이해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은 대학의 자율의 영역으로서 헌법은 기본권으로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한다. 이 기본권은 학문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전형적인 주체는 대학, 교수, 교수회 등이고 학생, 직원도 경우에 따라 주체가 될 수 있다. 총장선정은 대학교수의 강학, 연구 등과 밀접하고 이는 학문의 자유를 실질화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하여 각 주체가 행사하는 표의 가치평가를 달리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역대 서울특별시 지방의원의 사회적 배경과 충원 유형

        고경민,장성훈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6 서울학연구 Vol.- No.26

        Political recruitment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local political process. It has to be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enhances representation, democracy,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a local political system. This study is focused on representation among them. This study is analyzing a trend of patterns of political recruitment of local council members of Seoul city through social backgrounds variables such as political party, age, occupation, education. The analysis of social backgrounds of local councils members becomes a basis to evaluate how much local councils has representation and democracy, and can offer standard of political recruitment of local politicians for democratization and activation of local poli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eoul metropolitan Council members preferred most was the people who had social backgrounds such as education of university graduation or above, age between 40s~50s, recommendation of political party and special politician. Similarly, Seoul district council members preferred most was the people who had social backgrounds such as education of high school graduation or above, age between 40s~50s, and special politician. If the highly educated person who had administrative ability and specialty becomes a local politician, accomplishing efficiency of local politics can be positive. But it has possibility to infringe core values such as social representation or democracy of local council. Because local politicians represent public opinion and interests of local residents, they must not be extremely different with social backgrounds of local residents. However, their social backgrounds can be different with it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have the ability to carry out role of the excellent representative. It is a dilemma of local council configuration to harmonize efficiency with representation. None the less, as for the local council configuration where reflecting various classes and their interests in local communities, development of institution and change of consciousness of local residents must consist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트랜스모던 공간으로서의 서울, 1948년 -염상섭 『효풍』의 현대적 의미

        이양숙 ( Lee Yang-sook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8 도시인문학연구 Vol.10 No.1

        염상섭의 『효풍 曉風』은 남과 북에 각기 단일 정부가 추진되던 1948년 1월부터 그해 11월 3일까지 『自由新聞』에 연재된 장편소설이다. 이 글에서는 해방 후 첫 장편인 『효풍』에서 염상섭이 추구하였던 ‘동시대성’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서사적 시간인 1947년 말은 유엔에 의해 단독정부 수립이 결정되어 유엔조선위원회의입국을 앞두고 있었던 때로 이에 반대하는 사회적 여론이 대대적으로 일어나 남북협상이 모색되었던 시기이다. 단선반대와 남북협상을 지지하였던 염상섭은 남과 북에서 미소양군이 철퇴할 것을 주장하는 등 정치적 입장을 명백히 하였다. 이 작품에서 염상섭은 1948년 서울을 이념의 각축장이자 혈통과 언어, 정체성의 혼란이 교차하는 트랜스모던한 공간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해방 직후 발표된 일련의 단편들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지만 결국 개인의 선택으로 정리되었다. 이와 달리 『효풍』에서는 다양한 타자들과의 관계망 속에서 이 문제를 천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작가는 한 세대 동안 제국의 일부로 기능했던 서울이 단숨에 제국적 성격을 제거하고 민족공동체의 성지로 변화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효풍』 이후의 작품에는 이와 같은 다층성이 제거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지닌 독자성을 높이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 『효풍』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은 트랜스 모던 공간 서울에서 모두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담당함으로써 역사의 흐름에 동참하고 있으며 작가는 이들이 그와 같이 사고하고 행동할 수밖에 없었음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이들이 보여주는 횡단성과 공존을 모색하는 다양한 장면을 통해 이들 모두 해방된 조선에서 함께 살아가야 할 구성원들이라는 사실이 부각된다. 이 글에서는 트랜스모던의 관점에서 『효풍』을 분석함으로써 1948년 서울이라는 시공간이 펼쳐 보인 다층적인 의미를 짚어보았다. This article analyzes Hyopung in terms of transmodernity, and examines the multi-layered meanings of the space-time of Seoul in 1948. Hyopung is a serial novel published in 1948 by Yeom, Sang-seop, when the establishment of two separate governments was carried out in the South and the North respectively.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plain the “contemporaneity” pursued by the author. At the end of 1947, as the epic time of the work, the United Nations decided to establish a sovereign government and the UN Chosun Committee was on the verge of entering Seoul. Yeom objected to the sole election and supported the inter-Korean negotiations. And he made his political stance clear by insisting that the Missing Army should withdraw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novel, he reconstructed Seoul as a transmodern space where the confusion of his lineage, language, and identity is coined by the intersection of ideology. The same problem also emerges in the short films released shortly after the liberation. But in the short stories, it was finally decided that it depends on individual choices. On the other hand, Hyopung has been engaged in this problem in the network with various other people. In doing so, he showed that Seoul, which functioned as a part of the empire for one generation, cannot remove the national character and change into the holy place of the national community at once. Hyopung can be highly appreciated for its uniqueness because in the works after this novel these multi-layered structures are hardly found. All the characters appearing in Hyopung participate in the flow of history by faithfully taking charge of their roles in the trans-modular space of Seoul and the writer convincingly shows that it was the only way they had to think and act in. Transcendence of the transnational actors and the various scenes in which the protagonists sought mutual coexistence altogether point to the fact that they are meant to be members to live together in liberated Korea.

      • KCI등재

        불법행위 손해배상청구권의 단기소멸시효 기산점― 서울고등법원 2018. 5. 10. 선고 2017나2037841 판결에 대한 평석과 함께 ―

        서종희,나강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법학 Vol.26 No.2

        The starting point of short-term period for exercise of a right shall be time of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r his/her legal representative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Para. 1 of Art. 766 of the Korean Civil Act and Para. 1 of Art. 166 of the Korean Civil Act. However, ‘knowing the perpetrator’ is only a matter of perception of facts, not a matter of legal assessment of facts. However, since the perception of fact means ‘realistic and concrete perception’, that is, i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point of knowing that the victim is claiming damages from actual and objective point of view. However,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subjective situation of ‘becoming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in practice. The difference between decision by Seoul High Court(May 10. 2018, Case Number 2017Na2037841)and first decision is that the approach to judge the creditor's subjective perception is different. In judging the time to appeal, even if it is illegal to avoid individual specificity compared to contract liabilit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 must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illegal act area is different from the contract relationship, which is the essence of relativity, it is possible to judge the subjective starting point of the victim's exercise of rights in consideration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It is understandable in this context that the Seoul High Court ruled that the plaintiffs were aware of the damages and the perpetrators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financial products market is relatively abundant. Those who invested in investment areas belonging to the high risk group would have paid attention to the press release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the demand for compensation of the investors who invested in the same area, compared with general investors. It is reasonable that the risk arising from the failure is borne by the creditor himself. 민법 제766조 제1항의 불법행위손해배상청구권의 단기소멸시효는 피해자가 ‘손해 및 가해자를 알게 된 시점’, 즉 주관적 기산점에 의해 진행된다. 그러나 제766조 제1항에서 가해자를 안다고 함은 사실에 관한 인식의 문제일 뿐 사실에 대한 법률적 평가의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 사실에 관한 인식은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인 인식’을 의미하므로, 피해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이 실제적이고 객관적으로 가능한 시점, 즉 손해배상을 소구할 수 있는 것까지 아는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안 날’이라는 주관적인 사정을 실질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이에 실무에서는 주관적 기산점을 언제로 볼 것인지가 중요한 쟁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서울고등법원 2018. 5. 10. 선고 2017나2037841 판결(대상판결)과 1심의 결과가 달랐던 이유는 채권자의 주관적 인식의 시점을 판단하는 접근 방법이 달랐기 때문이다. 그런데 소구할 수 있는 시점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계약책임에 비하여 개별적 특수성이 지양되는 불법행위라 할지라도 피해자의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즉 불법행위법 영역이 특별결합과 상대성(Relativitӓt)을 본질로 하는 채권법영역과는 다르다고 하더라도,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일응의 인적 관계성을 고려하여 피해자의 권리행사에 대한 주관적 기산점을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대상판결이 원고들이 금융상품시장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비교적 풍부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제1심과 달리 제2시점에 손해 및 가해자를 알았다고 본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고위험군에 속하는 투자영역에 투자한 자들이라면, 일반적인 투자자들에 비하여 금융감독원 등에 의한 보도자료 및 동일 영역에 투자한 자들의 손해배상청구 등의 동태에 주목을 했을 것이며(해야 할 것이며), 그렇지 않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험은 스스로 부담하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1960년대 대서울계획의 동심원구조와 선형도시구조 대안이 서울의 도시구조에 미친 영향

        김혜영,이상헌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3 서울학연구 Vol.- No.90

        본 연구는 서울이 한강이남으로 시역이 확장되어 오늘날과 같은 도시구조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1960년대 ‘대서울 도시계획’과 ‘담론’, ‘현실적 도시개발’을 살 펴봄으로써 서울의 도시구조를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은 1950 년대부터 구상되기 시작하여 서울도시기본계획(1966)의 근간이 된 대서울계획에 의해, 수도 대서울의 건설을 위한 국토및지역·도시계획의 체계 속에서 동심원 구조로 구상되었다. 대서울계획의 동심원구조는 처음 구상된 이후 1970년대 초 까지 서울도시계획의 기조로 유지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원래의 계획대로 구현 되지 못하고 변형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 HURPI를 비롯한 외국인계획가들 이 대서울 동심원구조를 비판하고 선형도시구조 대안을 제안하면서 대서울의 동 심원구조 계획이 수정되었다. 선형도시계획은 서울의 도시구조로 수용되지 못했 지만, 서울대도시권에서 서울단위도시의 동심원구조에 대상형 도시구조가 단편 적으로 중첩되면서 연담화되는 변형된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한편, 서울단위도 시구조는 1960년대 초 동심원구조의 구상을 따라 방사순환형 가로망체계와 그린 벨트가 구축되어 동심원적 구조의 틀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 서울 시의 강남개발은 건설부의 대서울 동심원계획, 그리고 선형도시구조 담론과 무 관하게 추진되어 동심원구조의 내부가 격자형태로 변하였고, 동심원의 밀도계획이 무의미해져서 구도심이 평면적으로 확장되는 시가지 형태로 개발되었다. 그 결과 서울단위도시구조는 서울대도시권 동심원구조와 체계적인 정합을 이루지 못하게 되어 서울대도시권 전체로 보면 더 이상 동심원구조로 부를 수 없을 정 도로 변형되고 비대화되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서울의 도시구조는 1960년대 도 시계획의 체계가 미비한 상황에서 계획된 대서울계획의 동심원구조가 일관성있 게 구현되지 못하고, 동심원구조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제시된 선형도시구조 담론의 영향과 현실적 도시개발이 복잡하게 얽히고 중첩되면서 형성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조선중기 화담학파의 계보학과 민순의 문인양성

        이동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9 서울학연구 Vol.- No.76

        조선중기 화담 서경덕과 그 문인을 중심으로 사상을 공유하는 학문집단 화담학파가 형성되었다. 화담학파가 계승되어 후대에 영향력을 갖게 하는데 초석을다진 인물이 바로 행촌(杏村) 민순(閔純, 1519~1591)이다. 그의 문인들의 분석으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화담학파의 후속세대를 양성하는데 크게 기여한 인물은 행촌 민순이다. 그는 화담의 문인 가운데 가장 많은 20여 명의 문인을 양성하였다. 그의 문인들은 화담 서경덕의 문집을 간행하고 서원을 건립하여 화담학파의 계승을 가장 적극적으로 실천하였다. 둘째, 민순과 그의 문인들이 계승한 화담학의 주요 내용은 1) 『주역』의 전문성, 2) 주정설(主靜說)의 강조, 3) 자득(自得) 중시로 요약된다. 『주역』의 전문성과 주정설에 대한 실천은 문인 홍가신, 한백겸, 홍이상, 곽열 등에게서 뚜렷하게 확인된다. 자득의 중시는 서경덕에게 보이는 고유의 학문방법이었다. 예컨대 민순이텍스트 독해에서 핵심파악[大要]을 강조하는 것에서 볼 수 있다. 특히 한백겸은자신의 학문 방법으로 ‘인식주체의 능동적 사유[思]’를 강조하였다. 육경(六經)의주소(註疏)가 육경의 본지를 잃어버리게 할 수 있음을 경계하기까지 하였다. 셋째, 민순과 문인들의 지역적 기반은 서울과 경기에 분포하였다. 민순과 문인들은 문화적 중심도시 서울에서 학문 활동을 하였고, 경제적으로는 주로 경기에지역적 기반을 갖고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는 화담학의 생성 공간이 이곳이었으며 화담학파의 지역성이 이곳에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넷째, 민순 문인은 사승관계가 다양하였다. 그들은 민순 외에 허엽, 김근공, 이관, 성운, 최영경, 유희춘, 성혼 등 여러 선생에게도 배운다. 이는 퇴계학파나남명학파에게서 찾기 어려운 특징으로 서울에서 형성된 화담학파의 사승관계의특징이다. 서울이 학문적 다양성을 제공하였기 때문이다. 다섯째, 민순 문인은 당파가 다양하였다. 20여 명의 문인들 가운데 7명이 기축옥사의 피해자였다. 이들은 17세기 이후 근기남인의 원류가 된다. 윤효전이 광해군 북인 정권에 참여했지만 아들 윤휴 대에 와서 근기남인으로 활동한다. 이유간과 홍이상처럼 중립의 입장인 경우도 있었고, 후대에는 정치적 입장이 변화된 인물들도 일부 있었다. A scholarly group called the Hwadam School was created in the mid-Joseon period centered around Hwadam (花潭) Seo Gyeong-deok (徐敬德) and his disciples who shared his ideas. Haengchon (杏村) Min Sun (閔純, 1519-1591), one of Hwadam’ s disciple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continuation of the Hwadam School and its influence in subsequent generations. By analyzing Min Sun’s disciples, several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that belong uniquely to this group of literati have been identified as follows. First, Min Sun contributed greatly toward cultivating subsequent generations of scholars belonging to the Hwadam School. Min Sun cultivated over 20 students, the greatest number of disciples cultivated by one single disciple of Hwadam. Furthermore, Min Sun’s disciples were the most proactive in continuing the Hwadam School through publishing Hwadam’s collected works and building private Confucian schools. Second, key aspects of the Hwadam School as transmitted by Min Sun and his disciples can be summarized as 1) expertise in the Book of Changes, 2) emphasis on tranquility (主靜說), and 3) importance on self-enlightenment (自得). Proficiency in the Book of Changes and the practice of emphasizing tranquility can be observed clearly in disciples Hong Ga-sin, Han Baek-gyeom, Hong I-sang, and Gwak Yeol. Putting significance on self-enlightenment is a method of learning unique to Seo Gyeong-deok, and can be seen, for example, in Min Sun’s emphasis on grasping the core of the text when reading it. Han Baek-gyeom in particular emphasized “active thinking of the reader” (思) as his method of learning; he even cautioned against the possibility of not grasping the key concepts of the Six Classics (六經) because of the commentaries. Third, Seoul and Gyeonggi are the regional bases of Min Sun and his disciples. They conducted their scholastic activities around the city of the cultural center that was Seoul at the time, and their economic regional base was mainly the area of Gyeonggi. This reveals that the Hwadam School emerged from these areas and their activities were concentrated in these localities. Fourth, disciples of Min Sun formed ways of attaining diverse learning from various teachers. In addition to Min Sun, they studied under several teachers, including Heo Yeop, Kim Geun-gong, Yi Gwan, Seong Un, Choi Yeong-gyeong, Yu Hui-chun, and Seong Hon. Learning from various teachers, a phenomenon rare in the Toegye School or the Nammyeong School, is unique to those of the Hwadam School which was founded in Seoul. It was possible because Seoul provided diversity in learning. Last, the disciples of Min Sun belonged to various political factions. Seven of the 20-some disciples were victims of the Act of High Treason in1589, and they became the source of the Southerners faction around Seoul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on. Yun Hyo-jeon participated in King Gwanghae’s government of the Northerners faction, but his son Yun Hyu was active as a Southerner around Seoul. Some disciples such as Yi Yu-gan and Hong I-sang were politically neutral, whereas some in later generations changed their political positions.

      •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Beijing while making Comparison with Seoul and Tokyo : 서울과 북경, 동경의 비교연구

        Wang, En-Yong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1995 서울학연구 Vol.- No.4

        중국의 수도인 북경은 지방의 중심지이자 군사적인 요새에서 수도로 발전한 고도이다. 서울과 동경 또한 역사적, 지형적 조건 때문에 수도로 발전한 경우로서 이러한 세 수도들은 산업화 과정에서 인구, 위치, 기능과 문화적인 측면에서 모두 자신만의 방식으로 항구와 연결시키는 방법을 찾았고, 동양의 3개국이 모두 중앙집권체제였기 때문에 이들의 수도도 모두 산업시설과 많은 인구를 가진 다기능을 수행하는 도시로 발달하였으며, 오랜 역사와 문화가도시의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덧붙여 지리학적, 정치적, 도시구조, 문화유산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세도시의 차이점과 공통점이 함께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먼저 지리학적인 위치에 있어서 서울과 동경은 각기 국가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나 북경은 중국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도의 성격에 있어서도 서울은 한국의 중심지이나 북경과 동경은 그렇지 않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서울이 바다와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나 북경과 동경은 바다와 떨어져 있다는 점이 도시발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두번째로 이들 세 국가들이 정치적으로 중앙 집권화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수도들은 정치적인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많은 인구를 가진 경제, 문화, 교육, 교통의 중심지가 되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셋째로 도시구조에 있어서 왕궁의 위치와 그의 구조적인 형태가 도시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세 수도들이 공통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북경이 구도심을 중심으로 방사형 패턴의 도시구조로 발전한 반면에 서울은 그 기능이 분산되어 명확한 방사형태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도시공간의 기능분할적인 측면에서 보면 북경은 산업시설이나 행정시설 등을 북경의 동쪽과 서쪽으로 발전시켜 역사적인 성격이 강한 구도심은 거의 보존시켜 왔으나 서울에 있어서는 많은 전란과 동경의 경우는 지진의 영향으로 구도심의 형태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산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북경은 천안문 광장의 재건설, 기존의 중요한 역사적 유산들의 중심축을 이용한 교통체계 구성, 역사적 명소의 가시권을 확보하기 위한 고도제한과 같은 장치를 통하여 개발과정에서 북경의 문화유산을 잘 보존하여 왔으며, 이러한 노력은 동경과 서울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서양문물의 영향으로 겪게되는 기존의 전통요소와 현대적인 요소와의 조화문제는 세개의 수도 모두가 안고 있는 주요한 과제로 남아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남산과 장충단(奬忠壇)

        박희용(Park, Hi-Yo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6 서울학연구 Vol.- No.65

        근대기 서울의 도시변동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도시정책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대한제국기는 일본의 메이지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메이지의 식민지 도시에 대한 공간정치는 서울의 근대초기 도시공간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대한제국기로부터 식민지 초기 서울의 도시공간에 대한 연구는 서울의 원형공간과 근대로의 변화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거대도시로 성장한 서울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따라서 ‘대한제국과 메이지의 공간충돌’ 이라는 거시적인 테마로, 도시를 지배하는 권력주체가 바뀜에 따라 도시공간은 어떻게 변화되고, 그것이 현재 어떤 모습으로 잔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현대 서울의 도시공간을 이해하기 위한 단초가 된다. 대한제국기는 전근대 도시에서 근대 국민국가로의 변화가 처음으로 진행되던 시기로, 황궁인 경운궁(慶運宮, 덕수궁)과 원구단(圜丘壇)을 세우고, 근대식 학교가 건립되며, 근대문명의 상징인 전차의 도입과 공원의 조성, 도로망의 정비 등 많은 근대화 사업들이 행해졌다. 그러나 1907년 고종의 황제 퇴위와 더불어 창경궁은 동물원과 식물원으로 변화되고, 1910년 식민도시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서울은 식민지의 도시공간으로 개조되기 시작했다. 특히 1912년 시구개정사업(市區改正事業)과 이어서 1934년 조선시가지계획령(朝鮮市街地計劃令) 등으로 인하여 서울의 도시구조는 크게 변화되었다. 즉 옛 한양도성의 상징적인 장소에는 일본제국의 상징적인 시설물로 대체되는데, 도성의 북쪽 공간에는 경복궁에 조선총독부 청사, 동쪽으로는 경성운동장, 서쪽으로는 경희궁터에 경성중학교, 남쪽으로는 남산 기슭에 조선신궁과 박문사, 중심에는 경성부청과 여러 상업 및 금융시설물 등을 세워 도시공간의 기본구조를 서서히 바꾸어 갔다. 그리고 도성을 둘러싼 성벽도 허물어져 중세로부터 이어져온 한양의 도시적 정체성은 훼손되어 갔다. 이러한 식민도시 서울의 도시변화에 있어서 메이지의 도시정책은 식민지 도시 만들기라는 거대한 계획의 근원이었고, 이후 식민정책의 변화와 함께 약간의 수정은 있었지만 큰 틀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메이지의 공간정치가 식민지 수도 서울의 도시공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변용ㆍ적용되었고 현재 어떠한 모습으로 잔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도시 건축적인 측면에서 뿐만아니라 역사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도시변동의 사례로, 현재 한양도성의 남동쪽 남산 기슭에는 대한제국기의 성소인 장충단이 조성되었다. 이 일대는 조선시대 남소영과 훈련원 등의 군사시설이 있었던 곳이다. 이러한 장충단은 식민지 초기에 공원으로 변화되고, 1925년에는 히로히토(裕仁) 일본 천황의 결혼식을 기념하기 위한 경성운동장(東宮殿下御成婚記念京城運動場)이 주변에 건립되었으며, 메이지정권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인물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기리는 사찰인 박문사(博文寺)가 세워지는 등 많은 역사적 사건과 변화들이 중첩되었다. 특히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에서도 메이지기의 원훈(元勳)으로 알려진 중요한 인물이고, 그를 위한 박문사의 조성에는 당시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인 고마다 히데오(兒玉秀雄), 일본 최고의 건축가였던 이토츄타(伊東忠太)가 관여하는 등 식민지 수도 서울의 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사적인 인물과 사건들이 함축된 장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일대의 도시변동에 대한 연구는 대한제국과 메이지의 공간정치와 현대 서울의 도시공간에 남겨진 근대의 기억과 흔적을 잘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키워드가 될 것이다. The construction plan of Seoul City in modern era was mainly influenced from the Japanese colonialism’s city policy. Specifically, politics of colonial city in Japanese Meiji era mainly effected the forming of city in early modern era in Seoul. The study on city of Seoul from the era of Daehan Imperial to early colonial era, is the premises for understanding not only of changing procedure from ancestral Seoul to modern one, but of how Seoul developed into metro city. Therefore, it can be the clue of understanding comtemporary Seoul city to examine how Seoul was changed by which regimes governed the city, what remains in comtemporary with the theme, ‘Space conflict between Daehan Imperial and the Meiji policy for colony. Firstly, in Daehan Imperial era, the Seoul was changed from pre-modern city to modern one, with not only restoration of tradition such as Imperial palace, Gyungwun(Duksu) palace, and Wongudan, but also introduction of modernized infrastructures such as modern school, the train, public park, and roads and so on. After abdication of Emperor Gojong in 1907, Seoul had been rapidly renovated into colonial city through changing many traditional buildings from 1910 changing royal space, Changgyung palace into amusement park, zoo and botanical garden. Especially, through the project of city and district renovation(市區改正事業) in 1912, and Planning Decree of Chōsen district(朝鮮市街地計劃令) in 1934, the Seoul’s city structure was significantly changed. The symbolic place of ancestral Hanyang(Seoul’s old name) was replaced by the symbolic established of Japan colonialism. For examples, The Seoul was reformed by the building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front of Gyungbok palace in the northern space, the Gyungsung stadium in the eastern, Gyungsun middle school in the remain of Gyunghee palace in the western, Chōsen Jingū and Bakmun-sa(the temple for Ito Hirobumi) near the Namsan in southern, and several buildings for administratives and business and financial district in the center. Finally, by demolition the city wall, city’s identity from middle age was severely damaged. The main purpose of these consequences of city renovation influenced by Meiji policy is basically to make Seoul into colonial city, which continued with a little adjustment so far. Therefore to examine how Meiji policy changed Seoul as a colonial city and how much residues of Japanese policy has remained in this time is important for historical aspect as well as city-construct scale. The outstanding instance of reforming Seoul, this presentation points out the sacred place in Daehan Imperial, Jang-chung-dan(奬忠壇). In the early colonial era, it changed into park, and in 1925 the Gyungsung stadium(東宮殿下御成婚記念京城運動場) was constructed for commemorating the marriage of Japanese Emperor Hirohito, and Bakmun-sa(the temple for Ito Hirobumi who is one of the most main figures during Meiji era) was built in this sanctum. The colonial regime gave a lot of effort to constructing temple for Ito Hirobumi(伊藤博文) supervised by Hideo Komada(兒玉秀雄), the civilian administrator of Korea and designed by Itō Chūta(伊東忠太), the leading architect in Japan. Therefore, the study on history for buildings in Jang-chung-dan area can be an important key to understand Seoul’s structure more closely.

      • KCI등재

        교수와 대학(원)생의 공동발명 인정과 보상기준에 관한 연구

        권태복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1

        In case where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jointly complete invention substantially, since both of all are to be the joint inventors, the patent right should be obtained by describing names of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in inventor section of patent application, and instead thereof, in case where profit is created through technology transfer of the corresponding patent right etc, proper compens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rate. However since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have not simple occupational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but have relations of the teacher and student in an academic and a human, it is difficult to assert as the joint inventor in an equal footing. Further since standard of decision whether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substantially complete jointly is not clearly established and also standard of decision on which the professor and graduate student contribute in a certain degree to completion of invention thereof is not clearly established, the graduate student does not enjoy right being able to provide proper compensation although the graduate student substantially contributes to completion of invention. Accordingly in case where the graduate student participating in study as an employee of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erforms study under the guidance of the guidance professor and contributes in creation and derivation of invention, standard of decision for recognizing the graduate student as the joint inventor and calculation standard being able to proper compensation are needed to be established. 교수와 대학(원)생이 공동으로 발명을 실질적으로 완성한 경우에는 양자 모두가 공동발명자가 되므로 특허출원서의 발명자란에 교수와 대학(원)생의 이름을 기재하여 특허권을 받아야 하고, 그 대신에 당해 특허권의 기술이전 등을 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에는 발명의 기여율에 따라 교수와 대학(원)생에게 정당한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그러나 교수와 대학(원)생은 단순한 직업상의 상하관계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 인간적으로 은사와 제자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대등한 위치에서 공동발명자로 주장하기가 어렵다. 즉, 교수와 대학(원)생이 실질적으로 발명을 공동으로 완성하였는지에 대한 판단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고, 또 그 발명의 완성에 교수와 대학(원)생이 각각 어느 정도의 기여를 하였는지에 대한 판단기준도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대학(원)생은 교수와 함께 발명을 실질적으로 완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법에서 규정한 정당한 보상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산학협력단의 피용자로서 연구에 참여한 대학(원)생이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연구를 수행하여 실질적으로 발명의 창안과 도출에 기여한 경우, 그 대학(원)생을 공동발명자로서 인정하기 위한 판단기준과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산정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