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정서 및 동기심리학 연구 : 개관 및 문헌정리

        안신호,박두진 부산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2000 심리과학연구 Vol.1 No.-

        우리 나라 심리학계에서 지금까지 발표된 정서 및 동기심리학 관련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개관하고 주제별로 문헌을 정리하였다. 1970년대에 침체 상태이던 연구가 1980년대부터 증가추세를 보이고, 1990년대부터는 연구가 왕성하였다. 정서 관련 연구는 (1) 정서구조, 정서상태 추론, 및 기타 이론 접근, (2) 정서-인지 관계에 관한 이론적 및 (3) 응용(임상, 산업) 연구, (4) 정서체험, (5) 스트레스, (6) 행복, (7) 기타 개별 감정, (8) 정서발달, (9) 감정 척도, (10) 신체변화 지표, (11) 동양고전 혹은 문화차 연구로 대별하였다. 동기 관련 연구는 (1) 성취동기, (2) 내재적 동기, (3) 개인 자존감, (4) 집단 자존감, (5) 인지적 일관성, (6) 공격, (7) 기타 사회적 동기, (8) 동기 체계, (9) 조직 동기, (10) 조직 만족, (11) 소비자 욕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Studies on emotion and motivation by Korean psychologists were extensively collected, classified, and briefly reviewed. The ratios of studies on emotion and motivation were increased from less than 10 percent in 1970s, through 13 percent in 1980s and 15 percent in early 1990s, to about 25 percent recently among those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search on emotion was classified into (1) structure or inference of emotion, (2)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3) emotional experience, (4) stress, (5) happiness, (6) other discrete emotions, (7) development, (8) scales, (9) physiological changes, and (10) oriental literature or cultural approach. Research on motivation was classified into (1) achievement need, (2) intrinsic motivation, (3) self-esteem, (4) group self-esteem, (6) cognitive consistency, (7) aggression, (8) other social motivations, (9) work motivation, (10) job satisfaction, and (11) consumer motivation.

      •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학습잠재력에 따른 인지재활훈련의 효과

        홍창희,장은진 부산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2001 심리과학연구 Vol.2 No.-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학습잠재력에 따른 인지재활훈련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만성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들을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를 사용하여 학습잠재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에서 5명씩을 선별하여 인지재활훈련을 실시하였다. 인지재활훈련은 1회기에 60분, 일 주일에 3회기 총 12회기가 실시되었고 훈련 전, 직후, 훈련종료 한 달 후 훈련 참가자들의 주의력, 기억력, 개념형성 및 유지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시기별 환자 개인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측정 시기에 걸쳐 변화가 없는 환자를 제외한다면, 학습잠재력이 높은 집단의 환자들 모두 훈련 전에 비해 훈련 직후 주의력, 기억력, 개념형성 및 유지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 중 주의력, 개념형성 및 유지능력은 향상된 기능이 훈련종료 한 달 후까지 유지되고 있었다. 학습잠재력이 낮은 집단의 환자들은 주의력과 기억력에서 훈련 직후 향상을 나타내었으나 향상된 기능이 훈련종료 한 달 후까지 유지되는데는 집단 내 환자들 간에 서로 차이가 많았다. 학습잠재력이 높은 집단에 비해 낮은 집단에서 각 인지 기능에서 측정 시기에 걸쳐 변화가 없는 환자의 수가 더 많았고, 훈련 직후 각 인지 기능의 향상 정도는 학습잠재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컸다. 이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potential of chronic schizophrenics. The chronic schizophrenics were administered Wisconsin Card Sorting Test twice. They were divided into high learning potential group and low learning potential group based on the changes in the first and second performance outcome. Four patients from high learning potential group and four patients from low group participated in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f 12 sessions, three times a week Each session lasted for 60 minutes.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was consisted of attention training, memory training, and concept formation training. Attention(sustained attention, vigilance, digit span), memory(verbal memory, visual memory), and concept formation were assessed before, after and a month later the training.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potential in sustained attention, verbal memory, and concept formation. After training, in sustained attention, high learning potenti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ut low group didn't. The difference lasted for a month. In verbal memory,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However, high learning potential group improved more than low group, and the difference lasted for a month. In concept formation, after training,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A month later the training, however, both groups had a difference in changes of concept formation. The high learning potenti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cept formation, but the low group didn't. Here's the meaning of this study. First, in an effort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this study showed that it's necessary to make up groups with the same level of learning potential. Second, it showed that each patient, who participates i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needs a different rehabilitation method. And it showed more concrete ways to rehabilitate patients. Third, it showed ways to raise the cost-efficiency of the therapy and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rehabilitation for chronic schizophrenics.

      •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 자아 탄력성,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를 중재변인으로

        홍창희,박유숙 부산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2001 심리과학연구 Vol.2 No.-

        본 연구는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내의 자아 탄력성,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인 혹은 중재변인으로 고려되었다. 연구대상은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지 않는 아내 45명과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 159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는 폭력을 당하지 않는 아내에 비해 자아 탄력성이 낮고 사회적 지지를 덜 받았다. 그리고 적극적인 대처와 소극적인 대처를 많이 하였다. 2.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는 폭력을 당하지 않는 아내에 비해 PTSD 증상과 우울, 무기력이 심했다. 3.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의 PTSD 증상은 폭력 3~7년 사이에 가장 심하였고 우울은 폭력 기간의 초기 4년까지 심해지다가 그 이후에는 고착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무기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누적되는 경향이 있었다. 4. 적극적 대처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폭력정도, PTSD 증상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5. 자아 탄력성은 남편의 폭력에 중재변인 보다는 매개변인으로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편의 폭력이 장기적으로 아내를 우울, 무기력하게 만드는 외상적인 사건으로 개념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가정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적 구호체제의 확립과 조기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아내의 자아탄력성이 개입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개념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olence of husband on psychopathology of wife. Ego-resiliency, coping styles of wife, and social support were considered as mediating or moderating variables. Subjects were 45 non-battered wives and 159 battered w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1. In case of battered wives,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were low. And they showed more active and passive coping. 2. Battered wives showed severe symptoms of PTSD, depression and helplessness. 3. For battered wives the symptoms of PTSD were severe in 3-7 years of violence. Depression seemed to be most severe in first 4 years and didn't make such changes after that. Helplessness became stronger. 4. Inconsistent with early studies, active coping skills correlate positively with intensity of violence and PTSD. 5. Ego-resiliency is most appropriate as a media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iolence of husbands can be considered as a traumatic event witch makes wives to be depressive and helpless for long time. Social support network and early interventions for battered wives are requested. Also the results suggest ego-resiliency of battered wiv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the intervention program. Last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