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얼굴 모양 맞춤 가설과 신체적 매력 맞춤 가설

        안신호,김준영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1

        Attractiveness similarity ratings and shape similarity ratings for the faces of actual and of random couples (produced from wedding pictures of Koreans) were analyzed. Both attractiveness similarity and shape similarity of actual coup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random couples. Differences in the attractiveness similarity between actual and random couples based on attractiveness ratings on single faces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result patterns were consistent with Attractiveness Matching hypothesis. Differences in the shape similarity between actual and random couples based on categorization of single faces into one of seven categories (circle, oval,square, rectangle, diamond, triangle, and inverted triangle)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result patterns were also consistent with the Matching Principl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partial support for Similarity-Attraction or Assortative Mating hypothesis, especially for Mere-Exposure Effect explanation (Hinsz, 1989) or Imprinting explanation rather than Zajonc et al's (1987) Emotional Efference explanation. 신혼부부의 사진 20개로 제작한 실제 커플 얼굴 사진 20개와 무선 커플 얼굴 사진 20개를 제시하고 얼굴의 매력 유사성과 얼굴의 모양(형) 유사성을 평정받았다. 매력 유사성과 모양 유사성 모두 실제 커플에서 무선 커플보다 높았다. 실제 커플의 매력 유사성의 검증은 이미 사회심리학에서 확립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이론의 재검증이지만 서양인보다 얼굴 특징 요소가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얼굴 사진도 유사성 연구에 재료로 사용가능함을 확인한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신혼부부 사진을 재료로 한 실험에서의 얼굴 모양 유사성 검증은 얼굴 모양의 유사성에 따른 동류 짝 결정(Assortative Mating) 혹은 “맞춤원리(Matching Priniple)”의 네 가지 이론들(Zajonc의 정서 원심성 이론, 단순노출 효과 이론, 각인이론, Bateson의 Optimal outbreeding 이론) 중 단순노출 효과와 각인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커플의 매력 유사성과 모양 유사성을 커플 사진 판단 이외의 방법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두 실험이 추가로 시도되었다. 얼굴 사진을 하나씩 제시하고 매력 정도를 평정케 하여 그 자료에 기초한 실제 커플과 무선 커플의 매력 유사성을 비교한 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예언과 일치하는 방향의 결과 양상을 보였다. 얼굴 사진을 하나씩 제시하고 각 얼굴이 일곱 범주(정사각형, 직사각형, 원, 타원, 다이아몬드 형, 삼각형, 역삼각형)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고르게 한 자료로부터 두 가지 얼굴 유사성 지표를 산출하여 실제 커플과 무선 커플을 비교한 결과 역시 통계적 유의수준에는 달하지 못하였지만 예언과 일치하는 방향의 결과 양상을 보였다. 각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실험논문]아동의 비유이해에서의 직유표현의 효과

        안신호,이유갑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1988 심리학의 연구문제 Vol.- No.3

        Winner 등(1976)은 직유형태의 표현이 아동의 지각적 비유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증명하는데 실패했다. 그러나 그들은 지각적이 아닌 비유 즉 심리적-물리적 비유, 혹은 literal한 해석과 상징적인 해석 양자가 다 가능한 비유에서는 직유의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제안했다. 본 실험에서는 두 종류의 맥락이 조작되었다. 하나는 비유를 단지 상징적 해석으로만 의미있게 만드는 것(상징만의 맥락)이고, 다른 하나는 비유를 상징적 해석이 의미있으면서 동시에 (틀린 것이기는 하지만) literal한 해석도 의미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드는 것(Literal한 맥락)이다. 128명의 3~6학년 학생들에게 이야기를 읽도록 한 다음에 이야기속 목표단어의 의미를 쓰도록 했다. 결과들은 Literal한 맥락 하에서 직유는 비유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상징적 맥락만의 조건에서 직유는 단지 3학년 학생들만의 비유이해를 촉진시켰다. 그러나 Literal한 맥락하에서 직유는 3학년에서 5학년까지의 학생들의 비유이해를 촉진시켰다. 비유를 literal하게 해석하는 오류수는 정반응수에 반비례했다. 아무 문장이나 상징적으로 해석하려는 마음갖춤새가 피험자들에게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본 실험에서는 떼움질 조건으로서, 단지 문자대로의 해석만이 정확한 반응인, Literal Only 맥락이 삽입되었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이 조건에서도 비유가 아닌 것을 상징적으로 해석했는데 이 현상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징적 해석의 이러한 경향은 이야기 이해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에 중요하리라 여겨진다. 왜냐하면 우리는, 개개의 문장은 각기 문자대로의 해석만 가능하나, 이야기 전체 속에서는 각 문장이 상징적 의미를 갖는 경우를 문학작품에서 많이 접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자존감 결정요인: 영역별 능력과 자기수용의 영향

        안신호,박미영 한국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4 No.1

        여러 영역의 능력 평정치의 합으로 자존감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각 개인이 각 영역에 부여하는 중요도(개인 중요성)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James(1890)에서부터 있어 왔다. 그러나 개인중요성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들(Hoge & McCarthy, 1984; Marsh, 1986)의 결과에 의하면, 개인중요성의 고려는 자존감 예측력을 낮추며, 집단중요성(개인중요성의 집단 평균) 역시 자존감 예측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연구 1에서는 먼저 참가자들 스스로의 장․단점을 쓰게 하고, 그 영역들에 대한 능력, 중요성, 자기수용(기분, 행/불행에 기여하는 정도, 자부심/열등감)을 조사하여 ‘자기중요성 가설’과 ‘단점의 자기 수용가설’(단점에 대한 자기 수용이 잘 된 사람의 자존심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려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 각자의 응답 영역이 달라 집단중요성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2와 3에서는 연구 1의 자료에 근거하여 영역을 설정하고, 제시된 영역에 대하여 응답하게 하였다. 세 연구를 통하여 ⑴ 개인중요성이 자존감 예측에 적어도 방해요소는 아님, ⑵ 장․단점을 모두 망라한 전 영역에 대한 자기수용 지표가 자존감 예측에 매우 탁월함, ⑶ 아주 중요하지만 매우 열등한 영역에서 자기 수용을 잘 하는 사람이 그러한 영역에서 자기수용을 못하는 사람보다 자존감이 높음(단점 자기수용 가설의 지지 증거)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과 관련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대안 설명을 탐색해 보고, 그 과제를 해결할 후속연구들을 논의하였다. Many psychologists including William James (1890) contended that only the ability domains to which an individual gives importance will have influences on Global Self-Esteem (GSE). However, Hoge and McCarthy (1984) and Marsh (1986, 1993) showed that weighting by Individual Importance lowered the correlations of Self-View (of one's ability) to one's GSE and that weighting by Group Importance did not increase the correlations.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wrote both their merits and their demerits, and then they rated, on each domain of these merits and demerits, Self-View(SV), Attitudes to their ability (general feeling; contributions to their happiness/unhappiness; pride/shame), and discrepancy between ideal and real self. In Study 2 and Study 3, participants rated the similar scales on the given domains which were determined from the content analysis of the data of Study 1. Results of three studies showed that ⑴ weighting by Individual Importance does not decrease, if not increase, the correlations between SV and GSE, ⑵ General Self Acceptance (favorite attitudes to both their merits and their demerits) is the most influential on predicting GSE, ⑶ individuals who have Acceptance of the most problematic Demerits (domains on which they give very high importance, but have very poor ability) have higher GSE than those who have not Acceptance of those problematic Demerits.

      • 한국의 정서 및 동기심리학 연구 : 개관 및 문헌정리

        안신호,박두진 부산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2000 심리과학연구 Vol.1 No.-

        우리 나라 심리학계에서 지금까지 발표된 정서 및 동기심리학 관련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개관하고 주제별로 문헌을 정리하였다. 1970년대에 침체 상태이던 연구가 1980년대부터 증가추세를 보이고, 1990년대부터는 연구가 왕성하였다. 정서 관련 연구는 (1) 정서구조, 정서상태 추론, 및 기타 이론 접근, (2) 정서-인지 관계에 관한 이론적 및 (3) 응용(임상, 산업) 연구, (4) 정서체험, (5) 스트레스, (6) 행복, (7) 기타 개별 감정, (8) 정서발달, (9) 감정 척도, (10) 신체변화 지표, (11) 동양고전 혹은 문화차 연구로 대별하였다. 동기 관련 연구는 (1) 성취동기, (2) 내재적 동기, (3) 개인 자존감, (4) 집단 자존감, (5) 인지적 일관성, (6) 공격, (7) 기타 사회적 동기, (8) 동기 체계, (9) 조직 동기, (10) 조직 만족, (11) 소비자 욕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Studies on emotion and motivation by Korean psychologists were extensively collected, classified, and briefly reviewed. The ratios of studies on emotion and motivation were increased from less than 10 percent in 1970s, through 13 percent in 1980s and 15 percent in early 1990s, to about 25 percent recently among those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search on emotion was classified into (1) structure or inference of emotion, (2)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3) emotional experience, (4) stress, (5) happiness, (6) other discrete emotions, (7) development, (8) scales, (9) physiological changes, and (10) oriental literature or cultural approach. Research on motivation was classified into (1) achievement need, (2) intrinsic motivation, (3) self-esteem, (4) group self-esteem, (6) cognitive consistency, (7) aggression, (8) other social motivations, (9) work motivation, (10) job satisfaction, and (11) consumer motivation.

      • 悲哀와 利他行動

        安晨鎬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982 社會科學論叢 Vol.1 No.1

        In order to anchor pathos as moral sentiment to the framework of psychological formulation, findings in the psychological experiments on the affect and altruism, and the concept of pathos in philosophical, psychological (in phenomenological approaches), and Buddhist speculations were reviewed. Pathos, defined as an emotional attitude combined with feeling of nothingness of our life, has such draracteristics as similarity with others, and weakening self-concern and the value of one's possessions, which, in turn, enhance empathy and sensitivity to other's misery, and therefore, altruistic behavior. Male and female freshmen experienced pathos, other-focused sadness or self-focused sadness or heard about Busan city (control group) in laboratory. After mood arousal, opportunity for helping a student in need was suggested.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entatively to support the hypotheses pathos and other-focused sadness increase altru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