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의 사인 시스템에 관한 비교 분석

        왕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에 있어서 사인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한국대학과 중국대학을 비교하여 대학캠퍼스 내의 문화적인 차이와 사인디자인의 관점에서 사고의 제고 및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내사인, 유도사인, 방향사인 등 사인의 종류와 사인을 구성하고 있는 디자인적 요소로 색상, 타이포, 재질, 레이아웃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과학적, 효율적, 실용성을 겸비한 사인시스템으로 개선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대학캠퍼스의 기능, 특성, 유형별 분석 등 이론적 사항과 사인시스템의 개념, 목적, 기능 등 사인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교의 사인시스템에 국한된 것이지만, 앞으로 더욱 더 많은 공공사인시스템을 비교 및 연구를 통한, 양국간의 시각적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사인시스템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and analyze the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sign designs in universities by comparing Korean universities and Chinese universities regarding sign systems in the campus. In addition, it aims to examine methods to improve sign systems more scientifically, efficiently, and practically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ypes of signs including a guidance sign, a directional sign, and a direction sign as well as designs of signs such as color, typo, material, and layout. This study first looked into theoretical matters including functions, characteristics, and analyses by each type of university campuses through literary studies as well as theoretical background regarding signs like concepts, purposes, and functions of the sign. It is only about sign systems of universities, but the studies on sign systems centered on sign designs of both count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more public sign systems will be conducted.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석현 동명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23

        대학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이해관계자들에게 대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정보를 처리하는 동안 대학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소비자들이 대학에 지니고 있는 인식과 태도가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경쟁이 심화된 시장에서 대학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이미지 형성과 브랜드 충성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역할이 점차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범위를 대학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연구 대상인 광고를 중심으로 한 브랜드 포지셔닝과 광고표현 전략, 브랜드 슬로건, 마케팅 PR 등으로 정하고 이를 내용분석과 실증분석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내용 분석의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전문대학 광고에 나타난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의 유형을 분석해 본 결과, 브랜드 포지셔닝의 가장 지배적인 유형은 ‘무형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에이티브 컨셉은 ‘취업’이, 헤드라인 표현 형식은 ‘주장․제안형’이, 선호하는 광고 모델은 ‘학생 모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브랜드 슬로건 사용에 있어 주제어는 ‘꿈과 미래’와 ‘취업’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핵심가치를 대학의 통일된 정신과 행동의 구심점이라고 보았을 때 대학 브랜드 슬로건의 핵심가치는 ‘미래와 취업’으로 요약할 수 있다. 마케팅 PR전략의 유형은 대학 총장이 적극적으로 마케팅 PR 활동을 하고 있는 ‘총장 참여형’, 지역에 다양한 교육 및 공공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지역사회 관계형’, 사회복지, 봉사활동 등 대의명분을 갖고 전략적 ‘사회공헌 활동형’, 목표 공중을 직접 현장에서 만나 상호작용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이끌어 내는 ‘이벤트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마케팅 PR전술의 유형은 ‘매체 활용형’, ‘대학 인프라 활용형’, ‘행사 후원형’, ‘간접 수단 동원형’, ‘대형 이벤트 활용형’ 등 모든 유형을 고르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 분석의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대학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대학 브랜드 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포지셔닝은 ‘대학의 교육환경’, ‘대학의 평판․명성․역사․전통’, ‘대학의 취업률’이, 광고 표현 전략은 ‘크리에이티브 컨셉’과 ‘광고 슬로건’, 브랜드 슬로건은 ‘취업률’ 강조와 ‘대학 특성화’ 강조 슬로건 유형이, 마케팅 PR전략은 ‘사회 공헌 활동’ 전략, 마케팅 PR 전술은 ‘대학 인프라 활용형’과 ‘간접 수단 활용형’ 전술이 각각 브랜드 이미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간의 회귀분석 결과, 대학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부분적으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평판’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학의 호감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 브랜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대학을 선호하여 입학하고 싶은 마음, 입학 후의 대학에 대한 애착도에 대해 높게 평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여대생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의복관여도에 따른 구매행동 연구 : 한·중 여대생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바이니 동명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EEU(유럽연합),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한국과 중국의 WTO가입 등 세계화의 물결이 거세게 일고 있는 가운데, 외국 유통업체의 한국 시장 진입, 국내 시장의 표화 등으로 패션 업체의 경쟁력이 약해지면서 그 대응 전략으로 보다 넓은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해외로 눈을 돌리는 기업이 급증하고 있다. 세계시장의 글로벌화 경향에 따라 기업의 국제화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국제 마케팅 활동에 부응하는 해외시장의 다양한 문화적 환경에 따른 소비자 행동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20년간의 개혁과 개방을 거쳐 중국의 경제는 발전하는 성장을 이룩하며 생활수준도 높이 되며 그 수준에 따라 의복소비수준이 지속적으로 늘게 되고 있다. 1999년 WTO에 가입한 이래 세계의 기업들이 중국을 거래한 시장으로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게다가 중산계급의 신속이 발전하기 때문에 중국이 다국적인 소비품 기업 중에 가장크기 하고 증가율은 가장 빠른 시장 중에 하나시장이 된다. 중국시장의 점재성과 더불어 글로벌 마케팅 시대에 기초가 될 수 있는 해외시장의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관여도에 관한 연구와 비교 연구 등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 중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여자대학생들의 집단을 분류한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집단별, 개인적 환경변인 별 의복구매행동을 비교한다. 셋째, 한 · 중 의복 관여도에 따라 여자대학생들의 집단을 분류한다. 넷째, 의복관여도 집단별, 환경변인 별 의복구매행동을 비교한다. 연구대상은 중국은 長沙市의 여자대학생 250명과 한국은 부산의 여자대학생 130명이며, 연구방법은 여자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의복관여도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와 문헌을 근거로 작성하였고, 예비 조사를 통해 본인이 직접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분산분석,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 · 중 여자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의복구매행동을 유형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 외모추구, 활동추구, 즐거움추구, 경제성추구, 소비성추구, 사교추구, 합리성추구, 알뜰구매 추구, 자유 및 문화 추구, 적극적 여가활동 추구, 상표추구, 정보추구 등 1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의복구매행동은 과시적 쇼핑 추구, 실용주의 추구, 브랜드추구, 유행추구, 개인적 추구, 경제성추구 등 6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2. 한 · 중 여자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특성과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의복 구매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은 학력, 전공, 아르바이트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의복구매행동은 전공, 아르바이트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한 · 중 여자대학생들의 의복관여도에 따라, 즐거움, 유행, 계획지향, 상징성, 위험지각, 유행 무관심으로 분류하였다. 4. 한 · 중 여자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관여 및 의복구매행동 집단 간에 점포선택요인, 정보원의 중요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환경변인 간에 점포선택요인, 정보원의 중요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균 의복용비, 계획구매정도, 구매할 때 동반자, 대금지불방법, 구매 영향자 등에서 유의한 관계로 나타났다. 21세기는 여성으로 위주의 소비시대가 된다. 여자대학생은 중요한 소비 집단으로 많을수록 주목을 받는다. 특히 여자대학생의 생활양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특정문화나 특정 집단을 구별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여자대학생들이 어떠한 라이프스타일 및 의복관여도와 의복구매행동을 나타내는지 심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중국 소비자를 이해할 수 있으며, 한국과 중국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한국 소비자를 고객으로 하는 의류업계에 신제품 개발 및 판매촉진 전략과 제품의 가격과 유통구조전략을 위하여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한국, 중국의 패션 기업들의 내수 시장에 있어서의 상품기획 전략에 도움을 주는 한편, 중국 패션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한국 의류업체의 중국 시장 진입을 위한 의류 상품 기획 및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인터넷시대 온라인 뉴스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수용의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한국과 중국 대학생 비교를 중심으로

        왕상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new and diverse media have emerged, and as a result, news users have experienced an environment for new media that they have not experienced before. In the multimedia era, by grasping what motives users choose online news with, what factors they are satisfied with the news, and the impact of these usage motives and satisfaction variables on the future users' acceptance intentions, it is constantly changing and developing. In the media environment, it will be of sufficient significance to fi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online news. Through this, not only the use of new media and close theoretical discussions, but also in practical terms, the potential influence of online news and areas that can be developed can be combined. Recently, it is more important to study the reasons for using media than which media is selected.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effect of online news use motives on acceptance intention and satisfactio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five chapters, and the contents covered in each chapter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I, a question is raised in relation to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method, and the composition of the thesis are described. In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research are presented.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online news use motivation, acceptance intention, and satisfaction is examined. After that,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the summary and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re presented. In Ⅲ, a research model design and research hypothesis are set up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Ⅱ, and operational definitions and measurement methods of each research variable are presented. In Ⅳ,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hypotheses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interpret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of Ⅴ,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comprehensively summariz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results is explained. Finally, we will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lated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results, in hypothesis 1, there is a positive “(+)” influence of its interestingness, informality, restlessness, news pursuit and convenience on satisfaction when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use net news. Taking Chinese college students as an example, there is a positive “(+)” influence of the using motivation of net news on news pursuit, habituation, interactivity, convenience and the satisfaction with net news. In hypothesis 2, the interestingness, informality, habituation and convenience of the using motivation of online news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re reflected i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online news, while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informality, habituation and convenience are reflected i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online news. Finally, in hypothesis 3, there is a positive “(+)”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online news on the acceptance level of online news.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considers that the PLS path coefficient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China is different, and the motivations and purposes for using net news by two countries are differ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es of news media in different countries, so the satisfaction is also different.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and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complementary study in the future. First, since the data on the measured variable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variable was measured,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ts own limitations exist. Although corrections and supplements were performed through practical interviews and preliminary surveys, the responses to the survey may differ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degree of perception, and the results may differ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subjective judgm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using a sample biased toward university students who are judged to use a lot of online news as the subject of the survey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econd, since only online news was investigated among various types of new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app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general news. Third, sin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online news, future studies will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various methods of use by users such as more in-depth content utilizat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and analysis through data. You will need this. Based on these data, it is judged that the desirable direction of online news can be suggested, bu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centered on demographic factors. Therefore, research in a wider range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have many meanings. 최근 정보통신 관련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새롭고 다양한 매체들이 등 장하였고, 이로 인해 뉴스 이용자들은 예전에 경험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매체에 대한 환경을 경험하게 되었다. 다매체 시대에 이용자들이 어떠한 동기를 가지고 온라인 뉴스를 선택 하며 어떤 요인으로 인해 뉴스에 만족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이용 동 기와 만족도 변인이 향후 이용자들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 하여,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매체 환경 속에서 앞으로 온라인 뉴 스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충분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미디어의 이용과 밀접한 이론적인 논의 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차 원에서도 온라인 뉴스의 잠재적 영향력과 발전 가능한 분야에 대해 접목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어떠한 매체를 이용하는지 보다는 이용하는 이유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므로 상이한 국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설 문을 통해 온라인뉴스 이용 동기가 수용의도와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 치며,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을 통해 온라인 뉴스 이용 동기가 수용의도와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우선 문헌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핵심적인 개념과 정의를 정리한 다음 실증연구를 위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온라인뉴스 서비스를 사용한 경 험이 있는 한국대학생과 중국대학생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에는 응답한 한·중 양국 대학생 350명의 설문조사결과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 서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 방법 및 논문의 구성 등 을 기술한다. Ⅱ에서는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제시 한다. 먼저 온라인 뉴스이용동기, 수용의도 그리고 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후에는 각 변수들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 하여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의 요약과 한계점을 제시한다. Ⅲ에서는 Ⅱ의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연구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연구모형 설계와 연 구가설을 설정하고, 각 연구 변수들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을 제시 한다. Ⅳ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 수행결과 그 리고 결과에 대한 해석과 시사점을 제시한다.Ⅴ의 결론에서는 연구의 결 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고, 연구결과의 의의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고 있는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가설1에서는 한국대학생의 경우 온라인뉴스 이용 동기중 흥미성, 정보성, 휴식성, 뉴스추구, 편리성이 만족도에, 중국 대학 생의 경우 온라인뉴스 이용 동기의 뉴스추구, 습관성, 상호작용성, 편리 성은 온라인뉴스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가설 2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경우 온라인뉴스 이용 동기의 흥미성, 정보성, 습관성, 편리성은 모두 온라인뉴스 수용의도에 중국 대학생의 경 우 정보성, 습관성, 편리성이 온라인뉴스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설 3에서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 학생 모두 온라인뉴스 만족도가 온라인뉴스 수용의도에 유의적인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중 대학생 간의 PLS 경로계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 국가의 뉴 스매체의 특성 및 문화로 인해 온라인 뉴스를 이용하려는 동기 및 목적 이 상이하며, 이에 따른 만족도와 수용의도가 서로 상이하므로 양국의 미디어 매체 또는 온라인 뉴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이를 고려하여 콘텐츠 를 설계하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는데,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적인 연 구가 요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설문을 통하여 측정변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변수를 측정하고 실증분석에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 자체로 고유한 한계가 존재한다. 실무 인터뷰와 예비조사를 통한 수 정과 보완을 실시하였으나, 설문조사의 응답에 있어 응답자의 인지정도 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문대상을 온라인 뉴스를 많이 이용할 것으로 판단되는 대학생 이용자들에 치우친 표본을 이용한 결과로, 연구 에 대한 결과를 이를 일반화하는데 한계점을 가진다. 둘째, 다양한 형태 의 뉴스 중 온라인 뉴스만을 한정하여 조사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뉴스 전반에 대해 적용하는데 많은 한계점을 가진다. 셋째, 온라인뉴스 만족도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통한 분석이 이루어 졌으므로 ,향후의 연 구에서는 보다 심층적인 콘텐츠의 활용이나 정보 취득 방법 등 이용자들 의 이용 형태에 대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자료를 통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온라인 뉴스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부분 중 인구통계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향후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연구가 많은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 중국 시청자들의 한류드라마 선호요인과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관한 연구 : 광저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쿵차이지 東明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중국 내 한류드라마의 교류 현황과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드라마 시청형태 및 수용 실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 이러한 드라마의 선호요인과 수용결과가 한국이나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1.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 TV드라마 선호요인은 무엇인가? -가설1-1. 한국 드라마 선호요인에 따라 한국 드라마 시청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1-2. 성별, 생활비, 이용매체, 시청정도에 따라 한국 드라마 선호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문제2.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는 어떠한가? -가설2-1.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에 따라 한국 드라마 시청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2. 성별, 생활비, 이용매체, 시청정도에 따라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문제3.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드라마 선호요인이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가설3-1. 한국드라마의 선호요인은 한국의 관광요인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2. 한국드라마 선호요인은 한국의 문화요인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3. 한국드라마 선호요인은 한국인의 스타일요인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조사는 광주에 있는 광주대학교, 성해음악대학교, 광주체육대학교의 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2010년 6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50부의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한 설문지 123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27부의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문제1>에 대한 요인분석과 관련하여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드라마 선호요인은 드라마의 ‘주제와 내용’, 드라마의 ‘연출과 음악’, 드라마 ‘배우의 스타일’ 등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드라마의 ‘주제와 내용’ 요인이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2>에 대한 요인분석과 관련하여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 요인은 ‘관광요인’, ‘문화요인’, ‘스타일요인’ 등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이 드라마를 통해 한국에 대한 현대적 가치에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나아가 한국은 중국과 근접해 있어 문화적으로 친근하고 유교 문화권이라는 유대감 속에서 한국을 호감 가는 국가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문제3>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드라마의 선호요인이 한국인의 스타일요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한국드라마의 선호요인이 한국인의 스타일요인 이미지에 유의미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 분석을 통해서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은 한국드라마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며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즉 한국드라마 선호요인이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를 통해서 한류의 미래가 아직은 긍정적이라는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그릿(Grit)의 조절효과

        김연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분화, 진로태도성숙, 그릿(Grit)과의 관계를 살 펴보고,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 릿(Grit)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온라 인 및 오프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로 자아분화, 진로 태도성숙, 그릿(Grit) 척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23명의 자료 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에 따른 t 검증과 ANOVA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따른 자아분화, 진로태도성숙, 그릿(Grit)의 차이에 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요인에서 부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자아분화의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 가족 퇴행과 진로태도성숙의 독립성에서 여학생보 다 남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로는 자아분화의 자아통합, 정서적 단절과 진로태도 성숙의 결정성, 독립성이 학년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분화, 진로태도성숙, 그릿(Grit) 간에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분화, 진로태도성숙, 그릿(Grit)은 모두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 릿(Grit)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그릿(Grit)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아울러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그 릿(Grit)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의 진로상담 시 진로태도 성숙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 및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in university students, and uses grit as a regulation effect to prove how the students’ identity differentiation affects career maturity. This was achieved by surveying 325 students both online and offline from a variety of four year course universities all around South Korea. From this survey, we tested the degree of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coming up with an evaluation of 323 of the students who took the survey. The data that was collected utilized SPSS 25.0 to see how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s t-tests and one-way ANOVA, 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ough the gap in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due to demographic influence seemed to be meaningless for the most part, a slight relation worth regarding was perceived. From difference due to gender, observing cognitive function versus emotional function in identity differentiation, and family regression and independence of career maturity, there was a wider variation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From difference due to grade, there seemed to be a difference in unity of self differentiation, emotional cut off, decisiveness of career maturity, and independence between different grades. Second, evaluating the relation between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by taking into account mutual relationships,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all seemed to be at a static state. Third, identity differentiation affects career maturity. Fourth, studying the level at which identity differentiation affects career maturity while grit was the control variable, grit showed to have regulation effect. From this research, the fact that university students’ identity differentiation has a big impact on career maturity was proven, in addition, we were able to see the importance of grit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This data will have a big significance in career counseling as a database as well as way to get involved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 피부미용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내재적·외재적 동기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은정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오늘날 경제의 성장과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미(美)에 대한 욕구가 증 가함에 따라 미용산업은 고부가가치의 유망직종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외적인 아름다움은 물론 신체의 건강함까지 표현 가능한 피부미용 서비 스업은 사람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어 피부미용 관련 기술을 습득한 유 능한 인적 자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졸업을 앞둔 예비 사회인으로서 대학생은 자신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을 가지고 합리적인 진로를 선택 및 결정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그에 맞는 취업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기본심리욕구인 자 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동기 수준에 따라 행동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므 로,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개인 내·외재적 동기에 따라 취업을 준비 하는 행동도 달라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공 졸업 예정 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심리적 변인인 기본심리욕구의 자율성, 유능 성, 관계성이 내·외재적 동기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기본심 리욕구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과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내·외재 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아 이를 토대로 피부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취업준비행동을 위한 프로그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국내외 문헌조사와 실증 조사 방법을 병행하였으며, 문헌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 하고 실증분석으로 검증해야 할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 광역시 및 경상남·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 미용학과 중 피부미용전공 이 운영되고 있는 2년제 대학의 2학년 학생, 4년제 대학의 3, 4학년 학생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는 2022년 2월 25일부터 3월 27일까지 약 한달간 실시하였으며,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58부를 회수하였 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지시에 따르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302부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실증분 석은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25.0를 이용하였다. 분석내용은 일 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s a계수산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 변수간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선형회귀 분석과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본심리욕구, 내·외 재적 동기, 취업준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미용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의 차이를 살 펴보면,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 중 자율성은 미용분야 희망진로에서, 유 능성은 학년, 전공 선택 동기, 미용학과 입학준비기간, 미용분야 희망진 로에서, 관계성은 취업준비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내재적 동기는 취업준비기간에서, 외재적 동기는 대학 소재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취업준비행동은 입학 준 비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피부미용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내·외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내재적 동기에 기본심리 욕구 하위요인별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외재적 동기에는 유능성, 관계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 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피부미용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 중 유능성, 자율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관계성은 유 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피부미용전공 대학생의 내·외재적 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내·외재적 동기 모두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 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내·외재적 동기가 피부미용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취 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피부미용전공 대학 생의 내·외재적 동기 모두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 성과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으로, 본 연구의 중요한 연구 목적인 피부미용전공 대학생의 기본 심리욕구가 내·외재적 동기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심 리욕구의 하위요인인 유능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한 바 피부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유능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무엇 보다 유능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생들의 능력이나 재능을 발휘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취업준비행동 독려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day, with the growth of the economy and the increasing desire for beauty due to the improvement of income levels, the beauty industry has become a promising occupation with high added value. In particular, the skin beauty service industry, which can express not only external beauty but also the health of the body, is experiencing a surge in people's interest, and the demand for competent human resources who have acquired skin beauty-related skills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as a prospective social worker who is about to graduate, it is important for college students to have a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mselves and to focus on choosing and deciding on a reasonable career path so that they can prepare for employment accordingly. Since the behavioral resul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ivation level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ality, which are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human beings, the behavior of preparing for employment will also vary according to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of the individual.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on the autonomousness, competence, and relationship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ch are psychological variables of the individual, on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and employment-ready behavio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and employment-ready behavior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on the basis of this, w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that can be helpful in programs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and subjective and active job-preparation behaviors.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combined wit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urvey and empirical survey method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survey,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a hypothesis to be tested by empirical analysis was establish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ducted on students in the 2nd and 4th grades of the 2-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which the skin beauty major is operated among the domestic cosmetology departments, and the 3rd and 4th grades of the 4-year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Busan Metropolitan Province and the Gyeongsangnam-do reg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a month from February 25 to March 27, 2022, and a total of 4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358 copies were recovered,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finally carried out using 302 copies, excluding those questionnaires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or did not follow instructions.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o test the hypotheses set forth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25.0. The analysis content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 coefficient calculation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one-way ANOVA to verify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uncan test as a pos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and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mediating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and job-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are as follows.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maj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th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sired career path in the cosmetology field,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de level,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he cosmetology and the preparation period for admission, and the desired career path in the beauty field, and the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aration period for employment. The intrinsic motiv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aration period for employment, the extrinsic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iversity location,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paration period for admission. Second, after examining the effect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on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affect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in the order of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ionship by subfactors. In addition, in the effect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on extrinsic motivation, it was found to affect competence and relationality in order, and autonom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rd, after examining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on job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and beauty,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competence and autonomy were affected, and relationship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ourth, after examining the effect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on their job-preparation behaviors,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have an effect on their job-preparation behavior.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ar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ubfactors autonomy, competence, relationship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competence, which is a subfactor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influe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and job-preparation behaviors, which is an important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and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 beauty, and above all, it is believed that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to exercise students' abilities or talent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mpetenc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encouraging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수용전념치료가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미치는 효과 : 메타버스집단과 대면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수진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In this study, we sought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speech anxiety. In addition, we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through comparison with a face-to-face group. For this purpose,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program developed by Hyunmi Moon (2006) was used as a reference.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8 sessions, held once a week for 60 to 90 minutes per session.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Busan, and the speech anxiety scale was used to select university students with speech anxiety. The 36 university students with speech anxiety wh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12 each of the metaverse group, face-to-face group, and waiting control group. Of these, 3 people from the face-to-face group dropped out, so a total of 33 people's data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Metaverse group received an acceptance and commitment treatment program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the face-to-face group received an acceptance and commitment treatment program face-to-face, and the waiting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Publication Anxiety Scale, subjective anxiety level, and physiological response (heart 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follow-up tes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Verification of homogeneity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comparison of differences in speech anxiety, subjective anxiety level, and physiological response (heart rate) before, after, and 4 weeks after treatment were confirmed using one-way ANOVA.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group scores. And paired-sample t-tests were conducted on the pre-post, pre-harvest, and post-harvest measurements of the metaverse group, face-to-face group, and waiting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taverse group and the face-to-fac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rogram had reduced speech anxiety compared to the waiting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the metaverse group and the face-to-face group in reducing speech anxiety, the effect of the metaverse group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face-to-face group. Second, the subjective anxiety level of the metaverse group and the face-to-fac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rogram decreased compared to the waiting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the metaverse group and the face-to-face group in reducing subjective anxiety levels, the effects of the metaverse group and the face-to-face group were similar.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physiological response (heart rate) for both pre- and post-announcement heart rate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speech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with the face-to-fac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counseling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was as effective as existing face-to-face counseling.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Metaverse platform, along with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program, can be useful in reducing speech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면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메타버스 플 랫폼을 활용한 상담의 효과성도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 현미(2006)가 개발한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사용하였 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이며, 주 1회, 회기 당 60~90분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부산 소재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았으며, 발표불안 대학생 선별을 위해 발표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참여자로 선 정된 36명의 발표불안 대학생은 메타버스집단, 대면집단, 대기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이 중 대면집단 3명이 탈락하여 최종 분석 에는 총 3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메타버스집단은 메타버스 플랫폼, 대 면집단은 대면을 통해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기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한국판 발표불안 척도, 주관적인 불안 수 준, 생리적 반응(심박수)이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추수 검사 실시를 통해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세 집단 간 동질성 검증과 처치 전, 후, 4주 후의 발표불안, 주관적 불안 수준, 생리적 반응(심박수)의 차이 비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확인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여 세 집단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메타버스집단, 대면집단, 대기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사전-추수, 사후-추 수 측정치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메타버스집단과 대면집단은 참 여하지 않은 대기통제집단보다 발표불안이 감소하였다. 발표불안 감소에 있어 메타버스집단과 대면집단의 효과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메타버 스집단의 효과가 대면집단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메타버스집단과 대면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대기통제 집단보다 주관적 불안 수준이 감소하였다. 주관적 불안 수준 감소에 있 어 메타버스집단과 대면집단의 효과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메타버스 집단과 대면집단의 효과는 유사했다. 셋째, 생리적 반응(심박수)의 발표 전 심박수와 발표 후 심박수 모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발표불안 감소에 타 당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대면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 을 활용한 상담이 기존 대면상담에 준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과 더불어 메타버스 플랫폼은 대학생의 발 표불안 감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수연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의식이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성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430명(남:91명, 여:339명)이 참 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대 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감의 매 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성의식, 자아정체감과의 관계를 알아보 고자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 성의식, 자아정체감은 서로 상관을 보였다. 두 번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의식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정체감이 자아존중감과 성의식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성의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 중 심리사회적변인인 자아존중감과 자아정체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으며, 자아존중감은 자아정체감을 매개하여 성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성의식 향상을 위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자신의 정체성 확립의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심리사회적 변인뿐만 아닌 다른 변인이 성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exual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30 (91 males, 339 females) voluntary university student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5.0 program. The correlation and effects between each variable were confirmed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self-esteem on sexual awareness, a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 was verified by the Sobel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by study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sexual awareness, and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Second,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go-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exual awareness showed that ego-identit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exual aware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among various variables that influence sexual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psychosocial variables of self-esteem and ego-identity affect their sexual awareness. Moreover, it also revealed that self-esteem significantly affects sexual awareness with selfidentity as a mediating factor.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and ego-identity establishment to improve the sexual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other variables, other than psychosocial variables, on sexual awareness.

      •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그릿을 매개로

        이정애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 효능감 및 그릿 각각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 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소재하는 대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그릿,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 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53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 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 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인식만족과 관계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일반만족과 교과만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식만족과 자기조절효능감 간에는 자기조 절효능감이 부분매개를, 관계만족과 자기조절효능감 간에는 자기조절효 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부분매개를 하였다. 반면, 일반만족, 교과만족, 자신감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 과를 살펴 본 결과, 인식만족과 관계만족은 노력의 지속성을 매개로 진 로준비행동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만족, 교 과만족 및 흥미의 일관성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개인 내적인 변인으로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그릿의 영향력과 자기효능감과 그릿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그릿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더불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상담 적용 시 기초자 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whether it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and Grit. To this end, 353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using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s, and 353 copies of data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using SPSS 26.0 to calculate the peninsula and percentag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for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general satisfaction and subject satisfaction did no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partial mediated betwee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self-regulation efficacy. On the other hand, general satisfaction, subject satisfaction, and confidence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ontinuity of effort. On the other hand, the consistency of general satisfaction, subject satisfaction, and interest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Grit were among th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at self-efficacy and Grit were mediators that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meaningful to develop programs that increase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nd Grit, and provide basic data when applying career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