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장경험 사례 연구 ① : 유럽 비즈니스문화 -한류마케팅을 위한 유럽비즈니스문화 고찰

        김평희 ( Pyung Hee Kim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2 No.1

        유럽은 다양하다. 비즈니스문화도 다르다. 게르만권, 라틴권, 슬라브권의 문화적 특성도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친다. 헌팅턴은 세계 문화권을 9개로 구분했다. 호프스테데는 5개 기준을 제시 문화권별 비즈니스문화의 차이를 설명했다. 권력거리, 개인주의 집합주의, 남성성 여성성, 위험회피 지수, 장기단기 계획성이 그것이다. 에드워드 홀은 고맥락과 저맥락, 공간거리를 기준으로 제시했다. 루이스는 직선형, 복합형, 반응형으로 구분했다. 필자는 독일어권 유럽 근무경험을 바탕으로 게르만권 비게르만권, 이성문화권감성문화권으로 구분해 세계의 비즈니스문화, 특히 유럽의 비즈니스문화 차이를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시간개념, 약속준수, 협상태도, 계약태도, 조직문화, 커뮤니케이션, 접대문화 등 비즈니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해 필자의 기준을 바탕으로 세계지역별, 특히 유럽의 국가별 문화권별 차이를 구분해 우리 업계의 비즈니스문화 이해를 돕고자 했다. 유럽은 세계 역사를 500년 간 선도한 지역으로서 지금도 과학기술, 정치경제, 문화 등 글로벌 무대에서의 영향력이 다대하다. 아울러 인종과 국가도 다양하다. 유럽시장 진출에 성공하면 다른 시장은 쉽다고 하듯이 유럽 비즈니스문화를 알면 글로벌 유럽비즈니스뿐 아니라 글로벌 비즈니스도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필자가 제시한 비즈니스문화 구분 기준 및 주요 내용이 우리 기업인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Europe is diverse. Business culture is also diverse. Cultural difference influences business. Samuel Huntington categorized world into 9 groups by culture. Hofstede used 5 standards to explain world by culture: Power Distance, 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Masculinity vs. Feminity, Avoidance of Risk, Long vs. Short Term Orientation. Edward Hall introduced High vs. Low Context, Space Intimacy Index. Lewis introduced Linear-, Multi-, Response-Index. I used Emotion and Reason concept to explain differences of culture. German and Non-German culture is comparable to Reason and Emotion culture standard. The world and the European culture were approached by this standard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s. I tried to apply this standard to analyse cultual factors, like time concept, promise concept, negotiation and contracting attitude, organization culture, communication, business manner etc.. Especially European culture was targeted to approach as it still influences world, in term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tics and economics, culture and global affairs. It is diverse by race and state. It can be a model case for us to study different cultures of world. Knowing European business culture makes un-derstand those of other areas. In this sense I hope the concepts and standards introduced above help Korean business and academic people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European and world culture.

      • 한류 소비자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2002~201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박성현 ( Sung Hyun Park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1 No.-

        본 연구는 한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지형과 추이를 파악하고자 메타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류소비자에 대한 첫 연구가 개시된 2002년부터 현재까지 한류 소비자 연구가 어떠한 국가와 세대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한류 소비자 연구는 초기부터 현재까지 주로 중국과 일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소수이긴 하나 한류의 성장과 함께 다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한류 소비자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세대를 분석한 결과 주로 전세대를 아우르는 연구가(10-60대까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한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는 주로 신문방송학과, 관광학, 경영경제 분야에서 접근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즉 문화콘텐츠 소비의 현황과 문화콘텐츠 발전을 위한 분석, 그리고 이를 파생하여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관광과 경영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연구결과에 비춰 향후 한류소비자 연구는 업계와 정책 분야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선도적 차원에서 한류성숙시장인 아시아를 넘어 한류신흥시장에 대한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는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체 세대를 대상으로 포괄적인 결론을 내기보다 각 세대가 선호하는 한류콘텐츠 장르와 인기의 요인이 다를 것이기 때문에 세대별 심층적 연구를 통해 현재 이들이 소비하는 한류가 가진 소비적 가치나 사회적 가치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산업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다양한 방면으로 성장하는 한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는 것도 유익한 연구이나 각 국가 간의 문화 교류, 상호이해의 한 방법으로써 한류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and development of the researches targeting the Korean Wave consumers. To achieve this, the studies of Korean Wave consumers from 2002 (when the first study was started) to the present were analyzed to find out which countries and generations were based on the stud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earches of Korean Wave consumers have handled the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mainly from the beginning, and a few researches, with the growth of the Korean Wave, started to focus on multiple countri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generation handled in the studies, many of them covered almost all ages (teenagers to sixties) and most studies about the Korean Wave consumers approached their subject from the journalistic, touristic, economical and managerial points of view. In short, the analysis of the generation of Korean Wave consumers is mainly conducted in the touristic and business fields, because they will grow with figuring out the present condition of consuming cultural contents and analyzing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With these conclusions, further studies of the Korean Wave consumers should take a leading part in expanding their territories from Asia where the Korean Wave is already well matured to the new Korean Wave`s market, which will be helpful to related business and politic areas. Besides, because each age group has different taste of Korean Wave genres and different reason of enthusiasm, the research should figure out consuming and social values of the Korean Wave through the deep analysis of respective age groups rather than comprehensive research of whole generations. Finally, the study of the Korean Wave consumers should aim its goal not only for the industrial aspect, but also for a way of cultural exchange and mutual understanding.

      • 현장경험 사례 연구 ② : 중국인의 코드로 분석한 중국 내(內)한류의 진입과 전망

        안상윤 ( Sang Yun Ahn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2 No.1

        한국 대중문화의 인기를 뜻하는 ‘한류’가 중국에 정착하게 된 배경 연구에 대해서는 한국문화의 우수성에 초점을 맞춰 기술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한류의 중국 내 성공의 배경을 공급자인 한류의 콘텐츠가 보유한 매력에서 찾는 분석은 당연해 보이지만, 수요자인 중국인의 성향에 비춰본 연구도 필요하다. 공급자에게 수요자의 성향 파악이 중요한 이유는 지속적 관계 유지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왜 좋아하는지를 알아야 어떻게 관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을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인이 한국 대중 문화를 받아들인 배경을 중국인의 성향 에서 분석하고, 한류의 지속적 흐름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도 중국인의 성향에서 모색했다. 중국인의 성향은 광대한 영토와 엄청난 인구 등 환경의 영향을 받아왔다. 그 결과로 인내심과 무관심 그리고 폐쇄성이 자연스레 기질 속에 자리잡았다. 중국인의 성향에서 볼 때 한국은 중국과 달라 보인다. 한국인은 인내심이 적고 남의 일에 무관심하지 않으며 결코 폐쇄적이지 않음을 알게된 것이다. 이와 함께 한국의 문화는 중국에서는 희미해진 공자의 유교 문화에 바탕하고 있음도 발견했다. 전형적인 유교 문화에다 서양에서 유입한 문화가 접목돼 있음도 보았다. 한국은 중국과 닮은 듯 다르고, 또 다른 듯 닮아있다고 느낀 것이다. 이처럼 불이부동(不異不同)의 혼재와 시간적·공간적 혼종(混種)이 중국인에게 한류의 매력으로 작용한 측면이 크다. 중국인의 성향속에서 도출된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를 뜻하는 ‘꽌시(關係)’도 한국의 연줄과 일견 비슷해 보이지만 다르다. 중국인의 문화 코드인 ‘관시’의 다양한 관점에서 한류 수용의 배경을 설명해 보았다, 중국 내 한류의 지속가능한 방안도 ‘꽌시(關係)’의 요체인 ‘쌍방향 교류’, ‘공동이익 추구’에서 찾아보았다. The studies on ‘korean wave’, which means popularity of korean mass cultue, have shown a tendency focused on proving excellency of korean culture itself. In china also such an understanding that korean wave can achieve success for the sake of attractiveness it contains has been sonsidered as natural. Meanwhile it is also necessary to try researches from the viewooint of consumers’ chracter. It’s because understanding the consumer’s character can be the ways to maintain the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providers. Chinese have endurance, indifference and closed mind as DNA in their blood which have been influenced by the vast land and terrible population. In chinese view, koreans are different from themselves in the fields of characters, customs and way of thinking as well. Meanwhile they also found that koreans are very simillar with themselves in terms of confucism based culture. Koreans and their mass culture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well in comparison with chinese. This study shows the factors that have made chinese to recieve korean mass culture into their wall are the ‘guanxi’, the unique chinese human relationships. The backgrounds of successful landing of korean wave on China can be explained by using this code of chinese character. The sustainable way of maintaing korean wave in China also can be sought by joint pursuit of mutual interests based on the ‘guanxi’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nd koreans.

      • 홉스테드 이론을 활용한 한류 수용국 문화 특성 분석 - 필리핀 사례를 중심으로 -

        백종훈 ( Jong Hoon Baek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2 No.1

        한류의 지속성과 확장성을 위해서는 Glocalization전략이 필요하다. 한류 수용국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한류의 생산과 유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Appadurai등의 기존 연구에 따르면 한류 수용국에 대한 연구에서 소비자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해당 국가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평형을 이루게 되는 문화접변의 과정 즉, 한류의 지속성과 확장성의 측면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ofstede의 6가지 문화적 차원이론을 분석의 틀로써 필리핀 문화를 분석하고 그 중 네 번째인 불확실성 회피지수가 한류 콘텐츠의 불법적인 소비에 관계가 있음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논의하였다. 불법 유통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써 번들 상품의 기획, 감시 감독 강화, 수용국 구매력에 상응하는 콘텐츠 가격 책정 등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propose some alternatives to Korean Wave’s continuity and expandabil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localiz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Korean wave audiences Characteristics, we need a variety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ustomized Korean Wave. In accordance with Appadurai’s study, it is important that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custom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glocalization strategy by taking into accou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ountries that enjoyed the Korean Wave content. The study picked the Philippines, which was not considered as a subject in the previous studies, as the subject country by considering its expansion stage of the Korean Wav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xchanges with South Korea in size. This study analyzed the Philippines culture using Hofstede 6 culture dimension study. I bounce around the uncertain avoidance of Hofstede 6 culture dimens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ir consumption for Korean Wave via illegal distribution. I suggest planning a bundle of goods, enhanced surveillance and strate-gic pricing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country purchasing power on contents are countermeasures for the illegal distribution.

      • 한국문화의 힐링적 기능 고찰 - 템플스테이, 섬관광, 한방요양 중심으로 -

        김평희 ( Pyung Hee Kim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2 No.1

        한류의 글로벌 진출이 주춤하는 단계에 있다. 주요 수요국인 일본과 중국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반한류 혹은 혐한류 분위기에 적잖은 영향을 받고 있다. 싸이로 대변되는 한국 B급 대중가요의 인기는 일회성으로 끝나는 듯하다. 한류의 수출 내막도 살펴보면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 한류의 고급화, 한류의 콘텐츠의 심화 방향을 찾아봐야 할 단계에 이른 느낌이다. 한국의 문화에는 대중가요, 대중예술 밖에 없는가라는 질문을 갖고 우리의 진정한 문화, 전통문화를 살펴보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무엇이 한국의 전통문화이고 우리를 우리답게 만드는 가치가 무엇인가 묻게 된다. 한 민족의 감정과 정신이 가장 잘 표현된 것이 예술이라면 그 예술에 담긴 특징이 무엇인가 살펴보게 되어 한국미의 특징을 정리해보게 되었다. 자유분방, 소박, 여유, 여백, 비균제성, 비대칭성, 즉흥성, 파격, 해학이 한국미의 주요 요소로 정리된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상품을 개발한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 과학기술과 물질문명, 글로벌화의 공통점은 현대인의 정신과 몸을 피로하게 하고 휴식의 여유를 뺏어간다는 것이다. 세계인을 휴식하게 만들고 치유하고 회복시킬 수 있는 힐링한류 상품을 개발할 수는 없을까. 한국미, 한국의 정신문화, 한국적 정서는 이러한 힐링상품을 만들 수 있는 최적합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템플스테이, 한국의 섬관광, 한방요양을 택해 그 현황과 개선방안을 살펴본 이유다. 연구 기반을 마련하는데 의미를 부여하고 체계적인 조사와 외국 선진 사례를 조사해 힐링코리아 문화 상품 개발이 지속될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worldwide rise of the Korean wave seems to be on the wane and recent political circumstances of East Asia can be regarded as one of its reasons as Japan and China are the main two consumer nations. If you look at the reality of Korean wave, the popularity of K-pop stars like PSY seems to fade away and only game industry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xports. To ignite this dying fire, we need to ask and find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Korean culture and its value can be specified by the characteristics like freewheeling, simplicity, calmness, asymmetry, improvisation, and humor.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well-used to create Korean-style new healing products that enable modern people to relieve from their stress. Some examples are Temple-stay, Korean island tourism, and Korean acupuncture therapy. In this regard, it is meaningful to take a look at these case studies which will promote a new process of development in Korean-style healing products.

      • 지속적인 라이선싱 사업을 위한 캐릭터 특성 요소 연구 - 일본인의 의식과 일본 캐릭터를 중심으로 -

        김성희 ( Sung Hee Kim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2 No.1

        우리나라 문화산업이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기 시작했는데, 우리 문화산업의 해외진출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라이선싱 사업화가 가능한 캐릭터의 특성 요소를 연구하는 것은 문화산업 전반의 성장과 지속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된다. 캐릭터산업은 저작권을 기반으로 라이선싱이란 방식을 통해서 사업화되고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산업적인 관점에서 캐릭터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캐릭터산업이 발달한 일본에서 일본인이 가지고 있는 캐릭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지속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캐릭터가 되려면 어떤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창작자의 디자인과정, 대중과의 소통과정, 캐릭터 활용을 통한 사업화과정으로 나누어 각 과정별 특성 요소들을 고찰 라이선싱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가 국내 캐릭터산업의 지속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지속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Korean Cultural Content Industry continues to grow and its outputs are gaining in popularity worldwide. This export potential must be fostered and not allowed to become a fleeting phenomenon. In order toestablish a sound strategy for sustained growth, it is necessary to research into which specific traits and attributes of the characters make them commercially viable. The character industry operates through a licensing system, based on copyright laws and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This study seek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the character industry from business standpoint and to examine the consciousness and perception of the character business in Japan where the industry is in a more established state by comparison. To understand the elements which give a character its enduring appeal as well as the ability to maint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 place, three separate areas of research requirements are indicated; namely, initial creative design process, introduction and promotion of the character to the public and the scope for commercial applicat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not only promote continual development of the character business in Korea but also help to advance the Korean Contents Industry in general.

      • 캐릭터 라이선싱 사업의 법적 근거로서의 저작권법 개정 추이 고찰

        김성희 ( Sung Hee Kim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2 No.1

        무형의 지식재산권인 캐릭터의 사업화는 저작권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등의 법적인 근거에 의해 보호를 받으며 진행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 저작권법은 가장 근간이 되는 법률이다. 저작권법은 1957년 처음 제정된후 25회 이상의 개정 과정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1986년 개정된 저작권법에 의해 캐릭터 라이선싱 사업이 구체적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후 2006년, 2011년에 개정된 저작권법의 내용은 캐릭터 라이선싱 사업의 법적 근거가 더 굳건해졌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 캐릭터 라이선싱 사업에 큰 영향을 미친 캐릭터의 저작권 보호기간, 라이선싱에 의한 2차적 저작물의 개념, 라이선싱 캐릭터 상품의 정품 인증에 관한 저작권법의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저작권법을 제정한 1957년에는 저작권의 존속기간이 저작자의 사후 30년이었으나 1986년 개정되면서 50년으로 연장되었다가 2011년 다시 70년으로 연장되었으며, 라이선싱에 의한 2차적 저작물 개념은 1986년에 구체적으로 규정되고 2006년에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저작물의 부정복제에 대한 규정은 출판물을 중심으로 제정되었는데, 2006년에 돼서야 ‘인증’의 개념이 규정되고 2011년에 정당한 복제물을 나타내는 ‘라벨’에 대한 규정이 구체화되었다. 제정 저작권법에 근거해서는 캐릭터 라이선싱 사업을 추진하기에 어려웠을 것이나, 1986년 개정된 저작권법에 의해 기본적인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2006년과 2011년 개정된 저작권법에 의해 캐릭터 라이선싱 사업을 추진하는 법적 근거가 구체화되었다. 이런 법적변화가 캐릭터 라이선싱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며 지속적인 한류 문화산업의 발전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mmercialisation of characters as an intangible intellectual asset is regulated and protected by the Copyright Act, the Trademark Act and the Design Protection Act. The most fundamental among these is the Copyright Act and it has undergone no fewer than twenty five revisions since the initial legislation in 1957. The 1986 revision instituted specific protection for character licensing for the first time; the revisions of 2006 and 2011 further established legal foundation for the character industry. This study examines those evolutionary changes which influenced character industry such as the duration of copyright protection, secondary rights and infringements and the authentication of character merchandise. In 1957, when the law was first introduced, the duration of copyright was 30 years from the date of the author’s death this was extended to 50 years in 1986 and was extended again in 2006 to 70 years. The secondary copyright protection by means of licensing was incorporated into the law in 1986 and made more comprehensive in 2006. The regulations governing copyright infringements and illegal reproduction were mainly concerned with printed publications. It wasn’t until 2006 that the concept of “certificate of authenticity” was legally defined. The labeling system for authorised reproduction was introduced in 2011. The conventional copyright laws were inadequate to protect the character licensing industry. The 1986 revision established the basic premise on which the legal processes may be applied and the 2006 and 2011 acts have helped to create a framework conducive to the expansion of the character licensing business. These legal changes will aid the growth of the character licensing business and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Korean Content Industry in general.

      • 해외에서의 케이팝(K-Pop) 학술 연구

        이규탁 ( Gyu Tag Lee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2 No.1

        대중음악이 학문의 영역으로 편입된 후 세계 학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대중음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동아시아 지역의 대중음악에 대한 연구는 지금껏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은 영역으로 남아 있다. 그것은 대중음악 및 대중문화에 관한 연구가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영미 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에 큰 원인이 있지만, 그와 더불어 동아시아 대중음악이 해외 학계의 주목을 끌 만큼 해외 음악계에 널리 알려진 경우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케이팝의 경우 주변부, 특히 동아시아 지역의 음악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해외 수용자에게 널리 알려지고 있는 음악으로 점차 학계의 주목을 받는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케이팝에 대한 진지한 접근은 주로 해외의 저명한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은 케이팝이 현재의 영미대중음악이 갖지 못한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용자들에게 일종의 ‘대안(代案)’으로서 다가갈 수 있다는 관점과 아울러 케이팝 산업의 규격화되고 정형화된 시스템에 주목하며 이 시스템에서 나오는 음악과 가수는 ‘예술’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공장 상품에 더욱 가깝다는 비판적인 관점을 아울러 제시하고 있다. 향후 케이팝 연구는 수용자와 팬덤에 관한 연구, 음악 자체에 관한 질적 연구 및 산업적 관점에서의 접근과 아울러 디지털 미디어와 케이팝 세계화의 관련성 등을 중심으로 학술적 접근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Scholars from diverse parts of the world have studied a number of music since popular music became a field of academic research. However, East Asian popular music has been a ‘forgotten area’ of the popular studies. The most important reason of this overlooking is that while East Asian popular music studies have been written by their local languages such as Korean, Japanese, and Chinese, all of which are not familiar to Anglo-American scholars whose academic interests are usually Euro-centric. Also, contrary to African and/or Latin American popular music which has attracted international scholars’ attention, East Asian popular music does not have a history of world-wide success that might be able to appeal its existence to global scholars. However, since the late 2000s, K-Pop is becoming one of the global popular music in the world, which is a unusual case for the music from the periphery. Since it is a recent phenomenon, discussions about K-Pop phenomenon has been done mostly by media rather than academia until recently. They have two different points of view. First, they consider that K-Pop can be an alternative popular music to the global audience tired of Anglo-American pop music, for K-Pop has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it from the contemporary global (Anglo-American) pop music. And second, they note that the system of K-Pop industry is too much factory- like, therefore the result produced by the system is nothing but the industrial product rather than the meaningful culture. Therefore, the future of the K-Pop studies may concentrate on themes such as fandom, audienc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usic itself, comparaitve research between K-Pop and Anglo-American industrial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K-Pop. Among them, digitalization will be an important keyword of international studies on K-Pop.

      • 우리나라 한류연구의 경향 분석

        임학순 ( Hak Soon Yim ),채경진 ( K. Jin Chae ) 글로벌융합대학원 2014 한류비즈니스연구 Vol.1 No.-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한류열풍은 10여년이 흐른 지금 한류가 주요 연구분야로 논의될 만큼 양적으로도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성숙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류연구가 시작된 2002년부터 가장 최근인 2013년까지 한류연구의 경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주요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526편의 한류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학문분야, 연구주제, 연구대상 국가, 연구형태 등 총 네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시기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류연구는 비교적 늦게 생겨난 학문임에도 불구하고 짧은 기간 동안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학문분야, 연구주제, 연구대상 국가에 있어서도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최근 들어 공동연구 및 학제 간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한류연구가 가진 복합성을 고려할 때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한류연구는 외연적 확대에 비해, 연구주제에 있어 새로운 시각 및 이슈 발굴이 미흡하며, 한류연구 대상국가에 있어서도 중국 및 일본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한류소비자의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 한류를 기업 경영전략 차원에서 접근, 한류현상의 전문적 연구 기관 및 인력의 부족현상을 한계로서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과제로서 한류 현지의 문화코드와 한류 트렌드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 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한류 활용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개발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the academic studies on the Korean Wave phenomenon since the end of the 1990`s. 526 articles from 2002 to 2013 were identified as being related to the topic of Korean Wave studies. This article categorized these academic studies in terms of the academia area, research topic, related country, and research types. As a result, the Korean Wave studie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he Korean Wave phenomenon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he Korean Wave have been expanded.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identity of the Korean Wave studie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article suggested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Korean Wav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ave consumer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related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