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교육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 ( Kim So-young ),오미경 ( Oh Mi-kyo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6 뇌교육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에 소재한 H초등학교 6학년 78명이었다.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1회 40분간 10회 적용한 실험집단(26명:남13, 여13), 짝 뇌체조를 실시한 비교집단 (26명:남13,여13),아무런 처지도 하지 않은 통제집단(26명:남13, 여13)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사회적 관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사회적 관심 전체와 태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사회적 관심 전체와 하위요인(태도, 행동)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비교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이러한 결과로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적 관심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사회적 관심의 향상을 위해서는 뇌체조 이외의 실천중심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들(가치관, 정서조절, 본질적 자신감, 명상, 호흡 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교육 기반 실천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를 강조하는 사회적 관심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ss the limits of the existing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effectiveness, to devise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a developmental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Subjects were 78 students, the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to conduct this study. Firstly, an experimental group(26 participants; M13/F13) that was applied to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utilizing Brain Education performed 10 times for 40minutes at a time. Secondly, a comparative group(26 participants; M13/F13) that Pair Gymnastics was done. Thirdly, a controlled group(26 participant; M13/F13) that was handled anything. This research materials were collected after conducting surveys through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for the data analyses. As a result, all the act & attitude and social concer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 All Social Interest & Subfactor(attitude, ac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was meaningfu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based Brain Education had an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of a Social Concern. The experiment of only Pair Brain Gymnastics among the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s gave the study some effect and the average improved, but there was fallen behind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est.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lements(values, emotional regulation, an essential confidence, meditation, respiration) in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est. This Practice Centered Character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is expected to advance in the Social Interest stressing ``the society along with others.

      •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연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박순녀 ( Soon Yeo Park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3 뇌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직장교육의 목표가 조직성과라는 것을 토대로 먼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근거로 K사 생산직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헌고찰과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으로는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가 선정되었고, 이 3가지 핵심요인의 향상을 통해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는 우선적으로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분석을 통해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뇌 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모듈들을 개발하였고 이를 기초로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3번에 걸친 파일럿 프로그램 실시 후 K사 맞춤형 명상프로 그램을 확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Tyler의 목표중심 평가모형에 따라 만족도를 통한 주관적 효과평가와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객 관적 효과평가를 동시에 실시할 여|정이다. 본 연구는 기업마다 요청하는 중점 요구가 다른 현실을 적극 수용한 ‘고객맞 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K사 생산직 교육의 중점목표인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맞춤형 직장교육 프로그램 개발단계를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추후 대한민국의 기업과 관공서의 인적자원개발에 큰 활용도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customized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to improve mental health of employees. Organizational achievement is found to be the main goal of a company``s educational program for employees based on needs assessment of human resource department staffs. Three core factors of mental health effecting on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 are found and ``customized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is developed for manufacturing workers of Company K. Three core factors of employees`` mental health effecting on the achievement of organization are found to b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bring the improvement of employees`` mental health by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those three core factor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program, firstly, several modules of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are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employees`` mental health. Secondly, the ``customized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for manufacturing workers of Company K are developed based on those modules. Finally, after three pilot trials, the customized meditation program based on brain education is determined. For the evaluation of program, subjective evaluation of effects on satisfaction and objective evaluation of effect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are conducted according to Tyler``s goal-oriented evaluation model. This research described developmental process of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This research should be greatly utilized to develop human resources of Korean companies and governments as a new paradigm of organiz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future.

      • 뇌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의 의의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3 뇌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뇌교육의 체험적 지식을 이해하고 체계화하는데 유용한 접근 법으로서 현상학적 접근법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학문 계의 방법론적 논쟁의 역사 속에서 체율체득의 영역인 뇌교육 연구에 적합한 인식론과 개념들을 확보하고 있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현상학적 체험연구는 직관적 체험을 중시하는 현상학적 인식론의 토대 위에서 인식주체의 의식작용과 체험의 관계 해명하는 구체적 절차를 연구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체험의 원천으로서 ‘몸’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학적 체험연구는 중층적 차원의 뇌교육적 체험을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내고 그에 대한 상호주관적 이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뇌교육 연구를 위한 의미있는 연구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방식의 접근 법은 전문연구가뿐 아니라 뇌교육의 체험 주체에게도 성찰과 자각의 과정을 제공하는 교육적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clarify the meaning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a method for understanding and systemizing brain educational knowledge. For this purpose, positivism and anti-positivism are reviewed in a historical context. The latter have the qualities for approaching brain education. The method regarded consciousness as an important subject for understanding, and it has been developed with the procedure in the concrete.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of body(flesh) has been defined as the embodied mind, which is similar to the view point of brain education. In sum, phenomenological approach have the possibility as an available method in that it equipped meaningful epistemology and concept tool for brain education. According to this spirit, we should not confine the methods only with in a professional research purposes, but try to apply it as our exploring tool to get a reflection and awakening for our completion as a human.

      • 벤자민인성영재학교 교육과정 효과검증 연구

        오미경 ( Mi Kyoung Oh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 No.S

        본 연구는 최근 학교교육이 객관적 지식이나 정보 위주의 교육으로 인간성을 상실하고 파편화된 인간을 양성해 내는 교육현실의 한계에 대한 변화의 시도로 새롭게 개교한 벤자민인성영재학교의 교육과정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벤자민인성영재학교는 뇌과학, 심리학, 교육학 및 철학을 융한한 뇌교육을 적용하여 대안학교와 전환학년제의 성격을 띄고 운영되고 있다. 연구대상은 벤자민인성영재학교 1기생 16명과 그들의 부모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이 시작되기 전과 교육과정 5개월 후에 성격검사와 인성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격검사에서는 책임감, 이타성, 관대함, 우주만물과의 일체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인성검사에서는 우울감의 감소, 가족관계와 사회관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벤자민인성영재학교 교육과정이 인성교육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Benjamin School curriculum for Character Education that has two integral properties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and transition year(1 year) based on ``Hong-ik-in-gan`` spirit. For this study, 16 high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re compared with comparative group which are consist of 16 normal high school student. The scales were Junior Temperament & Character Inventory(JTCI 12-18) and Korean Personality Rating for Children(KPRC). Pre-test post-test comparisons were conducted through t-test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Benjamin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say Benjamin School curriculum positively influenced on responsibility, helpfulness, compassion and trans personal identification in the scale of the JTCI. And there is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in depression, family relationship and social relationship on the KPRC scale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ossible mechanisms of benefit and an alternative method of present school education curriculum that has many problems.

      • 뇌교육 인성교육의 원리

        권영주 ( Young Joo Gewun ),오미경 ( Mi Kyoung Oh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 No.S

        본 연구의 목적은 뇌과학, 심리학, 교육학 및 철학을 융합한 뇌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성교육의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고에서는 뇌교육 인성교육의 원리를 크게 다섯 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 이념인 ``홍익인간`` 철학을 인성교육의 중심에 둔다. 둘째, 명상과 자기성찰을 통해서 내면의 양심이 깨어나도록 하고, 이 양심의 소리에 따라 자발적으로 가치관을 선택하게 한다. 셋째, 선택된 가치관이 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실천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한데, 도전과 한계극복을 통해 선택의 주체로서의 본질적 자신감을 갖는 훈련을 한다. 넷째, 긴장과 스트레스로 불안한 정서 상태에서는 정보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뇌파를 안정시키고 좋은 호르몬이 분비될 수 있는 두뇌우호적인 환경을 통해서 먼저 정서를 순화시켜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두뇌 상태를 만든다. 다섯째, 현실적 맥락 속에서의 실천을 통해 습관화된 행동을 교정한다. 이러한 뇌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인성교육의 원리는 표면적이고 파편적인 기존의 인성교육의 틀을 벗어나 본래의 마음을 회복하고자 하는 내면으로부터의 근본적인 변화에 근거를 둔 자기주도적 인성교육이라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개인이 자신의 인격을 완성하고 공동체의 가치에 부합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추어 나도 행복하고 남도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21세기형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inciples of the Brain Education that is convergent with brain science, psychology, pedagogy and philosophy for character education. There is five principles of the Brain Education for character. First is Hong-ik-in-gan spirit which is educational ideology idea of the our country. Hong-ik-in-gan idea is enacted as the fundamental aim of education in the Law of Education when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But, the spirit was ignored until now. However it must be revived in the modern age and presented as the basic principles of life and education by Brain Education. Second is inner conscience that is able to listen it`s still and small voice through meditation and introspection. Therefore, choice of conscience is spontaneous. Third is recovery of the essential confidence as the subject of choice through challenges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s. Forth is purification of emotion that set up brain wave stability and positive emotion hormone through exercise, meditation and brain friendly environment. Fifth is practice in actual life that lead the correction of bad habit and the character building through experience in reality. These principles represent new paradigm for character education in 21century in terms of essential changes from inner world for recovery of inherent mind, conscience.

      • 뇌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여자 대학생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전은경 ( Eun Kyung Jeon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3 뇌교육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기부터 다양한 형식으로 뇌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여자 대학생들이 어떻게 자신을 성찰하고, 정체성을 형성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여자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자기성찰 경험은 이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뇌교육 프로그램은 자기성찰 경험과 어떻게 연관을 맺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인의 자기성찰 경험이 ‘뇌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정보’와 ‘현상이 벌어지는 사회문화적 맥락’ 등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가운데 이루어진다고 보고, 이를 내러티브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총체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자기성찰 경험은 뇌교육을 통해 획득한 ‘지식 정보’, ‘체험 정보’ 등과 복합적으로 섞여 기존의 경험에 대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뇌교육에서 추구하는 ‘뇌의 주체가 된다’는 가치와 이상을 자신의 가치관으로 정하고 실천해 나가는 모습을 보인 한편, 뇌교육은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상징적 경계가 되어 긍정적ㆍ부정적으로 삶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how the female college students having completed the ‘Brain Education’ program think about themselves and formed identity. In this research, self-reflection experiences could be seen as being interrelated by social contexts etc. from which existing information and phenomenon are recognized. Main purposes of the Brain Education program are laid in making selections of information and processes effective, and let participants become masters of the information by judging and selecting experimental information.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became to solve problems by introspecting own insides and then understanding through unmatched experiences in sense of value and situations together with inner inconvenience. Also, completing experiences on the Brain Education program had deep relations with participants` self-reflection experiences. Self-reflection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mixed with knowledge information and experience information having gotten from the Brain Education complicatedly, and thus a figure of endowing new meaning on the existing experiences was displayed. In addition, participants showed practicing attitudes after setting up values and ideals pursued by the Brain Education as own sense of value, and a fact could be recognized that it is affecting influences to livings by making symbolic boundaries called ‘Brain Education’ to researchers

      • 뇌교육의 전제와 의미

        신혜숙 ( Hye Sook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3 No.-

        이 글의 목적은 실천이 일어나는 상황과 과정을 모두 조망하는 유기체적 관점을 통해 실제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을 이해함으로써 교육의 총체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구체적인 교육활동의 이해를 위해 심신수련을 비롯한 고유한 교육방법을 써서 `홍익인간·이화세계`의 교육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상적·실천적 체계인 `뇌교육`을 선정하였다. 먼저 뇌교육 활동에 내재하는 핵심적 아이디어인 `뇌운영체계` 개념을 발견하고, 이 개념에 내포된 여러 가지 전제들을 차례로 분석한 후, 부분이 아닌 총체로서 뇌교육 활동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의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교육적 실천의 주체인 뇌와 인간은 교육적 실천을 위해 주어지는 환경이자 그 실천을 통해 구성해 가는 맥락으로서의 세계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보적 관계를 맺는다는 사실과 교육 활동은 이 상보적 관계를 상생의 관계로 발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공적 가치를 지향하는 교육은 뇌의 총체적 발달을 통해 인간의 자기의식이 지니는 함정에서 벗어나게 해 줌으로써 세계를 변혁하는 과정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를 찾아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swer a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education?" based on an organic perspective that see the elements and the process of education as a living system. For this purpose, brain education activities that aims realization of an idea of `Hong-ik-in-gan-E-hwa-sae-gae: help each other, rule without force` is selected, and concept of `Brain Operating System` is analyzed as the core concept of brain education. The analysis to find out the presuppositions and synthesis to find out meaning of brain education and ideal education is done repeatedly. To summarize the results are: Firstly, it presupposed that human brain needs educational development, human being as not to be born as the subject but to be born as to become the subject through continuous efforts, and the world as the given environment and the constructive settings and contexts for praxis. Secondly, it presupposed that brain, human being, and the world are complementarily related. Thirdly, it presupposed education as guiding activities that direct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them toward the goodness. Based on these presuppositions, it found as the meaning of brain education that brain and human being as educational subject transact with the world a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ontexts, and ideal brain education has the capacity to direct them toward the synergy effect. To conclude, educational praxis based on public virtues has the capacity to guide brain toward whole development, human being toward getting out of the pitfall of self consciousness, and to make the world renew the physical/constructive body continuously.

      • 성인수련자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뇌교육적 의미

        신혜숙 ( Hye Sook Shin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8 뇌교육연구 Vol.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자발적으로 심신수련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수련자들이 구체적 삶의 맥락 속에서 수련체험을 어떻게 의미화해 나가는지를 이해하고, 그 과정을 뇌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심신수련프로그램 중 특히 뇌호흡 수련에 참여하는 수련자들을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뇌호흡 수련이 뇌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일련의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연구대상은 수련자 자신의 내밀한 삶에 대한 성찰 내용을 부담감이나 거부감을 가지지 않고 가능한 한 많이 이야기 해 줄 수 있으며, 수련과 일상생활의 관련양상에 있어서 서로 차별성을 가지는 세 명의 수련자들을 선정하였다. 한편 이 연구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는 우리의 경험을 조직하는 가장 근원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따라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주로 대면적 면담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이야기하기(telling)``와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를 통해 참여자의 경험 세계를 이해하고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련체험이 자신의 일상적 삶 속에서 인간의 보편적 이상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데까지 나아가도록 하는 원동력이라 정의하고 있었으며, 수련과정에서 형성한 체험적 이론을 통해 세상을 보고 자신을 성찰하고자 하는 노력에 대하여 가치를 부여하고 있었다. 뇌교육의 핵심이 주체적 자아형성과 그에 기반한 실천력을 갖춤으로써 보다 가치있는 삶을 살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한다면, 스스로를 삶의 주체자로 인식하고 가치지향적 삶의 태도를 가지도록 이끄는 수련체험은 뇌교육의 목적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수련자들의 체험과 성찰에 대하여 외부와 좀 더 자유롭게 소통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장(場)을 확대하는 일이 수련자 및 수련공동체의 공통적 과제로 남아있다. 수련체험에 대한 폭넓은 교류 자체가 그것을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화하고 공유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그것은 곧 수련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는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ubstantial meaning of brain respiration trainees` personal experiences in concrete context and to interpret its brain educational meaning. We selected three participants who hold communion with oneself through their training and can talk freely about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a condition how they have related between the daily life and training. The collected data from this study are focused on human experiences and also followed by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hich is the basic structure of human experiences and the holistic quality.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rough ``telling`` and ``retelling``. The participants defined the training experiences as the motivational power of the cognitive and executive faculty in the daily life. Moreover they have felt self-esteem about their effort to form their own experimental theory and to reflect on their life through the training. Suppose the heart of a brain education is thoroughgoing study of valuable existence, training experiences have the meaning of brain education for a variety of reasons as we mentioned above. In the meantime trainees and training community have a task to enlarge the field which they can communicate the experiences and reflections freely with others who can`t experience the training. Without extensive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 real goal of training can`t be realized.

      • 실천 중심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성 탐색 : 공감역량과 공동체역량을 중심으로

        최윤리 ( Choi Yoon-l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0 뇌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세계화와 함께 강조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중요성과 논의들을 살펴보고, 뇌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적용하여 실천 중심의 새로운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세계화와 함께 세계는 상호연계성과 의존성이 커지고 있다. 상생과 공존의 차원에서 인류가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증가하면서 세계시민교육은 윤리적 당위성과 책임감을 넘어 보편적 가치와 실천적 태도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는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지구적 의제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지구공동체의식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세계시민교육은 세계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공감역량과 공동체역량을 함양하여 실천적 태도를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뇌교육은 뇌활용 원리와 성찰활동을 통한 의식 확장을 바탕으로 공감과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구체적 원리와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실천 중심의 세계시민교육의 구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discuss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mphasized with globalization,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new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entered on practice by applying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brain education. With globalization, the world is becoming more interconnected and dependent.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problems that humanity must solve together at the level of coexistence and coexisten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increasing in demand for universal values and practical attitudes beyond ethical justification and responsibility. This presuppose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global agendas facing humanity and a sense of global community. Therefore, the future education of global citizens should be promoted in a direction to develop a practical attitude by cultivating empathy and community competency based on identity as a global citizen. Brain education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world-class citizenship education by providing concrete principles and methods to cultivate empath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based on the principle of brain utilization and consciousness expansion through reflection activities.

      • 뇌교육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

        이윤진 ( Lee¸ Yun-j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2022 뇌교육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뇌교육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 뇌교육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135명과 초·중·고 교사 124명을 무선 표집하여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뇌교육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방향은 첫째, 연구 대상의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연구대상의 지식, 기능, 태도, 정서를 모두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신체 활동을 포함하여 읽고, 쓰고, 말하기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포함하여 연구 대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연구 대상의 정서지능을 향상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최근 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지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가 늘어나고 효과성이 입증됨에 따라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와 요구분석 및 종합적 검토를 통하여 뇌교육 기반 문학치료를 활용한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함을 보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brain education-based literary therapy programs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s using brain education-based literary therapy program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5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12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irelessly sampled and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brain education-based literary treatment program is first, a program suitable for the level of the research subject should be develop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strengthen all of the knowledge, functions, attitudes, and emotions of the research subject.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read, write, and speak, including various physical activ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comprehensively evaluate research subjects, includ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gience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help them grow continuously. As the number of applications of literary therapy programs aimed at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for students has increased and their effectiveness has been proven, it is reported that it is urgent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s using brain education-based literary therapy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alysis, and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