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의 '춤추는 몸' 연구 : 신화구조를 적용한 자기내러티브

        서혜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교차학협동과정 문화예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5775

        Dancing is one of the most natural and intuitive movement that expresses joy, excitement, and freedom. However, this dissertation starts from the question of "Are the dancers happy with the behavior of dancing?" "I" with the body which cannot dance anymore study about "dancing body". Previous scholastic studies of "dance" and "body", and the process of researching "dancing" abandoned dancers which I got to pay attention to. Their dancing became a "Work" without the exciting and joyful emotion that I mentioned above. I re-focus on the dancers and their bodies apart from the subject of research, and observe the "dancing body". This research, of course, starts from the body of dancers, but it is not different from my body, and we are all included in "body of human being". Therefore, this research that studies human body focus more on the stories rather than the analysis, measurement, and proof of a study object. This is a first person narrative that starts with "I". To form a persuasive structure and describe the body of human being, I begin my story from the heroic epic narrative from the Myth. From the hero's birth into their suffering, challenge, and return, heroic epic narratives have unifying theme and structure; but they all have unique and various stories of human life, depicting generalities of human being. Therefore, this application structure of Myth into self narrative to study "dancing body" attempts to narrate the "I and my body" as a hero in the present day. In this narrative of "I", the readers can find various key words other than "dancing". From the ancient stories and characters, various issues of "labor", "machine", "pain", and "healing" all constructs the surrounding of the "dancer". In this light, I tell the story about "I" and attempt to understand academia and field as a whole. The two different sides of coin will conjoin from the narrative of "I", although they are known to be difficult to unify. I conclude this research by understanding that "dancing" is "being alive". This is connected to the fact that modern people are not feeling their body as not alive and hoping to return to life. The return into daily life through birth and journey seems somewhat a meaningless circulation and repetition, but most of the stories including epic narratives reflects that "return" has a same starting point and the final goal but they mean totally different in the main characters' feeling of being alive. Finally, I want to leave a mark on my returning point, and this work of writing is a meaningful circulation from end of my narrative turning into the new beginning of writing. Ultimately, I believe the research is like journey. Heroes born in a special way in one day and starts their journey in epic narratives, and this is a depiction of people's general lives and process of thinking. After struggling through the reasoning, people feel that, "being alive" rather than left out and being anxious. I am living in the reality that is apart from academia, and it is the situation that I cannot say that I am alive. However, I want to make emphasis that this is the moment I should tell the story that starts with "I am". In this research, not the study object under numeric measurements, nor the visualized results of the experiment, but I am the one who feels to be alive. From this study, I expect many other people in various field to start telling their stories with the feeling of being alive. 인간의 원초적이고도 본능적인 몸짓이라 알려진 ‘춤’과 삶의 기쁨과 희열을 느끼고 자유로움을 표현하는 ‘춤추는 행위’ 앞에서 과연 ‘무용수는 즐거운가?’ 이러한 물음으로 시작하는 본 논문은 춤추지 못하는 몸이 된 ‘나’로부터 ‘춤추는 몸’을 연구한다. 기존학문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춤’과 ‘몸’, 그리고 ‘무용’에 대한 연구과정 속에서 나는 뜻밖에 소외된 채 버려져 있는 ‘무용수’를 발견했다. 그들에게 춤과 몸은 위에서 언급한 인간의 기쁨과 희열, 본능적인 몸짓과는 멀어진 ‘활동’으로 취급되고 있다. 나는 이처럼 학문 속에서 연구대상으로서만 실험되고 있는 ‘무용수’와 그들의 ‘몸’을 다시 생각해보고, ‘춤추는 몸’에 대해 탐구한다. 이러한 연구에서 대상이 되는 ‘몸’은 ‘무용수’의 몸으로부터 시작했지만, 그것은 다름 아닌 ‘나’의 몸과 같으며, 더 나아가 ‘인간’의 몸과도 같은 몸이다. 그리하여 ‘나’로부터 인간의 몸을 연구하는 본 연구는 어떤 대상물을 분석하고 측정하여 증명하기 보다는 ‘이야기’하는 일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몸’을 연구하는 수많은 학문과 선행사례 속에서 ‘몸’을 ‘기술’하는 방법으로 연구해보는 것이며, 말하자면 ‘나는-’이라는 주어로 시작하는 자기내러티브라 할 수 있다. 인간의 몸을 기술하면서 동시에 설득력 있는 형식체계를 갖추기 위해 나는 신화의 영웅서사구조를 적용하여 이야기를 시작한다. 탄생부터 일탈과 고난, 역경을 딛고 다시 귀환하는 고대영웅의 신화구조는 공통되고 일정한 형식구조를 가지면서도 각각 다양한 인간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보편을 기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신화구조를 적용한 자기내러티브로 ‘춤추는 몸’을 연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지금, 여기를 살고 있는 영웅인 ‘나’와 나의 ‘몸’을 이야기해보는 것이다. 이렇게 신화구조로 엮어낸 ‘나’의 이야기 속에서 독자는 ‘춤’뿐만 아니라 다양한 키워드들을 함께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신화의 스토리와 인물들을 포함하여 ‘노동’과 ‘기계’, ‘고통’과 ‘치유’ 등의 사회현상들까지 다양한 문제들이 ‘무용수’의 곁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나’를 이야기하고 ‘나’로부터 연구하는 일은 학문과 현장을 같이 이해해보는 것이며, 서로 화합하기 어려워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알려져 있는 이러한 개념들을 ‘나’로부터 통합해보는 기회가 된다. 나는 연구를 통해 ‘춤’을 ‘살아있음’으로 이해하고 마무리한다. 이는 현대의 인간이 느끼는 ‘살아있음을 느끼지 못하는 몸’에서 다시금 귀환하는 일과도 같다. 탄생과 여정을 거쳐 맞이하는 일상으로의 귀환은 얼핏보면 삶을 이루는 무의미한 순환과 반복처럼 보이지만, 신화를 포함한 모든 이야기에서 ‘귀환’은 출발점과 귀환점이 같으면서도 완전히 다른 특징을 가진다. 여정을 끝내고 돌아온 영웅인 ‘나’의 생각과 경험은 출발점에 섰던 그때와는 전혀 다른 감정인, ‘살아있음’의 느낌을 가지고 있다. 끝으로 ‘나’는 자신의 귀환점 앞에서 다시금 흔적을 남기고 싶다는 욕구를 느끼는데, 이는 ‘이야기’의 결말에서 ‘글쓰기’로 다시 시작하는 선순환의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겠다. 나는 궁극적으로 ‘연구’는 ‘여정’과 같다고 생각한다. 어느 날 갑자기 비범하게 탄생하여 여정을 떠나는 영웅의 모습은 인간이 겪는 삶의 모습임과 동시에 사유의 과정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치열한 사유 속에서 남겨지는 것은 소외와 불안 보다는 ‘나’의 ‘살아있음’이다. 나는 학문과 동떨어져 현실을 살아가는 자신에 대해 감히 살아있다고 말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 지금이야말로 ‘나는-’으로 시작하는 자기 이야기가 필요한 시점임을 강조한다. 연구로 인해 살아있음을 느끼는 것은 수치화된 연구대상도, 가시화된 측정결과도 아닌 바로 자신이기 때문이다. 나는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각자의 ‘살아있음의 느낌’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기를 기대한다.

      • 김연수의 ‘나 그리기’ 감성미술 교육프로그램 연구

        김연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교차학 협동과정 문화예술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5775

        The Korean policy-making authority has carried out revisions on educational policies for better future education in several-year intervals. Since the early 2000s creativity in art education has gradually been held in higher esteem according to revised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such altered educational policies, art education practitioners currently present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exploiting various snippets of information and new mediums as part of creative art education. In addition, a lot of research on sensuous artistic activities is being conducted with respect to creativity. While making constant forays into altering educational policies to create a creative fusion-style education, education authorities have chosen to define the talented individuals needed in our society and companies as “creative persons.” This signifies how creative education has become a seminal topic of conversation not only in the educational world but also in our society as a whole. In 2015 the educational world began putting stress on art as an educational device to develop creativity and pursue changes in art education. Creative art education aims to improve confidence through personality education and expressiveness enhancement. However, the fundamental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creativity is explored not in oneself but in external surroundings and senses. Although the creative expression of emo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fusion of various visual experiences and learning as well as reinterpretations of knowledge, it is knowing oneself and living with belief. This study presents an elucidation of the meaning of creative emotional art education through imagination and forges its ideological foundation and principle through reading classics. It draws out the principle of “imagination” that envisages one’s own existence from “what heaven confers is called ‘nature’ (天命之謂性)” and the principle of original ideas that understands the reason of one’s existence from “accordance with this nature called the Way (率性之謂道)”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This thesis reveals that confidence is the state of knowing and believing in oneself. It understands the process in which one proceeds to a state of confidence as “cultivating the Way called ‘education’(修道之謂敎).” This paper sees imagination, originality of thought, and confidence as the main principles of construction through Oriental classics such as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en Diagrams of Confucian Philosophy(聖學十圖). Imagination is considered to be triggered by knowing of one’s existence and know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o am I?” In addition, originality of thought is to know oneself using emotions from the body that we have become aware of through imagination. The process of knowing “myself” is referred to as “self-drawing.” The “self-drawing” program was conceived in order to recover one’s beliefs and confidence through this process. I consider that the knowing of and belief in myself enables me to attain my own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my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others. And, this knowing of and belief in myself can be equivalent to something like confidence “creative persons” should have in our contemporary society. This paper tries to confirm that creativity is not nurtured but is already within me. It also asserts that the meaning of creative emotional art education lies in knowing of love and belief, the principles of one’s existence and proceeding to confidence through “self-drawing.” The fruits of this paper demonstrate that “self-drawing” as creative emotional art educ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principles deriving from ancient classics which aid self-realization, the recovery of confidence, and effective personality education. It can be associated with leading joyous lives in which we are one and live as other be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attempt to reinterpret creative emotional art pertaining to classics. 우리나라의 교육정책은 더 나은 미래 교육을 위해서 몇 년을 주기로 정책 개정을 시행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개정된 교육정책에 따라 미술교육에 있어서 창의력이 점차적으로 중요시 되어 왔다. 이러한 변화된 교육정책에 따라 미술교육의 일선에서는 창의적 미술교육의 일환으로 각종 정보와 신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창의성과 연결하여 감각적 미술활동을 통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교육정책 또한 창의 융합형 교육으로 지속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사회와 기업에서도 필요로 하는 인재 상을 ‘창의적인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와 같은 창의력 교육이 교육계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커다란 화두로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5년 교육계에서는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의 도구로 미술을 중요하게 바라보기 시작했으며 창의미술이라는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창의적인 미술교육의 목표는 올바른 인성교육과 자신의 표현력 신장을 통한 자신감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창의력을 자기 자신에서가 아닌 외부환경과 감각을 통한 것에서 찾으려 하는 점에서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본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시각적 경험과 학습의 결합, 지식의 재해석이 창의적 감성 표현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창의적 감성 표현은 자기 자신에 대한 앎이며 믿음으로 살아가는 ‘나’의 모습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을 통한 창의적 감성 미술교육의 의미를 고전읽기를 통하여 사상적 토대와 구성 원리로 밝혔다. 『중용』의 천명지위성에서 나의 존재에 대한 것을 그려보는 ‘상상’과 솔성지위도에서 나의 존재 이치를 알고 나에 대한 믿음과 사랑의 ‘창의’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자기 자신에 대한 앎과 믿음이 자신감이며 자신감으로 나아가는 ‘나’의 모습을 수도지위교로 이해하였다. 『중용』및『논어』,『성학십도』의 고전을 통해서 상상과 창의와 자신감을 주요 구성 원리로 보았으며 상상은 ‘나는 무엇인가’라는 나의 존재에 대한 앎을 시작으로 하였다. 창의는 상상을 통하여 알게 된 내 몸에서 나오는 감정으로 ‘나’를 아는 것이다. 이러한 ‘나’를 알아가는 과정을 ‘나 그리기’라 명칭 하였으며 ‘나 그리기’를 통해서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 자신감을 찾도록 ‘나 그리기’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앎과 믿음은 곧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로 인성교육을 스스로 이루게 하며 이러한 자신에 대한 앎과 믿음은 자신감으로서 현대 사회에서의 ‘창의적 사람’과도 그 의미가 통한다고 보았다. 창의력은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 이미 내 안에 있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며 ‘나 그리기’를 통해서 창의적 감성미술교육의 의미를 자기 자신의 존재이치인 사랑과 믿음을 스스로 알고 자신감으로 나아가는 것에 두었다. 창의적 감성 미술교육으로서 ‘나 그리기’는 고전을 통한 원리 속에서 미술교육이 이루고자 하는 자아실현과 자신감, 올바른 인성교육의 효과와 더불어 모두가 하나이며 또 다른 존재로서 살아가는 행복한 삶과도 연결될 수 있음을 밝힌 것이 본 연구의 성과이며 고전과 연결한 창의적 감성 미술에 대한 재해석의 시도로서 의의를 갖는다.

      • 좋은 축제 만들기 : 지역축제의 한계 및 대안

        정환택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교차학협동과정 문화예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5775

        Local festivals in Korea have been developed to build local identity and secure competitiveness of regions through cohesion of local residents. However, most local festivals have focused only on their appearances today, overlooking the essential function of a festival as a joyful event, resulting in uniformity of festivals without uniqueness and distinctiveness of each reg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local festivals in Korea and establish criteria for organizing a good festival that everyone can enjoy. Festivals originated from seeking God to relieve stress and suffering that human beings experience in life. Through the encounter with God, human beings realize that they are perfect beings which contradicts their preconception of human imperfection. Human beings develop empathy as they realize that God and they are same rather than different. The empathy leads to the communication with God, which leads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place turns into an arena of festival. In this way, communication starts from the realization of perfect “I” and the empathy that God and I are one. Empathy develops with the realization of the perfect “I” and the mutual recognition of each other’s perfection. Such empathy leads to unboun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out empathy is no more than a compromise. This is also the biggest problem of local festivals in Korea. As festivals are held in compromises based on each other’s goals today, communication is gone, and the essential function of festival is left behind. Ensuring empathy instead of each other’s goals and communicating and collaborating are integral to enhancing the quality of festival and organizing a good festival. Human beings have always wanted to be liberated from work, and festivals have emerged as a way of liberation from everyday life. They wanted a deviation by creating changes in emotion through the festivals, which cannot be felt in daily lives. Such deviation required methods, which are a festival and a play. Deviations are seen as crazy. Human beings become crazy both when they are stressed out and when they are not. Becoming crazy due to stress is suffering; becoming crazy due to no stress is enjoyment. Simply deviating to satisfy one’s desire does not allow confirmation of mutual empathy, and deviation without empathy is not a festival. Therefore, deviations in festivals must be craziness to find pleasure through empathy and to confirm the perfect “I.” I think festivals are craziness. However, most festivals today cannot be considered good festivals because such craziness does not exist in them. Despite the fact that festivals have many problems today, there are many festivals in individual regions and many people are looking for festivals. This is because many people who are looking for festivals still have the positive spirit that festivals are fun.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criteria for organizing a good festival, which I set as “affectionate festival,” “communicative festival,” and “voluntary festival.” Affectionate festival is the festival in which I can find the perfect “I.” Finding the perfect “I” is to be honest with one’s feelings, know where I come from, know that my body is precious, and know the feeling of love. This is affection; therefore, affectionate festival is the happy festival in which I find the perfect “I” and that is loved by everyone. Communicative festival is the festival in which people recognize each other’s empathy, communicate, and enjoy. A festival without communication cannot be a good festival. Communication should be based on empathy with each other, and communication cannot exist without empathy. It must be a good festival if people have empathy with, communicate, and enjoy each other. Voluntary festival is the festival that is created by everyone together. In a good festival, “I” voluntarily take actions. Festivals with voluntary actions are always enjoyable. Good festivals have no goals and no pressure; they just have affection shared in enjoyment. As the criteria of a good festival suggests, w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festival is empathy and communication. A festival without empathy and communication cannot be a good festival. Empathy and communication are the spirit of festival that has never chang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such spirit make “I” “uniquely mine.” We Koreans have experienced how enjoyable good festivals are during our street cheering during 2002 World Cup and the candlelight rally in Gwanghwamun. Therefore, we should not forget empathy and communication as the spirit of festival when planning and organizing a festival, and make it a happy festival for all of us in which we e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우리나라 지역축제는 지역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 주민들의 화합을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개발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대다수 지역축제가 축제는 즐거워야 한다는 축제의 본질적 기능은 외면한 채 외형적인 모습에만 집중하게 되면서 지역축제는 그 지역만의 고유성과 차별성은 사라지고 획일화된 축제만을 만들어 내는 결과를 낳았다. 그래서 이러한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누구나 행복하게 즐길 수 있는 좋은 축제를 만들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축제는 인간이 현실에서 가지는 스트레스나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신(神)을 찾음으로써 시작된다. 신(神)과의 만남을 통해 인간은 불완전하다고 생각한 내가 알고 보니 완전한 존재였음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인간은 신(神)과 내가 다름이 아닌 같음을 확인하며 공감(共感)을 이룬다. 이러한 공감(共感)은 신(神)과의 소통으로 연결되고 신(神)과의 소통은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으로 이어지면서 그곳은 축제의 장(場)으로 변하는 것이다. 이처럼 소통은 완전한 ‘나’를 확인하고 신(神)과 내가 하나였음을 공감(共感)하는데서 시작된다. 공감(共感)은 완전한 ‘나’를 확인하고 그것을 서로 확인하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감(共感)은 무한한 소통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공감(共感)이 없는 소통은 타협에 불과하다. 이러한 부분이 우리나라 지역축제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이기도 하다. 오늘날 축제가 서로 간의 목적에 의해 타협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소통은 사라지고 축제의 본질적 기능은 뒤로 밀리는 것이다. 서로의 목적보다는 모두가 즐거운 축제를 만들기 위한 공감(共感)을 확인하고 서로 소통하고 협력해야지만 축제의 질도 높이고 좋은 축제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은 항상 현실의 노동과 일 등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했고 삶으로부터 해방을 위한 방법으로 축제가 생겨났다. 이러한 축제를 통해 인간은 일상의 삶에서 느낄 수 없는 감정의 변화를 만들어 내는 일탈을 원했다. 이런 일탈을 위해서는 방법이 필요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축제이며 놀이인 것이다. 일탈을 보는 사람들은 미친 짓으로 보인다. 인간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미치고 안 받아도 미친다. 스트레스를 받아서 미치는 것은 고통이며 안 받아서 미치는 것은 즐거움이다. 단순히 욕망을 채우기 위한 일탈은 서로의 공감(共感)을 확인할 수가 없고 공감(共感)이 없는 일탈은 축제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축제에서의 일탈은 공감(共感)을 통해 즐거움을 찾고 완전한 ‘나’를 확인할 수 있는 미친 짓이어야 한다. 나는 축제를 미친 짓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축제에서 이런 미친 짓을 못하기 때문에 좋은 축제라 말할 수 없다. 오늘날 축제가 많은 문제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마다 수많은 축제가 열리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축제를 찾고 있다. 이는 축제를 찾는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아직까지도 축제에 가면 ‘즐겁고 재미있다’라는 긍정적인 힘과 축제정신이 살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좋은 축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며 나는 그 기준을 ‘정(情)다운 축제’, ‘소통하는 축제’, ‘자발적인 축제’로 정하였다. 정(情)다운 축제는 완전한 ‘나’를 확인할 수 있는 축제이다. 완전한 ‘나’를 확인한다는 것은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야 하며 내가 어디서 왔는지를 알고 내 몸은 소중한 몸이며 사랑의 감정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정(情)이며 따라서 정(情)다운 축제는 완전한 ‘나’의 존재를 확인하고 모두가 사랑하는 즐거운 축제이다. 소통하는 축제는 서로 공감(共感)을 확인하고 소통하며 즐기는 축제이다. 소통이 없는 축제는 좋은 축제라 말할 수 없다. 소통은 서로 간의 공감(共感)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공감(共感)이 없는 소통은 있을 수 없다. 서로 공감(共感)하고 소통하며 즐긴다면 그것이 바로 좋은 축제일 것이다. 자발적인 축제는 모두가 함께 만드는 축제이다. 좋은 축제는 ‘나’ 스스로가 움직인다. 스스로 움직인 축제는 언제나 즐겁다. 좋은 축제는 아무런 목적도 강요도 없으며 단지 즐거움이 공유하는 정(情)다운 만이 있을 뿐이다. 이처럼 좋은 축제의 기준에서 알 수 있듯 축제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대상은 공감(共感)과 소통이다. 공감(共感)과 소통이 없는 축제는 좋은 축제라 할 수 없다. 공감(共感)과 소통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변하지 않는 축제정신이며 이런 축제정신이 ‘나’를 ‘나답게’ 만드는 것이다. 우리는 2002 한일 월드컵 길거리 응원과 광화문 촛불집회를 겪으면서 좋은 축제가 얼마 즐거운가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축제를 기획하고 만드는 데 있어 공감(共感)과 소통이라는 축제정신은 잊지 말아야 하며 서로 공감(共感)하고 소통하는 누구의 것도 아닌 우리 모두의 즐거운 축제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 현대 중국의 대중문화 연구 : 한류의 수용현황을 중심으로

        오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교차학협동과정 문화예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5775

        In the 1970s, China began to implement Chinese Economic Reform. This policy not only led to the rapid growth in economy, but also brought huge changes in culture that the mass culture originated from western countries began to appear in China. However, compared to that of capitalist countries, mass culture has inevitably changed due to the particularities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social background after entering China. It is also more complicated in definition and cannot completely be duplicated from the original concept of western mass culture.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mass culture in the west, the definition of Chinese mass culture needs further cla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to provide a basic conceptual guidance for the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mass culture.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established in 1992, the two countries have conducted extensive and profound communication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e "Korean Wave" has even triggered a boom in China for nearly 20 years. After defining the basic concept of Korean Wave, this article explained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Korean Wave in China and gave a concrete analysis of the causes of Korean Wave. The underlying reason is that the popularity came from cultural and psychological identification. Taking Korean drama as an example, the social culture, family culture, and ethical ideology expressed in the TV dramas always show the quintessence of Confucian culture, which makes Chinese people feel the familiar and seemly long lost traditional Chinese culture without cultural barriers while watching. From the aspect of inclusivity, Korean culture, as a foreign culture, has experienced ups and downs in its development in China. In the first ten years of development, it was mainly drama and K-POP sweeping the Chinese market. But in recent years, the variety shows began to have a strong development momentum and the shadow of Korean variety shows can be seen everywhere in Chinese TV shows. New changes have happen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Wave in China. The Korean Wave has been popular in China for nearly 20 years. It almost grew along with the Chinese mass culture, which was inevitably influenced by Korean Wave under this circumstance. However, due to the immaturity and instability of itself, a variety of problems have been exposed in Chinese mass culture in recent years such as serious plagiarism, over-entertainment, over-consumption, and large number of homogenized works emerging at the same time etc. Under the background of the cultural globalization, it becomes urgent to get problems exposed and seek solutions for Chinese mass culture in order to get good development and be competitive internationally. The Korean Wave has experienced a thriving period of two decades since the 1990s. In comparison with the Chinese popular culture which is still in the exploratory stage, Korean popular culture has constructed the cultural system with national features. Moreover, it gets attention not only in Asia, but also across the globe. As the product of combining western civilization and traditional culture, the success of the Korean fad has reference significance for the Chinese popular culture which desires to look for culture export ways under the background of cultural globalization. 본 논문은 대중문화 정의에 입각하여 중국 대중문화의 복잡성과 특수성을 논하고, 한류에 대한 기본적인 논술을 한 뒤, 한류가 중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을 통해 현대 중국 대중문화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대중문화를 성공적으로 발전시킨 한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향후 중국 대중문화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0년대, 중국은 개혁개방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정책은 경제의 급속한 발전뿐만 아니라 문화 범위 내에서도 큰 변혁을 일으켰으며, 서양 국가에서 탄생한 대중문화도 중국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자본주의 국가의 대중문화에 비해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배경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중문화는 중국에 진입한 후 불가피하게 변화가 발생했고, 정의도 더욱 복잡해졌기에 서양 대중문화의 원시적 개념을 그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서양의 전통적인 대중문화에 비해 중국 대중문화의 정의는 보다 상세하고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 중국 대중문화의 현황을 연구하기 위해 기본적인 개념 인도를 진행한다. 1992년 한중 양국이 수교 이후, 양국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고, 깊이 있는 교류를 해왔으며, '한류'는 중국에서 20년 가까이 열풍을 일으켰다. 본 논문은 한류의 기본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린 뒤 한류가 중국에서의 탄생과 발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한류의 형성 원인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을 했다. 그중 심층적인 원인은 바로 문화와 풍속의 심리적인 공감이다. 한국 드라마를 예로 들었을 때, 드라마에서 표현한 사회문화, 가정문화, 윤리관 등은 모두 유가문화의 정수를 표현한 것이기에 중국 시청자들은 이러한 콘텐츠를 시청할 때 문화 장벽으로 인한 장애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익숙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잃어버린 중국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다. 수용성으로 보았을 때 한류는 외래문화로서 중국에서의 발전 과정 역시 기복을 이루는 상황이 나타났다. 최초 10년 동안의 발전기에서는 주로 한국 드라마와 K-POP이 한류를 이끌고 중국 시장을 휩쓸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한국의 예능 프로그램은 강세를 보이면서 중국의 TV프로그램 곳곳에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그림자가 드러났고, 중국에서 한류의 발전은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한류는 이미 중국에서 20년 가까이 유행해왔으며, 중국의 대중문화와 더불어 거의 동시에 성장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의 대중문화는 불가피하게 한류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신의 발전 미숙과 불안정성으로 인해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의 대중문화에는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심각한 표절 문제, 과도한 오락화 및 소비화 문제, 동질화 작품의 대량 등장 등 문제가 있다. 문화의 세계화 시대 배경 속에서 중국의 대중문화가 제도로 발전하여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추려면 문제점을 밝히고,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급선무로 되었다. 1990년대부터 한류는 중국에서 20년 동안의 전성기를 겪었다. 중국 대중문화와 비교했을 때 한국의 대중문화는 이미 민족적 특색을 지닌 문화 체계를 형성했으며,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류는 서양 문화와 전통 문화의 결합으로 한류의 성공은 같은 문화 글로벌화 배경 속에서 문화 수출의 길을 탐구하려는 중국 대중문화에 대해 참고적 의미가 있다.

      • 나는 왜 불안한가? : 감정의 자기이해로 확인한 불안의 실체

        최선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교차학 협동과정 문화예술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5759

        누구라도 불안해하지 않는 사람이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불안을 허상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불안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알면서도, 그 원인이나 영향, 근본적인 해결방법에 대해서는 알려고 하지 않는다. 아니, 아예 불안을 알 수 없는 것(不可知)으로 치부하고, ‘나쁜 것, 숨겨야 할 것’이라 치부하며 잊어버리고자 노력한다. 알 수도, 알 필요도 없는 것인데 분명 존재하는 것, 불안을 ‘원래 그러한 것’으로 정의 내려 버리는 것이다. 불안의 실체(實體)에 대한 무관심, 불안을 무가치한 것으로 여기고 알려고도 하지 않음으로 해서 인간은 고통에 빠져들게 된다. 나의 불안은 불면에서부터 시작되었고, 나 역시 불안을 회피하고 없애버리려 노력해왔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불안은 결코 해소되지 않았고, 오히려 더 깊어지기만 했을 뿐이다. 불안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그 불안의 기원, 즉 불안의 사소한 시작점을 찾아 해결한다는 것이 아니다. 불안 상태를 벗어나는 방법은 단 하나, 자기 자신에게로 돌아가는 것이다. 즉 자기 자신의 감정(欲)과 마주해야 한다. 자신의 문제에 대한 해답은 언제나 스스로에게 향해 있고, 나의 결핍은 스스로가 만들어낸 것이기 때문이다. 자기 자신을 안다는 것은 스스로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고 감정이 원하는 바를 따른다는 것이다. 감정이 원하는 바는 단 하나, 선(善)일 뿐이다. 이 논문은 불면에서부터 시작된 나의 불안을 해소하고 안심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자기분석이다. 불안했던 과거를 마주하고 자신이 무엇을 잘못 생각했는지를 이해해가는 과정이며, 생각의 변화를 겪은 후 어떻게 불안이란 감정을 바라보고 있는지를 이야기하는 자기 고백이다. 마음에 드리워진 그림자를 마주하고, 그림자를 보는 것이 아닌 그것을 만든 원인을 알았을 때, 그리고 그것이 빛이라는 것을 알았을 때 나는 잠이 들 수 있었다. 불안은 숨길 것도, 회피할 것도 그렇다고 두려워해야 할 것도 아니다. 어차피 내 감정의 하나이고, 내 감정 중에 없애야 할 것은 없다. 이 논리를 인식하고 이해하려고 한다면 불안은 사라질 수 있다. 완전한 존재는 자신의 유한함을 무한함으로 전환시키고, 막다른 길에서도 우회로를 찾아낸다. 그런 존재는 ‘나’와는 다른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 그것이 바로 자기 자신임을 깨닫는 것이 불안을 털어버리는 것이다. It is obvious that there is nobody in the world who does not experience some kind of anxiety during his or her life. But it is also true that there is somebody who argue that anxiety is mere delusion even though he or she, in reality, knows that it certainly exists. They evade understanding the cause and effect of or the fundamental solution to anxiety. Rather, they assert that anxiety is unknowable. They define it as something sinister' or 'something that we have to hide' and then try to forget it. For them, anxiety is what we could not or need not know, that is, a matter of that kind. By neglecting truth of anxiety, hastily regarding it as meaningless, and consequently not trying to understand it, People collapse into agony. My anxiety started with insomnia and I struggled to avoid or deny it as other people do. Nevertheless, that kind of measure does not resolve my anxious state but aggravate it. Overcoming anxiety does not just mean that we have to find the origin of anxiety, namely, the starting point of it and try to cure from it. The only way to handle anxious state is to reflect on ourselves. We have to face our emotion or feelings. That is because the answer to our problems always points toward us and our emotional instability is usually arisen from us. The meaning that we know ourselves is that we should embrace our emotions and pursue what our emotions want to pursue. What our emotions want to pursue is the only one, goodness. This dissertation is the record of my self-analysis, through which I try to solve my anxiety derived from persistent insomnia over years, ultimately expecting to get to stability of my mind and soul. It is also the process of confronting my past during which I always felt anxious and understanding what I misunderstood at that time. Furthermore, it is the self-confession of describing how I now get to comprehend anxiety after long and lasting time of reflection. I was able to sleep just when I found out some shadows in my mind, traced back to their causes, and realized that this process itself could be the guiding star to the peace in mind. Anxiety is not what we have to either hide or evade or fear. It is just one of my numerous feelings and among them, I think, there is nothing that must be eradicated at all. If we try to understand this reasoning, we are able to live more stably and positively with our anxiety and at some time we will realize that anxiety does not threaten or agitate our lives any more. Desirable being is able to change his or her finitude into infinity and find another way even when he or she confronts a dead end. It is by realizing that kind of being is not the special one who is not like 'me' but the very 'me' myself that we can overcome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