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스트리아학파 경기순환론에 대한 공공선택학파의 대응

        김행범(Haeng-Bum Kim) 공공선택학회 2023 공공선택학저널 Vol.2 No.1

        오스트리아학파의 경기순환론(ABCT)은 경기순환이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이자율을 ‘인위적으로(artificially)’ 변동하는 데서 주로 출발한다고 본다. 공공선택학파의 정치적 경기순환론(PBCT)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왜’ 정부가 그렇게 이자율을 인위적으로 변동시키는지에 더 주목한다. ABCT에게는 그것이 선량한 의도를 가진 공익적 정부의 착각이든 혹은 이기적 동기인지를 구별하는 것은 그 이론 체계에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PBCT는 그것이 이기적 이익을 추구하는 정치인과 관료가 공적 영역에서 얻고자 하는 정치적 이익 때문이라는 사실을 가장 강조한다. 정부에 의해 야기되는 경기순환에 대해 오스트리아학파보다 공공선택학파가 더 깊은 불신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리아학파는 통상적으로 신고전파가 ‘나쁜’ 것으로 간주해 온 불황(bust) 국면의 가치를 새롭게 부각해 주었다. 그것은 잘못된 신호 하에서 과다 투입된 자본이 정상화되는 회복 과정이라는 순기능을 가진 국면이다. 자본의 이질성, 과오 투자(mal-investment)는 오스트리아학파가 밝혀낸 탁월한 개념이지만, 공공선택학파는 이 두 개념에 크게 주목하지 않는다. 공공선택학파는 자본을 총량적이고 동질적으로 파악하며, 과오 투자와 과잉 투자를 혼동하기도 한다. 이는 공공선택학이 사전에 토대한 경제학이 오스트리아 경제학이 아니라 신고전파 경제학이었기 때문이다. 두 학파는 건강한 긴장과 상보성을 공유한다. 시장과정(market process)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오스트리아학파와 정치 시장(political market)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두 학파는 정부, 정치인, 중앙은행, 관료가 시장과 정의 한 핵심 레버인 ‘이자율’을 건드리는 국면에서 조우하였으며 그 지적 공간이 경기순환론이다. ABCT는 그것이 시장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보았고, PBCT는 그것이 정치 시장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각각 보여주었다. 경기순환에 관한 상이한 두 이론은 시장 및 정치를 아우르는 체제 전체의 이해에 상보적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Mises’ advocacy and Hayek’s refinement, ABCT(Austrian Business Cycle Theory) has been well formulated and showed valid explanation on actual economic business cycles as well. This article reveals how Public Choice responded to ABCT and how they developed its own ideas on business cycle. Gordon Tullock criticized Rothbardian sense of ABCT, followed by severe response from Sallerno. Some essential points on this argument were extracted to compare the basic difference of Tullock and Rothbard. ABCT activates business cycle when gov’t(central bank) ‘artificially’ lower the interest rate. Public Choice theorists focus on ‘why’ they do that. For ABCT, whether or not they have good intention is not important. PBCT, however, more emphasize that was done for the selfish political interests that politicians or bureaucrats have in political context. Austrians suggested new meaning to ‘bust’ phase of economic cycle, which under neo-classcical economics school long have been ignored as ‘bad’ event. ABCT assumes two key concepts; heterogeneity of capital, and mal-investment. PBCT is unfamiliar to those. So PBCT frequently does not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over-investment and mal-investment, and assumes homogeneity of capital. It’s because Public Choice stands on neo-classical economics, not Austrian sense of economics. Then, four political business cycle theory(PBCT) models were reviewed: Opportunistic, Partisan, Rational Opportunistic, and Rational Partisan model. Austrians focusing on market process met Public Choice Theorists focusing political market met on the theme of business cycle. ABCT shows how ‘visible hand’ gives impact on market economy, and PBCT shows what impact business cycle has to political market. Each mutually gives sound tension, plus contributes to complementary explanation on overall business cycle.

      • 공공가치관리 관점을 적용한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의 메타평가 연구

        주은혜(Eun-hye Ju) 공공선택학회 2023 공공선택학저널 Vol.2 No.1

        공공기관이 추구하는 공공성의 성과는 민간 기업에서 사용하는 ‘bottom line’과 같은 손익계산서로 단순명료하게 제시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현재의 공공기관의 성과평가 체계는 사업과 정책의 공공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단기적 성과 위주의 수익성 창출의 측정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 논의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공공관리론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의 한계를 보완하고, 공공기관의 설립과 운영의 본질적 목적인 공공가치 창출의 미션을 달성할 수 있도록 공공가치관리의 관점을 적용하여 경영평가제도 전반에 대한 메타평가를 실시하였다. 즉, 공공가치 관리의 내용적 특성으로서 평가목적, 평가주체, 관리역량, 거버넌스, 성과의 5가지 차원 으로 분류하고, 이를 평가기준으로 설정하여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메타평가를 실시하고, 그 보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erformance of publicness pursued by public institutions is difficult to present simply and clearly with a profit and loss statement such as the ‘bottom line’ used by private companies. Nevertheless, th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does not ful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projects and policies. Critical discussions are being raised in that it focuses only on the measurement of profitability creation based on short-term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meta-evaluation of the overall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public value management to achieve the mission of creating public value, which is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An overall review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content of public value management. The purpose of evaluation, subject of evaluation, management capacity, governance, performance,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supplementation were drawn.

      • The Public Choice Analysis of Market Failures and Government Failures

        이몬 버틀러(Eamonn Butler) 공공선택학회 2022 공공선택학저널 Vol.1 No.1

        최근 공공선택학 연구자들은 시장뿐만 아니라 ‘공적’ 결정과정도 실패한다고 주장한다. 공공선택학 연구자들은 공적 결정을 하는 사람들(정치인, 관료 등)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사익’을 추구한다고 지적한다. 한마디로 정치인들과 관료들도 사익을 추구하는 일반 사람들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정부나 공직에서 일한다고해서 하루 아침에 천사가 되지 않는다. 우리는 이러한 과정을 ‘민주주의’라고 부르지만, 사실은 정치학 또는 정치적 이익과 관련되어 있다. 사람들은 공익을 위해 투표하지않고 자신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투표한다. 정치인들과 관료들도 자신의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추구하려 한다. 따라서 공공선택학 연구자들에 따르면 정부가 시장실패를 교정하기 위해 시장에 개입함으로써 ‘정부실패’를 초래할 수 있으며, 정부 실패는 시장실패보다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수십년 동안 공공선택학의 주장은 현실 정치를 설명하는데 커다란 영향력을 미쳐 왔다. 공공선택학은 기존의 민주주의 제도에서 입법가(국회의원)와 관료들의 사익추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힘을 제한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깊이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공적 의사결정 과정을 제한하려는 정책과 제도들을 도입하고 보편화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일들은 모두 공공선택학의 발전 덕분이다. 본 에세이는 공공선택학의 주요 아이디어와 여러 가지 이슈들을 개념적·포 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the Public Choice School scholars argue that public policymaking has its own failures. Public Choice scholars pointed out that the people who make public decisions – politicians or bureaucrats - are in fact just as self-interested as anyone else. They are, after all, the same people; individuals do not suddenly become angels when they get a job in government. We call it ‘democracy’, but actually it is politics, and political interests to colour the whole process. People do not vote at elections out of ‘public interest’, but they vote to promote their own interests. The politicians and bureaucrats also have personal interests of their own. So the Public Choice School economists suggest that it might be better to leave the markets alone, rather than replace market failure by an even worse government failure.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 Public Choice School’s arguments have had a growing effect to explain real politics. In established democracies, there is more recognition of the private interests of legislators and bureaucrats, and of the need to restrain them. In addition, policies designed to restrain public decision making, inspired by the Public Choice School, are becoming more common. In this essay, I attempt to explain the Public Choice School’s main idea and various issues in a conceptual and critical way.

      • 공공선택학파와 오스트리아학파의 연구방법론의 차이

        김행범 공공선택학회 2022 공공선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

        공공선택학과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은 방법론과 이념을 많이 공유한 학문적 친척으로 “오스트리아학파식 공공선택학”(Austrian Public Choice)을 이루기도하면서 동시에 반목도 보여주었다. 이 글은 두 학문 사이 불화를 주관주의·합리성·인식론의 세국면에서 규명하였다. 첫째, 공공선택학은 뷰캐넌의 주관주의 선언에도 불구하고 주관주의를 제한하며 사회적 낭비, 사회적 효율성 등의 객관주의적, 총량적 개념에서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공공선택학은 비현실적이고 이상적이며 합리성에만 좌우되는 인공적 인간형에 토대하여, ‘합리적 무지’가 아닌 한 정부에게는 지식및 문제해결 능력이 있다고 본다. 반면에, 오스트리아학파는 이성 외에 직관·감성도가진 현실적 인간을 전제로 하며, ‘진정한 무지’도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인식론과 관련하여 공공선택학은 정치인이 겉으로 표방하는 공익과 실제로 추구하는사익 간 괴리가 정부 실패를 낳고, 정치인을 정부 실패의 고의범이라 보지만, 오스트리아학파 측은 정치인도 공익을 진정 추구할 수 있고 정부 실패는 ‘동기 문제’가아니라 ‘지식 문제’에서 나타나며, 따라서 정치인을 정부 실패의 고의범이 아니라 과실범으로 본다. 끝으로, 동거와 불화를 공유한 두 학파는 자신의 사고와 연구 절차를 상대측에게 요구하거나, 학문적 접붙임을 추구하기보다 특화된 연구 성과들로 각학문 시장에서 경쟁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측은 시장과 정부에 관해 나름 특화된 분산된 지식(dispersed knowledge)을 가지고 있다. 학문 세계 속 그 지식들의 교환및 경쟁은 또 다른 의미의 시장과정(market process) 작용이며, 학문 세계의 소비자들은 그 어느 한쪽에 표를 던지는 일종의 또 다른 차원의 공공선택(public choice)을 행할 것이다.

      • Market Failures and Government Failures : A Primer on the Public Choice

        Eamonn Butler 한국공공선택학회 2016 The Korean Public Choice Society Vol.4 No.1

        최근 공공선택학 연구자들은 시장뿐만 아니라 ‘공적’ 결정과정도 실패한다고 주장한 다. 공공선택학 연구자들은 공적 결정을 하는 사람들(정치인, 관료 등)도 다른 사람들 과 마찬가지로 ‘사익’을 추구한다고 지적한다. 한마디로 정치인들과 관료들도 사익을 추구하는 일반 사람들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정부나 공직에서 일한다고 해서 하루 아침에 천사가 되지 않는다. 우리는 이러한 과정을 ‘민주주의’라고 부르지 만, 사실은 정치학 또는 정치적 이익과 관련되어 있다. 사람들은 공익을 위해 투표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투표한다. 정치인들과 관료들도 자신의 이익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추구하려 한다. 따라서 공공선택학 연구자들에 따르면 정부가 시장실패를 교정하기 위해 시장에 개입함으로써 ‘정부실패’를 초래할 수 있으며, 정부 실패는 시장실패보다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수십년 동안 공공선택학의 주장은 현실 정치를 설명하는데 커다란 영향력 을 미쳐 왔다. 공공선택학은 기존의 민주주의 제도에서 입법가(국회의원)와 관료들의 사익추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힘을 제한할 필요성에 대해 서도 깊이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공적 의사결정 과정을 제한하려는 정책과 제도들을 도입하고 보편화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일들은 모두 공공선택학의 발전 덕분이다. 본 에세이는 공공선택학의 주요 아이디어와 여러 가지 이슈들을 개념 적·포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the Public Choice School scholars argue that public policymaking has its own failures. Public Choice scholars pointed out that the people who make public decisions – politicians or bureaucrats - are in fact just as self-interested as anyone else. They are, after all, the same people; individuals do not suddenly become angels when they get a job in government. We call it ‘democracy’, but actually it is politics, and political interests to colour the whole process. People do not vote at elections out of ‘public interest’, but they vote to promote their own interests. The politicians and bureaucrats also have personal interests of their own. So the Public Choice School economists suggest that it might be better to leave the markets alone, rather than replace market failure by an even worse government failure.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 Public Choice School’s arguments have had a growing effect to explain real politics. In established democracies, there is more recognition of the private interests of legislators and bureaucrats, and of the need to restrain them. In addition, policies designed to restrain public decision making, inspired by the Public Choice School, are becoming more common. In this essay, I attempt to explain the Public Choice School’s main idea and various issues in a conceptual and critical way.

      • 애덤 스미스의 공감, 정의, ‘스미스 문제’ 해결 논리 및 공공선택학에 주는 함의

        고건혁(Jianyi Gao),정주현(Juhyeon Jeong) 공공선택학회 2024 공공선택학저널 Vol.3 No.1

        공공선택학은 광의의 정치경제학에 속하므로 정치경제학으로 ‘국부론’을 쓴 애덤 스미스에 연결되어 있다. 공공선택학이 전제하고 있는 경제인(homo economicus)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스미스가 국부론 이전에 쓴 ‘도덕감정론’을 성찰함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첫째, 스미스의 도덕감정론 속에 담겨있는 공감(sympathy)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정의(justice) 논리의 특성을 추출하며, 셋째, 도덕감정론과 국부론 속 두 인간의 모순, 즉 ‘스미스의 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논리들을 검토하고, 넷째, 도덕감정론과 공공선택학의 관계를 불화와 화합의 두 측면에서 분석했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 시사점을 준다. 첫째,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은 이성에 대한 비현실적 의존, 초월적 계시와 같은 인식 주체의 개입 없이도 보통 사람이 받아 들일만한 추론 과정을 통해 도덕 감정이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도덕 감정이 기본적으로 개인의 주관에 좌우된다는 약점을 보완하는 핵심 역할을 하는 것이 ‘공정한 관찰자’이다. 공정한 관찰자를 통해서만 개인의 공감이 상호 공감으로 이어진다. 셋째, 공감으로 사회 질서가 설명되는 경우는 제한적이다. 공감이 아니라 정치, 제도, 법의 강제력을 통해 질서가 유지되는 상황이 아주 흔하다. 바로 이 상황을 도덕감정론의 인간이 아니라 국부론의 인간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공공선택학이다. 넷째, 이런 제약에도 불구하고 ‘공감 부재’의 사회를 다스리는 정치, 제도, 법의 강제력조차 장기적으로는 상호 공감을 필요로 한다. 그 범위에서 공감은 자생적 질서가 아닌 ‘조직 질서’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As a variant of Political Economy deriving from Adam Smith’s Wealth of Nations(WN), Public Choice students need to add Theory of Moral Sentiment to recognize true meaning of Homo Economicus, which the discipline stands on. This article focuses on four points regarding this project. First, the meaning of Sympathy by Smith was extracted from TMS. Second, logic of Smith’s Justice theory were analyzed, Third, some persuasive explanations were tried to solve so-called ‘Das Adam Smith Problem’ between TMS and WN. Fourth, relations of TMS to Public Choice was suggested, in the context of both concord and discord. Results of this article reveal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Smithian TMS logic emerged without any transcendental components like absolute reason or revelation by god, which serves to more acceptability to ordinary individuals. Second, ‘Impartial Spectator’ plays vital role to induce more objective judgements from subjective judgements of any individuals. Without it, moral sentiments are not to form mutual sympathy. Third, situations is restricted in which sympathy can lead to social stability. Therefore, force by politics, institutions, and law is more common where sympathy is hard to emerge. Public Choice is a set of knowledge to deal with those situations(‘organizational order’, by Hayek) lacking sympathy. Fourth, even so, organizational order requires to secure sympathy of the individuals being governed, at least in long-term basis, suggesting sympathy is still important, both in the world of spontaneous and organizational order.

      • 도서관 민주주의: 공공선택적 함의

        현진권 공공선택학회 2022 공공선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

        지역마다 공공도서관의 수준은 다양하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공공도서관도 결국 정치인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면 정치인은 지역민의 공익을 위해서 좋은 도서관을 만드는 건가? 최근 공공도서관은 혁신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이제 도서관은 더 이상 책보는 장소가 아니고, 음악 및 미술감상, 카페 등 기능을 포함한 문화복합몰로서 역할을 한다. 이런 혁신적인 도서관은 우연히 일어나는게 아니고, 정치구조에서 해석해 본다. 민주주의에서 정치인은 표에 정치생명이 걸려있다. 그래서 정치경쟁을 통해 유권자의 마음을 잡는 정치상품을 개발한다. 공공도서관은 정치인이 개발한 가장 효과적인 정치상품일 수 있다. 그래서 이제 공공도서관도 정치구조와 연결해서, 그 수준을 내생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도서관 민주주의’는 공공도서관을 설명하는 새로운 가설을 위한 용어로 개발하였다.

      • Systematic Difference in Perspectives on Public Choice Issues between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in Korea : A Survey Analysis

        Sung-Kyu Lee,Kwang Choi 한국공공선택학회 2016 The Korean Public Choice Society Vol.4 No.1

        공공선택학(Public Choice)은 경제학과 정치·행정학을 전공하는 학자들 간에 학제적 또는 통섭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는 학문 분야이다. 그러나 두 학문 분야가 공공선택 학을 바라보는 인식이나 관점에 있어서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공공선택학의 중핵을 구성하는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둘러싸고 두 학문 분야 간에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공공선택학의 여러 주제들에 있어서 ‘경제학자 들과 정치·행정학자들 간에 어느 정도의 견해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두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한 결과, 평균적으로 경제학자들과 정치·행정학자들 간에 여러 주제들에 있어 서 분명한 견해 차이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총 34개의 설문문항들 가운데 12개의 설문문항들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견해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간의 ‘규범적 믿음들’(normative beliefs)에 대한 견해 차이가 ‘실증적 가정들’(positive assumptions)에 대한 견해 차이보다 더 체계적 (systematic)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선택학 연구자들 간에 존재하는 이러한 근본적인 견해 차이는 역설적으로 두 집단 간의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을 반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blic Choice’ represents an interdisciplinary field studied and researched by both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Given the different perspective from which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view the same issues, different conclusions are likely to be reached. In other words,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are thought to disagree on many topical issues. In order to examine their disagreement or consensus on public choice topics, we made a survey containing 34 questions on various public choice issues to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The survey finds a systematic difference in responses between two fields to many questions. Firstly, among the total 34 questions, the two group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 differences with 12 questions. Second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questions of normative beliefs were more systematic than the differences on the questions pertaining to the positive assumptions of the theory. Thus, opinions on ‘normative beliefs’ are more systematically differed than those on ‘positive assumptions’. Paradoxicall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ublic Choice needs interdisciplinary studies between two fields. To realize meaningful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Public Choice Theory through close collaboration, it is imperative to make efforts to remove the fundamental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the two groups.

      • 합리적 인간 모델과 공공선택이론

        윤홍근(Hong-geun Yoon) 공공선택학회 2023 공공선택학저널 Vol.2 No.1

        이 연구는 뷰캐넌과 오스트롬의 공공선택이론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연구 목표를 갖는다. 뷰캐넌과 오스트롬은 신고전주의 경제학의 인간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은 입장이다. 하지만 경제적 인간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화 방식에는 차이가 발견된다. 뷰캐넌이 일관되게 효용 극대추구자로서의 경제적 인간 개념에 충실한 것과는 달리, 오스트롬은 경제적 인간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여기에 더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할 수 있는 능력과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장기적 안목에서 합리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주요 변수로 다룬다. 두 연구자가 경제적 인간의 집합행동의 딜레마를 설명하면서도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으로서 각각 헌정제도 개혁론과 자율규율의 자치제도를 들고 있는 것도 큰 차이다. 집합행동 딜레마 극복을 위한 이들의 제도적 해법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연구접근 방법론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뷰캐넌은 효용 극대추구자들 간의 사회계약이라는 설명틀을 가지고 논지를 전개하는데 그 과정에서 계약당사자인 인간의 속성을 일의적으로 효용 극대추구자로 규정하고 연역적 접근법으로 헌정제도 개혁론을 주창한다, 오스트롬은 성공적인 공유자원 관리 사례에 대한 경험적 사례분석을 통해서 귀납적 접근법으로 집합행동딜레마 극복을 위한 자치제도(self-governing institution) 디자인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연구접근법상의 근본적인 차이가 어떻게 각기 서로 다른 유형의 두 제도적 해법으로 귀결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ublic choice theory of J. Buchanan and E. Ostrom. Buchanan and Ostrom are in the same position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 neoclassical economics‘ concept of man. However,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concrete conceptualization of economic man. Unlike Buchanan's consistent adherence to the concept of the economic man as a utility-maximizer, Ostrom accepts the concept of the economic man, but in addition to it, he acts rationally in the long-term view through people's ability to learn and the process of trial and error. The ability to do is treated as a key variable. Although the two researchers explain the dilemma of collective action of economic human beings, it is also a big difference that they each hold the constitutional system reform theory and the self-governing institution as a solution to overcome it. The differences in their institutional solutions for overcoming the collective action dilemma seem to originate fundamentally from differences in research approach methodology. Buchanan develops the argument with the explanatory frame of a social contract between utility-maximizing seekers. Through an empirical case analysis of successful shared resource management cases, Ostrom present design principles of self-governing institution to overcome the collective action dilemma through an inductive approach. This paper aims to clarify how fundamental differences in research approaches lead to two different types of institutional solutions.

      • Different Perspectives on Public Choice Issues between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in Korea: A Survey Analysis

        김행범(Haeng-Bum Kim),이성규(Sung-Kyu Lee) 공공선택학회 2022 공공선택학저널 Vol.1 No.1

        공공선택학(Public Choice)은 경제학과 정치·행정학을 전공하는 학자들 간에 학제적 또는 통섭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는 학문 분야이다. 그러나 두 학문 분야가 공공선택학을 바라보는 인식이나 관점에 있어서 근원적인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공공선택학의 중핵을 구성하는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둘러싸고 두 학문 분야 간에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공공선택학의 여러 주제들에 있어서 ‘경제학자들과 정치·행정학자들 간에 어느 정도의 견해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두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적으로 경제학자들과 정치·행정학자들 간에 여러 주제들에 있어서 분명한 견해 차이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총 34개의 설문문항들 가운데 12개의 설문문항들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견해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간의 ‘규범적 믿음들’(normative beliefs)에 대한 견해 차이가 ‘실증적 가정들’(positive assumptions)에 대한 견해 차이보다 더 체계적(systematic)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선택학 연구자들 간에 존재하는 이러한 근본적인 견해 차이는 역설적으로 두 집단 간의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을 반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blic Choice’ represents an interdisciplinary field studied and researched by both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Given the different perspective from which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view the same issues, different conclusions are likely to be reached. In other words,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are thought to disagree on many topical issues. In order to examine their disagreement or consensus on public choice topics, we made a survey containing 34 questions on various public choice issues to economists and political scientists. The survey finds a systematic difference in responses between two fields to many questions. Firstly, among the total 34 questions, the two group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12 questions. Second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questions of normative beliefs were more systematic than the differences on the questions pertaining to the positive assumptions of the theory. Thus, opinions on ‘normative beliefs’ are more systematically differed than those on ‘positive assumptions’. Paradoxicall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ublic Choice needs interdisciplinary studies between two fields. To realize meaningful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Public Choice Theory through close collaboration, it is imperative to make efforts to remove the fundamental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the two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