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응규칙(對應規則)을 통한 일본한자음(日本漢字音) 지도법(指導法) ㅁ·ㅂ·ㅍ 계열을 중심으로-

        하소정 ( Ha So-jung ),이경철 ( Lee Kyong-chul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구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8 일본연구 Vol.30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常用漢字(2010)에서 音讀을 가진 漢字만을 추출하여 [常用漢字 字音 分析表]를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韓國漢字音의 子音 [ㅁ · ㅂ · ㅍ]에 대응하는 한자 332字를 추출한 후, 韓國漢字音과 日本漢字音의 대응관계 및 한자의 中古音 聲母와 한자음의 系統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韓國漢字音의 子音 [ㅁ]은 マ行(55.64%) · バ行(42.74%)과 가장 많이 대응하고 있었다. 이 때 子音 [ㅁ]에 대응하는 マ行은 대부분 吳音이었으며, バ行은 모두 漢音이었다. 그리고 韓國漢字音의 子音 [ㅂ]은 ハ行(74.73%) · バ行(25.26%)과 대부분 대응하고 있었으며, 韓國漢字音의 子音 [ㅍ]은 ハ行(85.5%) · バ行(14.49%)과 대응하고 있었다. 이 때 韓國漢字音의 子音 [ㅂ · ㅍ]에 대응하는 バ行은 대부분 吳音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韓國漢字音의 子音 [ㅁ · ㅂ · ㅍ]과 日本漢字音 사이의 이러한 규칙적인 대응양상을 [대응규칙]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대응규칙]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1. 흥미유발], [2. 대응목록 제시], [3. 대응규칙 제시], [4. 연습문제], [5. 다음 대응규칙 제시]라는 5단계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extracted only Chinese characters with a On’yomi in the Joyokanji Table(2010) and used them as research data. Then, after extracting 332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m/(ㅁ) · /p/(ㅂ) · /ph/(ㅍ) consonants of Sino-Korean, we analyzed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Sino-Korean and Sino-Japanese. And also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Ancient Chinese. As a result, the /m/ consonant of Sino-Korean are mostly corresponded to Ma-gyo/m/(55.64%) and Ba-gyo/b/(42.74%) in Sino-Japanes. In this case, except for nine to ten Chinese characters, Ma-gyo/m/(55.64%%) was almost Go’on and Ba-gyo/b/(42.74%%) was all Kan’on. And the /p/(ㅂ) consonant of Sino-Korean are mostly corresponded to Ha-gyo/h/(74.73%) and Ba-gyo/b/(25.26%) in Sino-Japanes, and the /ph/(ㅍ) consonant of Sino-Korean are corresponded to Ha-gyo/h/(85.5%) and Ba-gyo/b/(14.49%) in Sino-Japanes. In this case, the Ba-gyo/b/ corresponding to the /p/(ㅂ) and /ph/(ㅍ) consonants of Sino-Korean were mostly Go’on. Therefore, we suggested ‘correspondence rules’ on the basis of these regular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between /m/(ㅁ) · /p/(ㅂ) · /ph/(ㅍ) consonants of Sino-Korean and Sino-Japanese. In addition, we proposed 5 steps of teaching- learning method in order to utilize these rules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Step 1 is ‘Provoke interest’. Step 2 is ‘Presentation of the Chinese language list in which the correspondence rule exists’. Step 3 is ‘Presentation of correspondence rule’. Step 4 is ‘Practice correspondence rules through words’. Step 5 is ‘Presentation of next correspondence rules and guide on rules’.

      • KCI등재

        개화기 한일 양국어 학습서의 특징 연구 : 문법 관련 기술 양상을 중심으로

        윤영민(Yun, Young-min)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일본인 및 한국인 일본인 공저에 의해 저술된 한일 양국어 학습서를 대상으로 그 편제와 구성 및 내용의 분석을 통해 당시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법과 그 체계가 어떠한 양상으로 기술되어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19세기 말 갑오개혁을 전후한 개화기 이전과 이후부터 20세기 초 전기(前記) 현대 한국어로 진입하는 시기까지의 한국어 문법 체계와 당시 일본어 문법의 경향을 함께 살펴보는 동시에 일본어 문법의 영향이 한국어에 어떻게 반영, 투영되었는지 알아봄으로써 근현대 한일어의 교섭과 접촉의 일면을 밝히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寶迫繁勝는 「韓語入門」과 「日韓善隣通話」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문법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인구어의 문법체계와 일본어 문법 용어의 병용(竝用)을 통해 한국어 문법을 체계화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日韓善隣通話」는 전통적인 한글 자모 체계와 맞지 않으며, 일본어의 ‘50音圖’식으로 한국어 발음을 나타내려는 의도가 보인다. 이와 함께 방언과 경어에 대한 소개와 나름의 체계화도 보이고 있다. 셋째, 「單語連語日話朝雋」은 한국인 대상 일본어 학습서로서 문법적인 관점에서의 기술은 많지 않지만, 일본어 언어 체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적절하게 한국어에 적용하고 구현하였다. 「捷解新語」와 유사한 형식적 잉여성과 띄어쓰기, 적절한 번역과 쉬운 표현의 사용도 주목할 만하다. 넷째, 「實用韓語學」은 현대 한일 양국어 문법의 초기 확립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양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1880년 최초의 한국어 학습서와 비교하여 20여년 사이에 일본어 안에서의 문법 및 문체 변화에 나타난 과도기적 성향이 적지 않게 반영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Korean and Japanese study 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includes co-authors of the Korean and Japanese). By studying the organization, composition, and content of said materials, the aim is to examine the aspects in which the grammar and systems of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took influences from each other at the time. By researching materials from the Korean Enlightenment, which took place from before until after the late-19th-century Gabo Reform,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all the way up to the formation of modern Korean, the study focuses on the Korean grammar system and the aspects of Japanese grammar of the time and tries to decipher how the influence of Japanese grammar is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By doing so, the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how the connection and contact between modern-age Korean and Japanese work toda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rough 「韓語入門」 and 「日韓善隣通話」, seems to have a tendency to emphasize grammar in Korean learning. This kind of tendency seems to have been brought about because of efforts to systemize Korean grammar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Indo-European grammar system and Japanese grammar terminology. Secondly, 「日韓善隣通話」 does not correctly present the traditional Hangul alphabet system but instead presents Korean pronunciation using the Japanese ‘50音?’ method. In addition to this, the text has its own way of systemizing dialects and honorifics when introducing them in the text. Thirdly, as a study material of Japanese for Koreans, 「單語連語日話朝雋」 does not offer much from a grammatical aspect, but instead through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language system it helps the reader to apply and realize the language through Korean. Similarities with the formality redundancy and spacing as well as use of appropriate translations and easy-to-understand expressions as in 「捷解新語」 are also worthy of note. Fourthly, 「實用韓語學」 can provide us with observations of different aspects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Japanese and Korean grammar. It compares the first Korean study materials from 1880, and one can get the idea, however slight, that the transitional inclination that is reflected in the changes in Japanese grammar and writing style in 20 years was significant.

      • KCI등재

        1940년대 아쿠타가와 문학상 수상작과 도쿄문단: 외지문학의 중앙문단 진출과 "문화역류"의 의미

        홍선영 ( Seun Young Hong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4 일본연구 Vol.22 No.-

        본 논문은 ``내지``의 중앙문단에 진출한 ``외지문학``에 한정시켜 외지문학의 중앙진출의 의미에 대해 검토했다· 신인 작가의 중앙문단 진출의 주된 회로가 되어 온 ``아쿠타가와 문학상``의 수상작가와 작품에 주목하여, ``외지 지향``이라는 문학 현상은 과연 존재했는지, 그 실체는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문단``이라는 제도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 아쿠타가와상은 기본적으로 당대 문학계의 신진대사이며, 문예 저널리즘에 의한 문학 재생산 시스템이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의 이른바 ``외지문학``이 왕성했던 시기에 설립된 초기 아쿠타가와상이라는 문학상이 ``외지문학의 융성``에 기여했다는 점은, 일견 타당하다· 이것은 기쿠치 간이라는 인물과 문예춘추사라는 출판사의 성격과도 관계가 있지만, 이른바 ``쇼와문학``의 한반도, 중국 대륙, 아시아에의 진출과 문학상 제도가 얽힌 양상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와 같이 일본 근대문학사 가운데 아쿠타가와상이 ``외지지향성``을 가진 것은 중요한 사건이며, 전쟁 시기에 중단 직전에까지 놓인 아쿠타가와상이 마치 만주문학, 몽강문학, 조선문학이라는 외지문학을 위한 문학상과도 같았다는 점은 주목해야 하는 문제일 것이다· 또 하나의 쟁점은 ``외지``를 그린 소설이 곧 ``시국소설``로서 인식되었다고 하는 점이다· 물론 ``외지`` 소재주의 문학을 국책에 부응한 문학계의 ``변질``이라고 지적한 것은 타당하다· 그러나 외지 문학이 ``내지문학``과 달리, 민족 간 갈등과 융화의 문제 등 외지문학에만 주어진 특수하고 지역적인 주제를 표방했기 때문이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는 이민족과 관계된 주제를 취급한 다수의 ``외지문학``이 특정시기에 집중적으로 등장한 것은 중앙 문단의 외지 ``지향``이라는 문학현상이라고 해석해 온 측면이 있다· 그러나 외지 문학의 ``내지``의 중앙문단 진출을 제국 일본의 문화적 확장으로서 해석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왜냐하면 제국주의 시대 ``근대문학``이 결코 외지문학의 ``타자성``에 대한 포용, 즉 ``외지지향``을 통해서 문학의 보편적 존재 의의를 확인하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결국, 중앙문단의 ``외지지향``으로 인정하기보다 오히려 외지문학을 생산한 외지의 일본인 작가들에 의한 ``중앙``에 대한 문제제기이자, 아쿠타가와상 수상과 중앙문단 진출을 위한 외지 작가들의 전략적 선택의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advancement of "overseas literature (literature written by Japanese writers living in Asian countries around the Japanese empire)" into the center of the Japanese literary world in the 1940s· Focusing on the writers who received the Akutagawa Literary Prize-a conventional route for aspiring writers to enter Japan`s mainstream literary circles-and Akutagawa Prize-winning works, this paper looks for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Did the literary phenomenon dubbed "overseas orientation" really existe? If so, what exactly was that phenomenon? The Akutagawa Literary Prize, which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Japanese literary world, was responsible for metabolizing the Japanese literary circles and reproducing Japanese literature by way of literary journalism at the time· It is somewhat reasonable to say that the Akutagawa Prize, established at the peak of so-called "overseas literature" in the 1930s and 1940s, helped overseas literature to flourish in Japan· The reason for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Kan Kikuchi and his publishing house Bungei Shunju, together with the advancement of "Showa literature (Japanese literature of the Showa period)" to Korea,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intertwined with Japan`s literary prize system· As such, the "overseas orientation" of the Akutagawa Prize is an important point in the history of modern Japanese literatu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kutagawa Prize was also regarded as the prize for overseas literature, which encompasses Manchrian literature, Mongolian literature, and Joseon literature· An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novels set in "overseas (Asian countries outside Japan)" were seen as novels to talk about current issues· We cannot deny the point that literary works about "overseas" are "degeneration" of the Japanese literary circles to correspond to Japan`s national policies·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문화담론의 가능성과 전망 -일본의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구상을 중심으로-

        박희영 ( Hee Young Park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3 No.-

        지난 세기와 마찬가지로 현재 21세기 동아시아 지역은 끊임없는 대립과 갈등의 장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연구는 각 국의 이해와 소통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당면과제임은 분명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동아시아 지역의 협력에 관한 논의는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어 왔지만, 대부분 정치와 경제, 안보문제만이 주요한 테마로 인식되어 오는데 그치고 있었던 것이 현실이었다. 진정한 의미의 동아시아 지역공동체의 화합과 상생을 이루기 위한 움직임으로,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문화 네트워크 구축은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제기되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공동체에 관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과거로부터 현재로 이어지는 그 발자취를 되돌아보면서, 일본이 내세우는 그들의 구상의 한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본이 동아시아 지역공동체에서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먼저 동아시아 문화담론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간의 실질적인 문화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는 일본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21st century East Asian community is unchanged from that of the last century-a chapter of endless confrontation and conflict. Therefore, in East Asia community research, understanding of each country and communication are most important areas. In this atmosphere, discussions on cooperation in East Asia have been held in various aspects. But mainly political, economic, and security issues have been the ones recognized as major themes. To achieve true harmony and coexistence among those of the East Asia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ulture as the basis. Thus, East Asia community cultural networking is something that is needed more than ever.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debate on the East Asia community that is being raised in Japan from the past, looking back the footsteps leading to the present, is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ir conception. Through this, in Japa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East Asian Community First, This paper focused on East Asia culture discourse. and Between the East Asia Community, To realize a substantial cultural network was to explore the role and potential of Jap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차대전 이전 일본 군,산,학 연계의 특성 -1910~30년대 해군 함정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권혁기 ( Hyuck Ki Kwon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6 일본연구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2차대전 이전 일본의 군·산·학 연계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글에서는 1910~30년대 상황을 중심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일본의 군·산·학 연계를 분석함에 있어서 정치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경제적 합리성의 관점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상호 이해관계의 조정, 리스크의 분담, 특화와 협업 등의 요인을 들 수 있다. 둘째, 일본의 해군 함정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해군 관영의 조선소와 민간 조선소간의 수직적이고 수평적인 상호 연관 관계이다. 이러한 상호 관계 속에서 해군은 설계 등 특정 영역에서의 강점에 특화하여 정부 예산을 감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었고, 민간 조선소는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기 안정적인 수주를 확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해군과 대학의 상호 협력은 1차대전 이후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과학과 기술의 결합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해군과 대학의 밀접한 상호관계의 원형은 이미 전간기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은 공학 인력을 필요로 하였고 대학은 연구시설과 자금을 필요로 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ilitary-industrial-academic collaboration in Japan before the Second World War. In this paper, the military-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during 1910 to the 1930s has been approached from three aspects. First, the military-industry-academy collaboration in Japan should be considered economic rationality as well as a political point of view, for example, through the adjustment of mutual interests, risk sharing, specialization and collaboration, and the like. Second, the important feature of warship development wa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ation of government enterprises with private ones. This had the merits of saving expenditures by specializing in a specific occupation in the former and of getting stable orders without being controlled by the business cycle in the latter. Finally, the co-work between the navy and universities had been increasing since the First World War. The basics of the intim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navy and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mobilizing science and technology had already been formed in the interwar years. The navy had to find engineers, and the universities had incentives to secure research facilities and funds.

      • KCI등재

        日米共同防衛體制の成立防衛協力小委員會(SDC)における「日米防衛協力のための指針」策定過程を中心として

        板山真弓 ( Mayumi Itayama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구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8 일본연구 Vol.29 No.-

        本論文は、日米安全保障關係史上、重要な役割を果たしたと考えられる「日米防衛協力のための指針」(1978年)策定過程の中でも、特に防衛協力小委員會(SDC)におけるそれに焦点を當て、その詳細を明らかにするものである。具體的には、新史料により裏付ける形で、旣存硏究では示されていない日本側のイニシアチブの詳細、すなわち、日本側がSDCにおける協議項目や作業部會の設置を提案し、「指針」の基礎となった「日本防衛のための基本的考え方」文書、そして「SDC 作業部會の權限」文書を提出したことが示される。また、この「SDC 作業部會の權限」文書の內容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より、旣存硏究では共同計畵策定に從事すると考えられていた作業部會が、實際には共同計畵そのものではなく、共同計畵策定のために「指針」を作成する段階で、SDCの要請に應じて硏究·協議を行うための組織として設置されたことを示す。さらに、核攻擊への對處や指揮權の問題等、敏感な問題についてどのような議論が行われたかについても明らかにする。また、本論文では、以上に加えて、出來上がった「指針」がどのような文書であったのか、また、關係者は「指針」をどのように評價していたのかという点についても議論する。これらを通じて1978年に「指針」が策定された時点で日米共同防衛體制がどの程度成立していたのかということが明らかになろう。 This thesis deals with the formulation process behind the “Guidelines for Defense Cooper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1978),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Japan-U.S. security relations. It focuses on the processes within the Subcommittee for Defense Cooperation (SDC), specifically, the details of the Japanese initiative, based on recently discovered primary sources. The Japanese side not only proposed agendas for discussion within the SDC and the establishment of working groups under the SDC, but also drafted such documents as “Basic Ideas for the Defense of Japan” (which became the basis of the Guidelines) and “Authority of the SDC Working Groups.” The latter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working groups, whose purpose was not to engage in formulating a contingency plan (as existing research insists) but was to conduct research and consultation for formulating the Guidelines in response to the SDC’s request. This thesis also clarifies the discussions surrounding sensitive issues such as how to cope with nuclear attacks and what command relationship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the Japan Self-Defense Forces and U.S. forces. The contents of the Guidelines are also examined and the policymakers’ evaluation of them is discussed. My analysis reveals the extent to which the U.S.-Japan joint defense arrangement was developed at the time of the Guidelines’ formulation in 1978.

      • KCI등재

        三島文學における自己改造と女性像『美德のよろめき』論

        이가현 ( Lee Ka-hyu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구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7 일본연구 Vol.28 No.-

        本論文は、『美德のよろめき』を自己改造に着目して、節子の愛し方による精神改造と性交涉や中絶による肉體改造を通して表れる節子の自己形成過程を分析し、三島がいかに女性人物を通して自主的な人間を描いているのかについての檢討をおこなう。 1950年前後、自由な戀愛の定着にともなって文學界においては女性向けを中心とする中間小說が流行していた。こうした中間小說という作品群は男女の戀愛を主なテ一マとしており、文芸誌に發表された作品とは違って學問的な關心が向けられることがほとんどなかった。にもかかわらず、誰よりも熱心に『婦人公論』、『マドモアゼル』、『婦人朝日』など多くの女性誌に作品を發表した作家が三島由紀夫である。 1952年、三島は世界一周を契機に「自己改造」を試み、その一環として1955年から本格的な肉體鍛?、ボディビルをはじめる。三島が「自己改造」を揭げて肉體の改造に着目したのは、自分に欠如した肉體と過剩である精神のバランスを取るためであって、三島は肉體改造を通して精神と肉體の照應を目的とした自己を形成していく。本論文で注目したいのはこうした三島の自己改造、特に肉體改造が、彼の文學世界における登場人物の自己形成の過程と類似していることである。現實の三島が肉體改造の過程において得た「生きている人間」という感覺が、作品において登場人物が自己を探し求めていく過程で感じる人間としての主體性と重なるのである。 こうした三島の自己改造の過程にあったのが當時の社會的論点であるボディビルと中絶であり、三島は『美德のよろめき』においてそれらを用いて個人の自己形成過程を顯著に示し、作品の核として女性像を描いている。この觀点から分析をおこなうことで、節子の自己改造が、作家三島が描いている主體的な人間像とどのような關係にあるのかを明確にする。 This paper investigates Mishima Yukio’s novel Bitoku no Yoromeki (Misstepping of Virtue, 1957) focusing on the female protagonist Setsuko and her self-transformation. By analyzing how she transforms spiritually through love and physically through sexual intercourse and abortion, we examine how important female characters were to Mishima in his depictions of strong, independent people. Around 1950, with open acknowledgement of free love and extramarital and pre-marital affairs, Middlebrow Novel centering on women became prevalent in literary circles. These Middlebrow Novel mainly focused on romances between men and women, and, unlike works published in literary magazines, making it a hitherto largely unexplored. Nevertheless, Mishima Yukio enthusiastically published works in many women's magazines. In 1952, Mishima attempted “self-transformation,” triggered by the round of the world, and, as part of it, tried full-scale physical exercise and bodybuilding from 1955. Mishima focused on the remodeling of the body with “self-transformation” to balance the missing body and excessive spirit. Mishima started to set out to create a new self for mental and physical anaphora by transforming himself physical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rect attention to the self-transformation of Mishima, especially physical remodeling, which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of characters in his literary world. The feeling of becoming "a living human being" in reality Mishima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physical remodeling, and this physical reality overlapped with the subjectivity of the human being who the character feels he i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himself in his work. Bodybuilding and abortion, two hotly debated social issues at the time, were key in this process of self-transformation. In Bitoku no Yoromeki, too, Mishima makes remarkable use of these two concepts to present the transformation of an individual. Moreover, it is the woman who occupies a central position in this work. By approaching the novel from this angle, we can clarify how Setsuko’s self-transformation is related to Mishima’s depictions of independent human beings.

      • KCI등재

        두 여자의 비극 일본의 사회파추리소설 『화차』

        권희주 ( Kwon Hee-ju ),김계자 ( Kim Gae-ja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구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8 일본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 『화차』가 사회파 추리소설로서 갖는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 작자 미야베 미유키의 사회문제를 표현하는 방식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본고에서 강조한 것은 이하의 세 가지이다. 첫째, 범인을 쫓는 혼마 형사의 관찰자적 시점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소설의 시작부터 마지막 장면에 이르기까지 혼마의 시야에 포착된 것과 이를 통한 추리에 의해 내용이 전개되고 있고, 관찰 대상에 대하여 동정은 하지만 그들의 내면이 안이하게 서술되지는 않는다. 범인을 쫓는 관찰자적인 시점은 개별적인 문제를 그리기보다 사회의 문제를 드러내려는 사회파 추리소설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혼마 형사가 쫓는 시선에는 교코 한 사람이 아니라 쇼코와 교코 두 여자가 있으며, 이들이 관련되어 범죄가 일어나고 있는 접점이 사회적인 문제가 생기(生起)하는 곳이라는 점이다. 돌고 도는 운명의 불수레인 ‘화차’의 의미도 두 여자의 비극적인 운명이 관련된 속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구체적인 인물 묘사를 소거함으로써 개별성을 넘어 언제 누구에게 닥칠지 모르는 임의적인 것임을 시사한다. 셋째, 두 여자의 비극이 혼마 형사의 시점과 공간 이동, 그리고 시행착오를 거치는 추리에 의해 점차 드러나는 구조라는 점이다. 혼마 형사의 추리는 범인을 찾는 방법이 아닌, 두 여자가 처해 있는 비극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보여주고 이를 통해 사회 전체적인 문제가 점차 전경화 되는 구조이다. 이는 작중인물들과 다른 층위에서 이들을 통어하는 내레이터의 서술이 아니라, 작중인물을 등신대의 관찰자가 따라다니며 추리해 가기 때문에 얻어진 효과라고 할 수 있다. 미야베 미유키는 마쓰모토 세이초의 사회파 추리소설의 계보를 잇고 있지만, 표현 방법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마쓰모토 세이초는 사회의 부정부패나 차별, 빈곤 문제 등의 소위 ‘사회악’을 범죄의 동기로 그림으로써 사회문제를 드러냈다고 한다면, 미야베 미유키는 사회문제가 얽힌 관계 속에서 범죄의 동기를 찾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사건에 얼마나 많은 인물들이 관련되어 있고 또 해결해 가는지 보여주는 장편 구성력이 돋보인다. This paper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Kasha written by Miyabe Miyuki, and analyzes the method of expression of social problems. The poi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importance of the detective Homma’s observational perspective. From the beginning to the last scene, the story develops along Homma’s view and his reasoning around the crime. Although Homma feels sympathy for the characters who is supposed to be the criminal of the case, he does not describe easily to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s. Homma’s observational perspective running after the criminal reveals the social problems rather than individual things,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mystery novel’. Secondly, there are two women not one in the end of Homma’s view running after the crime. They are Sekine Shoko and Shinjo Kyoko. The crime rises around the contact point of two. It can be said that social problems have arisen like in this contact points. The meaning of Kasha(火車), the fire wagon of fate carrying the dead, can be found in the revolvement of two women’s tragic fate. Furthermore, we can suppose the case may happen to anyone at any time, for the story ends with not describing about Kyoko concretely. Thirdly, two women’s tragedy comes to the front gradually along Homma’s view and spatial movement. That is to say, Homma’s reasoning is not for pointing out the criminal, rather than for showing how two women’s tragedy is revolved. Homma’s reasoning on the case reveals the process. Miyabe Miyuki’s writings of social mystery novels are evaluated to continue Matsumoto Seicho’s ones. However, Miyabe Miyuki’s writings are different from Matsumoto’s ones. Matsumoto’s novels represent so-called ‘social evil’ like corruption, discrimination, or poverty. On the other hand, Miyabe Miyuki’s ones take out the motive of crimes in the entangled revolvement of the persons. Therefore, Miyabe Miyuki’s novels show that many persons are related in one case, which is her distinctive organizing power of the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