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근대전환기 일본인의 서양체험 -분큐사절단과 이와쿠라사절단의 비교 고찰-

        방광석 ( Kwang Suk Bang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본고에서는 1862년 에도막부가 유럽에 파견한 분큐사절단과 1871년 메이지 정부가 미국과 유럽에 파견한 이와쿠라사절단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근대전환기 서양체험의 실상과 그 의의, 서양문명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다. 분큐사절단과 이와쿠라사절단의 일차적인 임무는 외교교섭이었지만 서양문물과 제도를 세밀히 견문하고 조사한다는 사명도 띠고 있었다. 외교교섭에서 분큐사절단은 개항ㆍ개시의 연기에 성공했으나 이와쿠라사절단은 첫 방문지인 미국에서 조약개정 교섭이 좌절되고 말았다. 분큐사절단의 외교교섭에서는 서양나라들이 일본의 국내 정치 상 황을 현실적으로 인식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두 사절단의 규모는 비슷했으나 구성면에서 이와쿠라사절단이 정부 지도자를 중심으로 파견했기 때문에 중량감이 있었으며 정부 각 부문의 주요 관리가 이사관으로 임명되어 조직적으로 전문분야를 분담해 상대적으로 치밀한 조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분큐사절단은 ‘양이’의 상황 속에서 귀국 후 견문의 성과가 막부의 정책에 직접 반영되지 못하였으나 사절단 참가자가 정권을 장악한 메이지정부에서는 이와쿠라사절단의 경험이 여러 경로를 통해 실제 정책에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국박람회는 사절단의 서양체험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분큐사절단이 참관한 제2회 런던만국박람회는 일본정부가 공식적으로 참가한 것은 아니었으나 주일 영국 공사가 스스로 출품물을 수집해 일본전시장을 마련했다. 분큐사절단은 암스트롱포를 비롯한 서양의 산업, 기계제품에 압도당해 에도막부가 만국박람회의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골동품 같은 공예품만 전시된 데에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이에 비해 빈만 국박람회는 메이지정부가 본격적으로 일본을 서양세계에 알리기 위해 준비해서 참가한 첫 만국박람회였고 이와쿠라사절단이 참관했다. 아직 근대산업이 발달하지 못한 일본에서 눈에 띄는 공업제품을 출품할 수 없었던 것은 당연하지만 박람회에 대한 일본인의 이해는 10년 전인 런던박람회 시기와는 비할 수 없이 깊어졌다. This paper probes into the meaning of Japanese experience of the Western nations and the Japanese changing understanding of Western civilization by comparing the Bunkyu Mission in 1862 under the Edo Bakufu and the Iwakura Mission in 1871~1873 under the Meiji Government. The primary goals of the Bunkyu and the Iwakura Missions were to carry out diplomatic negotiations and to investigate the Western cultures and institutions. As for the diplomatic negotiations, the Bunkyu Mission succeeded in deferment of opening ports and cities, but the Iwakura Mission failed in revising unequal treaties. As for the investigation of Western cultures, the experience of international exposition was important. Visiting the 2nd London International Exposition, the Bunkyu Mission was overwhelmed by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mechanical product of the West. Contrarily, as seen in the Vienna Exposition, the Meiji government was prepared to show Japan to the Western worl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Japanese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civilizations deepened under the Meiji state.

      • KCI등재

        일본과 일계인의 관계에 대한 통시적 고찰 -해외 일계인 대회를 중심으로-

        최민경 ( Min Kyung Choi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4 일본연구 Vol.22 No.-

        본 논문에서는 해외 일계인 대회의 전개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전후, 모국 일본과 디아스포라 일계인의 관계 변화를 검증한다· 해외 일계인 대회는 디아스포라 네트워크의 하나이다· 디아스포라 네트워크는 최근 새로운 연구 분야로 주목받고 있으며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으나 많은 연구가 "모국 중심의 활용론적 접근"을 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는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극복해야 하는 특징이며, 이는 모국의 사회 변동과 디아스포라 커뮤니티의 변화를 염두에 둔 통시적 분석, 그리고 모국이 아닌 디아스포라의 입장에서의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였을 때, 반세기 이상의 역사를 가지며, 일계인이 주체적으로 대회 선언 채택에 관여하는 해외 일계인 대회는 유의미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해외 일계인 대회는 1957년 제1회 대회가 개최된 이후, 일본과 디아스포라 커뮤니티 사이의 국제적인 인구 이동의 변화에 따라 그 내용이 변해왔다· 대회 선언을 분석해 보면, ``디아스포라 확대기``에는 디아스포라 네트워크 구축과 일본으로부터의 지속적인 이민 송출이, ``디아스포라 정착기``에는 모국과의 전통적인 유대 강화와 일계인의 지위 확립이, ``디아스포라 재이동기``에는 재외 선거, 이중 국적, 그리고 정주 외국인으로서의 재일 일계인 문제가 주요 관심 대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전후 일계인이 항상 모국과 디아스포라 커뮤니티를 둘러싼 사회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해외 일계인 대회라는 디아스포라 네트워크를 통해 일본과의 관계를 규정하고 다양한 영역에 걸쳐 문제 제기와 제언을 해 왔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이러한 본 논문의 분석 작업은 앞으로 디아스포라 네트워크 연구가 보다 총체적으로 발전해 가는 데 있어서 분석 대상과 방법 상 시사적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land Japan and diaspora Nikkeijin has changed during postwar times by analyzing the diaspora network, Convention of Nikkei and Japanese Abroad (CNJA)· Recently, diaspora network studies have gained attention as a new research field and made quantitative growth· However, most still take "a homeland-centered utilization approach" and this characteristic should be overcome for further developmen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arli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undertake a diachronic analysis that pays attention to social changes of homeland and diaspora communities and a diaspora-centered analysis, not a homeland- centered on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NJA is a meaningful case, because it has a half-century history and Nikkeijin actively participates in adopting convention declarations· The CNJA has focused on various other issues as phases of population movements between homeland and diaspora communities have changed· During ``the period of diaspora expansions,`` building a diaspora network itself and continuing emigration from Japan were critical issues· Issues of strengthening traditional ties between Japan and Nikkeijin and establishing the diaspora``s status in the homeland were actively discussed during ``the period of diaspora settlement·`` Finally, since ``the period of diaspora removement,`` an overseas voting system, dual nationalities, and Nikkeijin as residents in Japan have appeared as new issues· This analysis shows that during postwar times, Nikkeijin have constantly reacted sensitively to social changes of homeland and diaspora communities and defined the relationship with Japan raising related questions and suggestions· Ultimately, the findings in this paper will help diaspora network studies develop more comprehensible methodology and cases·

      • KCI등재

        '전후’와 폭력 : 한국전쟁, 기지, 원자력

        서동주(Seo, Dong-ju)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이 글은 냉전의 시간을 ‘전후’라는 감각으로 산다는 것이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냉전의 폭력을 둘러싼 담론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이 문제를 제기한 이유는 이런 감각이 유지되는 동안에도 ‘전후’ 일본은 냉전과 ‘연루’되어 있었다는 사실에 있었다. 이것을 생각할 때 의 존재가 중요하다. 무력에 의한 분쟁해결을 ‘영구히’ 포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기에 줄곧 ‘평화헌법’이라 불린 은 냉전이라는 적대성의 세계로부터 일본을 ‘분리’시키는 논리적이고 때로는 정서적인 근거였기 때문이다. 이 존재하는 ‘전후’의 일본은 ‘평화’의 장소이며 전쟁과 같은 ‘폭력’과 무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서 ‘전후’라는 공간이 ‘외부=전쟁/내부=평화’와 같은 폭력을 둘러싼 지정학적 상상력을 동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전쟁’, ‘기지’, 그리고 ‘핵=원자력’은 ‘헌법=전후’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 아닐 수 없다. 이런 것들은 부단히 일본과 냉전의 ‘연루’를 상기시키며, 따라서 ‘전후’가 설정하는 상상적 경계의 ‘교란’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현실에서 일본은 결코 냉전의 외부에 있지 않았다. ‘전후’와 ‘냉전’의 경계는 ‘이데올로기(허위의식)’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러나 일본인들에게 냉전의 시간은 자신들의 시간과 무관하게 인식되었고, 따라서 ‘전후’ 관념의 이데올로기적 성격도 거의 의식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전후’의 담론 안에서 침범하는 냉전의 폭력은 어떻게 처리되었던 것일까? ‘전후’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은 어떤 의미작용을 통해 ‘은폐’되었던 것일까? 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이라는 폭력과 재일조선인의 폭력은 외부화=타자화의 방식으로 ‘전후’와 분절되고 있었다. 한편 일본 내부에 존재하는 냉전적 폭력을 상징했던 미군의 폭력은 1950년대 ‘가해자의 폭력’으로 표상되었지만, 기지의 편재성이 사라진 1960년 이후 일본의 안보와 관련된 ‘수호자의 폭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밟았다. 그 결과 1950년대의 맥락 안에서 재일조선인과 미군기지는 냉전의 폭력을 ‘전후’의 공간으로 유입하는 침입자의 표상을 부여받았다는 점에서 동렬에 위치했다. 핵이라는 또 하나의 냉전적 폭력이‘평화이용’이라는 담론과 결부되어 ‘전후’일본에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피폭의 기억’이 핵에너지의 도입을 거부하는 논리가 아니라 일본인이야말로 핵의 평화적 이용을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주체’라는 담론을 지탱하는 근거가 되고 있음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how it was possible for the Japanese people post-war to live under their new peace constitution in the time of the Cold War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violence of the Cold War. This is a problem in the sense that post-war Japan is not often thought of as a major factor in the Cold War. When considering this issu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onstitution of Japan because it, the peace constitution, resolves that Japan permanently refrain from conflict settlement by force. The Constitution thus separated Japan from the world of the Cold War on logical and sometimes emotional grounds. Such a Japan is a place of peace independent of violence, such as war. Thus the Constitution was accompanied by a geopolitical imagination which envisioned the external as war and the internal as peace. In that sense, the Korean War, US military bases and nuclear power were regarded as serious threats to how post-war Japan viewed itself. Such events were constant reminders that Japan was involved with the Cold War, disturbing the imaginary boundaries set by the constitu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ollowing issue: How can the reality of post-war Japan be reinterpreted and converged in the imaginary post-war? To this end, this article has reviewed representations of Cold War violence by targeting the discourse of the peace movement, fiction, pop culture, and news articles. The Korean War and Korean-Japanese conflicts were regarded as external party violence and, in that way, kept separate from post-war Japan. Meanwhile, the U.S. military bases in Japan, throughout the 1950s, were represented as perpetrators of violence. However, since the number of bases plunged in 1960, American violence was converted in Japan to mean guardian of violence. In the context of at least 1950, Korean, Japanese and U.S. military bases were considered to be outside intruders capable of implicating Japan in the Cold War. Finally, nuclear energy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discourse of peace, I looked at the process of the acceptance of nuclear power in Japan. Here, it was confirmed that Japanese memories of atomic warfare did not stand in the way of the introduction of nuclear energy. This gave rise to the idea that only Japan could achieve the peaceful use of nuclear power.

      • KCI등재

        대일 청구권자금의 세부 항목 협상에 관한 연구

        이이범 ( Rhee Beom Lee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3 No.-

        한국의 대일 청구권자금의 명목과 금액이 1962년 김종필ㆍ오히라 회담에서 타결되었지만, 청구권자금 도입의 세부 항목에 관한 협상은 1965년 6월 한일회담 관련 제 협정이 타결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일본정부는 청구권자금의 세부 항목으로 일본이 생산하는 자본재를 주로 제공하려고 했고, 한국정부는 당시 국내 경제상황에 절대로 필요했던 원화자금을 조성하기 위해 가능한 원자재를 확보하려고 했다. 이러한 한국의 요구는 일본경제에 불리한 것이었고, 일본정부가 동남아시아 국가들에게 제공했던 전후 배상의 방식과도 어긋난 것이었다. 그러나 한국정부는 일본정부를 상대로 국내자금의 조성과 원자재 도입의 필요성을 끈질기게 설득했고, 그 결과 1억 5천불 이상의 원자재를 도입하는 것에 합의했고, 원자재의 가공수출까지도 인정받았다. 이러한 원자재가 도입되면서 1976년까지 한국정부가 확보한 원화자금은 1,642억원에 달했고, 달러로 환산하면, 4억 4천 5백만불에 달했다. The Korea-Japan negotiations concerning Korea``s detailed property claims against Japan continued from when Kim Jong-pil and Ohira held talks in November 1962 until an agreement was reached at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in June 1966. The Japanese government wanted to provide Japanese capital goods such as machinery and facilities in the subdivisions of Korea``s property claims. But the Korean government demanded raw materials and things that would be of great advantage to Korea economically and that would enable it to raise the much-needed domestic funds required to proceed with economic development. The demands of Korea were consequently unfavorable to the Japanese economy and its exporters; and it was a departure from the post-war compensation methods by which Japan had indemnified East Asian countries. Korean negotiators did their utmost to explain the necessity for domestic funds and persuade Japanese negotiators. As a result, Korea-Japan arranged for the provision of raw materials and goods worth 150 million dollars, and Japan also agreed to an improvement in trade in these products. Ultimately, the domestic funds that the Korean government raised by making full use of these amounted to 445 million dollars by 1976.

      • KCI등재

        2차대전 이전 일본 군,산,학 연계의 특성 -1910~30년대 해군 함정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권혁기 ( Hyuck Ki Kwon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6 일본연구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2차대전 이전 일본의 군·산·학 연계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글에서는 1910~30년대 상황을 중심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일본의 군·산·학 연계를 분석함에 있어서 정치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경제적 합리성의 관점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상호 이해관계의 조정, 리스크의 분담, 특화와 협업 등의 요인을 들 수 있다. 둘째, 일본의 해군 함정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해군 관영의 조선소와 민간 조선소간의 수직적이고 수평적인 상호 연관 관계이다. 이러한 상호 관계 속에서 해군은 설계 등 특정 영역에서의 강점에 특화하여 정부 예산을 감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었고, 민간 조선소는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기 안정적인 수주를 확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해군과 대학의 상호 협력은 1차대전 이후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과학과 기술의 결합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해군과 대학의 밀접한 상호관계의 원형은 이미 전간기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은 공학 인력을 필요로 하였고 대학은 연구시설과 자금을 필요로 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ilitary-industrial-academic collaboration in Japan before the Second World War. In this paper, the military-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during 1910 to the 1930s has been approached from three aspects. First, the military-industry-academy collaboration in Japan should be considered economic rationality as well as a political point of view, for example, through the adjustment of mutual interests, risk sharing, specialization and collaboration, and the like. Second, the important feature of warship development wa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mbination of government enterprises with private ones. This had the merits of saving expenditures by specializing in a specific occupation in the former and of getting stable orders without being controlled by the business cycle in the latter. Finally, the co-work between the navy and universities had been increasing since the First World War. The basics of the intim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navy and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mobilizing science and technology had already been formed in the interwar years. The navy had to find engineers, and the universities had incentives to secure research facilities and funds.

      • KCI등재

        일본 중세 덴구(天狗)에 관한 연구

        박은희 ( Eun Hee Park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3 No.-

        일본에 있어 중세라는 시대는 전란으로 상징되는 시대이다. 덴구(天狗)는 이와 같은 불안한 시대상을 배경으로 맹위를 떨쳤다. 본 논문에서는 중세에 새롭게 만들어진 일본만의 독특한 사후 세계인 덴구도와 빙의를 중심으로 중세 덴구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덴구도는 지옥과도 같은 고통이 있는 곳으로 중세인들은 사후 덴구도에 떨어지는 것을 두려워했다. 덴구도에는 인간세계처럼 선과 악이 존재하는가 하면 위계질서, 즉 서열의 높고 낮음도 있다고 여겨졌다. 덴구도에 떨어진 덴구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불법(佛法)을 수호할 수도, 그리고 방해할 수도 있다. 덴구도는 전체적인 틀로 보았을 때 불교의 윤회사상 안에 있지만 여러 가지 면에서 일본 특유의 사후세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생전의 정치력이 사후 세계에 반영되는 것은 불교의 천마(天魔)와는 다른 일본 특유의 독특한 생각이 아닐 수 없다. 세상을 어지럽힐 수 있는 힘을 가진 중세 덴구의 탄생은 고승에 의해 간단히 진압되는 이전 시대 덴구로부터의 질적 변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화를 통해 덴구는 군키모노가타리(軍記物語)의 새로운 주인공이 될 수 있었다. 중세 덴구는 환술과 빙의라는 형식을 통해 인간에게 접근하는데 이 중에서 빙의는 강력한 덴구의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정치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주요 인사에게 빙의하여 그 사람의 마음을 장악함으로써 혼란을 초래하는 것이 난세를 만들기 위해 덴구가 주로 사용한 방식이다. 그래서 중세 덴구담은 종교적 이야기이면서 동시에 정치적 색깔을 띠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 또한 천마와는 다른 중세 덴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here were many wars in the Middle Ages in Japan. Japanese in the Middle Ages felt anxiety about the future, but they found relief in religion-Buddhism. Tenma demanded that people master Buddhist doctrines. Tengu, which is a Japanese demon and is similar to Tenma, did active work in the Middle Ages. They believed that in Tengudo unreligious people were reborn after death. According to Buddhist teachings, all living beings are trapped in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and Tengudo was a unique Japanese afterlife. Japanese in the Middle Ages thought there were sufferings like hell, but that there was hierarchy, too. And people who followed Tengudo thought that there were both good Tengus and evil Tengus. A good Tengu could be delivered from its worldly existence, and evil Tengus would suffer hell. Tengudo is thus similar to human society. Through possession, a Tengu could grow into a heavyweight demon. Tengu was the symbol of chaos; they liked chaos. And if an important person like Tenno or Shyogun were possessed by Tengu, Japan would become dangerous. In Monogatari, Tengu made chaos in this way. Originally, Tengu possessed a religious background, not a political one. After the Middle Ages, though, Tengu became political demons. Having a political background was a distinct feature of Medieval Tengu.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문화담론의 가능성과 전망 -일본의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구상을 중심으로-

        박희영 ( Hee Young Park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3 No.-

        지난 세기와 마찬가지로 현재 21세기 동아시아 지역은 끊임없는 대립과 갈등의 장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연구는 각 국의 이해와 소통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당면과제임은 분명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동아시아 지역의 협력에 관한 논의는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어 왔지만, 대부분 정치와 경제, 안보문제만이 주요한 테마로 인식되어 오는데 그치고 있었던 것이 현실이었다. 진정한 의미의 동아시아 지역공동체의 화합과 상생을 이루기 위한 움직임으로,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문화 네트워크 구축은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제기되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공동체에 관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과거로부터 현재로 이어지는 그 발자취를 되돌아보면서, 일본이 내세우는 그들의 구상의 한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본이 동아시아 지역공동체에서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먼저 동아시아 문화담론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간의 실질적인 문화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는 일본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21st century East Asian community is unchanged from that of the last century-a chapter of endless confrontation and conflict. Therefore, in East Asia community research, understanding of each country and communication are most important areas. In this atmosphere, discussions on cooperation in East Asia have been held in various aspects. But mainly political, economic, and security issues have been the ones recognized as major themes. To achieve true harmony and coexistence among those of the East Asia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ulture as the basis. Thus, East Asia community cultural networking is something that is needed more than ever.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debate on the East Asia community that is being raised in Japan from the past, looking back the footsteps leading to the present, is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ir conception. Through this, in Japa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East Asian Community First, This paper focused on East Asia culture discourse. and Between the East Asia Community, To realize a substantial cultural network was to explore the role and potential of Japan.

      • KCI등재
      • KCI등재

        개화기 한일 양국어 학습서의 특징 연구 : 문법 관련 기술 양상을 중심으로

        윤영민(Yun, Young-min)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일본인 및 한국인 일본인 공저에 의해 저술된 한일 양국어 학습서를 대상으로 그 편제와 구성 및 내용의 분석을 통해 당시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법과 그 체계가 어떠한 양상으로 기술되어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19세기 말 갑오개혁을 전후한 개화기 이전과 이후부터 20세기 초 전기(前記) 현대 한국어로 진입하는 시기까지의 한국어 문법 체계와 당시 일본어 문법의 경향을 함께 살펴보는 동시에 일본어 문법의 영향이 한국어에 어떻게 반영, 투영되었는지 알아봄으로써 근현대 한일어의 교섭과 접촉의 일면을 밝히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寶迫繁勝는 「韓語入門」과 「日韓善隣通話」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문법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인구어의 문법체계와 일본어 문법 용어의 병용(竝用)을 통해 한국어 문법을 체계화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日韓善隣通話」는 전통적인 한글 자모 체계와 맞지 않으며, 일본어의 ‘50音圖’식으로 한국어 발음을 나타내려는 의도가 보인다. 이와 함께 방언과 경어에 대한 소개와 나름의 체계화도 보이고 있다. 셋째, 「單語連語日話朝雋」은 한국인 대상 일본어 학습서로서 문법적인 관점에서의 기술은 많지 않지만, 일본어 언어 체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적절하게 한국어에 적용하고 구현하였다. 「捷解新語」와 유사한 형식적 잉여성과 띄어쓰기, 적절한 번역과 쉬운 표현의 사용도 주목할 만하다. 넷째, 「實用韓語學」은 현대 한일 양국어 문법의 초기 확립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양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1880년 최초의 한국어 학습서와 비교하여 20여년 사이에 일본어 안에서의 문법 및 문체 변화에 나타난 과도기적 성향이 적지 않게 반영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Korean and Japanese study 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includes co-authors of the Korean and Japanese). By studying the organization, composition, and content of said materials, the aim is to examine the aspects in which the grammar and systems of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took influences from each other at the time. By researching materials from the Korean Enlightenment, which took place from before until after the late-19th-century Gabo Reform,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all the way up to the formation of modern Korean, the study focuses on the Korean grammar system and the aspects of Japanese grammar of the time and tries to decipher how the influence of Japanese grammar is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By doing so, the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how the connection and contact between modern-age Korean and Japanese work toda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rough 「韓語入門」 and 「日韓善隣通話」, seems to have a tendency to emphasize grammar in Korean learning. This kind of tendency seems to have been brought about because of efforts to systemize Korean grammar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Indo-European grammar system and Japanese grammar terminology. Secondly, 「日韓善隣通話」 does not correctly present the traditional Hangul alphabet system but instead presents Korean pronunciation using the Japanese ‘50音?’ method. In addition to this, the text has its own way of systemizing dialects and honorifics when introducing them in the text. Thirdly, as a study material of Japanese for Koreans, 「單語連語日話朝雋」 does not offer much from a grammatical aspect, but instead through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language system it helps the reader to apply and realize the language through Korean. Similarities with the formality redundancy and spacing as well as use of appropriate translations and easy-to-understand expressions as in 「捷解新語」 are also worthy of note. Fourthly, 「實用韓語學」 can provide us with observations of different aspects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Japanese and Korean grammar. It compares the first Korean study materials from 1880, and one can get the idea, however slight, that the transitional inclination that is reflected in the changes in Japanese grammar and writing style in 20 years was significant.

      • KCI등재

        기획논문- 문제의 야스쿠니(靖國) : 61)야스쿠니신사와 천황제 이데올로기 -야스쿠니의 천황중심 사상과 반사회세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이충호 ( Chung Ho Lee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본고는 야스쿠니신사와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천황과 일본 민중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야스쿠니신사는 천황과 신사와 군을 연결한 특이한 종교시설로 단순한 추도·위령의 시설이 아니라 천황을 위해서 싸워 전사를 한 국민을 칭찬하는 현창의 장이다. 따라서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일본국민이라면 신분, 직업, 성별 등에 관계없이 제사지낸다는 의미에서 야스쿠니신사는 일본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민주적이고 평등한 종교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8월 15일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신사의 풍경을 보면, 삐라를 나눠주고 확성기로 현 정권과 사회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야스쿠니신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등, 야스쿠니를 지탱하고 있는 에너지는 유족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참배객만이 아니라, 현재의 일본정부의 정책에 불만이 있거나 사회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는 세력이 집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의 반체제적이고 반사회적인 불온한 공기는 이전부터 이어져온 천황과 민중의 특수한 관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야스쿠니신 사는 근대일본에서 건립되었지만, 역사적으로는 권력쟁취를 위하여 일본사회의 하층부의 에너지를 이용한 천황과 사회의 중심부에서 탈락하여 주변부로 전락한 반체제적인 사상을 지닌 민중들이 천황이라는 대의명분을 통하여 결집하는 일본만의 독특한 권력 구조의 논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지탱하는 근본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막말(幕末)에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을 옹립하는 운동을 전개한 존왕양이의 지사들이 내전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제사지낸 초혼제가 야스쿠니신사의 기원이 되었다는 점은 야스쿠니신사가 천황의 이데올로기적 종교적 권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시설이라는 점을 말해 주고 있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onnections between the Yasukuni shrine and Japanese Emperor system ideology, focusing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Japanese people. The Yasukuni shrine is a peculiar religious facility that connects the Japanese Emperor with the shrine and the military and is not a simple memorial where people come to honor and pray for the repose of the dead. Instead it was built to praise those who fought and died for the Japanese Emperor. In the sense that memorial services at the shrine are held for all the Japane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the Japanese Emperor, regardless of their status, occupation and gender, the Yasukuni shrine is a democratic religious facility where all are equal in the eyes of the Japanese. If we viewed the surroundings of the Yasukuni shrine on the just passed August 15th,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we would see some people at the Yasukuni shrine expressing their complaints about the present administration and society with megaphones while others distributed flyers. This demonstrates that the energy which supports Yasukuni is not provided only by the families of the deceased honored there but also by those wishing to voice their dissatisfaction with Japanese current affairs. Such a rebellious and anti-government atmosphere at Yasukuni on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can be said to have its foundation i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public. The Yasukuni shrine was constructed in modern Japan and is supported by the logic of the peculiar power structure of Japan that unites those with rebellious ideologies and those who have dropped out of society or are on its peripheries with the Japanese Emperor and his leadership. The origins of the shrine lay in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civil war dead which was carried out by patriots who respected the Emperor, aimed to repel foreign intruders and developed the movement to overthrow the bakufu, thus helping the Japanese Emperor take the throne. It is such a history that invests the Yasukuni shrine with the symbolic meanings and power to connect the Japanese Emperor`s ideological religious authority with th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