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난임 경험 기독교 여성의 생애사 연구

        김은혜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재 여성의 재생산권에 관련한 과학기술에 대한 논의나 학술 연구 자료들은 많으나 기독교 문화 속에서 살아가는 난임 경험 여성들의 대응 방식에 관한 경험적 연구들이 부족하다는 인식하에 현재 늘어나고 있는 기독교 문화 속 난임 여성들의 경험 세계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 명의 난임 여성들의 생애사를 통해 기독교라는 동일한 신앙적 배경과 난임을 경험하였지만 이 세 여성들이 난임을 이해하는 방식과 대응하는 방식은 각기 다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동일한 어려운 조건에 있으면서도 기독교 난임 여성들이 자신의 경험을 표현하는 방식은 객관적인 조건에 의해서 완전히 규정 당하지 않고 그 여성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이해, 앞날에 대한 생각, 난임에 대한 경험을 자신의 삶 안에서 새롭게 구성하는 방식에 있어서 상당한 능동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기독교 난임 여성들은 자신들의 난임 경험에 대해 능동적인 의미 부여를 통해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세워 나가고 있다. 기독교 난임 여성들이 자신의 주어진 조건에서 능동적으로 자신의 난임 경험을 의미화 해 나가려는 시도가 다른 사람들, 제도, 기독교 공동체에서 단절되어 있는데 이 여성들의 능동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하고 여성들이 자신의 난임 상황과 신앙을 조화시키려는 의지가 지원될 수 있는 교회의 구체적인 장치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life of the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conceiving a child from a feministic point of view, considering that there has been a scarcity of experiential studies about the mode of response of Christian women having trouble with conception in particular despite a profuse amount of scientific discussions or studies about women's right of reproduction in general. We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t mode of understanding and different response regarding the difficulties among three affected Christian women through their life history. The following i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even under the distressful conditions, the Christian women showed a fairly degree of positiveness in self-understanding, thoughts about future, and reconstruction of their experiences. Secondly, they tried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through actively attaching meanings to their experiences. As the efforts on the part of Christian women are separated from other people, social systems, and Christian communities, we think that communities should set up a supporting system to expand their activities, and that churches take specific measures to help them to harmonize their difficulties with Christian faith.

      •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갈등과 협상에 관한 연구 :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조준영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olitical attribute of the activity of child-free women that resist to the social norm which considers women as the maternal identity with the equality of ‘married woman = mother’. Also,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possibility that the social caring has been expanded over the biological motherhood with the contribution of the relationship by the experiences of child-free wome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 with the interview, the experience of child-free women have chosen their own accord to the childlessness among married eligible women. The choice of childlessness has been treated as exceptional, abnormal and unclean, because the social point of view that the state of childlessness means the important lack for women has been dominant. At present, the falling of the birth rates escalates to the national issu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life of child-free women have been revealed and focused. In fact, the dominant social point of view is this phenomenon is the transient stage for the raising of the birth rate rather than the recognition of their subjectivity. We search the backgrounds of the choice for childlessness, the diverse stages of the childbirth that is needed to married women and the point that the women can encounter the conflict situation by the negotiation process. Besides, we search the method of making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free women by their experienc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 First, the choice of childlessness might be the resistance against the sexual role assignment in the society that accepts the equality ‘married woman = mother’ without any doubt. But this fact has been passed over. These women consider the social norm that the main responsibility is given to women as the obligation that means the infinite responsibility for the children. Because they have experienced that this is contrary to the independent life and the working women. The rearing of children needs the other women's individual help and the expectation of rearing children has grown because the process of the rearing has been subdivided and detailed. This is far from the women's reality for reasons of the social conditions that is capitalized. Consequently, The choice of childlessness is not a special thing but a result that the women have taken by the consideration of their life condition. Second, child-free women are in conflict with the living life, their husbands´ home, their parents´ home, neighborhoods, colleagues, husbands and their own mentalities. Their real trouble is that they would choose what kind of life, and this is passed over the problem of childbirth. They behave actively for keeping their choice in the negotiation process. Differently to the other married women of their age who make ‘mother-network’, child-free women try to make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others from diverse issues. Third, child-free women are enforced within the limit of the system of sexual discrimination. But they still have the social works and the citizenship and continually consider their identities. Their relationship is the anti-capitalistic solidarity which share their own things with others. This relationship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extension of maternal category that is the social caring. The social caring makes the sexual distinction between the caring and the cared to be ambiguous. Accordingly, it can develop the base for demolishing the boundary of the sexual distinction role which is enforced for women. This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ild-free women and their activity is worthy because we can develop the possibility of not to be taken the motherhood as the absolute value for married women. The existence of child-free women proves that all of the women are not enforced by the motherhood and family. child-free women accept their role as a wife, a working person and a citizen with the identity. 본 연구는 기혼여성= 어머니라는 등식으로 여성을 모성정체성으로 위치 짓는 사회적 규범에 저항하는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능동적인 행위성이 지니는 정치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이들의 관계맺음이 생물학적 모성을 넘어서 사회적 보살핌(social caring)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기혼 가임여성 중 스스로 무자녀를 선택한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경험을 심층면접 자료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무자녀(childlessness)’ 상태는 기혼여성에게 중요한 것이 ‘결핍’되어 있다고 규정하는 지배적인 인식 속에서 이들 여성의 무자녀 선택의 능동적 행위성은 예외적이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치부되고 부정적으로 정의되어 왔다. 출산율하락이 국가적 이슈로 극복되어야 할 문제로 부상한 현재 그동안 가시화되지 못했던 무자녀 여성의 삶이 새롭게 조명되는 듯하지만, 이들 선택의 진정성을 인정하기 보다는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 해결되어야 할 과도기적 상태로 인식하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자녀 선택의 배경을 알아보고, 일반적으로 기혼여성에게 요구되는 출산에 대한 여러 층위 상대들과 어떤 지점에서 갈등적 상황에 직면하는가 하는 점과 자발적으로 무자녀를 선택한 여성들의 의미 해석체계는 어떠한 것인지 협상과정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이 사회적으로 관계맺음의 방식이 어떠한지를 이들의 경험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을 어머니로 등치시키는 것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사회문화적 인식 속에서 무자녀 선택이 가부장적 가족 체계와 성별화된 역할분담에 대한 저항일 수 있음은 간과되어 왔다. 이들 여성들은 개별적으로 양육의 주된 책임이 여성에게 전가되어 있는 모성에 대한 사회적 규범은 자녀를 무한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는 이들 여성이 일하는 여성으로서, 주체적인 인간으로서의 삶의 지향과는 어긋남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자녀양육을 ‘어머니’ 여성이 주변의 다른 여성들을 사적으로 섭외해서 해결해야 하고, 양육과정이 세분화, 정교화되는 가운데 양육기대치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마저도 자본화되어 있는 사회적 조건 역시 여성 자신의 현실과는 동떨어진 것이다. 따라서 무자녀를 선택하는 이들 여성들의 경험이 특별한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삶의 조건에 대해서 진지하게 성찰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은 생활세계에서 시집, 친정, 이웃, 동료, 남편 그리고 내적으로도 갈등을 겪고 있지만 정작 이들의 고민은 이미 출산 여부에 대한 갈등을 넘어서 어떤 삶을 살 것인가라는 문제에 도달해 있다. 갈등에 대한 협상과정에서도 무자녀 선택을 유지하기 위한 능동적인 행위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한다. 더불어 같은 또래 기혼여성들이 어머니 네트워크로 자연스럽게 뭉치는 것에 비해서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은 사회적으로 타인과 구체적인 이슈를 가지고 세분화된 기획으로 관계맺음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은 결혼이라는 성별화된 역할을 요구하는 제도에 포섭되어 있지만, 사회적인 ‘일’과 ‘시민정신’을 가지고 어떠한 존재로 거듭날 것인가를 성찰하고 있다. 타인에게 자신의 것을 나누는 반자본주의적 연대로서의 이들의 사회적 관계맺음은 생물학적 모성을 넘어서 사회적 보살핌으로서의 모성범주의 확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사회적 보살핌은 모성과는 달리 보살피는 자와 보살핌을 받는 자의 성별을 모호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여성이 모성이라는 이름으로 강화되는 성별화된 역할론의 강고한 경계를 허물고 벗어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시화되지 못했던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삶의 경험과 이들의 능동적인 행위성을 살펴보는 것은 가부장적 모성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여성을 발견함으로써 모성을 기혼여성의 삶에서 절대화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무자녀를 선택하고 이를 유지하려는 의사를 보이는 여성의 존재는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모성담론과 가족담론이 모든 여성에게 힘을 발휘하는 것이 아님을 증명한다.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은 이미 자신의 정체성을 어머니로 한정시키지 않으며 아내, 일하는 여성, 시민으로서 다원화된 정체성을 구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급진적’ 여성운동의 전략과 실천에 관한 연구 : 『여성해방연대』를 중심으로

        이옥분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radical'feminist movement through its strategies and practices in the early 2000s. To this purpose, 'Solidarity for Women's Emancipation', which started its activities in 2002, was chosen as an example of the 'radical'feminist movement. As a method of study, the documental investigation and in-depth interviews of the quality method were selected. The quality method is more suited to our purpose than the positivist method because it focuses on a full description and analysis of one example, phenomenon or social unit. This group of young feminists coming out in the middle of the 1990s and feminist activists in the social movements differed in their activities and strategies from other existing feminist groups. They came to represent the radicalism of feminist activities. They created a "new stream"within the feminist movement by reconstructing issues and daily politics which had thus far been excluded by the 'liberal'feminist movement, such as the 'Korea Women's Association United (KWAU).' Especially, 'Solidarity for Women's Emancipation' played the main role within the radical feminist movement in Korea in the early 2000s.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developing only their own issues, but also wanted to reconsider and criticize issues from a minority's point of view. It was very important for radicalism that they tried to analyze all issues from the point of view of women as a minority. They were also able to achieve optimal resultsby reacting without hesitation and by facing problems in a direct way. In this sense they successfully accomplished what they set out to do. However, they had one limitation in the structure of their organization and in their management methods. They maintained the old style of their former organizational movements. Because all the members were from organized movements, they could not implement a system which deviated too much from the old style. This led to a weakening of their radical activity, which finally caused their movement to fall into a slump after 3 years of activity. In the end, 'Solidarity for Women's Emancipation'broke up because of a shortage of resources, a limite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differences in the style of action. Yet we cannot determine its suitability only by looking at how long it lasted. What matters is: 'What did they do?' and 'What effects did their actions have?'. Although 'Solidarity for Women's Emancipation'did not last long,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extending the term of the feminist movement by criticizing and reanalyzing previous feminist movements. They created a "new radical feminist movement" in Korea. The fruit of this study is that we can understand 'radicality' not as the subject of issues or a style of action, but as a means to understand and reconstruct feminist issues. We can thus achieve a basis for understanding 'radicality' within the feminist movement in Korea in the early 2000s. A 'radical' feminist movement is a movement which criticizes and reanalyzes previously existing feminist movements. 'Radicality' can be constructed by society. 'Radical'feminist activity is a meaningful stream which should be lasting and continuously attempted, giving an element of tension and stimulation to feminist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2000년대 ‘급진적’ 여성운동의 전략과 실천을 통해 ‘급진적’ 여성운동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2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여성해방연대』를 ‘급진적 여성운동’의 사례로 채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사용하였다. 질적 사례연구는 ‘하나의 보기, 현상 혹은 사회단위에 대한 철저하고 총체적인 서술과 분석’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실증주의적 연구에 비해 ‘과정과 결과가 산출되는 전후의 맥락을 기술하고 연구’하는데 적합하다. 90년대 중반부터 등장한 ‘영페미니스트’그룹과 사회운동진영 내의 여성 활동가들은 활동방식과 전략 면에서 기존의 여성운동단체들과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여성운동의 ‘급진성’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한국여성단체연합(이하, 여연)을 중심으로 하는 ‘진보적’ 여성운동에서 배제되고 소외되었던 이슈들과 일상의 정치를 여성주의적으로 재구성하며 ‘새로운’ 여성운동의 틀을 형성해 냈다. 특히, 『여성해방연대』는 2000년대 상반기 한국여성운동 지형에서도 가장 독자적인 방식으로 활동의 ‘급진성’을 드러냈다. 독자적인 이슈를 개발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존에 있었던 사안에 대해 ‘주변적’ 여성의 관점으로 재고하고, 비판하며 반정립 형태로 활동이슈와 활동방식을 채택하는 방식을 택했다. 끊임없이 배제된 여성, 소수자 여성의 관점에서 문제를 재해석하고자 했던 것이 『여성해방연대』의 활동의 대표적 ‘급진성’이라 할 수 있다. 정세에 대한 발 빠른 대응과 직접행동방식을 활동 전략으로 채택했기 때문에 적은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렇지만 아쉽게도 문제의식을 가지고 극복하고자 했던 부분에 대해서는 ‘급진성’을 드러냈지만, 조직구조와 운영방식은 기존 운동진영의 방식과 유사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구성원들이 모두 조직 운동 출신들이었고, 기존의 운동 방식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여성해방연대』가 개인의 운동사적 맥락을 뛰어 넘지 못했던 점은 급진성을 약화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3 년간의 활동 끝에 정체기를 맞이했다. 결정적으로 자원의 부족, 조직구조의 한계 그리고 활동방식의 차이 때문이었다. 이것은 결국 조직해소의 원인이 되었다. 조직이 오래 유지 · 보존되는 것으로 활동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얼마만큼 지속 되었는가’가 아니라, ‘어떤 시도를 했는가’ 그리고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이다. 비록 길지 않은 시간이었지만『여성해방연대』는 기존 여성운동을 비판하고, 재해석하면서 여성운동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한국사회에 ‘급진적’ 여성운동의 새로운 지형을 마련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낸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성과는 ‘급진성’ 이란 활동이슈나 활동방식에 의해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슈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여성주의적으로 재구성하는가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로써 2000년대 상반기 여성운동의 ‘급진성’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급진적’ 여성운동이란 기존의 방식을 비판하고, 재해석하며 여성운동영역의 확장을 꾀하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급진성’이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급진적’ 여성운동은 여성운동지형에서 자극과 긴장의 요소를 제공하며 끊임없이 시도되고, 지속되어야 할 의미 있는 흐름이다.

      •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연구

        최란주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생애사를 통하여 개별주체인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경험을 드러내어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적응을 어렵게 만드는 부정적인 집단 이미지에서 벗어나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조선족 = 위장결혼’이라는 이미지는 조선족은 물론 한족도 출신국이 중국이라는 이유만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베트남의 경우 출신국이 가난하다는 이유로 국제결혼에 불순한 의도가 있는 것으로 비춰지고 있었다. 이처럼 출신국으로 집단화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결혼이주여성의 이주적응에 걸림돌이 된다. 둘째, 결혼 전 경제적으로 독립한 경험과 주위의 반대를 무릅쓰고 본인의 의지로 국제결혼을 선택하였다는 점은 이주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국제결혼의 경우 세대차이나 언어소통의 어려움으로 부부갈등이 많았다. 이러한 부부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혼이주여성의 노력과 함께 한국인 남편과 가족들이 관심과 애정을 갖고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에 적응할 때 까지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끝으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부각될 수 있도록 초기 정착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긍정적인 사례가 많이 발굴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이주 부적응의 시기를 극복하여 잘 정착한 결혼이주여성은 물론 이주 부적응의 시기를 극복해야 하는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에 정착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There are some the negative collectivized images, but they provoke many problems. We deal with one of them which is related to newly immigrant married women's settlement and adaptation. In other words, such negative collectivized images create their difficulties. We can grasp these facts through their actual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us to reconsider the images on the immigrant women who are individual subject in their own life.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s concerned on the actual reality in Korean society that is nothing but the result of our prejudice in general. 'Cho-Sun-People is equal to a fraud marriage'. Such image can be equally applied to Han people only because they are from China. The Vietnamese women are also considered as being dishonest from the motive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only because their country is poor. Such negative views on immigrant women's nationality create major barriers on the settlement and the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Second, there are some positive sides of the marriage immigration. There are not only the individual decision to the international marriage despite of objections, but also they already experienced the financial independence before international marriage. Those elementary experience positive erect on the settlement and the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Third, there are so much tensions in the conjugal relation largely due to the gap in their ages and to the langage problem of the communication. Such troubles can be eliminated by both married immigrant women's effort and Korean husbands' care and his family's affection. And they should play crucial roles as assistants until immigrant women settle and adapt to Korean Society. Finally, it is necessary to find more positive cas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ve been settled and adapted to Korean society. It can also provide future immigrant women with more positive images. Such an effort can make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immigrant women who have to overcome their maladjustment period, and eventually to settle well in the Korean society.

      •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대한 사례연구

        이정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생활을 통하여 그들이 겪는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고, 그 과정의 유형과 단계를 파악하였다. 이것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생활에서 오는 문화적 갈등과 이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처전략과 사회복지적실천이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것이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이혼은 어떤 과정 속에서 도달 하게 되는 것으로 하나의 독립적인 사건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혼은 배우자 선택과정에서부터 결혼 생활을 지속하는 동안 다양한 문제들이 쌓여서 나타나는 과정상의 문제라고 지적된 바 있다. 그러나 여성결혼이민자의 이혼위기를 세밀하게 서술한 연구는 드물며 여성결혼이민자의 이혼위기에 도달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 질문은 ‘여성결혼이민자가 경험한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의 경험은 어떠한가?’ 이며, 이에 따라 자료는 연구자가 여성인권단체를 통해 수집한, 이혼문제를 상담한 12건의 상담사례내용과 2명의 내담자(참가자)를 심층면접과 개방형 질문을 통하여 면담한 내용을 녹음하고 필사본을 작성하여 수집한 자료이다. 자료의 분석은 Strauss &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대한 결혼 경험의 핵심범주는 ‘이혼에 대한 딜레마’ 이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직면하는 순차적인 단계는 ‘유입기: 남편에 대한 정보 및 인식 부족’, ‘실망하면서 적응하기: 혹독한 현실’, ‘혼신을 다해 노력하기: 안간힘 쓰기’, ‘죽음과 같은 절망기: 수렁 속에서’, ‘선택기: 벗어나고 싶지만 어쩔 수 없는 현실’의 모습으로 다섯 단계로 구분되었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1) 인과적 요인은 국제결혼의 위험요인으로 ‘유입기’의 남편에 대한 정보 및 인식 부족, 상황에 밀린 잘못된 결혼과 ‘실망하면서 적응하기’의 약속과 다른 현실, 돈(매매혼)이 개입된 결혼현실에 대한 인식 부족, 결혼에 대한 환상의 깨어짐, 부부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이 있다. 2) 맥락적 요인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결혼생활에서 느끼는 여러 가지 갈등과 어려움으로 ‘혼신을 다해 노력하기’에서의 문화적 차이와 갈등, 시댁식구의 억압, 성적인 갈등의 범주에서 나타낸 속성과 자신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죽음과 같은 절망기’ 에서의 알코올과 신체적ㆍ언어적 폭력을 동반한 가정폭력, 기초 생활도 되지 않는 경제적 문제, 아내로써 대우하지 않는 남편의 부당한 대우 등이 맥락적 요인이다. 3) 매개적 요인은 ‘선택기’의 이혼 주저요인과 이혼 촉진요인이다. 이혼의 주저요인으로는 첫째가 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의 양육문제 때문이고, 국적취득이 안된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체류 문제가 걱정이 되어 이혼을 주저하게 된다. 국적취득을 하기 전에 혼인파탄의 책임이 남편에게 있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하고 혼인이 해소 되면 불법 체류자가 되기 때문인데, 이 경우 주변의 도움 없이는 극심한 폭력이외에는 남편의 귀책사유를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종교나 경제적ㆍ심리적 자립의 문제, 본국에서의 이혼녀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이 이혼의 주저요인이 된다. 이혼을 촉진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가정폭력(언어적 폭력, 신체적 폭력, 알코올 문제)’으로 경제적인 어려움과 함께 이러한 상태에서 ‘변화하지 않는 남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치관의 변화와 자아성찰,’ ‘경제적 자립 확보’ 등도 이혼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국제결혼이 파탄에 이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문화적 갈등에 대하여 단계별 사회복지실천과 정책을 활용하고 여성결혼이민자의 어려움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stantial theory that explains female marriage immigrants' cultural conflict and divorce crisis by exploring their marital lives. The question to be answered through the research is "How are cultural conflicts and divorces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e experienc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0).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hich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lso, interview data collected through the Organization of Women's Rights were used. The participants were 14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is 'dilemmas about divorce.' Second. The proces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confront cultural conflict and divorce crisis is confirmed to have five stages : the stage of inflow; lack of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ir spouse the stage of disappointment and adaptation; harsh reality the stage of endeavor; try hard to restrain their indignation the stage of despair; being thrown to bottom the stage of choice; the reality from which cannot exuviate. Third. The conditions that have an influence on cultural conflicts and the divorce crisi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The risk factors of international marriage as causal conditions include: lack of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ir spouse imprudent decision to marriage not being aware of the reality of marriage (with intervention of money) breaking of the fantasy towards marriage lack of understanding towards roles of husband and wife. Marital problems as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 cultural differences during the stage of endeavor conflict(s) with the husband's family domestic violence financial problem the husband's treatment of wife. The factors holding back divorce as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 nursing offsprings acquiring citizenship financial and religious independence problem negative attitude towards divorce in home country. The factors accelerating divorce as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 domestic violence (linguistic violence, physical violence, alcohol problem) financial difficulty no change in husband's attitude changing their own value and introspecting self-esteem securing financial independ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effective social welfare and prevention strategies suited for the cultural conflict and the divorce crisi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 전통문화 복원 과정에 나타난 정절이데올로기 변모양상에 관한 연구 : 밀양 ‘아랑제’ 를 중심으로

        성지혜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전통문화 복원과정에서 보이는 정절이데올로기의 변화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섹슈얼리티와 성문화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이기에 고정 불변의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며 언제나 형성과정에 놓여 있다. 정절의 개념 역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시대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그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그 시대의 맥락에서는 당연한 듯 통용되었던 조선시대 정절에 대해,현대 여성들은 전통문화 복원에서 보여지는 순결과 정절에 대한 숭상을 어떻게 연결지어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정부의 주도하에 조선의 유교적인 이념을 그대로 옮기려는 전통문화 복원은 남성중심적인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속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복원되는 여성 역시 남성의 요구에 맞춰 가시화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정절이데올로기 또한 재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통문화의 재현 형식을 취하는 밀양 ‘아랑축제’를 중심으로 축제를 주관하는 주최측과 아랑규수선발대회에 참가한 아랑규수들, 그리고 지역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랑의 정순 정신을 기리기 위한 축제에는 주최측의 의도와 달리 상업화된 아랑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아랑규수선발 과정이 정숙하고 순종적인 전통여성에 억지로 끼워맞추기를 고집하여 시대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아랑규수들의 참가동기는 아랑의 정순정신과 무관했으며, 전통 여성상의 지나친 강조에 거부반응을 보였다. 반면 아랑규수들의 가장 큰 관심은 부상으로 주어지는 상금과 외국여행의 기회였고, 가시적인 아랑규수와 실체인 자신과의 괴리속에 부담스러워하기도 했다. 아랑의 죽음에 대한 해석에서 순결을 목숨과 동격화시키는 시대적 구조에 관한 비판과 아울러 아랑의 죽음을 성적 주체로서 여성의 행위성으로 인식하는 태도를 보였다. 재해석이 배제된 전통여성의 상업화된 이미지는 또 다른 여성의 내면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청소녀들 역시 아랑축제를 아랑의 정순정신과는 연관짓지 않았으며, 축제로 인한 어른들의 무관심을 틈타 축제 속에서 즐기고자 할 뿐이다. 이와같이 아랑의 정순정신을 기린다는 축제는 정순이라는 단어조차도 요원하며, 상품화되고 이질화된 전통여성의 복원만이 존재할 따름이다. 여기서 한가지 주목할 것은 아랑에 대한 여성주의적 재해석에 관한 조심스러운 요구이다.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 아닌 좀 더 친근하고 사랑스러운 아랑으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ed to deal with the change of Jeong Juel Ideology in the process of rebuild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sexuality and gender culture are consisted socially, these things are not to be fixed but to be flexible. Moreover these are always going on progress. The concept of Jeong Juel is not also to be fixed and it has been changing its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oday's needs. The study said that modern women think of the way they connect virgin with the worship of Jeong Juel. Korea government's effort to remake idea of Yi Dynasty has started in the situation which was focused on male-dominated society. Rebuilt women were visualized by men of need and the Jeong Juel Ideology was remade too. Therefore this study was focused on Miss Arang Contest, one of Miryang Cultural Festivals, reviv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it was done by taking the depth interviews with sponsors, attendants, and local girl students. Unfortunately, there was the commercialized Arang in the festival, not liking the purpose of sponsorship. Arang festival didn't reflect the current of today, because its contest was too focused on only woman who had some kind of personalities; feminine modesty and obedient. Arang contest attendants had different motives from the essential meaning of Arang, "Jung Shon" and should express negative reponses about the emphasis on traditional woman as a ideal type. Arang contest attendants were only interested in prize money and opportunity abroad, but they had sense of alienation between essential Arang and individual human being. The study said that the analysis about Arang's death had two points of view of it; the criticism of social structure, regarding Chastity as her life, and the idea that makes it be recognized as Arang's autonomy. The commercialized image of the traditional women made feminism distorted one and another concept of being a woman. Teenagers didn't connected Arang festival with Arang's Jeong Shon and they enjoyed themselves it in festival for adults. The aim of Arang festival to celebrate Arang's Jeong Shon was not founded in its festival and there was only commercialized and distorted Arang.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we should make a new study of Arang in contrast to past. We suggest that Arang becomes more kind and lovely woman instead of being object with fear and scare.

      • 백인남성과 결혼한 한국여성들의 삶에 관한 연구 : 영어강사와의 결혼사례를 중심으로

        이호영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외국남성과 결혼한 한국여성들이 시기적으로는 결혼이주여성보다 오래 전에 존재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여성들에 대한 연구와 담론은 거의 없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백인남성과 결혼한 한국여성들의 삶을 고찰한 것이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이 여성들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결혼을 결정하고, 또 그러한 결혼으로 가족관계는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그들 부부의 권력관계와 성, 사랑의 성격은 어떤지, 문화적 차이와 갈등의 극복과 아울러 그녀들에게 국제결혼은 어떤 의미로 나타나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외국남성과 결혼한 30대에서 40대의 한국여성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고, 그들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제결혼의 선택과 동기에서 대상자들은 외국남성을 결혼의 대상자로 설정하고 적극적인 방법으로 만나서 결혼한 ‘적극적 헌팅(hunting)’ 의 방법, 같은 직장에서 근무하다가 사랑하고 결혼하게 된 경우, 소개팅과 같은 방법으로 만나게 된 경우를 들 수 있으며, 결혼의 결정 동기에서는 외국남성 특히, 백인이 가지는 외모의 우수함과 여성을 대하는 그들만의 부드러움과 자상함, 섬세함 등 인격적인 면과 특히 외국남성들의 도덕적인 성의식이 중요한 동기였으며, 여기에는 인종적 편견도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그녀들이 결혼을 결정하고 가족들에게 수용되기 까지는 거부와 수용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때론 친정부모가 적극적인 지지와 수용을 보인 경우도 있었다. 이 부분에서도 역시 인종적 편견은 궁극적으로 결혼의 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족관계에서 그녀들은 분명 한국여성들보다는 더 나은 경제적, 육체적, 심리적 편안함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부부들과 이 여성들의 부부관계를 2005년 여성가족부의 조사에 근거하여 비교 했을 때, 이 여성들은 한국여성들에 비하면 부부간 상호배려와 평등성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대상자들의 성과 사랑에 대한 인식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외국남성이기 때문에 가능한, 자유롭고 적극적이면서도 섬세한 애정표현을 좋은 점으로 생각한다는 사실이다. 가정적이며, 성실하고 아내에게 적극적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점은 그들의 문화라 생각하면서 만족스러워 하지만, 한편으로는 한국의 허용적이고 이중적이며, 가부장적인 남성문화에 길들여지지나 않을 까 불안해하기도 한다. 국제결혼으로 인한 문화적 차이와 갈등의 문제에서 연구의 대상자들 혹은 남편들은 적절하게 취사선택을 함으로써 문화접촉의 상황을 잘 극복하고 있으나, 자녀교육에 있어서 대상자들 모두는 한국의 교육방식을 수용하려는 자세를 보임으로써 남편과의 갈등이 크게 나타났다. 결국, 한국사회의 특수한 교육모성 이데올로기는 국제결혼을 한 여성들이라고 하더라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여성들은 남편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떠나 그들이 실제 결혼생활 안에서 보여주는 평등성에 더 만족을 느끼고, 아직까지 가부장적 결혼에서 자유롭지 않은 한국여성들의 삶과는 다름에서 오는 차별성에 결혼의 만족을 느낀다. 그런 의미에서, 그녀들의 국제결혼은 현실에 대한 적극적 저항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이해된다.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Korean women who are married to caucasian men, taking notice that there is little research or discourse on these women even though there had been inter-cultural marriages between Korean women and foreign men before there were women who emigrated along with their marri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se women came to decide on their marriage, the kinds of changes their decisions have brou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termarriage power distribution, sexuality, love, and, along with their overcoming of cultural differences and conflicts, what their international marriage means to them. To proceed with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done with 9 Korean women in their 30s or 40s who are married to caucasian me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their choices and mot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 are aggressive "hunting" in which they take assertive actions to meet and marry the man after determining to acquire a caucasian man as their spouse, falling in love with and getting married to a co-worker, or through blind dates. Also their decisive motives of their marriage were due to foreign men, especially caucasian men's excellence in terms of their appearance, their agreeable personalities such as gentle, considerate, careful, and sensitive attitude when they interact with women, and especially their sense of morality and attitude about sexuality. Also their prejudice against other races played an important role. Overall,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rejection and acceptance by their parents until their marriage ,and in some cases their parents showed their support and acceptance. In this, their prejudice against races other than white was the decisive factor contributing to their acceptance of their daughters' international marriage. In their family relationships, obviously they seem to have higher level of economic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mfort than Korean women. Comparing the relationships of Korean couples, and those of internationally-married couples based o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research in 2005, the latter showed a great level of satisfaction in terms of interpersonal consideration, and a sense of equality compared to the former. Also the recognition about love and sexuality that these women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ppreciate foreign spouses' free, active and yet delicate ways of expressing their affection. These women are satisfied with the fact their spouses are family-oriented, sincere, expressive to their wives about their love, this a part of their culture,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a little concerned that their spouses might get influenced by Korean patriarchal culture which favors men, and double-standard. On their problems arising from their cultural differences and conflicts due to their international marriage, these women are dealing with their multi-cultural situations by letting their spouses have their choices about things, but as for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ll these women have the intention to accept Korean's education mode, leading to great conflicts with their spouses. After all, their distinctive motherhood-related education ideology was as good as that of Korean women. To conclude, these women, apart from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their spouses, have a great sense of satisfaction from the sense of equality in their actual marriage life, and from the sense that their liv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 women who are not free from the dominance of patriarchal marriage yet. In this, their international marriage is interpreted as having positive resistance against male-dominated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