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체 치안이 실종 치매노인 조기 발견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 마을버스 협업 사례분석

        이지성 경찰대학교 치안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발전하는 단계에서 여러 가지 문제 중 치매노인의 증가 역시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노인 실종은 당사자의 생명과 직결되고 범죄로 인한 가해자·피해자가 되기도 하며 가족의 우울증·자살 등 심각한 가정 및 사회문제를 가져 올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도심 속에서 치매노인이 실종되었을 때 신속히 발견하여 안전사고·범죄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찰과 마을버스가 협업한 공동체 치안 실험 사례를 분석하였다. Q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종 치매노인의 특징을 지도상에 구현하였고 치매노인과 마을버스와의 관계, 성별에 따른 특징 등을 표시하였다. 생존분석을 통해 공동체 치안 전·후의 시간에 따른 치매노인의 생존가능성을 비교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실종된 치매노인의 안전사고(119후송 및 병원진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생존분석을 통해 발견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른 치매노인의 생존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실종된 치매노인을 발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생존가능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동체 치안 전·후를 비교 해보았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공동체 치안에 의해 발견된 실종 치매노인이 기존의 수색방식에 따라 발견된 치매노인보다 안전사고(119후송 및 병원진료)를 요하는 상황에 이를 가능성이 낮다는 점이 드러난다. 공동체 치안이 적용되어 발견된 실종 치매노인의 경우 안전사고(119후송 및 병원진료)를 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75%에 이르는 데 반해, 공동체 치안을 적용하지 않고 기존의 수색방식에 따라 발견된 치매 노인은 안전사고(119후송 및 병원진료)를 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25%에 그쳐, 공동체 치안 시책이 적용된 경우 안전사고(119후송 및 병원진료)를 요하지 않고 무사히 발견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실종된 치매노인의 안전사고(119후송 및 병원진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공동체 치안 요인에서는 마을버스 협업, 환경적 요인에서는 계절과 시간범위에서 통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공동체치안 요인에서는 마을버스 협업 이전과 비교하였을 때 마을버스 협업(OR=0.019, p<.05), 환경적 요인에서는 계절 중 여름과 비교하였을 때 가을(OR=0.009, p<.05), 겨울(OR=0.001, p<.05), 시간범위에서는 4시∼8시를 비교하였을 때 9시부터 11시(OR=0.014, p<.05)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을버스 협업을 활용한 경우는 활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치매노인의 안전사고(119후송 및 병원진료) 가능성이 0.019배 유의미(p<.05)하게 낮아졌다. 공동체 치안(마을버스 협업)을 활용하여 지역주민들의 관심을 이끌어 내고 실종자 발견을 위한 사회의 시야를 확장시켰으며, 경찰과 버스기사가 적극적인 협업 노력을 통해 실종된 치매노인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할 수 있겠다. 위 공동체 치안을 바탕으로 실종자 수색을 위한 예측전략 및 실종예방 매뉴얼을 제언하였으며 공동체 치안의 효과성, 한계점,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자치경찰 시대에 공동체 치안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At the stage of rapid development into an aging society,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as well. The disappeara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person concerned and can lead to serious family and soci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suicide of the fami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a case of community policing experiments in which police and town buses collaborat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crimes by quickly discovering the missing elderly with dementia when they disappeared in the city center. Using the QGIS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ssing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town bus were presented on the map. The viabi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over time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community policing project was compared through survival analysi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safety treatments (119 evacuation and hospital treat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re derived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iabi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the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viability decreased as it took longer to find the missing elderly with dementia. Comparing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community policing project, it is revealed that the missing elderly with dementia discovered by community policing project are less likely to require safety treatments (119 evacuation and hospital treatment) over time than those discovered according to the existing search method. The missing elderly with dementia found with community policing project are 75% likely not to require safety treatments (119 evacuation and hospital treatment), while those found according to the existing search method are only 25% likely to not require safety treatments (119 evacuation and hospital treatment). As a result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fety treatments (119 evacuation and hospital treatment) of the missing elderly with dementia were statistically affected by the community policing project that town buses cooperated in search of the missing elderly with police. Specifically, it was analyzed that compared to before the local police-town bus partnerships, the local police-town bus partnerships was affected(OR=0.019, p<.05), and compared to summer during the season, in the autumn(OR=0.009, p<.05), winter(OR=0.001, p<.05), and compared to 4 o'clock to 8 o'clock time range was affected from 9 o'clock to 11 o'clock(OR=0.014, p<.05). In the case of implementing local police-town bus partnerships, the likelihood of safety treatments (119 evacuation and hospital treat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as 0.019 times lower (p<.05). It can be explained that community policing (local police-town bus partnerships) has been used to draw attention from local residents; and expand social horizons for the discovery of missing people; and therefore the police and bus drivers can find the missing elderly with dementia more quickly and saf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strategy and manual for the search for missing people were proposed. Subsequently, the effectiveness, limitations, and impact on the community policing project such as local police-town bus partnerships were comprehensively discussed in accordance with the era of autonomous police.

      • 국가중요산업기술 유출방지 및 보호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성진기 경찰대학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63

        Korea's industrial technology in the 1970s and 1980s was understood as a "Eating and living" concept to increase exports, but today, it is resulting in a "death and living" problem at stake in order to prevent and protect the leakage of technology. Also as the existing security concept, which has been staying at the military level, has recently expanded and transformed into the concept of "economic security," security strategies in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rapidly reorganizing around high-tech science and technology with economic security as the top priority. Namely, in the past, geopolitics influenced the rise and fall of a country through geographical location relations, today is a techno-political era in which the whole is determined by which country occupie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s at the center of the international order. Accordingly,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are making national efforts to secure high-tech technologies to maintain and acquire economic hegemony, and Korea is also paying a lot of attention to fostering science and technology and securing high-tech through various legislation. Recently, the 「National Advanced Strategic Industry Act」 and the 「National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Strategic Technology」 were enacted as economic security-related bills, the 「Act on Special Measur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and related legislation by each ministry are also actively enacted and revised to cope with supply chain disruptions, the National Assembly is also actively discussing the "Basic Act on Supply Chain Stabilization Support for Economic Secur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asic Act on Supply Chain") and the "Special Act on National Resource Secur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pecial Act on Resource Security.") Despite the full-fledged era of technological hegemony in which a country's technology determines national competitiveness, Korea's overseas outflow of "national core technologies" continues to increase. In particular, a total of 117 industrial technology leaks were detected over the past six years from 2017 to 2022, of which 36 were leaked overseas of national core technologies, during this period, the amount of damage caused by technology leakage is estimated to be about 26 trillion won, putting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national economy.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d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including national core technologies, as key factors that determine national security and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focused on ways to prevent leakage and strengthen protection of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In this study,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y' is not a term used in law, nor is it a term commonly used in academia. In a situation where law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industrial technology are mixed by institution, ① in particular, "industrial technology" and "national core technology" under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economic security, ② "Defense Industry Technology" under th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Protection Act」, ③ "National Advanced Strategic Technology" under the 「National Advanced Strategic Industry Act」, ④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and "Detailed Focus Technology" under the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of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⑤ "Core strategic technology" under the 「Act on Special Measur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⑥ "Strategic Technology" under the 「Foreign Trade Act」, ⑦ “Trade secrets”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etc, it was called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y" because there was no clear concept encompassing the above numerous technologies, and it is stated in advance that it is a policy view and personal opinion classified and defined based on my investigative experience and legal knowledge. First of all, in order to help understand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the purpose and details of each law and technology were explained in detail, and the entire designated technology was clearly summarized, furthermo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details of each technology were compared and schematized. In addition, the types of leakage of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that are becoming more intelligent and diversified day by day are ① ‘Recruitment of key technology personnel’ ② ‘Purchase of corporate insiders’ ③ ‘Information Broker’ ④‘Industrial Spy Gastrointestinal Infiltration’ ⑤ ‘Computer Hacking’ ⑥ ‘Transmission Data Interception’ ⑦ ‘Unauthorized intrusion’ ⑧ Third party buyout ⑨ ‘Mergers and Acquisitions’ etc, each method was largely classified into nine categories, and each method was reviewed, and punishment laws and application laws were reviewed in detail. The leakage of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y" is not a matter of national wealth leakage, but an issue that must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security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ountry, it is most important to prepare an "organization" and "legislation" to prevent the leakage of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Accordingly, it suggested the need to establish an Economic Security Control Tower (Tentative name, Economic Security Committee)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statistics and data managed by ministries and enact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Leakage of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Tentative name, Basic Act on Economic Security).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HUB" role system that guarantees the expertise and efficiency of the investigation by designating and expanding the "focused investigation office" by specialized field. Meanwhile, Taiwan, which owns TSMC, the world's largest semiconductor producer, legislated its "high-tech industry protection" on June 2022, punishing technology leakage crimes as "spying". The crime of espionage has traditionally been applied to the military and political sectors, but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conomic Safety Act」, the leakage of technology in the economic sector was also defined as a 'spying act', which has many implications for Korea. The United States, a traditional technology powerhouse, is a ‘no tolerance principle’ for foreign leaks of national core technologies, with a maximum legal sentence of 20 years in prison and a maximum penalty of $5 million (about 6.5 billion won), Taiwan is also sentenced to 12 years in prison and up to $100 million (about 4.2 billion won) in fines, which are difficult to compare with Korea's current legislation. Accordingly, Korea also established a "crime of economic espionage" within the aforementioned Framework Act on Economic Security and proposed specific sentence regulations corresponding to the crimes of economic espionage in the United States and Taiwan for overseas leakage of "national core technology" and "national advanced strategic technology." As a measure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y', it was divided into operational and institutional aspects. First, a more systematic and specialized curriculum was presented to foster professional manpower in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investigation as a way to strengthen protection in operational aspect. As a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crimes, a high degree of expertise in judging illegality is required, In addition, technology leakage means should be digitized (dark web, cloud server, etc.) and professional IT technologies (forensics, encryption and decryption techniques, etc.) should be accompanied to secure evidence and prove the charges, in particular, a clear understanding of each legal purpose should precede the mixture of law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industrial technology. Therefore,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detailed items of the industrial security education curriculum and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the meantime, it has proposed a convergence and complex educational program that integrates learning and practice to foster professional skills in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and foster practical skills, breaking away from standardized theoretical education such as simple concept understanding and introduction of investigative cases. As a measure to strengthen protection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introduction of a technology valuation system was suggested for the investig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The technology value evaluation system actively reflects the position and pain of the victim company on the importance and property value of the technology leaked by experts in the investig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in criminal procedures (arrest, sentence, etc.), the purpose of the court is also to induce more strict sent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chnology valu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reasons for sentencing. In addition, the "Police Science Institute" affiliated with the National Police University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Value Evaluation Center" (tentative name) in prepar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Security Scienc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actively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leakage of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y" and strengthening protection in institutional aspects by developing standards and methods for accurately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 in the police's leak investigation of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y" and establishing a continuous cooperation system with specialized institutions such as "Technology Guarantee Fund". In addition, to prevent and protect the leakage of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to listen to the voices of the field in charge of investigation work on the front line, 83 out of 106 investigators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Investigation Team of 18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departments nationwide, including the main office, 79 out of 142 security investigation teams of 57 police stations nationwide, and 162 were surveyed. As for the survey method, a mixed research method using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a survey a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extracts important elements through suggestions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used,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that are difficult to obtain internal validity and to obtain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through various analyses of the survey results,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urrent system. This study compiled the details of Korea's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related to economic security, which have recently become a hot topic around the world, and the schematic and designated technologies through mutual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echnologies, in particular, it focused on presenting more realistic and feasible protection measures for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above all, it is judged to be distinctly original and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reflects the vivid voice of the field in charge of investigating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The author of this study is not only investigators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Team of the Security Investigation Unit and the Security Investigation Team of the Police Station, who are in charge of investigating the leakage of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ies related to economic security,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s from related agencies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 Defense Counterintelligence Command ·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 Patent Office, etc.) are also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and serve as 'guidelines'. keywords : Economic Security, National Important Industrial Technology,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leaks, Educational Curriculum, Technology Value Evaluation. Student Number : 20203302 국문초록 우리나라의 1970년∼80년대 산업기술은 수출증대를 위한 ‘먹고 사는(食生)’ 개념으로 이해되었으나, 오늘날은 이러한 기술의 유출 방지·보호 차원에서 한 국가의 명운이 걸린 ‘죽고 사는(死生)’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 또한, 그간 군사적 차원에서 머무르던 기존의 안보 개념이 최근 ‘경제안보’의 개념으로 확대·전환되면서 세계 주요국의 안보 전략은 경제안보를 최우선 과제로 첨단 과학기술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즉, 과거에는 지정학(geo-political, 地政學)적 측면에서 지리적인 위치 관계가 한 국가의 흥망성쇠(興亡盛衰)에 영향을 미쳤다면, 오늘날은 어떤 나라가 첨단 과학기술의 주도권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그 판세가 결정되고 국제질서의 중심에 놓이는 기정학(techno-political, 技政學)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들은 경제적 패권을 유지하고 획득하기 위해 첨단기술 확보에 범국가적 차원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다양한 입법을 통해 과학기술의 육성 및 첨단기술의 확보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경제 안보 관련 법안으로 「국가첨단전략산업법」,「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을 제정하였고, 공급망 교란에 대응하기 위한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및 각 부처별 관련 입법도 활발히 제․개정하고 있으며, ‘경제 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안(이하 공급망 기본법)’, ‘국가자원 안보에 관한 특별법안(이하 자원 안보 특별법)’ 등도 국회에서 활발히 논의중에 있다. 이와 같이 한 국가의 첨단 과학기술이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기술 주도권의 시대가 본격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산업기술·국가핵심기술 등의 해외 유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7년에서 2022년까지 약 6년간 산업기술의 해외 유출 적발 건수는 총 117건으로, 그 가운데 국가핵심기술의 해외 유출은 36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同 기간의 기술 유출로 인한 피해 액수는 무려 26조 원에 이르는 등 국가 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핵심기술·방위산업기술 등을 포함한 ‘국가중요산업기술’을 국가안보와 미래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규정하고, ‘국가중요산업기술’의 유출 방지 및 보호 강화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국가중요산업기술’은 법률상 사용되는 용어도 아니고, 학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용어는 더더욱 아니다. 산업기술 관련 법제 및 기술이 기관별로 혼재한 상황에서, 특히 경제 안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① 「산업기술보호법」상 산업기술·국가핵심기술, ② 「방위산업기술보호법」상 방위산업기술, ③ 「국가첨단전략산업법」상 국가첨단전략기술, ④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상 국가전략기술·세부중점기술, ⑤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상 핵심전략기술, ⑥ 「대외무역법」상 전략기술, ⑦ 「부정경쟁방지법」상 영업비밀 등, 위와 같은 수많은 기술을 포괄하는 명확한 개념이 없어 ‘국가중요산업기술’이라 칭하였으며, 이는 그간 필자의 수사 경험과 법률적 지식을 바탕으로 분류․정의한 정책적 견해임을 미리 밝힌다. 우선 ‘국가중요산업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법률과 기술에 대한 목적·취지와 세부 내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지정된 기술 전체를 최근까지 개정된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으며, 나아가 각 기술의 세부 내용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서도 상호 비교하여 도식화하였다. 또한 날로 지능화․다양화되고 있는 ‘국가중요산업기술’의 유출 유형을 ① ‘핵심기술 인력 영입’, ② ‘기업내부자의 매수’, ③ ‘정보 브로커’, ④ ‘산업스파이 위장침투’, ⑤ ‘컴퓨터 해킹’, ⑥ ‘전송자료 가로채기’, ⑦ ‘무단침입’, ⑧ ‘제3자 매수’, ⑨ ‘인수합병’ 등 크게 9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수법에 대해 검토하고, 아울러 이에 대한 처벌 법규 및 적용 법조에 대해 상세히 검토하였다. ‘국가중요산업기술’의 유출은 국부 유출 차원의 문제를 넘어 국가의 성패를 좌우하는 경제 안보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사안으로, 중요 산업기술의 유출 방지를 위한 ‘조직’ 및 ‘법제’의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산업기술 관계부처를 총괄하고, 부처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는 통계와 관련 자료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경제안보 컨트롤타워, (가칭) ‘경제안보위원회’ 설치와 ‘국가중요산업기술’의 유출 방지에 관한 기본법, (가칭) ‘경제안보기본법’ 제정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전문분야별 ‘중점수사청’의 지정 및 확대를 통해 수사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담보하는 ‘허브(HUB)’ 역할 체계구축을 제안하였다. 한편, 지난 2022. 6.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 ‘TSMC’를 보유하고 있는 대만이 기술 유출범죄를 ‘간첩죄’로 처벌하는 등, 자국의 ‘첨단산업 보호’를 법제화하였다. ‘간첩죄’는 전통적으로 군사·정치영역에 적용되어 왔으나, 「경제안전법」 개정을 통해 경제 분야 기술 유출도 ‘간첩행위’로 규정하여 ‘경제간첩죄’를 신설하였고, 이는 우리나라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전통적 기술 강국인 미국은 국가핵심기술 등의 국외 유출에 대해서는 ‘無 관용 원칙’으로, 법정 최고형은 징역 20년형, 추징금은 최대 500만 달러(약 65억 원)이며, 대만 또한 법정 최고형은 징역 12년형, 추징금은 최대 1억 대만달러(약 42억 원)에 이르는 등, 우리나라의 現 법제와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형량이 높다. 이에 우리나라도 경제안보기본법 內 ‘경제 간첩죄’를 신설하고, 우선적인 보호가 필요한 ‘국가핵심기술’․‘국가첨단전략기술’의 해외 유출에 대하여 미국․대만의 경제 간첩죄에 상응하는 구체적인 형량 규정을 제안하였다. ‘국가중요산업기술’의 보호 강화방안으로는 운영적․제도적 측면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으며, 먼저 운영적 측면에서의 보호 강화방안으로 산업기술 유출 수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보다 체계화되고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산업기술 유출범죄의 특성상, 위법성 판단에 대한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고, 또한 기술 유출 수단이 디지털화(다크 웹, 클라우드 서버 등) 되어 증거확보 및 혐의 입증에 전문 IT 기술(포렌식, 암·복호화 기법 등)이 수반되어야 하며, 아울러 산업기술 관련 법제 및 기술의 혼재로 각 법률의 고유한 목적 및 취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국내·외 각 대학·원 산업보안 교육 커리큘럼의 세부 항목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하여, 그간 기본 개념이해 및 수사 실무 사례 소개 정도의 정형화된 이론식 교육을 지양하고, 산업기술에 대한 전문기술 함양 및 실무역량 배양을 위한 학문과 실무를 통섭하는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제시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의 보호 강화방안으로는, 산업기술 유출 수사에 기술가치 평가제도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기술가치 평가제도는 산업기술 유출 수사에서, 전문가가 유출된 기술의 중요성과 재산적 가치에 대한, 피해기업의 입장 및 고통을 형사절차(구속․양형 등)에 적극 반영하고, 법원도 기술 가치평가 결과를 토대로 양형 사유에 참작하여, 보다 엄정한 형량을 선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경찰대학 부설 ‘치안정책연구소’가 ‘국립 치안과학원’ 승격에 대비하여 (가칭) ‘산업기술 가치평가센터’의 신설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경찰의 ‘국가중요산업기술’ 유출 수사에 있어 정확한 피해액 산정을 위한 기준과 방법 개발 및 ‘기술보증기금’ 등 기술가치평가 전문기관과의 공조와 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으로 ‘국가중요산업기술’의 유출 방지 및 제도적 측면에서의 보호 강화에 적극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가중요산업기술’ 유출 방지 및 보호를 위해 최 일선에서 수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하여, 본청 포함 전국 18개 시도경찰청 안보수사대 ‘산업기술보호수사팀’ 수사관 106명 중 83명 및 전국 57개 경찰서 안보과 ‘안보수사팀’ 142명 중 79명, 도합 162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한 양적 연구 방법과 함께 설문 참여자 가운데 별도의 건의 사항을 통해 중요 요소를 추출하는 질적연구 방식을 사용하는 혼합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내적 타당성을 얻기 어려운 양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얻고자 하였고, 아울러 설문 결과의 다양한 분석을 통해 현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유의미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全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는 경제안보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국가중요산업기술’에 대한 세부 내용과 기술 간 상호비교 분석을 통한 도식화 및 지정된 기술 전체를 최근 개정된 내용을 포함하여 반영하였다. 특히 ‘국가중요산업기술’에 대한 보다 현실적․실현 가능한 보호 강화방안 제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무엇보다도 ‘국가중요산업기술’ 수사업무를 담당하는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반영한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는 확연한 차별성이 있다. 필자는 본 연구가 경제안보 관련 ‘국가중요산업기술’ 유출 수사를 담당하는 안보수사대 산업기술보호팀․경찰서 안보수사팀 수사관은 물론, 유관기관(국가정보원․방첩사령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특허청 등)의 특별 사법경찰관에게도 ‘기초자료’로서의 활용과 함께 ‘지침서’로서 역할에 부합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경제안보, 국가중요산업기술, 유출 방지 및 보호, 교육커리큘럼, 기술가치평가) 학 번 : 20203302

      • A STUDY ON THE EFFECTIVE OPERATION OF DRONE BY MONGOLIAN POLICE /FOCUSING ON POLICE OFFICER’S PERCEPTION/

        문군투야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붙임 2 논문요지 학위 논문요지 소 속 공공안전학과 (행정전공) 학 번 20201308 성 명 Batgerel Munguntuya 연락처 01020601319 논문제목 (부제목 포함) 몽골 경찰의 효과적인 드론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몽골 경찰관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지 도 교 수 강욱 (인) 1. 논문제목 몽골 경찰의 효과적인 드론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몽골 경찰관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2. 연구목적 및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이 우리 삶에 들어온 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우리의 삶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드론(Drone)’이다. 드론은 우리 일상에 들어와서 삶의 일부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학 기술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드론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공공 및 민간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범위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인 드론의 수색성능은 인공지능 인체 인식을 위한 최대 고도 60m, 속도 35km/h, 드론의 최대 비행시간 30분을 운용할 수 있다. 드론 1회 비행 수색면적은 평균 고도 45m, 비행 속도 20km/h, 30분 비행(카메라 화각 70도), 폭 63m, 10km의 면적을 수색(0.63㎦=190,575평=축구장 90개) 할 수 있다. 기존 인력에 의한 동일면적 수색은 논밭 환경에서 농지 수색 시 인력 걸음 2.5km/h 속도를 고려하고, 10m 간격으로 50명이 늘어서서 30분간 수색면적(0.625㎦=189,062평)을 수색할 수 있다. 산악환경에서는 평균 등산 속도 1km/h 정도이며 10m 간격으로 120명이 늘어서서 30분 수색면적(0.6㎦=181,500평)을 수행할 수 있다. 등산로가 아닌 접근이 어려운 지형도 많은 것을 고려하면 120명 이상의 대체 효과가 있다. 최근 경찰 활동의 방향은 범죄가 발생한 이후에 검거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범죄를 예방하는 개념으로 치안 정책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보안에 대한 요구는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경찰은 업무 운영 방식을 바꿔야 할 문제에 당면하고 있다. 현재 몽골 경찰은 범죄 퇴치, 공공질서 유지 및 공공 안전 보장 등의 경찰의 핵심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경찰 행동에 과학 기술 중 하나인 드론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드론을 도입해 국민 안전 확보, 범죄 예방, 범죄 현장 조사, 증거 수집, 실종 수색, 순찰 등 경찰의 핵심 기능 수행에 활용한다면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 업무 시간을 절약하고 업무의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론은 부족한 경찰 인력 문제를 해소하고, 국민들의 민원을 과학적으로 정확하게 해결하여, 국민의 신뢰를 얻고 안전을 보장해 이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좋은 도구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경찰의 어떤 부서에서 드론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고 유의미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몽골에서는 2012년부터 드론을 도입해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널리 활용하고 있다. 2012년에 중국 기업인 DJI (Da-Jiang Innovations/Great Frontier Innovations) (Chinese: 深圳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in full, more popularly known as its trade name DJI, which stands for Da-Jiang Innovations (大疆创新; 'Great Frontier Innovations'), is a Chinese technology company headquartered in Shenzhen, Guangdong, with manufacturing facilities throughout the world. 가 몽골 내 드론 공식 유통 업체가 되면서 드론을 활용하는 사람들에게 드론을 알리기 시작했다. 정부 기관 중 국경 수비대, 비상관리청, 경찰, 법원 판결 집행 기관 등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들이 드론을 활용한 지 오래되었다. 그 중 경찰 조직의 드론 운용에 대해 살펴보면, 2016년에 드론을 순찰에 도입해 운용해 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높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앞으로 경찰의 주요 기능에 드론을 활용하고 그 활동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드론 운용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 그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을 마련해 전문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경찰 행동에 드론 운용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역설하고, 향후 드론 활용의 확대 방안을 연구 및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3.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드론의 개념 드론의 정식명칭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로 사람이 직접 타지 않고 조종 및 임무수행이 가능한 비행체를 의미한다. 1915년 크로아티아 출신의 미국 발명가였던 니콜라 테슬라가 군사용 목적으로 무인 비행기에 대한 개념을 최초 정립하였고, 미국은 테슬라의 연구를 바탕으로 1918년 케터링 버그(Kettering Bug) 자폭 무인기 테스트에 성공하였다. 1930년대에 미국과 영국에서 대공포 훈련용으로 개발된 무인항공기를 타겟 드론(target drone)이라고 명명하며 드론이라는 용어가 최초로 쓰이기 시작하였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은 본격적으로 군사용 드론을 전장에서 활용하기 시작하였고, 정찰 뿐만 아니라 직접 미사일을 장착하여 적군을 타격하는 목적으로도 적극 운영하였다. 드론은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군사용 무기 중 하나로만 인식되어 왔으나, 2010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프랑스 패럿(Parrot)사의 스마트폰으로 조종이 가능한 쿼드롭터 AR 드론이 대중에게 소개되면서 레저용 드론 및 상업용 드론 사업이 시장에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무인 이동체(드론)는 외부 환경을 인식해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이동하고 필요 시에는 지시된 임무를 수행하는 이동체로 정의된다. 드론을 무인시스템, 자율시스템, 로봇·자율시스템, 드론 등 다양한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정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이동체를 말한다. 드론은 구동형태에 따라 날개가 기체에 수평으로 붙어있는 고정익형과 헬리콥터와 같은 로터(날개)의 회전을 이용하는 회전익형, 회전날개를 기울일 수 있도록 고정익형과 회전익형을 결합한 혼합형으로 나뉜다. 드론 활용의 장점 및 단점 드론 활용의 장점에 대해서 이임걸(2018)은 경제성, 이동성, 조종자와 지역사회의 안전성, 접근 가능성, 폭넓은 활용성, 다양한 기법의 활용 등을 제시하였고, 홍성태 외(2017)는 드론의 장점을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로 구분하고, 기술적, 서비스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 이병석·권희춘(2018)은 드론의 활용의 장점을 제시했는데, 예를 들어 헬기 사용 시와 비교해 드론이 훨씬 경제적이고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측면에서 즉, 장비 가격, 교육시간, 운용 인력, 1회 운영경비, 정비비용, 추락시 손해비용, 운용가능 시간, 보험료, 그리고 보관료 등 세부 요인들을 통해 드론의 장점을 제시하였다. 이병석(2021)은 드론의 활용으로 인한 단점으로 충돌·추락 등의 안전사고, 촬영 및 비행소음 등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그리고 범죄에의 악용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첫째, 드론은 충돌 및 추락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물체이므로 안전성의 위험이 크다. 둘째, 촬영으로 인한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 비행소음으로부터 발생하는 생활상의 평온 침해가 있다. 셋째, 드론으로 인한 범죄와 드론 테러로 인한 위험이 있다. 최근 드론을 이용한 범죄의 발생이 국내·외에 증가하고 있고,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다. 드론을 이용한 범죄 중에서도 무엇보다 드론이 테러에 이용되는 것이 가장 심각하고 위험하다. 드론을 이용한 테러는 그 피해와 심각성이 매우 크므로 사람들의 드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이병석, 2021: 17-22). 몽골 경찰의 조직과 기능 몽골 경찰의 개관 몽골 경찰은 군대식의 계급제도를 도입하였다. 몽골 경찰계급은 상, 중, 하위란 10계급을 사용한다. 몽골은 경찰 간부후보생 제도는 존재하지 않아 중간급 간부로 임명되는 사례는 비교적 적다. 특히 몽골에서는 국가직 공무원은 경찰부장이 제청하여, 경찰청장이 임명한다. 그리고 지방직 공무원은 시·도 경찰청장이 제청하여 경찰청장이 임명한다. 몽골 경찰은 명령체계(Chain of control)가 계급체계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몽골 경찰의 조직 경찰은 국민의 생명ㆍ재산ㆍ신체의 보호와 교통 단속, 범죄의 예방ㆍ진압 및 수사, 치안정보의 수집 기타 질서유지와 공공의 안녕 도모를 그 임무로 한다(몽골 경찰법 제2조, 경찰의 임무).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몽골에서는 중앙집권적인 국가경찰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몽골의 경찰제도는 한국에게 매우 낯설다. 그동안 몽골 경찰제도는 한국 경찰학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불모지였고 최근에야 몽골 경찰관들이 한국과 본격적으로 교류를 가지기 시작했다. 몽골경찰조직은 경찰청(1개), 지방청(21개), 경찰서(115개)로 구성되어 있으면, 인원은 12000명이며 주요 기능으로는 수사, 형사, 정보, 경비, 생활안전, 보안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리고 경찰업무는 최초의 국가 기능에서 부터 국가경찰 단일체제로 유지하면서 국가 민생 안전을 위한 정보·경비 등 특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선행연구 검토 현재 몽골 경찰에서는 이렇다할 활용 사례가 없어, 한국 경찰 및 외국 경찰의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분석하여 몽골 경찰의 효과적 운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 경찰은 드론을 치안 현장에서 경찰 항공 기능의 헬리콥터 운용과 제한적으로 경찰 드론을 운용하고 있다. 헬리콥터 운용은 경찰 항공 기능에서 경찰 드론은 정보화 장비 기능에서 운용함에 따른 공역 통제 등 통합 운용에 있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경찰 드론 운용에서 드론 전문 인력 보충, 장비의 보강, 드론 관련 법제화의 연관성, 교육 훈련, 안전관리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과 절차로 운용방안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연구 자료에서 이임걸(2019년), 한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경찰 분야 드론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는 드론 장비의 보강 문제나 인력 확보, 법제화 등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경찰 항공과의 통합 운용 문제, 드론 전문 인력 보충 등에 대해서는 다소 아쉬운 점이 있다. 이임걸(2019년), 한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경찰분야 드론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또한, 서준배(2017년), 선행연구자료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무인항공기의 비용 대비 효과와 경찰 드론 도입에 치중하여 충실하게 연구하였다는 생각이다. 한편 드론 운용 측면에서는 단지 비용적인 내용을 단순 비교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서준배(2017년), 「경찰항공대에 무인항공시스템(UAS) 활용방안 연구: 비용효과분석 (Cost-Effectiveness Analysis) 중심」 기타 또 다른 논문 및 학술연구내용과 경찰청 정보화장비과, 외사과, 여성청소년과, 항공과 등의 경찰청 내부자료를 통하여 국내·외 드론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방향은 드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의 수집된 자료를 선행연구하고 현재 운용되고 있는 세계 다른 국가에서는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몽골에서 어떻게 운용 및 활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드론 관련 드론의 정의, 드론의 역사, 드론의 분류 등 개념적인 내용을 다루고, 본론에서는 세계 다른 나라의 경찰 기능에서 드론의 운용 및 활용실태를 연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외국의 드론 운용실태를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앞서 연구한 내용의 요약과 시사점, 향후 연구 방향을 기술하고자 한다. 따라서, 향후 경찰 드론 운용의 전문 인력 보충, 드론 장비보강, 드론 관련 법제화 추진, 경찰작용의 치안 현장에서 경찰 항공의 헬리콥터와 정보화 장비 기능의 드론을 통합 운용에 효과적일 것이다. 이는 효과 대비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지휘 통제 측면에서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용될 것이라고 본다. 4. 연구문제(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이 논문은 몽골 경찰의 상화에서 드론의 활용의 효율적 방향과 경찰관들의 드론에 대한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조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 대상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을 이용해 261명의 경찰관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12월부터 2022년 3월까지의 기간 동안 진행되었다. 설문지의 배표는 온라인으로 양식을 만들어 그 링크를 대상자에게 문자메시지로 배포하는 방법이었다. 온라인 설문조사 양식을 통해 총 287부의 설문 응답이 수집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 261부의 설문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에 사용된 질문지의 내용은 경찰관의 드론 활용에 대한 인식, 드론 도입 시 우려되는 문제점 및 개선 필요 사항 등에 대한 분석을 했다. 구성된 설문 문항들의 초안을 현장 경찰관 3명에게 보내 검토를 받았다. 최종적으로 사용된 설문 문항 목록은 부록에 제시되어 있다. 자료 분석 본 연구는 모집단은 2022년 현재 몽골 경찰에 소속되어 업무를 수행하는 경찰관들이다. 모집단을 적절하게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몽골경찰청과 산하 경찰서에 소속된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찰의 경무, 창문, 수사, 교통, 공공안전 등 다양한 직무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특정 부서에 한정하지 않았다. 연구 대상 인원인 모집단인 몽골 경찰을 대표할 수 있도록 몽골 경찰청 소속 경찰관 인원 261명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12월 25일부터 2022년 3월까지 3개월 동안 진행하였으며, 연구자가 연구 취지와 목적을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유학 공부함으로써 대면 접촉을 통한 설문에 어려움이 있었고 모바을, PC 등을 활용한 구글폼(Google form) 설문 방식을 활용하였다. 5. 잠정적 목차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범위 제 2 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제1절 드론의 개념 1. 드론의 역사 2. 드론의 정의 3. 드론의 종류 4. 드론 활용의 장점과 단점 제 2 절 몽골 경찰의 조직과 기능 1. 몽골 경찰의 개관 2. 몽골경찰의 조직 제 3 절 선행연구 검토 1. 경찰드론 선행연구 2. 몽골 드론 활용 현황 제 4 절 경찰드론의 국내외 활용 사례 1. 해외 경찰의 드론 활용 사례 2. 몽골 경찰의 드론 활용 사례 제 3 장 연구 방법 제 1 절 연구 대상 및 설문도구 제 2 절 연구 절차 제 3 절 자료 분석 제 4 장 연구 결과 및 해석 제 1 절 연구 결과 제 2 절 몽골 경찰의 효과적인 드론 운영 방안과 앞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 제 5 장 결론 참고문헌 6. 참고문헌 법률 1. 몽골 헌법. 올란바타르., 1992년 2. 정보법. 올란바타르., 1999년 3. 민법. 올란바타르., 2002년 4. 경찰법. 올란바타르., 2017년 5. 공무원법. 올란바타르., 2017년 6. 몽골 인권위원회에 관한 법. 올란바타르., 2020년 7. University of Internal Affairs, Journal of Law Theory and Methodology, 2017 도서 민진규・박재희. (2019).『드론학 개론』. 도서출판 배움 이건수・박준모. (2020).『국가드론자격증 및 공무원 준비를 위한 드론범죄수사론』 도서출정독 이병석・권희촌. (2018). 『드론, 생명을 살리다』. 글로벌, 필통 장문기. (2017). 『Drone in 드론』. 호영피앤씨 장성기・백옥희. (2020). 『드론, 새로운 새상을 만나다』. 크라운출판사 Ch.Terbish. Radio frequency spectrum requirements, technical specifications and regulations for the safe operation of unmanned aerial systems (research). Ulaanbaatar, 2016. Page 논문, 보고서 인터넷 자료 - 강욱. (2020). 공공임무용 드론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 제62호(2020): 65-86 - 강욱・이병석. (2016) 경찰활동에서 드론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60: 3-3 - 김현동・조형빈. (2019) 드론을 활용한 경찰의 범죄예방 효과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5권 제4호(2019): 81-102 - 백승민・백승민. (2018). 드론 활용 시 안전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제6호 - 박종철. (2020). 경찰드론순찰대의 기술 도입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드론연구』 제2권 제1호(2020년 봄) - 오세일 (2015). 민간용 드론활용 연구.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15-318 - 이창우・강욱. (2019). 치안활동 분야별 드론의 활용가능성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18권 제3호2019년 가을 pp. 115~138 - 설광섭・김주찬. (2020) 치안드론의 도입에 대한 일반국민과 경찰관의 인식비교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no.65, pp. 377-396 (20 pages) - 장관종・김선주. (2019). 국가 중요시설 항공보안을 위한 안티드론 시스템 도입검토 - 진병동・전영태. (2018) 세계 각국의 치안드론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드론연구』 , 창간호(2018년 가을) - 최상기・우대식. (2019). 실종자 신속구조를 위한 효율적인 드론수색방법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 19(2), 2019.6, 191-216(26 pages) - 최종술. ‘드론의 공공분야 활용 사례와 운용방안 연구’, 동의대학교 지방자치 연구소 『공공정책연구』 ㅈ33집 2호 2017.2.28. 167-183면 - Ch.Terbish. (2016). 무선주파수 스펙트럼 요건, 기술사양 및 무인항공기(연구)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규정. 울란바토르. p.4 인터넷 자료 1. https://droneii.com/product/drone-market-report 2. https://www.oxfordlearnersdictionaries.com/definition/english/ 3. https://www.un.org/en/ 4. https://faa.gov/ 5. https://www.urbandictionary.com/define.php?term=Dron 6. https://www.propelrc.com/history-of-drones/ 7. https://www.dji.com/ 8. https://www.legalinfo.mn/ 9. https://mlsp.gov.mn/content/detail/1261 10. https://csc.gov.mn/home 11. https://zasag.mn/ 12. https://mojha.gov.mn/newmojha/ 13. https://customs.gov.mn/2016-06-29-10-36-09 14. https://nsc.gov.mn/mn 15. https://www.nso.mn/ 16. http://www.rogerclarke.com/SOS/Drones-E.html 17. https://elistair.com/orion-tethered-drone 18. http://airport.gov.mn// 19. https://crc.gov.mn// 20. http://legaldata.mn/b/151 21. https://www.montsame.mn/ 22. https://niss.gov.mn// 23. https:/uia.gov.mn/research/103 24. http://www.wikimon.mn/content/

      • 치안드론을 활용한 농촌지역 범죄예방 연구 : 농작물절도를 중심으로

        박성주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창기 군사용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드론이 이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로 우리 생활에 깊숙하게 들어오고 있다. 이미 많은 국가에서는 드론을 활용해 시설점검, 기상관측, 환경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드론의 활용범위 확대는 공공분야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또한 경찰에서도 실종자 수색용 드론의 도입을 확대하면서 국민의 안전 확보에 기여하는 등 공공분야까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최근 경찰은 재난현장 순찰, 교통단속 등 다양한 치안현장에 드론을 접목시켜서 적극적인 안전 확보가 가능하도록 드론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드론의 성능이 고도화되고, 크기도 다양해짐에 따라 치안드론은 범죄예방과 수사에 있어서 더욱 많은 경찰활동에 적용되고 있으며, 고도의 기술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 치안이 확대 될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 치안의 인프라 확충과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농촌지역은 범죄로부터 안전한 청정지역 이라는 인식이 만연했으며, 실질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활동 범위에서 간과해 치안 사각지대로 소외되었다. 농촌지역은 치안인력 및 인프라 부족, 고령화 현상 등으로 인해서 다양한 범죄에 쉽게 노출되어 있으며, 범죄에 대한 자체 방어능력이 점차 감소되고 있다. 농촌의 일반적인 생활안전과 농업 생산 과정에서의 안전은 다른 산업 또는 도시 지역에 비해 훨씬 열악한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농촌지역의 안전을 철저하게 보장하고 범죄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등 과학기술을 치안활동에 적극적으로 접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는 국민들의 안전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고 일상생활의 안전이 실질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더욱 촘촘한 안전망을 구성해야 한다. 하지만, 한정된 치안인력 및 경찰장비를 통해서는 범죄로부터 평온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양질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한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치안드론을 활용해 농촌의 다양한 범죄예방 활동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특히, 농촌지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농작물절도 예방 방안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모색하였다. 또한, 범죄피해와 관련된 일상활동 이론(routine activity theory)과 역동적집중 이론(Dynamic concentration)을 적용하여 농작물절도 예방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일상활동 이론 중 보호능력의 부재(lack of guardianship)는 드론을 활용할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보완할 수 있어서 범죄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치안드론에 대한 선행연구 대부분이 도심지역 경찰활동의 활용방안에 따른 법적 문제점과 부작용에 대한 언급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와 달리 경찰활동에 있어서 소외되고 있는 농촌지역의 범죄예방과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농작물절도 예방에 초점을 맞춘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에 비해서 독창성과 차별성이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통해 논의하고 대안으로 제시하는 정책적 시사점은 농촌지역에서 치안드론을 도입하고 활용하는데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 집회시위에서의 치안드론 도입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차석연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4차 산업혁명이 급격히 진행되면서 미래 스마트시티의 핵 심 기술인 드론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였다. 최초 군사용으로 개발된 드론은 산업과 생활 전반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형태와 활용 영역을 계속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새로운 산업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 되면서 정부가 주도하는 드론 산업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경 찰 드론이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경찰 드론은 다양한 수 색 현장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으나, ‘수색’ 업무에만 제한 적으로 운용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최근 경찰은 드론의 운용범위를 확장하여 다양한 경찰 업무 에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태원 참사와 노조의 불 법집회 등을 계기로 드론의 필요성과 긍정적인 효과들이 다수 제시되었지만, 개인정보침해 등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특히, 드론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경찰업무 중 집회시위는 국민의 기본권 행사라는 점이 더해 치안드론 도입에 대한 반대가 상 당한데, 이와 관련된 논의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찰이 집회시위로 치안드론의 운용 범위 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쟁점들을 탐색하고, 해결방 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전 문가 의견 조사를 병행했는데,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드론과 집회시위에 대한 개념, 해외 치안 분야에서의 드론 활용 사례, 드론 도입에 관한 기본적인 쟁점들을 탐색한 후 집회시위, 법· 제도, 드론 기술 분야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추가적인 쟁점 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회시위에 치안드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법적 근거와 사용 절차가 명확하게 정리되어야 하며, 안전성 확보와 국민의 지지가 중요하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개정 ‘경찰 무인비행장치 운용규칙’ 제9조의 운용범위에 대한 명확한 해석, 드론 구매절차 개선, 안전 기준을 담은 매뉴얼 마련, 안전장치 부착, 사고 이후 보상 체계 정비, 정확한 정보 와 국민 참여를 통한 정책 홍보 등을 제시했는데, 특히 논란의 핵심인 개인정보 침해 우려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촬영 결과물에 대한 보관, 삭제, 사용 기준 정비·공개와 열람 또는 이의 제기와 같이 비례의 원칙을 준수한 균형잡힌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집회시위에 치안드론을 활용하는 문제는 새로운 경찰 장비를 도입하는 것을 넘어, 국민의 기본권이 연관되고, 경찰 활동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중요한 사안이다. 집회시위에 치안드론을 운용하면서 본 연구가 제시한 쟁점들이 참고자료 로 활용되기 바라며, 심도있고 종합적인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 를 기대한다. 주요어 : 치안드론, 집회시위, 경찰 무인비행장치, 개인정보, 채증 학 번 : 20221309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gresses rapidly, the drone industry has also developed swiftly. In line with this trend, amid intensifying competition to gain a foothold in this emerging industry, the operation of police drones has been initiated as part of a government-led policy to foster the drone industry. While police drones have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iveness in various search operations, they have faced criticism for being primarily limited to 'search' tasks. Recently, the police have put forth plans to broaden the operational scope of drones and employ them in various police tasks. Despite the presented necessity and positive impacts of drones following incidents such as the Itaewon disaster and illegal union gatherings, concerns persist regarding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Notably, there is substantial opposition to the introduction of security drones, particularly concerning assembly demonstrations, as they constitute an exercise of citizens' basic righ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and research in this regard. Consequ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ssues that the police should consider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operational scope of security drones to include demonstrations and to propose solution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and an expert opinion survey. The literature study delved into the concepts of drones and demonstrations, cases of drone use in overseas public security, and fundamental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drones. Additional issues were identified, and solutions were presente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The study concludes that, for the utilization of security drones in rallies, a clear legal basis and operational procedures must be outlined, and ensuring safety and garnering public support are crucial.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include a clear interpretation of the operational scope of Article 9 of the revised 'Polic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ion Rules,' enhanced drone purchase procedures, the development of a manual containing safety standards, attachment of safety devices, establishment of a compensation system after an accident, provision of accurate inform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Particularly, to address concerns about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 balanced approach adhering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suggested. In conclusion, the issue of using security drones in protests transcends the introduction of new police equipment. It involves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transforms the paradigm of police activities. The study hopes that the issues presented will serve as reference materials for using security drones in demonstrations and encourages further in-depth and comprehensive follow-up research. keywords : Drone, Police, Security Drone, Demonstration, Rally Student Number : 20221309

      • 자치경찰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부산시민의 자치경찰에 대한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김종철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63

        2021년 7월 1일 드디어 자치경찰 시대가 열렸다. 76년간 유지되던 국가경찰을 자치경찰체제로 전환한 것이다. 국가운영체계는 물론 시민들의 일상생활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국가경찰체제에서는 경찰청에서 하달하는 시책 중심으로 치안행정을 펼쳐 왔다면 이제는 지역주민의 Needs와 Wants를 반영한 맞춤형 치안시책을 강구해야 한다. 하지만, 자연환경, 안전에 대한 기대 등에 차이가 있는 만큼, 시간이 지나면 지자체의 관심과 투자, 치안행정과 지방행정의 연계 정도에 따라 지자체간 치안역량과 수준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특히, 부산은 공단과 항만, 해안과 산지가 공존하고 있고, 고령인구와 1인 가구의 빠른 증가, 열악한 교통환경 등 치안수요가 복잡다단한데, 이것이 바로 부산형 모델이 필요한 이유이다. 먼저, 부산시민에게 맞춤형 치안시책을 제공하기 위해 자치경찰사무의 구체적인 사항과 범위를 명확하게 하였다. 또한, 자치경찰사무 담당 직원들의 사기진작을 위해 복지후생 범위를 사무국과 생활안전, 여성청소년, 교통은 물론 지역경찰까지 확대하였고, 무기계약직 등 일반 직원들도 포함시켰다. 한편, 부산시민 2,0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자치경찰에 대한 인지도는 여성보다 남성이, 그리고 50대, 6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치경찰제도가 지역치안 향상에 도움이 될지 기대치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고, 60대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치경찰 사무 중 여성, 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지원하는 업무의 비중이 많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된다. 주민의 생활안전이 위협받는 장소는 주거지역, 유흥-번화가 순으로 나타났는데, 남성은 유흥-번화가에, 여성은 주거지역에 대한 응답율이 높았다. 범죄예방에 효과적인 경찰활동은 범죄예방시설 설치, 범죄 취약지 개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성별과 연령대에서 범죄예방시설 설치가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주민참여가 필요한 활동으로는 모든 성별과 연령대에서 범죄취약지 환경개선 참여를 꼽았다. 한편, 사회질서 유지에 효과적인 경찰활동으로 경범죄 위반행위 단속이 꼽혔는데, 경찰이 일상생활의 평온을 해하는 음주소란, 무전취식 등에 적극 대응해 오지 않았다는 반증이라고 해석된다. 시급하게 근절해야 할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로는 학교폭력 등 청소년 범죄, 성범죄, 아동학대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는 음주운전, 난폭-보복운전 등이 거론되었고, 교통약자 보호를 위해 필요한 경찰활동은 시설물 개선, 단속강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치경찰이 도입되면 지역 맞춤형 치안서비스 제공, 경찰-지역주민간 협업과 참여-소통 증진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자치경찰위원회의 역할에 대해서도 맞춤형 치안시책 시행, 정치적 중립성 유지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자치경찰제도의 조기 안정화를 위해, 시민의 관심과 참여 지속 유도, 교통 범칙금과 과태료 등 국가로 들어가는 세외수입을 지자체로 가져오는 등 안정적인 예산 확보, 치안행정과 지방행정간 연계성 제고, 지역에 특화된 치안시책 개발, 경찰과 지자체에 산재해 있는 범죄예방 자원 통합 관리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다만, 자치경찰의 조기 정착에 역점을 두다 보니, 부작용에 대해 소홀하게 다룬 면이 없지 않다. 또한, 최근 윤석열 정부에서 이원화된 자치경찰제를 통한 자치경찰권 강화를 발표했는데, 현재의 일원화 모델을 기반으로 발전방향을 제시한 결과 조직분리 방안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부족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The era of local autonomous police have opened since July 1, 2021, after the years of discussion and preparation. The national police system which had been maintained for 76 years was just converted into the local autonomous police system. It is anticipated that a great change will happen in operating system of state as well as daily lives of citizens. In the national police system, if security administration has been centered on measures deliver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it is now necessary to devise customized security measures that reflect the needs and wishes of local residents. However, a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xpectations for safety, there may be differences in security capabilities and levels between local governments depending on the interest and invest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degree of linkage between security administration and local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Busan has industrial complexes, ports, coasts, and mountainous areas, and security demand is complicated, such as a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oor transportation environment, which is why a Busan-type local autonomous police model is needed. First, 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security policies to Busan citizens, the specific matters and scope of autonomous police affairs were clarified. In addition, the scope of welfare benefits was expanded to the police officers who work in the secretariat, departments of life safety, women and youth, transportation, as well as local police to boost the morale of employees in charge of autonomous police affairs, and general employees such as indefinite contract workers were included. Meanwhile, a survey of 2,048 Busan citizens was conducted, and the recogni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was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and in their 50s and 60s. Women were higher than men in expectations tha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ould help improve regional security, and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were higher. This is mainly related to the large proportion of affairs of autonomous police which is to protect and support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women and the elderly. Specifically, the response rate was high in residential areas, entertainment-downtown areas, where safety was threatened, while men felt that they were threatened in entertainment-downtown areas and women felt that they were not safe in residential areas. The most effective police activities for crime prevention were the installation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improvement of vulnerable areas. It wa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hat the installation of crime prevention facilities was the most effective in all gender and age groups. For activities that require residents’ participation, all gender and age groups consider participating in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vulnerable crime areas. On the other hand, the crackdown on misdemeanor violations was cited as an effective police activity to maintain social order, which is interpreted as proof that the police have not actively responded to alcohol disorder, sleeping and eating without money that harm the peace of daily life. Crimes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ich should be eradicated urgently, were juvenile crimes such as school violence, sex crimes, and child abuse in order. Drunk driving and violent-revenge driving were mentioned as factors that threaten traffic safety, and police activities necessary to protect the vulnerable were in the order of improving facilities and strengthening crackdowns.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would contribute to providing local customized security services, and the enhancement of cooperation-participation-communication between police and local residents. As for the role of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it was anticipated to play a key role in implementing customized security measures, maintaining political neutrality Based on this analysis, policy implications for early stabiliz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to induce citizens' interest and participation, secure a stable budget, improve the connection between security administration and local administration, and integrate crime prevention resources. However, as the emphasis is on the early settlement of the autonomous police, there is a side effect that has been neglected. In addition,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recently announced the strengthening of autonomous police rights through a dualized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as a result of suggesting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current unified model, it was regrettable that further research on organizational segregation was insufficient.

      • 치안드론 활용범위의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문광선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과학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는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경찰에서도 이에 맞춰 첨단 과학기술을 치안업무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 그 중에서 드론의 경우 4차 산업혁명의 기술개발 물품 중 경찰청에서 가장 우선 도입한 장비이다. 기존 군용으로 개발된 무인비행장치인 드론은 주요 기술의 상용화, 대중화에 따라 촬영, 농업 등 민간용으로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환경오염 감시, 측량 등 공공용으로도 활용범위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경찰청에서도 이에 따라 실종자 수색용으로 드론을 도입하고 관련 규정인 「경찰 무인비행장치 운용규칙」을 제정하고, 운용요원을 선발하는 등 드론을 치안업무에 활용하려고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활용범위가 실종자 수색용으로 극히 제한되어 있고, 기체의 가격이 고가로 일선 경찰관서까지 보급이 되지 않아 그 활용범위가 많이 제한되고 있다. 영상을 촬영하는 장비의 특성상 시민들의 기본권 침해 가능성 등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드론의 활용에 있어 제한되어야 할 부분은 있지만, 이는 활용과정에서 규정, 절차 등으로 규정할 수 있는 부분인데 활용목적 자체를 제한하는 것은 드론의 장점을 치안업무에 접목시키는데 많은 제약을 가지게 하고 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안 업무에 드론을 활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어느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지 그 기준 설정 및 기준에 따른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치안 분야에 드론을 활용하기 위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드론의 도입에 긍정적인 연구 결과가 많았지만 긍정적인 의견 제시를 넘어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에 의해 평가를 해야 하며 어떤 분야가 드론을 활용하기에 적합한지에 대한 연구는 일부 연구에서만 수행되었고 실증적인 연구도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경찰청 공무원 중 드론과 관련되어 활동하거나 운용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종자 수색 업무 외에 치안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 설정과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결과를 델파이 조사 기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평가기준의 경우 총 7가지가 도출되었고, 목적달성 기여도, 법적 허용 가능성, 경찰조직 내부 수용성, 인력 대체 효과, 예산 절감 효과, 기술실현 가능성, 시민들의 수용성 순으로 그 중요성이 평가되었다. 이같은 평가기준에 의한 활용 가능 분야 8가지에 대한 평가 결과 대테러 작전, 교통 단속, 청사 순찰, 여성안심귀가 서비스, 우범지역 순찰, 마약 단속, 용의자 추적, 집회시위 관리 순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경찰 및 드론 전문가 대상으로 드론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기준과 평가결과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결과 도출이라는 의미가 있지만, 일부 한계도 존재한다. 전문가 집단 선발 과정에서 대표성의 문제가 있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으며, 기준 설정 시 용어의 명확성이 다소 부족해서 전문가별로 그 용어를 해석하는 개념차이가 존재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드론의 치안활동 접목 가능성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한 부분에서는 의의가 있으며,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한 추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대상자 특성이 경찰 물리력 행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물리력 사용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창용 경찰대학교 치안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For the sake of public peace and order, the police exercise general rule through the power of coercion and order, and the physical force of the police is used as a tool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ir power. Proper use of physical force in the process of executing such police duties will play a role in protecting the lives, bodi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and ensuring the safety of the police themselves. However, the use of physical force by the police should be used to the minimum extent permitted by the law because it is inherently a violation of the basic rights of the general public and can harm the property, body, and sometimes life of the subject. This is becaus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has become a modest event for the use of police physical force through strict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measures to prevent abuse of police physical force, such as the principle of excessive prohibition. However, the police's inability to actively respond to crimes has weakened public power, led to social criticism for failing to protect public safety, such as arresting suspects and protecting victims. In the past, the police's active use of physical force has repeatedly led to the police's negative use of physical force, which has led to the police's right choice of avoiding disciplinary action rather than excessive arrest. In response, with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consensus on the use of police physical force to actively respond to crimes, the police implemented the "Rules on the Use of Police Physical Force" in the National Police Agency's Regulations on November 24, 2019. However, at the time of the revision of the rules, research proceeded on domestic laws and judicial precedents, but there were no previous studies or cases in domestic regarding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the use of physical force, and research focused on overseas cases. There was a limit to what he had to do, and it was only an unavoidable choice in the actual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related rules were first implemented. Now that one year has passed since then, we are analyzing the use cases of the physical force of the police in the front line area that have been accumulated so far. and aims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police physical force exercise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conducted in the existing overseas prior research. To this end, we analyzed whether the subject's human factors, such as the subject's gender, drunkenness and physique, and the subject's attitude, such as the subject's resistance, weapon possession, and escape situation, affect the police officer's exercise of physical force. The research method is to collect domestic and foreign theoretical books, research reports and papers, conduct literature research, collect quantitative data, statistical and analytical methods, and use SPSS as an analytical tool.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stance, gender, physique and the existence of weapon was confirmed based on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police, and the degree of influence was confirmed by polynomial logistic regression. At this time, the analysis the degree of resistance of the subject, which is likely to have the most influence on the degree of police force, was conducted. Through this, the effect of the subject's degree of resistance on other variables was also verified. as a variable that affects when the degree of police force increases from contact control to low-risk physical force, it was verified that the subject's resistance level was active resistance, violent attack, and fatal attack compared to passive resistance. and with respect to the gender of the subject, it was verified that if the subject was male compared to female, and the body type of the subject was tall compared to dwarf. as a variable that affects when the police force level rises to medium-risk physical force compared to contact control, it was verified that the subject's resistance level was violent versus fatal attack versus passive resistance.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the degree of police force was the degree of resistance of the subject. This study was the first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police force exercise, which were verified in previous overseas studies, targeting domestic physical force exercise data. in particular, although it has not been verified in previous overseas studies, it was attempted to have a multifaceted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ubject's physique on the degree of physical force exercise, which was a factor that required verification in Korea's judicial system and public security environment. Considering that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or one ye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ules on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police force exercise in Korea,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such as cross-sectional analysis and multi-level analysis including regional factors.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the discussion for establishing the theory of police physics suitable for the 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will be activated. 경찰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위하여 강제와 명령이라는 권력 작용을 통해 일반통치권을 행사하고 경찰의 물리력 행사는 그 권력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경찰 직무집행 과정에서 물리력의 적정한 행사는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에 대한 보호와 더불어 경찰 본인의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경찰의 물리력 행사는 본질적으로 일반 국민의 기본권 침해를 넘어서 대상자의 재산과 신체 때로는 생명에까지 피해를 줄 수 있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어 법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필요 최소한도로 사용되어야 한다. 경찰 물리력 행사는 이런 특수성으로 인해 헌법상 비례 원칙, 과잉 금지 원칙 등과 같은 경찰의 물리력 남용 방지를 위한 경찰 내·외부의 엄격한 통제 수단 등을 통해 소극적으로 행사되게 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물리력의 억제는 그 역기능으로 경찰이 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함으로 인한 공권력의 약화와 피의자 검거 및 피해자 보호 등 공공안전을 수호하지 못한 사회적 비난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과거 경찰의 적극적 물리력 행사 결과가 피의자 인권문제로 야기되는 사례가 반복되면서 경찰 내부에서 물리력의 소극적 사용을 지향하고 무리한 검거보다는 미검거가 경찰 개인으로서는 징계를 피하는 옳은 선택이 되는 분위기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범죄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위한 경찰의 물리력 행사 제도 마련의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경찰은 2019. 11. 24. 경찰청 예규로 ‘경찰 물리력 행사의 기준과 방법에 관한 규칙’을 시행하여 경찰 물리력 행사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규칙의 개정 당시 관련 근거는 국내 법률과 판례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물리력 사용의 원칙과 기준에 관하여는 국내 선행 연구 및 사례가 전무하여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고 이는 관련 규칙을 처음 시행하는 당시 실정에서 불가피한 선택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후 시행 1년이 지난 현재 그간 누적된 일선 지역 경찰의 물리력 사용사례를 분석하여 기존 해외 선행 연구에서 진행하였던 양적 분석을 통한 검증을 통해 국내 경찰 물리력 행사의 특성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자의 성별, 주취 및 체격 정도 등과 같은 대상자의 인적 요소와 대상자의 저항 정도, 무기 소지, 도주 상황 등과 같은 대상자의 태도가 경찰관의 물리력 행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이론서, 연구보고서 및 논문 등을 수집하여 문헌 연구를 시행하고 양적 자료 수집과 통계・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하며, 분석 도구는 SPS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교차 분석을 통해 경찰 물리력 정도를 기준으로 대상자 저항 정도, 성별, 체격, 흉기 유무에 대하여 관련성이 확인되었고, 그 영향을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한 바, 경찰 물리력의 접촉 통제 대비 저위험 물리력의 정도 변화와 대상자 저항 정도는 소극적 저항 대비 적극적 저항, 폭력적 공격, 치명적 공격일 때,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 대비 남성일 경우 그리고 대상자의 체형은 왜소 대비 다부진 체격 및 거구일 경우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경찰 물리력의 접촉 통제 대비 중위험 물리력의 정도 변화와 대상자 저항 정도는 소극적 저항 대비 폭력적 공격, 치명적 공격일 때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어 경찰 물리력 정도에 가장 영향력을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대상자 저항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외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경찰 물리력 행사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국내 물리력 행사 자료를 대상으로 최초로 검증을 실시하였고, 특히 해외 선행 연구에서 검증한 바 없지만 우리나라 사법 체계 및 치안 환경상 검증이 필요한 요소였던 대상자의 체격이 물리력 행사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분석함으로써, 다각적인 관점을 가지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에 경찰 물리력 행사의 기준과 방법에 관한 규칙이 제정된 이후 1년간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이 진행된 점으로 보았을 때 종단적 분석과 지역적 요인을 포함한 다수준 분석 등 관련 후속 연구를 진행하여, 우리나라 치안 환경에 맞는 경찰물리력 이론의 정립을 위한 논의가 활성화되길 바란다.

      •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주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범죄가 복잡해지고 지능화되면서 다른 어느 때보다 치안현장의 문제해결을 위해 경찰관에게 전문가로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으며, 검경 수사권조정과 자치경찰제 시행 등으로 치안환경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경찰조직의 조직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공공조직에서 주목받고 있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인식 수준을 측정하고,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자치경찰제 전면 시행 등 치안환경 여건을 고려하여 제주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무특성은 기술다양성, 직무중요성, 직무자율성, 직무정체성, 환류로 설정하여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세부 하위요인을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직업 소명의식,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 자율성에 대한 신념을 정의하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과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때, 조직몰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개인적인 특성 변수와 직무스트레스를 상황적 변수로 추가하여 통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제주에서 근무하는 시도경찰청 및 경찰서 소속 경정 이하의 경찰관 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7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기초적인 통계자료를 제시하고, 부서, 경력 등 집단별로 주요 변수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ANOVA, T-test 및 변수들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매개회귀분석과 Sobel test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 경찰관의 직무특성 중 직무중요성과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하위요인에 있어서는 자율성에 대한 신념을 제외한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직업 소명의식,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이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관련해서는 하위요인별로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은 직무특성 중 직무중요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으며,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과 직업 소명의식은 직무자율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경찰관들의 조직몰입에 직무특성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관련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서 경찰관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 인식 수준을 측정하고, 관련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겠다. 결론적으로 경찰조직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찰의 직무특성 중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직무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권한 위임, 직무재설계를 통해 직무의 재량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경찰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치안 인력의 관리시스템이 개선하기 위해 경찰관 개개인이 자신의 전문성 개발에 노력할 수 있도록 직급별, 세대별로 적절한 경력개발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경찰 정보 수집·처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기환 경찰대학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은 건국 이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행해 져 왔고 현재까지 경찰 정보는 국가정보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경찰이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는 법적근 거를 마련하기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1953년 처음 제정된 경찰관직무집행법은 경찰 작용법으로 기능하였지만 입 법 초기부터 경찰의 정보 수집·처리 권한을 부여하지는 않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은 계속되어 왔고, 1981년에 비로소 임무규정으로 ‘치안정보의 수집·작성 및 배 포’ 규정이 마련되었다.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은 권력적 작용으 로써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행위임에도 동법은 2021년 경 찰관직무집행법이 개정될 때까지 정보 수집·처리의 수권규정 이 마련되지 않았다. 더욱이 ‘치안정보’라는 애매한 해석에 기 대어 시행령과 시행규칙으로 수집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범 위에 걸쳐 정보수집활동을 계속하여 왔다. 그 결과 경찰 정보 의 폐단이 드러나기 시작하였고 2018년 경찰개혁과 맞물려 출 범한 경찰개혁위원회는 정보경찰 개혁에 박차를 가하였다. 경 찰개혁은 2021년 3월 경찰관직무집행법의 개정으로 결실을 맺 었고, 개정 내용 중 돋보이는 것은 ‘치안정보’의 삭제와 함께 제8조의2 규정을 신설하여 경찰의 정보 수집·처리의 수권규범 을 마련한 것이다. 이로써 경찰은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 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경찰관직무집행법의 개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 고 있다. 먼저 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전면 개정 없이 일부개 정을 통한 소수 규정의 수정·보완은 경찰법 전반적인 이론을 내포하지 못하였고, 경찰권 발동의 기초되는 일반이론과 통제 장치의 결여로 경찰 정보의 폐단이 불거질 여지를 남기고 있 다. 또한 동법 제8조의2 제1항의 규정은 정보수집에 대한 일반 조항 형식으로 규정되어 있어 그 범위와 대상,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해석 가능성과 ‘위험의 예방’을 위한 정보 수집·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정보수집활동으로 경찰이 위험과 관련된 정 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이를 방지하고 예방하는 것은 경찰의 직무에 충실한 것이지만, 동시에 정보수집의 대상이 되는 국민 의 정보의 자기결정권 및 사생활의 자유 등의 기본권을 침해 하는 행위이다. 위험방지를 위한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은 국민 의 기본권 보호와 대립되는 긴장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따라 서 경찰 정보의 범위와 대상, 그리고 수집·처리의 방법은 명확 하게 규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정보 수집·처리의 근거규정과 별개로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규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경찰 의 정보수집활동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의 보호와의 불균형 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현행 경찰관직무집행법에 대한 한 계 검토와 앞으로의 추가적인 개정 필요성이 제기된다. 경찰 정보 수집·처리의 개선방안은 기본원칙에 충실한 경찰 작용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통제장치의 마련이다. 또한 일반규정 형식으로 규정된 근거조항의 범위와 대상, 방법의 한계를 설정 하는 것이다. 이로써 경찰이 정보수집의 목적달성과 제한되는 기본권과의 조화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위임입법 된 정 책정보와 신원조회는 그 필요성에 따라 입법적 규율이 필요하 고 위임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엄 격히 해석하고 경찰의 정보활동 범위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경찰관직무집행법, 공공의 안녕, 위험의 예방과 대응, 정 보경찰, 경찰의 정보 수집·처리 학 번 : 202213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