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터페이스를 접목시킨 거대건축공간디자인 : 마을의 수평, 수직으로의 확장개념으로

        김수봉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6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10 No.-

        현대 도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그 영역을 무한히 확장해가고 있다. 도시가 커지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밀도의 문제이다. 도심의 밀도가 계속 증가하면서 한정된 면적에서 최대의 효과를 얻어내기 위해, 고층의 거대한 건물이 많이 지어지게 된다. 우리가 경험하는 건축 공간은 평면적 혹은 수평적 개념으로서의 확장성에 더 많은 성격을 부여하고 있는데 그것은 인간과 물류의 수평적인 이동에 따른 오랜 체험의 역사 내에서 기인됨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건축 및 공학기술의 발달로 수직 이동이 가능하여짐에 따라 수평적 이동은 수직적 이동과 동시에 교차되어 나타나는데 그 가운데서도 공간 영역의 수직적 이동이 주된 특성으로서 초고층 건축물이 대표하게 된다. 이처럼 이동에 따른 방향성을 지닌 공간은 일련의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그러한 관계를 통하여 공간의 특성과 정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관계 형성은 중심과 주변, 부분과 전체, 전과 후, 좌와 우 그리고 위와 아래 등의 연결로서 나타나게 된다. 특히 건축에서의 수직 공간은 역동적 힘 즉 인간 행동의 자유 의지라는 표상으로서 나타나는 현상이 만들어낸 공간인 만큼 건축공간의 수직성은 연속되는 공간들의 수평적 확장에 대한 역동성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특히 초고층 건축물이 지니는 공간의 수직 개념은 단순한 수직 이동 혹은 형태적 높이를 규정지어 주는 의미로서가 아니라 평면적 기능의 적층화된 집적 기능으로서 다시 말해서 수평공간의 수직적인 공간 연결과 관계를 이루는 확장성 차원에서 정의 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에 인터넷, 휴대폰 등 디지털 기술의 등장으로 인하여 인간집단의 공성과 사성이 변해가고 있으며 그 행위패턴은 엄청나게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건축공간의 한계로 인한 공공공간과 사적공간의 구분은 이러한 다양한 행위패턴을 만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아파트단지에서의 공공공간과 사적인 공간의 명확한 구분은 그 자체로서의 역할을 못해주고 있다. 오히려 우리 전통마을에서의 공공공간과 사적공간 사이의 반공공간, 반사적공간의 매개공간이 그 역할을 훨씬 더 잘해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현재의 단일 평면, 단일 프로그램의 수직적층이 아닌 다양한 평면과 프로그램의 매끄러운 수직적 확장으로 또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디자인을 통하여 그 미로성과 공간의 확장을 접목시킨 새로운 거대건축의 패러다임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Modern cities continuously grew up to expand their areas infinitely. Urban cities were expanded to create a lot of problems including downtown density. The downtown increased density continuously to construct many tall buildings and produce maximum effects at limited space. Men experienced horizontal or plane architectural space to have priority to expansion that was originated from long time history in accordance with horizontal movement of men and distribution. However, architectural and engineering technology was developed to allow horizontal movement crossing vertical movement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skyscrapers represented features of vertical movement at spacial area. The directional space made by movement formed relations to connect center and adjacent areas, a part and total area, front and rear, left side and right side, and top and bottom, etc. In particular, the architecture's vertical space expressed dynamic power, in other words, freedom will of human behaviour to indicate dynamism made by horizontal expansion of continuous spaces. Therefore, the vertical concept of spaces that skyscrapers showed not simple vertical movement and formative height but integrated function having layers of plane functions that should be defined from point of view of expansion of relations of spacial connection between horizontal space and vertical space. At the moment, Internet, mobile phone and other digital technologies made appearance to make change of public and private characteristics of human groups and to diversify behavioral patterns greatly. However, limited architectural space classified space into public space and private space not to satisfy a variety of behavioral patterns. For instance, apartment complex clearly classified space into both spaces to be difficult to play roles of the spaces. On the other hand, folk villages of Korea had mediate spaces enough to play such roles, for instance, semi-public space and semi-private space, etc. The study examined current single plane from such point of view and vertical expansion not by vertical layers of single program but by smooth and vertical expansion of the program and a maze having spacial expansion through digital interface designs to suggest new paradigm of skyscrapers.

      • Image Framing 기법을 이용한 Urban Skinscape

        나성은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7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11 No.-

        This study starts from the interest on the personal image and extends to the exploration on how the immateriality is physically substantialized through a mutual connection and response between the personal image and the construction. In the 21st century, we are living in an era of image and an era of digital revolution. The images in this image era became a part of our daily experiences through films, television, and brilliant advertisements and has been used as a architectural expression. Also, the city in the image era is interpreted as an environment rather than construction. Economic efficiency and functionality which were standards of human value for a long time are now being replaced by more personal and emotional images such a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the user, upon the advent of information based society. Today where the image is the reality, it seems the modern city architecture theories that emphasize function or efficiency is no longer meaningful. Through post modern experiments, the modern construction and major city discussions were naturally connected to various science fields, and the architecture was no longer a physical substance that simply satisfies the human desire. Instead, architecture and city gained their positions in the intellectual system that conditions the modern civilization. Now, the architecture is interpreted as the physical device that realizes and imposes order on various discussions within reality, and as the device that generates and communicates various meanings in relation to human life. For this, architects attempt to present the architecture in efficient ways through such concepts as self reference, text, landscape, fold, machine, and diagram. In particular, modern digital design tools became the foundation of realizing these concepts and provided the architecture with individualism that could not be even imaged in the modern architecture. Digital technology is leading the architecture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difference as opposed to mass production which was the basic foundation that used to back up the modern architecture. Today, as the digital technology is used as a tool of creation rather than a tool of symbol for visualization, digital morphologic creation is playing a decisive role in disposing the identity based traditional architectural methods and moving forward to the architecture of difference. This study is a series of tests of retracing the meaning of images in the architecture in the flow of modern architecture history an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found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process based on the conceptual interpretation on the image as the new direction of expres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age and architecture that is found particularly in the modern architecture. Also, this study expresses interest in the skin which was triggered by the misgivings on the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which brings in the intricacies of the city in a spatial aspect. As raising doubts on whether the space limited to void and solid concepts according to their definition is useful in the high density commercial district and is capable of satisfying the marketabilit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skin as the major concept of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architecture. 본 연구는 개인적인 이미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그것이 건축과의 연장선상에서 어떤 식으로 연관성을 갖고 서로의 영역에 대해 반응하여, 비실체가 어떻게 물리적으로 실체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과정에서 시작되었다. 21세기에 접어든 오늘날 우리는 이미지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또한 디지털 혁명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미지 시대의 이미지는 영화, 텔레비전, 현란한 광고물 등을 통해 우리의 일상적 경험으로 다가 오고 있고 또한 건축적 표현 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미지 시대의 도시는 건축적이기 보다 환경으로서 읽혀진다. 오랫동안 인간 가치의 척도였던 경제성과 기능성은, 지식정보화사회의 도래와 함께 사용자의 정서적 심리적 만족과 같은 보다 개인적이고 감성적인 이미지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이미지가 곧 실제인 지금의 시점에서 더 이상 기능이나 효율성을 강조하는 근대 도시건축이론은 무의미한 것처럼 보인다. 탈근대의 실험은 현대 건축과 도시의 주요 담론들을 다양한 학문 영역들과 자연스럽게 연계시켰으며, 건축은 더 이상 단순히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물리적 실체로만 바라볼 수 없게 되었다. 대신 건축과 도시는 현대 문명을 조건 짓는 지적 체계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이제 건축은 다양한 지적 담론들을 현실 속에서 구현하면서 그들을 통해 질서를 부여하는 물리적 장치로서, 또한 인간의 삶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미를 발생시키고 소통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이를 위하여 건축가들은 자기 지시성, 텍스트, 랜드스케이프, 주름, 기계, 다이아그램 등을 개념을 통하여 건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려 한다. 특히 현대의 디지털 디자인 틀은 이런 생각을 실현시키는 기반이 되었으며, 근대건축이 상상할 수 없던 개별성을 건축에 제공했다. 디지털 기술은 근대건축을 뒷받침하는 근본적인 토대인 대량생산 대신에 차이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건축을 이끌고 있다. 이제 디지털 기술은 시각화를 위한 표상의 도구로서 사용되기보다는 생성의 도구로 사용되면서, 디지털 형태 생성은 동일성에 근거한 전통적인 건축 수법들을 폐기하고 차이의 건축으로 나아가게 하는데 결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대건축의 흐름을 바탕으로 하여 이미지와 건축에 있어서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 현대건축에 드러나는 또 다른 가치로서의 이미지와 건축의 상관성, 특히 현대건축에서 맥락 드러내기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으로서의 이미지에 대한 개념적 해석을 바탕으로 그 건축화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가능성들에 대한 실험이다. 또 하나 공간적 방식으로 도시적 맥락을 끌어들이고 있는 현대 한국건축에 대한 의구심으로 부터 출발한 표피에 대한 관심이 그것이다. 과연 고밀도의 상업가로에서 이들이 설정한 보이드와 솔리드의 개념으로 한정된 공간이 유용한 것이며, 상업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가 하는 의구심과 함께 표피를 도시와 건축의 관계를 설정하는 주요개념으로 설정해 보고자하는 가능성에 대한 탐구이다.

      • Narrative Structure 구성으로 인한 교회건축의 성(聖)과 속(俗) 관계 재설정에 관한 연구

        홍민기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9 No.-

        인간이 종교를 경험하는 것은 매우 다양한 양상에서 비롯되므로 한 두 가지의 카테고리로 설명하기란 쉽지 않지만 한가지 공통이 있다면 인간은 항상 성(聖)과 속(俗)을 구분하며 가능한 한 성과 가까이 있고자 한다는 것, 인간조건의 한계를 느끼고 막연하지만 구원을 갈망한 다는 것이다. 종교적 공간 또한 이러한 이유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곳은 종교인들에게 육신과 정신을 속에서 성으로 정화시키는 유일한 장소였다. 일상적인 생활상을 초월한 특정영역과 관련되는 종교건축에서는 종교적 경험의 요구가 미적 경험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종교건축을 해석하는 일은 건축의 물리적인 분석에 부가하여 종교적 사유체계와 경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종교적 서사구조는 신에게로 다가가는 단계를 공간으로 규정지으며 공간의 위계를 표현한다. 종교개혁 이후 프로테스탄트의 출현은 성도간의 교재를 통한 공동체구현을 목표로 하였고 그로 인해 선교의 중요도가 커지면서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가까워졌다. 이에 따라 교회건축도 변화하였고 성스러운 공간으로 여겨지던 교회에 속 적인 것들이 투입되었다. 속 적인 것의 투입은 절대적인 성스러움의 공간까지 투입되어 공간의 위계가 사라지고 속을 성스러움으로 변화시킴이 아닌 성스러움의 공간을 속으로 변화시키는 현상을 보인다. 교회건축이 구축해야 할 성스러운 공간의 위계와 공동체라는 프로테스탄트 이념의 아이러니에 대한 해결을 위해 Narrative Structure를 삽입한다. 교회건축의 공간 구성은 Narrative Structure를 중심으로 구성됨으로서 공간의 진행에 따른 의미와 공간적 위계를 갖게 된다. 성과 속의 두 Narrative Structure를 대상지에 교차시킴으로 각각의 Garden을 생성시키고 성과 속의 충돌영역을 지정한다. Narrative Structure로 구성되는 성과 속의 공간은 밝음과 어둠, 느림과 빠름의 공간으로 상반된 성격을 갖게 되며 성과 속의 충돌시 생기는 건축적 효과로 속의 공간에 성의 공간으로 인한 빛을 유입시켜 채광하게 함으로서 속의 공간을 성화시키는 효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Narrative Structure를 삽입하여 성과 속의 관계를 재설정하고 공간의 비균질성과 프로테스탄트의 공동체적 교리간의 아이러니를 해결하여 Nrrative Structure로 인한 건축의 가능성을 확인해본다. 성과 속의 충돌 범위와 충돌시 발생하는 건축적 효과를 실험하며 과정중에서 나타나는 성과 속의 분리와 교류에 대해 고찰하고 서사적 공간을 연출한다.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at human beings experience religion into one or two categories since various aspects cause it. However, one of the common features is that human beings have always distinguished sacred from profane and try to stay close to the sacred. That is to say, they feel their limit although it is quite vague; however, they desire for salvation. A religious place is valued for such reasons and it is the only place for religious people to purify their bodies and spirits, to move from the profane to the sacred. In religious architecture, the requirement of religious experienc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rtistic experience. This religious experience is closely related to a certain area within the architecture, in which the experiences of normal daily life are surpas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thought system and the idea of religious experience along with a rigorous analysis of architecture in order to interpret religious architectures_. This narrative structure prescribes the steps to God and expresses the rank of the spaces. With the appearance of the Protestants after the Reformation, new doctrine set a purpose of the embodiment of community through associating it with the sacred. Therefore, the architecture of thechurch was changed and the profane was slipped into the church, previously treated as a sacred place. The profane was brought into the space of the absolute sacred so that there was no longer any hierarchy of space. Eventually, it had the result of changing the sacred spaces into profane spaces, but not vice versa. The Narrative Structure was conceived to solve the irony of the Protestant concept of the community and establish a ranking system of sacred space within the church architecture.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church architecture formed mainly alo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it obtained meaning and spatial rankings_ according to the spatial progression. It focused on the areas of collision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and produced a garden for each by cross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into the designated place. The spaces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formed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were characterized by their opposite features such as brightness and darkness, slowness and fastness. They present the effect of the sacred on earthly space by light, with the light formed by the insertion of the sacred place into the profane space, produc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sacredand the profane. This study uses the concept of Narrative Structure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and to solve the irony between Protestant religious doctrines_ and the inequality of the space within the church. Therefore, it confirms the possibility of an architecture created by a Narrative Structure. It experiments with the architectural effect and the range of possibilities when the sacred and profane collide and in the process it investigates the interchange and separation of the sacred and profane, creating the narrative space.

      • 마그리트의 '낯설게 하기' 회화 수법을 응용한 건축설계안 : Row House Renovation 계획

        김효영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9 No.-

        1920년대에서부터 문학과 회화에서 활발하게 벌어졌던 초현실주의 운동은 세계대전의 혼돈아래 합리주의가 도달한 막다른 길에 대한 반격과 타개로 인간 상상력의 해방과 일체의 제약에서 벗어난 사고의 기록을 추구했던 운동으로, 회화분야에서는 가장 주요한 전략인 '낯설게 하기'를 통해 '오브제의 개체 해방'을 실현하였다. 이러한 초현실주의의 '낯설게 하기' 전략은 모든 예술장르에 많은 영향을 끼쳐 현재까지도 주요한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에서도 이미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실제로 러시아의 구성주의와 이탈리아의 합리주의는 초현실주의의 직접적인 영향아래 있었으며, 현대에는 신합리주의와 네오-모더니즘, 해체주의로 이어지며 '낯설게 하기'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이미 현대의 도시는 초현실주의적 형식의 시각어휘가 너무도 흔해져서 새로움조차 의식하지 못하게 된 포스트-초현실주의 문화 속에, 익숙한 낯설음을 지나치며 살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시 마그리트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의 회화가 가지고 있는 일상성과 낯설음의 지속성 때문이다. 그는 일반적 초현실주의 작가와는 상이한 주제 및 방법론을 사용한다. 초현실주의의 화가들이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자동주의'와 같은 우연성의 기법들을 발명하며 기괴함의 형태로 충격적으로 그려내는 반면, 그는 정밀한 전통적 구상의 표현으로 일상적인 오브제를 사용하면서도 오브제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며 낯선 순간들을 만들어낸다. 일상성 뒤에 한 겹 가리워 진 낯선 관계는 관찰자의 사고작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낯설음이다. 거주라는 건축의 기능적 속성은 건축을 항상 일상으로 창조하기 때문에 새로움이나 낯설음을 거의 불가능하게 하는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마그리트의 회화에서는 일상성이 지속적인 낯설음을 만들어내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기이한 형상의 피상적 낯설음을 뛰어넘어 사물의 본질과 현실(reality)에 대한 사유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낯설게 하기'의 전략을 이용하여 건축의 불가피한 일상성을 통해 낯설음의 순간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며 건축에서의 풍부한 경험적 사건과 일상 또는 건축 그 자체에 대한 인식에 대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건축의 형상과 기능, 행위에 독립적인 의미의 고찰과 관계를 통한 새로운 경험과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일상에 대한 본질적 직시와 끊임없는 사유의 발생에 의해 시정을 환기시키는 더욱 의식적인 '낯설게 하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계속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Surrealism, the cultural movement, which began actively in 1920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visual art, was to make a full documentary of human mind and imagination without any bounds or limits against the rationalism after the world war. Surrealists proposed the strategic method in their painting that called 'depaysement' in which the artists could liberate objects from the system of a pictorial context and a common recognition.' Depaysement' has been the main strategy in other artistic genr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modern architecture such as Russian Constructivism and Italian Rationalism leading to Neo-rationalism. Neo-modernism and Deconstructivism. The post-surrealistic cultural era supplies surplus of unfamiliar expressions such that no one perceives the ordinary. In other words, the novelty of surrealistic impact seems to has disappeared. The reason we should focus on Rene Magritte is that he kept his study of everyday common experiences with unfamiliar strange perception. He worked with different themes and methods from other surrealist artists. While they used techniques such as 'automatism' to draw the world of fantastic unconsciousness. Magritte achieved new meanings and unfamiliar moments by using ordinary objects depicted with traditional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One who observes Magritte's works could recognize the extra ordinary moments in the reading of the ordinary. This paper endears to study the strategy of 'depaysement' in order to bring unfamiliar moments through the unavoidable commonness of architecture. Such a perspective could b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rue reality of architecture and the human behavior.

      • 지형을 이용한 자연사박물관 설계 연구

        이윤정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9 No.-

        현대건축에서는 'landscape'(랜드스케이프)라는 개념아래 건축과 조경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landscape'는 17세기 회화의 한 장르를 설명하는 용어로 18세기 별장이나 궁전의 주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원의 개념으로 건축에 흡수되었다. 그 이후 조경으로 독자적인 장을 구축하였다. 1900년대 후반에 'landscape'는 '건축적 경관(architectural landscape)'이라는 개념으로 건축분야에 사용되면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1960년대 말부터 형성된 대지미술은 근본적인 땅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어, 그것을 예술작품으로 구체화 하였다. 건축을 주변 환경과의 관계로 생각하고 건축의 근원인 대지의 의미에 관심을 가지며 대지를 경관만이 아닌 인간과 함께 공존되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이와 함께 대지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속성인 지각에 대한 분석을 통해 Program을 유도하였다. 지각은 많은 세월이 흐르는 동안 단층운동, 조산운동 등에 의해 많은 변화를 이루었다. 지금도 끊임없이 변화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세월 속에 땅은 여러 형태의 지층, 단층들이 생겼고 많은 자연들은 화석으로 땅에 존재하게 되었다.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지형이 가지고 있는 성격을 건축으로 도입하여 자연과 구분되지 않고 자연 속으로 흡수되어 일체화 됨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형과 건축의 이분법적이고, 종속적인 관계를 거부하고 서로 소통하는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관계를 도출 하였다. 본 설계는 자연 그대로의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Site에 여러 지각운동으로 연속성이 파괴되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어그러져 있는 지층, 단층들을 공간으로 끌어들여 자연사박물관이라는 Program에 의해 연속성을 갖게 하고, 각 공간의 경험을 유도하였다. '자연사'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연의 변화 과정의 발자취를 의미한다. 변화의 과정선 상에서 건축도 자연의 일부분으로서 대지를 이해하고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면서 땅을 이용한 공간을 만들어 '땅'의 속성을 연구하고 그것을 공간 구축의 핵심으로 삼아 '땅'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하여 건축과 대지의 합일점을 찾는다. Under the concept of 'Landscape' in modern architecture, designers today tryto destroy the boundary between architecture and landscape. The term 'landscape' was first used to describe one a genre of painting in the 17th century and it was later incorporated into the field of architecture with the concept of the gardens that were built for villas and palaces in the 18th century. Since then, it became landscape gardening with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late 1900s, the term 'landscape' started to be used as a concept of 'architectural landscape' in architecture, which gave a new stage for the 'landscape.' At the end of the 1960s, People who were involved in land art formed started to have an fundamentally different interest in land and embodied it as a work of art. There are various kinds of rocks in the land at the earth's crust. There have been so many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the history of the earth's crust caused by fault motion and orogeny over many millennia. In this process, there formed faults and diverse geological strata (layers), containing various natural components and many fossils. This thesis has been developed as the design of a Natural History Museum. It has been assumed that there were various earth movements in the currently existing sites with natural slant. Geographical strata and faults appeared by means of being twis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due to the diastrophism and its subsequent destruction in of geological continuity. Various spaces within the museum were automatically created by the various strata and faults. The characteristics of 'land' need to be investigated and studied; in doing so, one can find the real meaning of 'land' as a core of spatial establishment and discover the unity between architecture and landscape design.

      • 타자적 경계에 의한 URBAN BLOCK 재구성

        남지은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7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11 No.-

        건축물은 외부환경의 일정 부분이 물리적 외피로 한정됨에 의해 그 안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이며, 내부공간은 바닥, 벽체, 지붕 등 경계 요소를 사이에 두고 외부공간으로 둘러싸인다. 이 경계 요소는 공간을 한정하는 요소이고, 건축물의 모습을 형성하며, 건축물 내·외부 환경이 유기적으로 맺어져 있는 관계의 표현이다. 건축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관계의 양상에 따라 건축역사상 다양한 공간이 구축되어 왔다. 기존의 건축역사는 대개 정형적 구성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건축적 경계 요소에 의한 내·외부공간의 설정이라는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건축공간은 복합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명확히 구분될 수 없고, 다양한 인식적 차원에서 경험되어 지므로, 건축물의 내부는 실내공간이며 그 바깥은 외부공간이라는 이분법적 논의는 이미 근대건축 이후 타파되기 시작하였다. 물리적 연결 관계에 따른 절대적인 내·외부 공간의 구분은 무의미해지고 서로의 관계가 융합되어 대립적인 경계는 불확정적이 며 모호해진다. 또한 경계는 내·외부의 관계를 설정하는 통과의 장소가 되며 건축의 중심과 주변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이어주는 통과의 공간으로도 치환될 수 있다. 현대 건축가들은 이러한 이분법적인 내·외부공간의 설정에서 벗어나기 위해 내부와 외부가 아닌 경계에 집중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경계는 영역이 끝나는 부분이 아니라 새로운 것이 시작되는 부분이며, 하나의 영역으로 인식되기 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내·외부 공간 설정이라는 이분법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왔던 경계를, '타자성'에 의해 새롭게 설정 해보고자 한다. '타자성'은 관찰자가, 내·외부를 동시에 드러내는 경계공간을 바라보고 인식함으로서 형성된다. 결국 관찰자는 인식적 시선을 통해 내·외부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타자성'에 의한 새로운 경계를 공간계획에 반영하여 새로운 건축 공간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Architecture is as the certain part of exterior environment became limited by physical skin, formed internal space, this internal space is surrounded by external space among the boundary such as bottom, wall, roof etc. This boundary element is the limiting the space, forming figure of architecture, and the expression of relationship that connected organicall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architecture. Current architecture history was written with a interest of patterned structure as the viewpoint of inner and outer place's establishment by architectural boundary factor. However, so the architecture space is made of multiple structure that can't be defined clearly, and is experienced by various recognition, dichotomy discussion that the inside of architecture is indoor space and outside is the external space has already started to collapse since the modern architecture. The division of inner and outer spac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came meaningless, relation became fused together, conflictive boundary went unsettled and vague. The modern architect concentrate on the boundary not internal and external way, to escape from the establishment of inner and outer space, naturally the boundary is not finishing part, it's the new starting spot, and it begins to be recognized as the one field. In this paper, we newly establish boundary considered as dichotomy of inner and outer space selection by 'Otherness'. 'Otherness' is formed as the observer watch and recognize boundary space which reveals inner and outer space, In conclusion, through epistemic sight, the observer newly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 We reflect new boundary by this 'Otherness' to the space plan and suggest new architecture space design.

      • Urban Mapping Game

        지장훈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7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11 No.-

        Various propositions have been made to connect the axes, which were broken by the unsystematic city planning and developing without thought for the environment, of the urban since late of 1999. As increasing interests of the urbiculture and trying to get a realistic competitive power by each cities after operating th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Mapping has been developed. Mapping of the architecture reflects all the data regarding urban design. It's a method to solve an actual problem architecturally and more positive way to reflect data though the Mapping to solve the problem rationally than intuitive Design of the architect. It is a problem to exist in architecture to take conditions of the Mapping progress maximally. The Mapping progress substantiates a program, culture and society environmental component, Physical component (density-infrastructure component), and natural component, etc. Moreover, it substantiates immaterial to material component. The architecture is influenced by a social environmen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Modern architecture that should deal with fast changes of the modern society leads the Mapping progress to take a variety of actions in the mixed space. The city is composed of the Invisible Flow which changes continuously and Field-Force. It is necessary to have a new angle to loot at city. The city can be thought the flow from a dense of buildings and Field Force. Many phenomena that arise in city are not able to explain with an influence among buildings but are able to explain with a collision and combination of city-flows. The study is a Design game for establishing the rule, which is based on Game theory, of Design Process and presenting an architectural methodology with analysis of city organization by Mapping to solve problems as stated above, through the process to connect cultural axes from the Jangchung-dong though Ssangrim-dong and Ehwa-dong to Heahwa-dong(3.1Km). As condensed Field Force of the city appears viably, various conditions are happened through an Interference and Collision of the city organizations by diverse Parameters. As trying the various phenomena to the Urban Mapping game, the study is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of reorganization of the city space, to confirm a cultural identification in the city, and to reveal a character as a local place which was hidden by strong power. 1999년 후반부터 체계적이지 못한 도시계획과 난 개발로 인해 끊어진 도심의 축(Axis)들을 다시 연결하고자 여러 가지 제안들을 내 놓고 있으며,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도시경영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현실적으로 도시들은 도시경쟁력을 갖추려는 도시마케팅 차원의 노력을 시도하고 있음에 착안하였다. 건축에서의 Mapping은 설계(Design)에 도시가 가지고 있는 모든 Data들을 반영하려고 노력한다. Mapping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건축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하며, 건축이 직면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축가의 직관에 의한 Design보다는 Mapping을 통해 얻어낸 Data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형태를 만들어 보고자 하는 것이다. Mapping과정에서 얻어지는 조건들을 최대한 수용하는 건축을 하는 것은 그것이 건축에 존재하는 현실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이러한 Mapping Process는 프로그램, 인문·사회 환경적 요소, 물리적 요소 (밀도·Infrastructure의 요소), 자연적요소 등을 건축적으로 실체화 시키는 것이며, 비물질적인 것을 물질화 시키는 것이다. 또한, 건축은 건축될 당시의 사회적 영향을 지대하게 받는다. 현대 사회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며, 그 변화를 수용해야만 하는 현대의 건축은 공간의 혼성화와 혼성화된 공간에서 다양한 행위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Mapping 과정을 유도한다. 도시는 계속해서 변화하는 보이지 않는 흐름(Invisible Flow)과 힘의 장(Field-force)으로 구성된다. 도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도시 자체를 건물들로 이루어진 집합체로부터 흐름과 힘의 파장(Field Force)으로 도시를 바라본다. 도시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현상들은 건물간의 영향만으로 설명할 수 없고 도시의 흐름들이 서로 충돌하고 결합됨으로서 발생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거 장충동을 시작으로 쌍림동, 이화동을 거쳐 동숭동의 혜화동 로터리까지에 이르는 3.1Km의 문화적 축의 연결하고자 하는 작업을 통해, 서두에 언급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게임이론(Game Theory)을 바탕으로 Design Process의 Rule을 설정하고 Mapping을 통해 도시조직을 분석하여 건축적 방법론을 제시하는 Design Game이다. 도시가 응축하고 있는 힘의 장(Field Force)을 가시적으로 드러내고, 다양한 Parameter에 의해 도시조직들이 서로 간섭(Interference)되고 충돌(Collision)함에 따라 다양한 조건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현상을 Urban Mapping Game을 해봄으로서 보이지 않는 강한 힘에 가려있던 지역적 장소성을 다시 드러내고, 도시 내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확인시켜주며 또한, 도시 공간을 재구성함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들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 보르헤스의 단편소설「알렙」의 시나리오 재해석을 통한 건축 공간 연구 : 인물의 등장과 퇴장, 배경과 무대의 거짓 공간 false-space과 진실 공간 true-space 규명을 중심으로

        김인호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9 No.-

        "의도적으로 이해를 하지 않으려고 하는 반항적인 태도 속에는 진실이 찾아들 수가 없는 법이지." Jorge Luis Borges, 「The Aleph」 문학 속에는 삶의 현실이 묻어 있다. 문학은 작가의 현실에 대한 체험이나 그를 바탕으로 한 상상에서 이루어지므로 그것은 구체적 현실을 담고 있기 마련이다. 문학 작품 속에는 작가의 현실에 대한 시선과 사유, 태도, 갈등 등은 물론이거니와 삶, 사회, 시대와 세계에 대한 가치관이 담겨 있다. 문학이 이처럼 현실을 담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문학을 통해 우리가 직면한 삶의 현실이나 시대가 어떻게 재구성되고 해석되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현대는 다양한 가치관이 혼재되고, 단편화된 가치들이 서로 얽혀 공존하는 사회이다. 또한 가상현실 등의 불확정성 아래 수직적 위계질서보다 수평적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가 되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건축은 과거의 건축이 문학, 회화 등의 예술과 함께 그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며, 시대론과 함께 했던 것에 반하여, 그 다양성과 불확정성의 영역 아래 아직 시대반영의 제 갈 길을 찾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건축에의 시대를 반영하는 공간 설계의 한 방법으로 문학작품의 구성에 있어서의 시대성의 재현 방법을 응용하여 현대 시대를 반영한 건축 공간 연구를 제안한다. 문학 작품 중에서 환상적 사실주의(magic-realism)의 대표 작가인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의 소설은 현대시대에 대한 성찰이 매우 깊다. 그는 그의 독특한 소설 기법을 통해 현대 시대의 다양성, 불확정성 등의 시대성을 담아내고 있다. 특히 그의 단편소설 「알렙(The Aleph)」은 그의 그러한 사고관과 소설 기법이 잘 드러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그의 단편소설 「알렙(The Aleph)」의 건축화 작업은 이 같은 새로운 시대반영 건축 설계 방법론에의 실험적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설 「알렙(The Aleph)」에서 나타나는 환상적 사실주의 기법을 통해 2d와 3d의 공간 인식 방법 연구와 시나리오의 재해석을 통한 인물간 구도에 따른 등장과 퇴장에 의한 공간 생성과 그 공간 안에서의 진실 공간true-space과 거짓 공간false-space을 규명하고, 기타 소설에서의 주요 특징을 찾아 공간 계획에 반영하여 현대 시대를 반영한 새로운 건축 공간 설계를 제안한다. "Truth cannot penetrate a closed mind." Jorge Luis Borges, The Aleph The reality of life is brought out in literature. Literature is achieved through a writer's experience of reality or his or her imagination based on it. The vision, speculation, attitude and any mental conflict about the reality of the writer is put into his or her literary work. In addition, it contains the life, the community, the times and the author's values about the world. Because such realities are found in literature, studying literature can teach us how to reorganize the realities of life? The architecture of the past reflected the flow of its period in the same way that literature and painting did. But the architecture of today appears that it cannot find its way to reflect its own age within this condition of variety and uncertainty. I propose that architectural space, in order to reflect the contemporary, should study and apply the method of reappearance of the age in the organization of literature. Especially the novels of Jorge Luis Borges who represents the idea of "magic realism" have deep views of the contemporary. In his work Borges represented the unique features of our time, expressing its variety and uncertainty in his own way. Borges's thought and novel techniques are especially well expressed in his short story The Aleph. An architectural study of this short story will become an experimental research into a new architectural design method reflect the age.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recognition of 2-d and 3-d space by the magic realism techniquesused by Borges in his short story The Alephas well as the spaces formed by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the two main characters re-analyzed in terms of scenario. From those spaces, I closely examined true-space and false-space. From this research I proposed a design for a new architectural space which reflects the contemporary with the techniques, elements, etc of The Aleph.

      • envelope의 재인식과 context의 결합을 통한 community park 구축 : 아현동 달동네와 재개발지역 사이 공간 대상으로

        황효철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9 No.-

        모더니즘은 18세기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 이성중심주의 시대이며 인간 이성에 대한 믿음을 강조한 합리적 사고를 중시했다. 이러한 유토피아(Utopia)는 후기 구조주의와 해체주의에 의해서 탈 중심, 이탈, 분리, 이접으로 대변되는 디스토피아(Dystopia)로 전환되었다. 탈 이론의 중심에서 새로운 예술을 만들고자 했던 운동이 러시아의 아방가르드며, 회화, 조각, 건축에서 기존의 공간결합방식의 변화와 캔버스(canvas)로부터 독립된 회화를 선보이며 기존의 전통과 통념을 벗어난 작업들을 하였다. 또한 유럽의 회화에서는 Automatism이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꿈을 표현한 그림이 등장한다. 이를 초현실주의라고 하며 이들은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들며 간극의 공간 가능성을 보여주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으로부터 모티브를 얻고 있다. 1920년대의 러시아의 아방가르드와 초현실주의의 작업은 기존의 질서와 규범에서 탈피하는 작업이며 대립(對立)구도 사이의 여백의 가능성에 대한 실험이다. 그 후60년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이론과 건축에서의 구축적 해체주의 전시회(Deconstructivist Architecture/Musume of Modern/New York)에 의해서 해체주의는 주목의 대상이 된다. 이는 건축의 자유로운 폭발을 의미하며 현대건축이 가지는 모호성과 불확실성, 불확정성, 우연성 등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비투르비우스(Vitruvius)의 건축십서가 가지고 있던 건축규범의 힘은 점점 상실해져 갔으며 삼원칙에 의해서 더 이상 건축은 설명될 수 없게 되었다. 본질은 존재하되 나타나는 것은 서로 다른 해석으로 인해 다(多)의미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 더 이상 건축은 한정되지 않으며 주변의 context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 program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고전주의 건축이 가지는 입면에 표출되는 규범, 배경, 방향성, 기능 또는 program을 해체하고 있다. 그리고 공간이 주어질 뿐 고정된 기능과 형상은 불명확해지며 방향성 또한 지니지 않는다. 더 이상의 질서와 비례로 이야기 하던 Facade은 모호함과 우연성 속으로 들어가 새로운 해석들을 야기 시켰다. Bernard Tschumi는 새로운 등식 '건축=운동*이벤트* 움직임'으로 말하고 있으며 다시 'vector & envelopes'로 표기하고 있다. 과거 건축은 양식, 구조, 아름다움에 대한 것이지 외부의 surface나 내부의 vector에 대한 생각은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부분이 중요해지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미술이나 철학에서 출발하여 건축에서도 나타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는 envelope에 대한 변화 가능성. 즉 배경에 의해서 의미의 변화와 형상이 변화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지역 또는 국가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의 회복을 의미한다. 맥락에 의해서 변형된 envelope는 사회의 한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접을 통해 경계를 모호하게 한다. 서양이 가진 맥락은 우리와 다르며, 기존의 의미가 전위의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 또한 새롭게 해석할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맥락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envelope는 명확하지 않은 상태 즉 과정의 상태로 놓인다. 형태적 접근 전략은 보이지 않는 힘을 Vector로 보고 지형이 가지는 방향성과 힘에 의한 변형의 과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입면에 대한 재인식으로 기존의 정면을 부정하며 지역적 특색과 정체성의 회복이며 사회, 문화적 context에 의해서 이접(disjunction)의 가능성과 program은 결정된다. Modernism is reason-centricism age that begun from the Enlightenment(illuminism) of 18th century, and set a high value on rational thought that had put emphasis on belief about the human reason, this Utopia changed into Dystopia that is spoken for deviating from center, secession, separation, removal by the post-structuralism and deconstructivism. The movement to create new art in the center of escaping from theory is Russian Avant-Garde, it had showed change of existent space union method in pictures, sculpture and architecture and independent pictures from canvas, and had done work that was escaping existent tradition and common idea. Also in European pictures, picture that express dream by new method that called Automatism appears. this is surrealism and it has access to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hows spatial possibility of gap and is getting motive from Freud's psychoanalysis. the work of Russian Avant-Garde of the 1920's and Surrealism is work that escapes from existent order and rule, and is experiment about possibility of blank between confrontation compositions. Since then 60 years, deconstructivism became polestar by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vism theory and constructive deconstructivism exhibition in architecture(Deconstructivist Architecture/Museum of Modern/New York). it means free explosion of architecture and this could explain by ambiguity, uncertainty, indeterminacy and accidentalness etc. of modern architecture. Power of architectural rule that ten books on architecture of Vitruvius has was lost gradually and architecture could no longer be explained by three principles. that essence exists but appears is that become in state of multiple meaning all by different analysis. Architecture is not limited more, is appeared by various form, program by surrounding context, and is disjointing rule, background, direction, function or program that expressed to facade of classicism architecture. And fixed function and shape become indefinite nothing but space is given and direction also does not have. Facade that talked by more order and comparison causes new interpretation with coming inside of ambiguity and contingency. Bernard Tschumi is said that facade is new equality as 'architecture = movement * event * motion' and is writing as 'Vector and envelopes' again. Ideas about external surface or internal vector were not important and past architecture were things about order(style), structure and beauty. Part that do not think importantly began to become important and this movement which is starting from art or philosophy is also appeared in architecture. Research based on this is possibility of change about envelope. That is, shape and meaning can be altered by background and it means recovery of identity that area or the country has. Envelope that is transformed by context don't decide social limit but makes the border ambiguously through disjunction. European context is different from us, and existent meaning can have possibility of Avant Garde. it is also said that they could interpret newly. Envelope that is influenced by context is put in state of unclear state that is of process, formal access strategy regard invisible force as Vector and express process of transformation by direction and force of topography. This denies existent facade by new understanding about facade, and is recovery of regional characteristic and identity, and is decided possibility of disjunction and program by social, cultural context.

      • 건축에서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송지훈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6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논문집 Vol.10 No.-

        오색전등이 불을 밝히는 눈부신 도시의 거리에서 어둡고 차가운 전율을 경험했다. 상품과 사람이 쇼케이스 안에서 팔리고, 쇼케이스 밖의 시선은 상품과 인간을 구별시켜 보지 않는다. 투명한 유리는 마치 빛이 없는 귀신의 시선처럼 차갑게 나를 바라보고 있다. 왜 일까? 왜 이렇게 추울까? 바라보는 유리를 주인처럼 깨뜨리고 싶었다. 창조자인 내가 왜 유리의 시선이 두려운 것일까? 차가움 속에 전해오는 것은 원망과 복수의 느낌. 아마도 그것은 그에게 인간의 사랑을 주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차가운 유리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가진 것처럼 원망하고 있을지 모른다. 우리가 엄마가 주는 사랑을 빼앗아버렸기 때문에 … 유리는 사랑을 뺏어버린 우리에게 어른이 되어서 복수를 하고 있다. 나는 스스로 나타나는 장면과 언어 그리고 그들을 표현하는 속에서 방황한다. 내가 의식하지 않지만 나타나는 장면들, 언어가 소멸시키는 긴장들 그리고 표현의 한계. 그 속에서 빛과 그림자의 명암을 본다. 하지만 그 명암의 경계는 현실의 것이 아니다. 회색빛이다. 건축작업을 할 때 나의 감성은 풍부한 언어를 만든다. 그로 인해 생산된 언어는 명료함을 만들지만 갈망하던 긴장의 힘은 잃는다. 정신과 언어 사이에 긴장감을 유지하고 그 것을 표현하는 것이 나의 건축방법이다. 표현해야하는 것은 내적 긴장이고 방법은 은유이다. 루이스 칸은 '사물이 그러고 싶다고 바라는 것'이 건축이라고 말했다. 사물이 인간의 방식으로 대처해야 하며 정반대로 사물에는 인간의 바람이 있다고, 다시 말해 인간의 바램은 건축가의 내적긴장이고 사물은 그의 손을 통해 은유로서 표현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의 건축은 차가운 유리의 시선을 만들듯 인간의 바램이 사라져가고 그로인해 은유 또한 소멸되어간다. 나는 이글에서 그러한 방식을 지금의 건축이 잃어버리게 된 배경과 이유를 추적하고 굳은 신념을 가지고 인간언어를 표현한 선배 건축가의 작업을 내세워 필요성을 부각시킬 것이다. 그리고 작품을 만들어 미약하나마 그 가치를 느끼게 하고 싶다. 이 글은 발터 벤야민, 로버트 벤츄리, 루이스 칸, 칸딘스키의 시선과 지식을 빌려 썼다. 근대이후 가장 뛰어난 감수성과 수용력 그리고 지적 능력을 가진 극소수의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뛰어난 그들의 시선은 과거와 현재를 통시하면서 우리가 잃어버린 것과 찾아야 할 것을 말할 것이다 Spirituality in Architecture I, personally, grope around in the imaginary world when attempting to engage myself in architectural work. There I find a lot of rich and diversified images and colors, yet at the time of having to verbalize I feel extremely poor in front of logical world. For me a logical expression of my vision is very painful. In this thesis I tried to go in-between. The reason is this: Contemporary architects seemingly fully devoted to strength and density of materiality are totally negligent of metaphors, thereby blind to the power of profound primary images, I want to recover it. Not just poetic world which is neglected. Darkness in humanity, that is to say, basic nature of human being, is also forgotten. Even though images are doggedly resistant to being communicated, because they are useless unless translated into understandable forms. I took risk of being literal in presenting my image. In that image I aimed to create a piece of work which may arouse what is hidden, what is overcast in shad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