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나벤투라의 神秘辨證法

        朴全圭 全北大學校 哲學科 1984 饗宴 Vol.1 No.-

        따라서, 보나벤투라에 의하면, 인간사고의 최고정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이 아니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부정하는 디오니시우스의 반 --아리스토텔레스철학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철학사상의 대결이, 그리스도 신자들간에 이렁난 철학사상의 운동의 특징을 이루었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추월하려는 방향으로, 성 바오로가 「신의 지혜」 라고 부르는 계명을 벗어나고 싶어하는 감정은 자연스럽고 필연적인 요청이라고 하였으며, 그는 우리들이 경험과 이성의 길을 벗어나서 사랑의 정열에 몸을 맡기자마자, 우리들은 얻는 것보다는 잃을 것에 더욱 민감하다고 말하였다. 우리들의 지식의 안정된 발전을 잃을 위험을 무릅쓰면서도 보나벤투라에서 디오니이수으의 철학은 놀라우리만치 아름다운 정신의 꽃을 피우고 있으며, 우리들의 정신을 황홀케 하여 법열로 이끄는 길목에까지 우리를 이끌어 간다. 보나벤투라의종교철학은 실존주의 철학의 향내적 방향과 혼돈할 때도 있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는 고차적 존재로 향하는 향상적 철학사상의 길을, 다시 말하면 향상적 변증법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 儒學에서의 犯罪와 刑罰

        최영찬 全北大學校 哲學科 1996 饗宴 Vol.3 No.-

        인간은 육체적인 본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신적으로는 그 이상의 가치가 있는 문화와 질서가 유지되는 사회를 가져야 하는 존재이다. 이것이 바로 인간이 금수와 다른점이다. 사회적으로는 인간관계에서의 도덕법칙을 찾아 부자, 형제, 부부, 노소, 국가의 지도자와 국민 등의 사이에서 각자가 갖는 올바른 도덕적인 역할을 실천하여 질서를 유지해야 하고, 문화적으로는 예술적이고 종교적인 높은 가치를 발휘하여 정서적인 편안함과 즐거움을 누려야 한다. 그럼으로써 사회는 약육강식하는 동물의 숲이 되지 않을 것이며, 인간은 한갓 배부른 돼지와 같은 저급한 존재가 되지 않을 것이다. 유학의 근본 취지는 여기에 있다. 그러니까 한갓 배부른 돼지와 같은 저급한 존재가 되지 않을 것이다. 유학의 근본 취지는 여기에 있다. 그러니까 유학에서는 인간의 최고 가치인 진 · 선 · 미를 성취하여 윤리적으로는 <불유구>와 심정적으로는 <낙도>의 경지에 이르러 이상적인 삶을 누리는 것이 궁극 목적인 것이다. 유학 사상은 <인간의 이상적인 삶>이라는 궁극목적을 우리 인간 스스로가 현존재 내에서, 그리고 사회적인 관계 현상 속에서 구현하려고 하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이며 적극적인 이념이요 사유체계인 것이다. 그러므로 유학을 수기치인의 학이라고 정의한다면 유학에서 추구하는 최종의 문제는 치인에 있을 것이며, 수기는 치인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하여 요청되는 필요조건이 되는 것이다. 이토록 유학은 불교와는 달리 사회철학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각 개인의 인격적인 닦음을 통하여 사회적인 도덕적 대동에 동참할 수 있는 시민으로서의 자격을 갖춘다는 것은 결국 수기 자체가 질서와 조화 속에서 이루어진 도덕적인 대동사회에 우리 스스로가 참여하여 그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자는 「은거하여서는 그 뜻을 구하고, 의를 행하여는 그 도를 이룩한다.」 라고 말했던 것이 아닐까? 그리고 이것을 대학의 내용에 적용하여 말한다면 명명덕은 수기에, 신민은 치인에 해당되며, 그 결과로 이루어진 질수 있고 조화로운 도덕적 대동의 사회는 바로 지어지선의 경지가 될 것이다. 이것이 유학사상의 체계를 이루고 있는 대체적인 기본 골격인 것이다.

      • A Priori에 대한 새로운 해석

        朴全圭 全北大學校 哲學科 1986 饗宴 Vol.2 No.-

        지식과 언어 그리고 사회생활에 있어서 안정된 발전을 위해 어떤 “견고한 핵심”이 필요하다는것에 대해서는 누구나 동의할 것이다.“언어학적 선회”의 역풍으로 Chomsky 의 언어학 마저도 “고정된 핵심(fixed kernel)”을 위해 필요로 하는 경험에 앞서서 미리 경험을 통제하도록 준비되어 있는 선험적인 면을 이해할만하게 밝힌 것은 Konrad Lorenz의 생물학이었다.그러나 Lorenz는 a priori의 이러한 경험에 선행하는 면만을 붙들어 두고 a priori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또 다른 면,즉 필연적인 면을 회생한데 대하여,Piaget는 이와는 정반대로,필연적인 면을 선험적인 면으로부터 따로 분리하여,이것은 자동조절에 의한 점진적인 균형화에 기인한다고 설명한다.칸트에서는 뗄수 없는 연대적인 관계에 있는 a priori의 이 두 면을,둘다 생물학적인 지식에 기초하여 갈라놓고 다른 면을 분석하여 놓은 것이다.그러나 이 조절이 바깥 환경의 영향을 받아 구성되는것도 아니며,대사의 지식으로부터 오는 것도 아니고,안에서 인식도구를 반성함으로써 생기는 내생적인 것이 환경을 조직한다는 데에서 칸트철학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고 보아야 하며,“전성을 극소화하고,자동조직을 극대화 ”하는데서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도 수렴한다.시초에는 칸트와 같이 선험적인 데서 출발하나 수리논리적 구성의 내생적 역할을 강조하며,관찰할 수 있는 대상의 지식에는 실험이 요청되지만 이 대상에 대한 필연적인 지식을 획득하는데는 다시 내생적인 틀 안으로 동화하여야 한다는,과학과도 유대를 가지면서도 아리스토텔레스 전통과 수렴하는 칸트에 대한 Piaget 의a priori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종합과학적 접근 (interdisciplinary approach)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괄목할만 하다 할것이다.

      • 플라톤의 지식 개념

        한상기 全北大學校 哲學科 1996 饗宴 Vol.3 No.-

        플라톤 지식론의 본성에 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무엇보다도 그의 지식론이 형상론으로 불리는 형이상학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전 철학 체계에서 지식론만을 따로 분리시켜 다룬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톤의 진의를 왜곡시킨 해석이나 설명을 가져올 수 도 있다. 게다가 플랕ㄴ이 남긴 기록들의 독특한 특징상 플라톤 자신의 생각과 스승인 소크라테스의 생각을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는 사실 또한 그의 지식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가능한 한 형이상학과는 별도로 그의 지식 개념을 이해하고 그 독자적인 의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플라톤이 결국 지식에 대한 만족스러운 답을 제공하지 못했음을 밝혔지만, 그럼에도 그가 지식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탐구하면서 보여준 몇 가지 통찰은 후대의 철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인정할 만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