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cquisition of disyllabic tone sequences by Korean learners of Mandarin Chinese

        Yuping Fu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1983

        Pitch plays various functions in tonal languages, which seem to bring excessive difficulty to the acquisition of tone language by learners from non-tonal language backgrounds. This dissertation aims to investigate second language (L2) tone acquisition by non-tonal Korean learners of Mandarin Chinese. We carried out two experiments. The production experiment used 224 Mandarin disyllabic words in a carrier phrase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global tendency of all the 15 tone sequences read by eight intermediate and seven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perception experiment employed the spliced carrier-phrases with the stimuli from the production experiment for three qualified native judges to auditorily evaluate the correctness of all the 6720 tone sequences (224 stimuli × 2 rounds × 15 Korean learners). Acoustic analysis was also utilized to identify whether Korean learners produced nativelike tone 3 as compared to those of 10 native speak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learner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nearly every tone sequence, particularly those with tone 3. While the sequences of T1-T1, T2-T3 and T1-T4 were among the top easiest for both learner groups, all the sequences with tone 2 in syllable 2 were among the bottom hardest. The difficulty of tone 2 may lie in the fact that Korean does not have a mid-tone target. Therefore, a negative prosodic transfer might have hindered Korean learners from producing tone 2 accurately. The results of the confusion matrices suggested that tone 2 was frequently mispronounced as tone 3 and there were more confusions between tone 2 and tone 3, which is in contrary to the high accuracy of T2-T3 sequence. The contradictory finding was further investigated in tone 3 acquisition acoustically and perceptu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learners produced a full tone 3 rather than half in non-tone 3 contexts, which were shown in the non-nativelikeness in duration, intensity and pitch-related parameters. This implied their acquisition process of fine-tuning coordination of acoustic cues for tone 3. The perceptually high accuracy but acoustically non-nativelike norms, which were also found in L1 Mandarin tone acquisition of native children (Rattanasone et al., 2018), suggested the nature of gradual tone acquisition, first producing overall contours and then fine-adjusting acoustic measures, especially pitch-related cues. The production of high accurate T2-T3 sequence and full rather than half tone 3 in non-tone 3 contexts indicated that Korean learners applied pre-tone 3 sandhi better than half tone sandhi, which is opposite to native speakers.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pedagogy of Mandarin tone as an L2, especially tone 3. 성조 언어에서 피치는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로 인해 성조 언어를 배우는데 있어서 비성조언어가 모국어인 학습자는 어려움을 겪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박사학위논문은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성조 언어를 습득하는 양태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발화 실험에서는 8명의 중급 학습자와 7명의 고급 학습자를 모집하였다. 실험자를 대상으로 문장 틀에 놓인 224개의 중국어 이음절어로 구성된 단어를 발화하였다. 인지 실험에서는 발화 실험을 통해 얻은 목표어 만을 추출하여 중국어 원어민 화자에게 학습자의 성조가 제대로 발화되었는지 평가하도록 하였다. 원어민 청자는 총 6720(22개 단어 x 회수 2번 x 15명의 실험자)개의 단어를 평가하였다. 또한, 3성조를 정확하게 발화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음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습자의 음성을 10명의 원어민이 발화한 음성과 직접 비교하였다. 인지 실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학습자는 3성조를 비롯해 주어진 이음절어의 성조 패턴을 발화하는데 유의미한 발전을 보였다. 15개의 성조 패턴 중에서 1성조-1성조, 2성조-3성조, 1성조-4성조로 이루어진 성조 패턴이 가장 정확하게 발화를 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2성조가 포함된 성조 패턴은 부정확하게 발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2성조의 발화가 어려운 이유는 한국어의 운율 구조에는 중성조(mid tone)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모국어의 부정 전이 효과로 인해서 중국어의 2성조를 발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판단된다. 혼동 행렬표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2성조는 종종 3성조로 발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성조-3성조를 올바르게 발화한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위에서 언급한 2성조와 관련된 상반된 결과는 3성조가 어떻게 습득이 되는지 음성 분석과 인지 실험 결과를 토대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음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학습자는 길이, 강도, 피치와 관련된 변수에 있어서 원어민 화자의 발화와 사뭇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인지적으로 원어민과 같은 정확도를 보이지만 음성적으로 원어민과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은 이미 모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어린이에게 발견이 되었다(Rattanasone 외, 2018). 어린이들도 처음에는 전체를 발화하는 데서 출발하고 점차 발화를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언어 발달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사실은 한국인 학습자의 경우 3성조를 완전하게 발화하는 것과 연독변조를 정확성 있게 구분하는 것을 미루어 보아, 반성조(half tone)를 발화하는 것은 아직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이 된다. 따라서 반성조(half tone)를 발화하는 방법에 대해 학교 현장에서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