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우주기원 방사성 핵종을 이용한 만어산 암설지형의 침식률 및 노출연대 측정

        성영배(Yeong Bae Seong),김종욱(Jong Wook Kim) 대한지리학회 2003 대한지리학회지 Vol.38 No.3

        우주 기원의 방사성 핵종(核種)은 근래에 지형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주 기원의 방사성 핵종인 10Be과 26Al를 이용하여 만어산의 토르와 암괴류를 대상으로 그 구성 암석의 지표 노출 연대와 침식률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토르는 적어도 약 6만 5천년 전, 그리고 암괴류는 적어도 3만 8천년 전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토르와 암괴류의 구성 암석의 표면 침식률은 각각 9m/Ma, 15m/Ma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침식률의 차이는 풍화 및 침식에 대한 국지적인 조건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특이한 점은, 산정부에 위치한 토르의 구성 암석들 중 일부가 26Al/10Be과 10Be를 이용하는 Lal (1991)이 밝힌 정상상태 침식구역 (steady-state erosion island)에서 벗어나 있는데 이것은 이 토르의 표면이 비정상적인 침식의 경로를 겪었다는 것<br/> 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5cm-60cm 정도의 표면이 여러 번 떨어져 나갔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CRN (Cosmogenic radionuclide) methodology has been a versatile tool applicable to a wide range of geomorpholog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certain the rate of erosion and exposure age of mountain-top detritus (tors and block streams) on Mt. Maneo by employing the concentrations of in-situ produced cosmogenic 10Be and 26Al from bedrock surfaces that are exposed to cosmic rays. The results suggest that tors on the summit were positioned here during the glacial period but no later than 65ka and block streams have been stabilized also since the last glacial period but no later than 38ka. The tors on the summit have been eroded at a slower rate (9m/Ma) than blocks on the hillslope (15m/Ma) since the initial abrupt exposure of each landform to cosmic rays, suggesting tha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rate of erosion between the summit and the hillslope, and that the local relief between the two areas has been increased. When the 26Al/10Be-10Be concentrations from samples are plotted in Lal’s steady-state erosion island, one sample (from a tor) has complex exposure histories, which can be<br/> explained by the occurrence of multiple chipping events of 5cm to 60cm in length on the surface of the rock.

      • KCI우수등재

        우주선유발 동위원소를 이용한 지표면의 연대측정

        성영배(Yeong Bae Seong),유병용(Byung Yong Yu) 한국암석학회 2014 암석학회지 Vol.23 No.3

        지난 ~30년 동안 가속기질량분석기와 비활성기체질량분석기 기술의 진보와 함께, 우주선유발 동위원소도 지표면의 연대측정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우주선유발 동위원소를 이용한 세부적인 연대측정법으로는 단순노출연대측정, 수직단면연대측정, 매몰연대측정 등이 있어, 다양한 노출(또는 퇴적) 환경에 따라, 다른 접근법이 요구된다. 국내에 적용 가능한 대상으로는, 하안단구, 해안단구, 선상지, 화산지형, 구조지형(단층애), 다양한 암설지형(테일러스, 암괴류 등), 호안 또는 해안 파식대 그리고, 제3기의 퇴적분지층과 고고학유물층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기존의 석영이 풍부한 화강암과 변성암 중심에서, 최근에는 석회암과 화산암에도 적용가능하게 되었다. Over the last three decades, advances in AMS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and Noble Gas Mass Spectrometer make various application of terrestrial cosmogenic nuclides (CNs) to wide range of earth surface sciences possible. Dating techniques can be divided into three sub-approaches: simple surface exposure dating, depth-profile dating, and burial dating,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argeted surfaces. In terms of Korean landscape view, CNs dating can be applied to fluvial and marine terrace, alluvial fan, tectonic landform (fault scarp and faulted surfaces), debris landforms such as rock fall, talus, block field and stream, lacustrine and marine wave-cut platform, cave deposits, Pliocene basin fill and archaeological sites. In addition, in terms of lithology, the previous limit to quartz-rich rocks such as granite and gneiss can be expanded to volcanic and carbonate rocks with the help of recent advances in CNs analysis in those rocks.

      • KCI등재

        범람원에서 발견된 적색밴드에 대한 미세구조 특성: 고고학 유적층을 사례로

        성영배 ( Yeong Bae Seong ),이진한 ( Jin Han Lee ),조석주 ( Suk Joo Choh ),이홍종 ( Hong Jong Lee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2

        고고학 유적을 함유한 범람원 퇴적층에서 발견되는 적색의 밴드에 대하여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미세구조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퇴적층의 연대측정과 입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층은 전체적으로 상향세립화의 경향을 보이며, 이질 크기의 적색 밴드들은 사질 물질들과 교호하고 있으며, 경계는 다양하다. 적색 밴드는 이질 크기의 물질들로 충진되어 있으며, 산화광물과 유기물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적색 밴드와 사질 퇴적물이 접하는 면이 항상 날카롭지 않고 점이적으로 발달하기도 하며 요동하는 형태도 발견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점토질 퇴적물이 먼저 퇴적된 사질 및 실트질 퇴적물 위에 쌓이고 이 후 토양수나 지하수의 유동을 따라 하부로 침투하는 과정을 통하여 현재의 적색 밴드를 형성한 것으로 사료된다. 트렌치로 인해 신선한 대기에 7-8일 노출된 이후, 이러한 적색밴드들이 선명하게 보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퇴적시간 동안, 적색밴드는 환원환경에 놓였으며, 산화환경에 노출되면서 급격하게 적색화를 띠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례는 적색밴드는 광역적인 기후 환경 뿐만 아니라, 국지적인 배수조건(pH)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Multiple bands of reddish layers are found in the flooldplain sediments, which are studied by microscopes along with grain size analysis and OSL dating. The matrix composing reddish band consist of clay and organic materials. The sediments fines upward from sand dominant layers to silt dominant layers, suggesting that they were originally deposited in natural levee but changed into floodplain with channel migration. The boundary between reddish band and more sandy clasts shows various features such as sharp, undulatory and gradual, which in turn, reflect that the bands may have capped the sandy clasts and relocated percolating soil and ground water. The iron oxides in reddish band turns very quickly red when they are under oxidized condition. This case study might suggest that the reddish band form by the change in local draining condition.

      • KCI우수등재

        A Preliminary Geomorphic Overview of Late Quaternary Glacier Fluctuations in the South Shetland Islands, West Antarctica

        Yeong Bae Seong(성영배),Hyoun Soo Lim(임현수),Ho Il Yoon(윤호일),Yong Il Lee(이용일),Yeadong Kim(김예동),Lewis A. Owen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5

        2005~2006 남반구 여름기간 동안 서남극 남쉐틀랜드 군도의 빙하지형 및 그에 관련된 제4기 후기 기후변화에 대하여 조사했다. 빙하지형학적 증거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는 이 지역에서 세 번 이상의 빙하 전전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첫번째는 광범 위한 빙하활동으로서 최종빙기 최성기(LGM)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해저지형과 빙하기저 융빙수 하천, 그리고 찰흔의 기록에 의하면 빙상의 중심이 지금의 북쪽 대륙붕에 있었고 약 1000m의 두께와 바닥면의 온도가 어는점 이상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는 달리 홀로세 후기에도 최소 두 번 이상의 빙하 전진이 있었는데 이들은 현재의 해안선을 넘지 못하는 매우 제한된 범위였고 빙하의 기저면이 어는점 이하에 있어서 침식활동이 미약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제한된 빙하활동은 약 2천년전 그리고 소빙기에 각각 발생하였다. The timing and extent of glaciations during the Late Quaternary in the South Shetland Islands, West Antarctica were defined using field mapping, geomorphic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Landforms of glacial erosion and deposition, in particular subglacial meltwater channel erosion, suggest that at least three glaciations occurred during the late Quaternary within the study region. During the global LGM, glacial troughs (such as Maxwell Bay and Admiralty Bay) were overdeepened by an ice stream moving south from an~1000m-thick ice cap centered on the present-day continental shelf to the north. This ice was responsible for the subglacial meltwater channel erosion, and glacial polished and striated bedrock on the Fildes Peninsula. The recent local glaciations occurred about 2,000 years ago and during Little Ice Age (LIA). During these glaciations, glaciers were less extensive than the previous one and less erosive as a cold-based ic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Absolute Age Determination of One of the Oldest Quaternary(?) Glacial Deposit (Bunthang Sequence) in the Tibetan Plateau Using Radioactive Decay of Cosmogenic <SUP>10</SUP>Be and <SUP>26</SUP>Al, the Central Karakoram, Pakistan: Implication for Paleoenvironment and Tectonics

        Yeong Bae Seong(성영배)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2

        티벳고원의 서쪽, 중부 카라코람의 인더스 강이 지나는 Skardu 근처에서 발견된 약 1.3㎞의 두께를 보이는 Bunthang 시퀀스의 절대 연대측정을 우주 기원 동위원소인 <SUP>10</SUP>Be과 <SUP>26</SUP>Al의 비를 이용해서 측정했으며 약 2백 65만년전에 급격하게 퇴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퇴적시기는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직접적인 빙하활동의 증거로서 이전의 고지자기 연구와도 일치한다. Bunthang 시퀀스는 아래에서부터 빙퇴석, 호성 퇴적물, 하천 퇴적물 그리고 다시 호성 퇴적물로 이루어지며 어떠한 단층운동의 증거도 발견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분지의 생성은 빙하의 하방침식에 의해서 만들어졌으며 빙하의 후퇴와 더불어 proglacial 과 paraglacial 프로세스에 의해서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에 있어서 신생대의 활발한 지반 활동은 인더스 강의 구배를 변형시킴으로써 연구지역과 같은 국지적인 호소퇴적층의 활발한 퇴적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또한 지반운동과 빙하의 침식에 의한 사면의 불안정성은 이러한 국지적 퇴적 작용을 더욱 촉발시켰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전의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로써 지난 제4기 동안 빙하의 활동이 약해진 것으로 보건데 지난 마지막 빙기 최성기를 정점으로 티벳고원에 커다란 빙상이 존재했다는 가설은 틀린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에서 제4기 동안의 빙하 활동의 축소는 희말라야 산맥과 카라코람 산맥 중심의 급격한 융기로 인해 Indian monsoon의 유입이 줄어든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Absolute age of the deposition of 1.3 ㎞-thick Bunthang sequence within the Skardu intermontane basin of the Central Karakoram was determined using radioactive decay of cosmogenic <SUP>10</SUP>Be and <SUP>26</SUP>Al burial dating. The Bunthang sequence deposited around 2.65 Ma, which is the oldest glaciation in the region. The timing of deposition of the Bunthang sequence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uggestion that the basin filling took place between Brunhess and Matuyama chrons. Four major sedimentary facies interfinger within the Bunthang sequence: glacial diamict, lacustrine, fluvial and lacustrine facies upward. This sedimentary distinctiveness and the lack of evidence on the faults for alternative pull-apart basin model around the Bunthang sequence, suggest that the depressional basin was formed by deep subglacial erosion during the extensive Bunthang Glacial Stage and subsequently the sediments underlain by basal diamict, was quickly deposited by proglacial and paraglacial processes. Temporary ponding of the Indus River due to tectonic uplift in the downstream or blockage by mass movements might make the basin filling more possible. The hypothesis that the single ice sheet developed on the Tibetan Plateau during the global last glacial cycle should be refuted by the existence of the older extensive Bunthang glacier. Furthermore, the extensive glaciation during the early Quaternary (and thus progressive decrease in extent with time) suggests that there may have been significant uplift of the Pamir to the west and Himalaya to the south, which would have reduced the penetration of westerlies and Indian summer monsoon and hence moisture supply to the region.

      • KCI등재

        철원 및 연천 지역 용암대지 현무암의 형성 시기 및 형성 과정

        이민부 ( Lee Min-boo ),성영배 ( Seong Yeong Bae ),이광률 ( Lee Gwang-ryul ) 한국지형학회 2020 한국지형학회지 Vol.27 No.4

        The Cheolwon-Pyeonggang Lava Plateau o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is one of the most extensive volcanic areas in central Korea. However, formative age and process of the plateau still remains a controversial issue. This study presented OSL ages on the upper and lower sedimentary layers of basalt from four sites in the Cheolwon and Yeoncheon areas and estimated age and process of plateau formation based on sedimentary- and chrono-stratigraphy and topographic analysis. The results suggested that most of the initial topography of the plateau on the Cheolwon and Yeoncheon areas had been almost completed before approximately 90 ka. However, the last lava flow around Jangheung-ri, Cheolwon, seemed to occur until 20-30 ka and had led to complete the present plateau, while the last lava flow in the Jeongok area, Yeoncheon, was estimated to occur at approximately 40 ka.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