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제8장 한국경제의 구조적 변화 - 대외부문을 중심으로 : 제8장 한국경제의 구조적 변화

        Wang Yun-Jong(왕윤종) 한국경제연구원 2008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7-2

        왕윤종 박사의 논문은 외환위기 이전 김영삼 정부 시대부터 신자유주의적 대외개방이 점진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대외개방에 대한 안전관리의 미흡이 외환위기 발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고 분석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에는 대외부문의 개방이 가속화되었으며 가장 신속하게 이루어졌던 조치는 환율변동을 시장에 맡기는 자유 변동환율제도의 도입이었다. 이러한 자유변동환율제도로의 이행은 사실상 자본자유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OECD 가입 당시 광범위하게 유보하였던 자본이동 관련 규제가 외환위기 이후 대폭적으로 완화되었다. 그 결과 외환 및 자본거래에 관한 규제가 대부분 폐지되어 우리나라의 자본자유화 수준은 선진국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외환위기 이후 추진된 대외부문 개방정책의 또 다른 특징은 FTA의 추진이다. 외환위기 이후 FTA를 추진하게 된 배경은 무엇보다도 대외교역의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교역증대를 통한 지속적 성장기반을 확보하고, 경제적 자유도의 제고를 통해 단순한 시장 확대 효과 이상으로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추진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외부문과 관련하여 외환위기 이후 나타난 한국경제의 구조적 변화는 크게 자본시장의 개방과 상품시장의 교역확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자본시장의 개방으로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의 빈번한 유출입으로 외국 금융시장과의 연계성이 높아지고 있다. 소위 뉴욕발 쇼크, 중국발 쇼크 등 외국 증시의 변동이 세계금융시장에 확산될 경우 우리 나라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만큼 우리 금융시장의 체질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외환위기 이후 상품시장의 교역규모가 크게 팽창하였다. 수출과 수입의 합인 교역규모를 명목GDP로 나눈 대외의존도는 1990~2006년 기간 중 연평균 10.2% 증가하였다. 이는 동 기간 중 명목GDP가 7.9% 증가한 것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외환위기 이전 대외의존도는 50% 내외를 기록하였으나, 1998년 64.3%로 급등한 이후 2006년에 71.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대외의존도의 상승은 수출주도의 경제성장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내수부진에 따른 경기침체를 다소나마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즉 IT 버블의 붕괴, 신용카드 대란으로 인한 가계부채의 급증 등의 요인으로 소비가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수출이 경제성장을 지탱해 주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수출에 의존적인 구조는 내수부문과 수출부문 간의 불균형, 양극화라는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대외부문의 경기변동에 민감한 구조를 가져와 경제안정화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 또한 IT 부문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30%에 달하고 있어 세계 IT 경기의 변화에 따라 수출과 국내 생산부문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수출품목을 다원화하고 지역별로 다변화된 수출역량을 지속적으로 키워 나가는 것이 개방경제시대에 있어 우리 기업의 새로운 숙제이다. Since the financial crisis, progressive scholars have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globalization and the extension of neo-liberalism in analyzing the structural changes in Korea’s economy. When they are asked if the financial crisis led to the extension of neo-liberalism or not, they say yes without any hesitation. However, we need to understand that globalization is not limited to Korea but a worldwide phenomenon occurring since the collapse of the East European bloc and the fall of Communism. While considering the irreversible globalization trend, how can we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pid progress of liberalization in the external sector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financial crisis resulted from inadequate preparations for liberalization of external sectors which had been gradually progressing since Kim Yong-Sam Administration. Liberalization of external sectors has been even further rapidly progressing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e first measure was the adoption of free floating exchange rate regime. This measure was actually related to liberalizing capital markets. Regulations regarding capital movement, which remained intact at the time of joining the OECD, were greatly relax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As a result, most regulations related to foreign currency transactions and capital movements were repealed, allowing Korea’s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to reach the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Despite the founding of WTO, North America, Europe, Asia, the world’s three major economic blocs, have been more actively focusing on FTA as their trade strategy. The reasons for establishing FTA are numerous, but most put emphasis on practical economic benefits. In Korea’s case, the original background for pursuing FTA has its basis on sustainable growth through increased trade and improving its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greater economic liberalization, beyond market expansion. If that’s the case, when considering Korea’s choice of FTA partners, can we evaluate that Korea’s FTA has served its original purpose? First, looking at Korea’s FTA with Chile, Singapore, EFTA, it is difficult to say if these FTA will bring increased trade or better industrial structure. However, we should look at these FTAs with a different, strategic perspective. Chile and Singapore is a relatively small nation but has much experience in FTA negotiations, so by establishing FTAs with these nation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Korean administration sought to practice and prepare for FTAs with larger nations which bring larger impact. Korea-US FTA has been pursued by Roh Moo-Hyon Administration without national consensus, and thus faced fierce opposition from the progressive side. Also, right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Korea-US bilateral investment treaty negotiations initiated by Kim Dae-Jung Administration were dissolved due to the screen quota issue. The resulting tensions were high, leading to very pessimistic expectations of actually establishing FTA between the two nations. Scholars, including those positive towards the FTA, pu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internal (domestic) negotiations to draw national consensus between various interest groups. Unfortunately, such assertion may be too native. Can national consensus really be reached by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Both the government and citizens must recognize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ach such an agreement that appeases every single entity. Korea-US FTA is not a panacea. Even without the FTA, if our business firms are competitive enough, they can perform well without the reduction of US tariffs. In fact, even without the existence of FTA, establishing local production bases render tariffs pointless. Therefore, Korea’s trade strategy for the FTA with the US should not focus only on tariff reduction, but also create a more favo

      • KCI등재

        외국인직접투자가 무역에 미치는 효과분석

        유진수(Jin Soo Yoo),홍찬식(Chan Sik Hong),왕윤종(Yun Jong Wang),현용진(Yong Jin Heun) 한국국제통상학회 1999 국제통상연구 Vol.4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foreign direct in vestment (FDD on industry and on international analysis on the effect of FDI on international trade was made. The gravity model was adopted for that purpose. It turns that the increase in FDI in Korea induces the increase of exports as well as imports. But the net effect, that is, the effect on trade balance, turns out to be positive, if not significant. Survey of 1,286 foreign firms in Korea were made as well. The survey shows that FDI in Korea is, in general, market oriented. The average ratio of imported raw materials as well as the average ratio of domestic sales to exports are relatively high. The market oriented nature of FDI is noticeable especially in transportation machinery and other manufacturing sector, and in FDI from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국제경제환경 변화와 한국의 통상전략 : 한,미 통상마찰 해소와 통상확대방안: Overview and Current Status

        왕윤종,양준석 한국국제통상학회 1999 국제통상연구 Vol.4 No.1

        Korean-American trade relationship has worsened recently due to increase in Korea's bilateral trade surplus. While the trade surplus is mostly due to the after-effects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Korean recession which followed, US is still maintaining an aggressive position concerning trade. The reason for the strong position by the US is twofold: To protect domestic industries such as steel which had been adversely affected by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o strengthen the American position for the upcoming WTO negotiations. While Americans in general are growing more skeptical about free trade, the problems for Korea are worsened by American preconception that Korea is an unfair trading partner, whose government often protects domestic industries through various trade barriers. While this preconception does have some basis in fact, it has been exaggerated by various American industries such as steel, automobile,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who sought to open Korea's markets to American exports, or to protect American markets from Korea's exports. Korea can expect trade friction in steel, semiconductors, Pharmaceuticals and textiles. US has already brought Korea's distribution system for beef and the procurement system for the Korean Airport Construction Authority (KOACA) to the WTO. Korea should respond to the increased American trade pressure by engaging in following policies: Eliminate the American preconception about Korea, reduce xenophobic opinions held by ordinary Koreans, maintain consistency in trade policy across all ministries, make sure that the recently liberalized trade policies are carried out consistently, form political alliances with American importers, strengthen multilateral trade agreements and use them aggressively, prepare for the New Round of WTO negotiations, and use the WTO dispute mechanism both to strengthen Korea's position, and to reduce the possible acrimony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may arise if trade disputes get out of proportion.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통화정책과 환율정책의 방향

        박대근,왕윤종 한국금융연구원 2002 금융연구 Vol.16 No.1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통화정책의 기본적인 운용체제가 통화량 중간목표제도로부터 물가안정목표제도로 변경되었으며, 환율제도도 관리변동환율제도에서 자유변동환율제도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변동환율제와 물가안정목표제의 채택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신흥시장국가에 있어서도 하나의 추세가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통화·환율정책에서의 변화가 우리경제가 처한 새로운 환경에 적절한 것인지를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바람직한 통화·환율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방경제체제 하에서 우리 경제의 바람직한 통화·환율정책 정립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단 도입된 물가안정목표제도의 정착을 위해 물가예측치 중간목표제와 같이 운용목표의 선정과정에 있어서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유변동환율제도 하에서 환율은 시장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하며 정책당국의 인위적 외환시장개입은 균형환율수준으로부터 지속적인 이탈 등 "매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철저히 배제되어야 한다. 셋째, 통화안정증권의 발행잔고가 지나치게 늘어난 결과 통화안정증권의 이자지급 자체가 통화증발요인이 되고 있다. 정상적인 통화정책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총액한도대출, 외환시장개입, 정부의 한은 차입 등 본원통화의 증발요인을 축소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국채를 공개시장조작의 주된 수단으로 이용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