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의 '이미지연극(The Theatre of Images)' 연구 : 1960-70년대 아방가르드 운동을 중심으로

        이혜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은 아방가르드 예술의 흐름 가운데 ‘이미지 연극’을 시각 예술의 연장선상으로 봄으로써 1960-1970년대 현대미술의 실험적 성격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이미지연극’의 대표주자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 1941~ )의 작품 연구를 중심으로 포스트모던 연극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기호들을 분석하며 이를 통해 드러나는 미학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뉴욕 아방가르드 연극을 이끈 당대 최고의 극 연출가인 로버트 윌슨은 ‘텍스트’라는 전통 연극의 기본 전제를 탈피하여 ‘이미지화’된 무대를 통해 새로운 세계를 선보인다. 윌슨의 연극은 대본이 아니라 그의 아이디어와 스케치로 시작되며 다양한 이미지 기호들을 통해 상징적인 꿈의 무대를 창조했다는 점에서 현대미술가로서의 윌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본 논문의 Ⅱ장에서는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한 실험적 예술행위들로 가득했던 1960-70년대에 대한 시대적 배경 연구를 우선한다. 윌슨의 작품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미니멀리즘’과 ‘무용’, 그리고 ‘포스트드라마’의 움직임들은 기본적으로 전통에 대한 반발과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를 공통으로 한다. 이러한 아방가르드 활동들은 작품의 일의성과 예술가의 지위를 거부하며 탈위계적이고 일상적인 예술을 통해 관람객의 역할을 증진시키는데 이바지했으며 본 연구자는 그의 실례로 ‘저드슨 무용단(Judson Dance Theater)'의 활동들을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아방가르드 예술의 맥락을 토대로 로버트 윌슨의 작품세계를 다룬다. 윌슨의 ‘이미지연극’은 다양한 연극요소들을 콜라주 하듯 하나의 무대 이미지를 만들고 이러한 요소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다양한 층으로 레이어링(Layering)된다. 그 중 본 논문은 ‘조명’과 ‘몸’의 활용에 주목하는데, 윌슨의 작품은 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표현영역을 무한으로 확장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건축적으로 구축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마지막 장에서는 로버트 윌슨의 작품에서 읽혀지는 신체 이미지와 감각적 무대연출 특징을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의 신체와 ‘차이와 반복’의 개념들과 연관 지어 봄으로써 로버트 윌슨의 ‘이미지연극’이 가지는 미학적 의의를 강화시킨다. 결국 로버트 윌슨의 ‘이미지연극’은 미술사적 흐름 속에서 자유로운 교류와 영향들을 바탕으로 그만의 독자적인 미학을 구축시켰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방면으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Theatre of Images’ of Robert Wilson : Focusing on the Avant-Garde Contexts of the 1960s and 1970s Hyewon Lee Department of Art Theory Supervised by Professor Yeon Shim Chung The Graduate School of Arts Hongik University This thesis examines 'The Theatre of Images' as a practice of visual art in the contexts of Avant-Garde art, revealing its connection with the experimental character of modern art especially in the 1960s and 1970s. And by focusing on the research of Robert Wilson's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various symbols used in Postmodern theatre and to examine the aesthetic significances revealed through them in the category of contemporary art discourse. Robert Wilson, an experimental theatre stage director and playwright who has led the New York Avant-Garde theatre of the time, breaks out of the traditional premise of a play based on 'text' and presents an 'imaged' theatre where precise gestures, movements, shapes of objects, sound, and lighting aim to create a heightened experience for the viewer. Therefore, a study is required of Wilson as a contemporary artist in that Wilson's work begins with the ideas and sketches, not the script, and he presents a dream stage through various image symbols. For the purposes of this, chapter II of this paper prioritizes the background research of the 1960s and 1970s, which was full of various experimental arts regardless of genre. The contexts of 'Minimalism', 'Dance' and 'Post-drama', which influenced Wilson's work, essentially shared an objection to tradition and the exploration of new things. Those Avant-Garde practices rejected the uniqueness of the artwork and the status of the artist and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role of the viewer through the independence and everyday art.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work of Robert Wilson based on the context of Avant-Garde art. Wilson's 'The Theatre of Images' creates a stage image like a collage of various theatrical elements which exist independently and are layered into various layers. Among the various element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use of 'Light' and 'Body', and revealed that Wilson's work expands the domain of expression of time and space infinitely and is built architecturally by combining them. The final chapter reinforce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Robert Wilson's work by correlating the body image and sensational stage characteristics read in Wilson's work with the concepts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of a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1925-1995). Furthermore, by identifying the connecting points of Wilson's works called 'Theatre Sensation' and the thoughts of Deleuze's sensation of time and space, it is trying to develop the 'activity of thought' of 'The Theatre of Images' with artistic significance. After all, Robert Wilson's 'The Theatre of Images' has been building its own aesthetics in the flow of art history and requires an in-depth research in various fields.

      • 로버트 윌슨 이미지연극의 연출미학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요소에 의한 복합공연장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조승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726

        The theater has played a role of the essential space that satisfies various demands of the culture art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Also, it has developed into the place of the culture exchange where performing arts are created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In addition, as the society and economy develops and the life level heightens today, modern people’s education, culture, values, and lifestyle change diversely and busy modern people want to enjoy various programs such as the performance, exhibition, café, and restaurant in one place. This people’s concern brings about the diversity and complexation, appearing as the ‘complex theater’ having more than 2 programs. However, the space plan of the existing complex theater is not systematic in maintaining various programs responding to the age change, and even the open space for the new art does not exist. Accordingly, the limit of the art program takes place and the people accustomed to the high culture level do not pay attention and the financial pressure of each facility has worsened. Hereby the complex theater cannot play a role of the art center properly and also not function as the community center for citizens and artists. Hereby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complex theater that can satisfy the civil artistic desire and operate a new complex art program. Hereby in this study, the design expression elements appearing in the directing aesthetics of Robert Wilson’s image play will be applied to the complex theater. Robert Wilson’s image play is contrary to the existing traditional play and called the whole art crossing over the boundary of various genres. This Wilson’s directing aesthetics invite the audience to the fantastic dreamy world away from the tired daily life by arranging the collage of new visual/auditory images which are made by dismantling the linguistic meaning of the text. Also, it provides the audience a chance to concentrate on their inner world forgetting the external world through theatergoing and suggests a pla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image play. Therefore, the researcher arranged directing aesthetics of Robert Wilson’s image play which brought about the revolution to the concept of art form as removing the boundary of the performing arts to draw the design expression element of the space as the dissolution: ‘dissolution of space program’, overlap: ‘overlap of space’, fantasy: ‘symbolic objet’ – ‘boundary-blurring light’, temporality: ‘repetition of traffic line’ – ‘change of natural element’, tonicity: ‘semi-gravity element’ – ‘contrast of colors’. It was examined how design expression elements of Robert Wilson’s image play directing aesthetics were reflected through the domestic/foreign case study based on contents researched above in order to ap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lement. As a result of study, the design expression element of Wilson’s directing aesthetics suggested a new space program and event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custom, and induced the invitation to the fantastic space away from the daily life as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pace. It let the audience fall into the space by giving the internal time severed from the outside and provided the dynamic and rhythmical space. The complex theater to which this design expression element of directing aesthetics was applied could solve the problem existing space had and be changed into a new space. Based on the study above,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complex theater by the design expression element appearing in Robert’ Wilson’s image play directing aesthetics, and the content is as follows. By applying ‘dissolution and overlap’, new spaces were created across the inside by dismantling and overlapping the existing seat and the space of the audience and performers. By applying ‘fantasy’, the fantastic experience from the city to the seat was connected through the symbolic objet and the curtain façade seen i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building, and the experience of light in the space was maximized through the lighting. By applying the ‘temporality’, the gallery way, which induced the movement by the audience who forgot the time flow in the reality as watching the works on the entrance passage using the slope, was planned. It was intended to make the audience’s natural flow and movement into the performance and exhibition by means of the opaque partition and the silhouette curtain in places. By applying ‘tonicity’, the user’s tension and interest through the contrast and friction of the powerful color were induced by designing the entrance and vertical traffic line in red(R150, G31, B36)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theater. The space breaking away from the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was planned, which emitted the tension such as the slope slab and public contemplation room. Therefore, in order for it to establish itself as a complex theater according with the current time, First, the space according with various cultures and artistic needs of the present age should be suggested by dismantling the existing customary space program through the ‘dissolution of space program’, on the contrary, a place where a new space program brings about various culture art creations should be provided. Second, a place where citizens and citizens, artists and artists, citizens and artists communicate and share with each other should be provided by suggesting the sharing/mediation space while the hierarchy of space collapses and the sense of depth is felt through the superposition of space. Third, it enables users to have a special experience away from the daily life through the ‘symbolic objet’ and ‘boundary-blurring light’ and to feel the interest and charm.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should be induced and the space that connects the fantastic experience from the city to the seat should be provided. Fourth, it should let users perceive the temporality in the space after feeling the change of internal awareness through the ‘repetition of traffic line’ and ‘change of natural element’, and the public place where citizens and artists share each other’s opinions as contemplating their inside and the place of rest to feel the natural time should be provided. Fifth, it should make the anticipation wrong in the users’ space experience through the ‘semi-gravity element’ and ‘contrast of colors’, and various behaviors and movements should be induced to provide citizens with the place of amusement for feeling various senses that appear depending on the psychological change. To sum up, by applying the design expression element of Robert Wilson’s image play directing aesthetics to the complex theater, the existing customary space should be made into the open theater on the new art space and program, theater that citizens and artist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overlap of the dismantled space program, theater that induces the citizens naturally from the city to the seat, theater that expands the perceptive power on the internal world to satisfy the following artistic desire, and theater that gives the surprise and interest to the space and creates the rhythmic sense to make diverse experiences possible. Also, various space plans of the complex theater are expected to be researched consistently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공연장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 예술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필수적인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또한 공연 예술이 창조되고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문화교류의 장소로 발전하였다. 더불어 오늘날 사회와 경제가 발전하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현대인들의 교육, 문화, 가치관, 라이프스타일 등이 다양하게 변화하며 또한 바쁜 현대인들은 한 장소에서 공연, 전시, 카페, 레스토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기길 원한다. 이러한 대중의 관심은 다양성과 복합화를 불러 일으켜,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지닌 ‘복합공연장’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복합공연장은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유지하기에는 공간계획이 체계적이지 않으며, 새로운 예술에 대한 개방적인 공간도 존재하고 있지 않다. 그에 따라 예술 프로그램의 한계가 생기고, 문화수준이 높아진 대중들의 발걸음은 줄어들게 되며, 각 시설의 재정압박은 점점 더 심각해진 상황이다. 이에 복합공연장은 아트센터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며, 또한 시민과 예술가의 커뮤니티센터로서도 마찬가지다. 이에 시민들의 예술적 욕구충족이 가능하며, 더불어 새로운 복합예술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복합공연장의 건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공연장에 로버트 윌슨 이미지연극 연출미학에 나타난 디자인표현요소를 적용하고자 한다. 로버트 윌슨의 이미지연극은 기존의 전통연극에 반하며, 다양한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총체예술로 불린다. 이러한 윌슨의 연출미학은 텍스트의 언어적 의미를 해체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시·청각적 이미지들의 꼴라쥬를 무대에 배치함으로써 지친 일상에서 벗어나 환상적인 꿈의 세계로 관객들을 초대한다. 또한 관극(觀劇)을 통해 관객들이 외부세계를 잊고 자신의 내면세계에 집중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관객과 이미지연극의 소통의 장을 제시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공연예술의 경계를 없애고 예술 형식의 개념 자체에 변혁을 일으킨 로버트 윌슨 이미지연극의 연출미학을 정리하여 공간의 디자인표현요소를 해체성: ‘공간 프로그램의 해체’, 중첩성: ‘공간의 중첩’, 환상성: ‘상징적 오브제’ㆍ‘경계를 흐리는 빛’, 시간성: ‘동선의 반복’ㆍ‘자연적 요소의 변화’, 긴장성: ‘반 중력적 요소’ㆍ‘색채의 대비’ 로 도출하였다. 앞서 연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해 로버트 윌슨의 이미지연극 연출미학의 디자인표현요소들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여 각각의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윌슨의 연출미학의 디자인표현요소는 기존의 관습에서 탈피한 새로운 공간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제시하며, 공간의 외부와 내부를 연계하면서 일상에서 벗어난 환상적인 공간으로의 초대를 유도한다. 외부와 단절된 내면의 시간을 부여함으로써 공간에 빠져들게 하고, 역동적이며 리듬감이 살아있는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출미학의 디자인표현요소를 적용한 복합공연장은 기존의 공간이 가지고 있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공간으로서 탈바꿈을 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로버트 윌슨의 이미지연극 연출미학에 나타난 디자인표현요소에 의한 복합공연장을 제시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해체, 중첩성’의 적용으로, 기존의 객석과 무대에서만 만났던 관객과 공연자의 공간을 해체하여 중첩시키는 공간계획으로 내부 곳곳에 새로운 공간을 생성하였다. ‘환상성’의 적용으로, 건물 외부와 내부에서 보이는 상징적 오브제, 커튼파사드를 통해 도시에서 객석으로까지의 환상적인 경험을 연계하였으며 조명을 통한 공간에서의 빛의 체험을 극대화시켰다. ‘시간성’의 적용으로, 경사대지를 활용한 입구통로의 작품들을 보며 자연스레 현실에서의 시간 흐름을 망각, 관람자의 움직임 유도하는 갤러리웨이를 계획하였다. 또한 불투명 파티션과 곳곳의 실루엣 커튼을 사용하여 관람자의 자연적인 흐름, 움직임 자체가 공연 및 전시가 될 수 있게 구성하였다. ‘긴장성’의 적용으로, 입구 및 수직동선에 공연장 대표 색상인 빨간색(R150,G31,B36)으로 디자인하여 강렬한 색채의 대비와 마찰을 통한 사용자의 긴장과 흥미를 유도하였다. 또한 경사 슬라브, 공중사색실 등 긴장감이 느껴지는 수직수평 탈피의 공간을 계획하였다. 따라서 현 시대에 부합하는 복합공연장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첫째, ‘공간 프로그램의 해체’를 통해 기존의 관습적인 공간 프로그램을 해체하여 현시대의 다양한 문화와 예술적 욕구에 부합하는 공간을 제시하며, 반대로 새로운 공간 프로그램이 다양한 문화 예술 창조를 불러일으키는 장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공간의 중첩’을 통해 공간의 위계성이 무너지고 깊이감이 느껴지는 사이 · 공유 · 매개공간을 제시하여, 시민과 시민, 예술가와 예술가, 시민과 예술가가 서로 소통하고 공유하는 장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상징적 오브제’와 ‘경계를 흐리는 빛’을 통해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벗어나 특별한 경험을 하고 그에 따라 흥미와 매력을 느끼게 한다. 이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도시에서부터 객석으로까지의 환상적인 경험을 연계하는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동선의 반복’과 ‘자연적 요소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들이 내면의식의 변화를 느껴 공간에서의 시간성을 지각하게 하고, 시민과 예술가들이 자신의 내면을 사색하여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공공의 장, 자연적인 시간을 느끼는 휴식의 장을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반중력적 요소’와 ‘색채의 대비’를 통해 사용자들의 공간체험에 있어 예상을 빗나가게 하고, 다양한 행위와 음직임을 유도하여 시민들에게 심리 변화에 따라 생기게 되는 다채로운 감각을 느끼는 유희의 장을 제공하여야 한다. 정리하자면, 로버트 윌슨 이미지연극 연출미학의 디자인표현요소를 복합공연장에 적용하여, 기존의 관습적인 공간을 탈피한 새로운 예술 공간과 프로그램에 대한 개방적인 공연장, 해체된 공간 프로그램의 중첩을 통해 시민과 예술가가 서로 소통하며 연결되는 공연장, 도시에서부터 객석으로까지의 시민들의 발걸음을 자연스레 유도하는 공연장, 내면세계에 대한 지각력을 확대하며, 그에 따른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공연장, 공간에 놀라움과 흥미를 부여하고 리듬감을 생성하여 다채로운 경험이 가능한 공연장 으로 계획되어야한다. 또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앞으로 복합공연장의 다양한 공간계획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길 기대한다.

      • You Dream: Youth Organizers Unifying Detroit and Reclaiming Education by Any Means

        Wilson, Naomi Mae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Mich 2021 해외박사(DDOD)

        RANK : 247631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 Interrelations Between 3-Hydroxypropionate, Propionate, and β-Alanine Metabolism: Relevance to Propionyl-coa Metabolism

        Wilson, Kirkland A., Wilso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 2017 해외박사(DDOD)

        RANK : 247375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Propionic acidemia (PA) and methylmalonic acidemia (MMA), both disorders of propionyl-CoA metabolism, are both diseases of toxic compound accumulation. Propionate, 3-hydroxypropionate (3HP), methylcitrate, methylmalonate, related compounds, and ammonium accumulate in body fluids of patients. Although liver transplant alleviates hyperammonemia, high concentrations of toxic compounds persist in body fluids. We hypothesized that metabolic perturbations result from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propionate and 3HP in body fluids. We then confirmed this hypothesis and detailed our findings. First, in the perfused rat liver, propionate and 3HP result in major overload of the citric acid cycle (CAC) and large perturbations in CAC metabolite ratios. Second, energy homeostasis is greatly perturbed; [ATP]/[ADP] and [ATP]/AMP] ratios were decreased while total adenine nucleotide pool was increased, thus the overloaded CAC doesn’t supply enough reducing equivalents to maintain adenine nucleotide homeostasis. Third, there is major CoA trapping in propionyl-CoA, methylmalonyl-CoA, and succinyl-CoA and tripling of total CoA concentration.Further, we identified new fates of propionate and 3HP metabolism in perfused rat livers, plasma samples from heterozygous and conditional knockout mice of PA and MMA, and plasma samples from MMA and PA patients. Propionate and 3HP form nephrotoxic maleate via independent processes not involving the CAC. Propionate conversion to maleate likely occurs by propionyl-CoA metabolism to cytosolic methylmalonyl-CoA then further conversion to maleate by unknown processes. This has clinical relevance to the high occurrence of renal failure in MMA and the increased rate of renal failure in PA post-orthotopic liver transplant.Lastly, we identified new metabolic fates of the 3HP metabolite, s-alanine. We showed that s-alanine (i) stimulates CoA synthesis but does not directly contribute to the s-alanine moiety of CoA, (ii) reversibly forms 3HP and forms the novel metabolite 2-(aminomethyl)-malonate by carboxylation via pyruvate carboxylase, and (iii) perturbs neurotransmitter balance. These discoveries were made in perfused rat livers and in live rats using a combination of metabolomics and stable isotope techniques.Overall, research into disorders of propionyl-CoA metabolism is a complex area of investigation. We explored propionyl-CoA metabolism in the setting of these disorders and report findings that have implications for the clinical management of thes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