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マレ一シア進出日本企業における 原價企畵の現地化の課題 -現地化コンテクストの比較分析-

        ( Tasaka Ko ),( Kozakai Masakaz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9

        本硏究の目的は,文獻調査およびマレ一シア進出企業への現地調査をもとに,現地化のコンテクストについて考察し,原價企畵の現地化に關する反說モデル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ある。そこで,2回に渡るマレ一シアの現地調査の結果を元に,原價企畵の現地化に關する考察を行う。その考察から得られた知見は次の3つである。第1に,サプライヤ一のうち,系列サプライヤ一とOEMサプライヤ一において現地化の差異がある。第2に,現地化のタイプとしては,生産移轉タイプ,設計移轉タイプ,原價企畵移轉タイプの3つを確認できた。第3に,企業の戰略の違いで,マレ一シア進出日本企業において,本國基準と現地適用基準の2つが確認できた。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dicate the context of localization based on literature study and field study to enterprises in Malaysia and to clarify hypothetical models on localization of target costing.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rvey in Malaysia over two times, we will consider the localization of target costing.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at consideration are the following three. First, among suppliers, there is a difference in localization between affiliate suppliers and OEM suppliers. Second, three types of localization could be confirmed: production transfer type, Design transfer type, target costing transfer type. Thirdly, it was confirmed by Japanese firms’ strategies that there were Japanese home countries and local standards in Japanese companies entering Malaysia.

      • KCI등재

        雨森芳洲と対馬藩儒官の世襲

        TASAKA MASANORI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학연구 Vol.38 No.-

        Since the strict class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occupation fixed modern times of Japan, it is the time which the heredity system of trade generalizes. The Confucian scholar was also the same. There were some Confucian scholar's families which was in the pay of Han(藩) over eight generation. The heredity system was the concept which was naturally adapted also for the Confucian scholar's family. However, Amenomori Hosyu was a Confucian scholar of the Tsushima han claimed that it was opened for even the merchant who is an able Confucian scholar, but heredity was not institutionalized with his book “Kosikosiki(公私考式)”. The Confucian scholar of the Tusima han differed from the common Confucian scholar who lectures on the four-Chinese-classics five Chinese classics to a master, or was engaged in education in a domain school. In many cases, they bore the duty which supports negotiation with Korea. In the finances of the Tusima han, the trade with Korea was very important. In order to stand on an advantageous position by negotiation with Korea, many competent Confucian scholars were required. Hosyu judged that an incompetent Confucian scholar who inherited a government post called a Confucian scholar not only bringing a Han a loss but he himself experiences difficulty. And also Hosyu judged that there was no ability which deserves bearing trade with Korea to his eldest son Kennojo(顕之允). And He wished the Han needed to exempt from the eldest son inheriting the Confucianism of trade. So much, the Confucian scholar of the Tusima han was a public official post which needs ability . 일본 근세는 엄격한 신분제도가 확립하여 직업이 고정되었기에 각종 가업 세습제가 일반화하는 시기이다. 그것은 유학자도 마찬가지다. 각 번(藩)에 출사하는 유학자 중에는 8대에 걸쳐서 봉급을 받으며 가업을 이어간 가문들도 있다. 세습제는 유학자 가문에도 당연히 적용되는 개념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마번(対馬藩) 유관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는 『公私考式』에서 유관 임용은 실력이 있으면 상인들에게도 개방하면서 세습은 제도화하지 않겠다는 주장을 하였다. 대마번 유관은 번주(藩主)에게 사서오경 등을 강론하거나 번교(藩校)에서의 교육에 종사하거나 하는 일반적 유관과는 달리 조선과의 교섭을 지원하는 임무를 지닌 경우가 많았다. 조선과의 교역을 통해 재정을 운영하고 있던 대마번에 있어서는 조선과의 교섭에서 유리한 입장을 유지하려면 조선의 과거를 통과한 도훈 및 별차 이상의 유학자로서의 실력을 가진 유관이 다수 필요하였다. 호슈는, 실력도 없이 세습으로 유학을 가업으로 승계한 유관은 번에게 손실을 발생케 할 뿐만 아니라 자신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호슈 자신도 장남 켄노죠(顕之允)에게 조선 교역을 맡을 만큼의 실력이 없다며 가업인 유학을 면하게 해달라며 탄원한다. 그만큼 대마번 유관은 실력을 필요로 하는 관직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746년 관백승습고경차왜 접대 -종가문서로 보는 다례 이후-

        TASAKA MASANORI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3 No.-

        1747년 11월에 한양을 떠나 이듬해 윤 7월에 복명하기까지의 이른바 제 10차 조선통신사 초빙을 위해, 대마번은 관백퇴휴고지차왜, 관백승습고경차왜를 잇달아 부산에 보냈다. 제 10차 통신사는, 도쿠가와 이에시게(徳川家重)의 에도막부(江戸幕府) 제 9대 정이대장군(征夷大将軍=관백)직 승습을 축하하기 위해 보내졌으며,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에 큰 문제나 갈등 없이 이루어진 통신사로 평가 받고 있다. 통신사초빙의 발단이 된 요시무네(吉宗)의 관백직 퇴위와 이에시게(家重)의 승습인 만큼, 두 번의 대차왜도 통신사 초빙의 교섭과정에 포함된다. 본고는 제 10차 통신사 초빙 교섭과정 중의 하나인 관백승습고경차왜의 다례의 이후, 부산 왜관에서 이루어진 조선과 대마번 사이에서 이루어진 교섭과정을, 의식(儀式) 연향(宴享) 등을 기록한 조선과 대마번 양쪽 사료를 대조한다. 그 결과 한 쪽 사료만으로는 알지 못했던 모습을 조명하고, 사료 해석에 있어도 서로를 대조하는 것으로 더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았다. In order to invite the so-called 10th Joseon Tongsinsa from November 1747 to The following Leap July, the Tsusima sent Delegation from Japan to announce, one was accession, and two was retirement of Gwanbeak to Busan one after another. The 10th Tongsinsa was sent to celebrate the accession of the Edo Shogunate's 9th Shogunate(= Gwangbeak) of Tokugawa Ieshige. And this time Tongsinsa is evaluated as a peaceful one without any conflicts. It was the beginning of the invitation of Tongsinsa by Yoshimune's retirement and Yoshimune's accession of Gwanbeak. Two delegations to inform these facts are also included in the negotiation process of Tongsinsa invit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bargaining between Joseon and Tsushima in Busan Waegwan, followed by the ceremony and so on, which is one of the 10th Joseon Tongsinsa invitation negotiation process, through a comparison of both historical documents of Joseon and Tsusima(Soke document). As a result, I could see that it is possible to interpret more accurately by illuminating what we did not know with just one document and by comparing them with each other in document interpretation.

      • KCI등재
      • KCI등재

        무진년 통신사행 절목 중구관백전(舊關白前) 예단 및 배례 강정에 관한 고찰

        TASAKA MASANORI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9 No.-

        I scrutinized the Korean and Japanese Historical materials carefully for the situation of intense negotiations between the Officials of Chosun and the Tsushima dealing with devising the rules of Tongshinsa from April 9 to July 1, 1747. It is noted that the 'Gifts and Greeting for Shogun' written in "Jeungjiung Gyorinji", which recorded the overview, was rejected as unprecedented from the Chosen court at first, but eventually came to be implemented with 'Special King's order'. I thought that there was a complicated negotiation process on the word 'eventually', so I looked at "The annals of the Chosen Dynasty", "Tongshinsa Deungnok", "Bibyeonsa Deungnok", and Tsushima Soke Family Document "Shinshi Kiroku". According to "Tongshinsa Deungnok", the King of Chosun asserted that An inviter of Tongshinsa's sentence to Shin, Yong-rae was arbitrarily written by an inviter unlike the Japanese Shogunate or Tsushima master. So Chosun initially rejected the gift ang greeting to old Shogun. Old Shogun is not dead yet, so Tongshinsa have to meet him in Edo. So on May 12, Tongshinsa asked the king that we had to accept this sentence, and then this sentence was allowed, but they decided not to include it in the rule document. "Bibyeonsa Deungnok" on the June 5th record, old Shogun has already recorded a greeting so that Chosun allowed him to send gifts and greeting. This news was delivered to an inviter on June 24, and it was July 1 that Chosun's document was officially delivered. In two months from May to June, An inviter has continuously requested and explained at Waekwan to put the gifts and greeting to old Shogun into roll document. Between the Court of Chosun and the Japanese inviter, Korean interpreters not only conveyed the language, but also received a strong rebuttal from the Court and disputed intensely with japanese inviter on it. We saw it through Soke Family Document "Shinshi Kiroku". 1747년 4월 9일부터 7월 1일까지 벌어진 통신사 사행절목 강정을 둘러싼 조선의 왜학역관과 쓰시마의 차왜 간의 치열한 교섭 상황을 한국 및 일본 사료를 면밀히 살피며 고찰하였다. 사행절목 강정의 개관을 기록한 증정교린지 에는 ‘구관백전(舊關白前) 예단 및 배례’ 건이 처음에는 조정으로부터 전례가 없다고 거부당했으나 ‘결국 특교로’ 시행되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결국’이라는 말에 단순하지 않은 강정 과정이 있었을 것으로 의심을 갖게 되어 조선왕조실록 , 통신사등록 , 비변사등록 , 일본의 대마도종가문서 신사기록 을 살폈다. 통신사등록 을 보면, 통신사청래차왜가 다례 날(4월 9일)에 차비역관 신영래에게 전달한 절목은 일본 막부나 쓰시마 도주의 뜻과 다르게 차왜가 임의로 작성한 것이라고 영조가 단언할 정도로, 처음에는 절목 속의 구관백전 예단 및 배례를 거부한다. 5월 12일에 통신사 삼사가 구관백은 죽은 것이 아니기에 에도(江戶)에서 대면할 수밖에 없어 이 절목을 허용할 수밖에 없다는 청을 올리자, 허용하되 절목에 넣지 않기로 한다. 비변사등록 6월 5일조에는, 구관백은 이미 통신의 의리가 있어 예단 및 배례를 허락하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소식이 차왜에게 전달된 것이 6월 24일이며, 정식으로 비변사의 관문이 전달된 것은 7월 1일이었다. 왜관에서는 이 5~6월까지의 2개월간에도 구관백전 예단 및 배례를 절목에 넣을 것을 조선에 끊임없이 요구하고 설명했다. 동래의 역관들은 동래부사 및 접위관과 차왜 사이에서, 단순히 언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동래부사로부터 질책을 받거나 면담도 거절당하기도 하고, 차왜에게 강한 재촉도 받아가며 또 치열한 논쟁도 벌인 모습을 연향(延享) 신사기록 三 을 통해서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公文書による韓語学所出身者たちのその後

        TASAKA MASANORI 한국일어일문학회 2010 日語日文學硏究 Vol.73 No.2

        従来の明治初期朝鮮語教育に関する研究は、明治七年までの外交文書記録を伝える『朝鮮事務書』という限られた範囲で行なわれてきた。今回、同じく公文書という限られた資料ではあるが、より後の時代の資料にまで目を通すことにより、従来の研究において言及されていない、稽古通詞を含めた韓語学所出身者の動向を知ることができた。明治九年七月、草梁公館の稽古通詞の語学所在籍記録を「生徒理学調書」に知ることができ、東京外国語学校朝鮮語学科新設にともない草梁語学所自然消滅したとされる明治十三年に、「生徒理学調書」に在籍記録のある稽古通詞たちの、外務省および参謀本部への移動記録が目につく。また、明治十三年には、釜山草梁公館の語学所が東京語外国語学校に併合されたとされるが、実は、語学生は外国語学校に籍を置いたまま、その後も継続して釜山にて語学学習に励んだのではないかとの推察をした。そして、明治十五年の壬午軍乱、十七年の甲申政変、そして二十八年の乙未事変の、京城で起こった三度の事変で、韓語学所出身者たちも様々な場面と立場で活躍したが、特に浅山顕蔵においては、直接、それらに関わった記録が目を引いた。その他、明治三十四年「在韓邦人中、韓語精通者氏名年齢住所等取調一件」や、明治三十八年以降の韓国政府聘用記録にも、数人の韓語学所出身者に関する記録が確認された。こうした中で、国分哲の経歴や、釜山草梁公館語学所が文部省ではなく外務省所轄である記録などは、貴重であった。

      • KCI등재

        旧外語朝鮮語学科海軍省生徒の留学をめぐり

        TASAKA MASANORI 한국일어일문학회 2010 日語日文學硏究 Vol.75 No.2

        本稿は、明治初期の韓語学習を調査していく中、外務省の朝鮮管理官養成の目的をもって新設された朝鮮語学科には、それ以外に陸軍省、海軍省からも生徒が集まって来ていたことがわかった。その中で、陸軍省は朝鮮語留学生徒をすでに朝鮮国に派遣していたが、海軍省からは未だ留学生徒の派遣はされていなかった。そうした中、明治十四年(1881)、福田芳之助ら四名の海軍省所属朝鮮語学科生徒らにより、最初の朝鮮国留学志願の歎願書が提出された。この歎願書は却下されたが、翌年、そしてさらに二年後の明治十七年(1884)に、二度目、三度目の歎願書が提出され、ようやく認可される。留学志願の根拠として、韓語文法の未整備、発音の難しさ、語学書の乏しさなどを挙げるが、経済的理由も無視できない。朝鮮語学科生徒に支給された月五円三十五から五十銭という金額の五倍近くの月二十五円という多額の費用が、朝鮮国留学生徒には支給されたのである。こうして多大な費用を投入して養成された生徒らは、この後の日露戦争において、軍の通訳として活躍することになるのだが、それも戦争という特殊な状況下のことであった。

      • KCI등재

        『両国壬辰実記』成立当時の和館と三本の写本

        TASAKA MASANORI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학연구 Vol.43 No.-

        For Tsushima Fuchu clan of the early modern period, relations with Korea were those fateful.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en going through 200 years. Hisanaga Yamazaki stayed in the Wakan of Pusan as a 1st procurator, and wrote “Ryougoku jinsin jikki” based on “Cheosen seibatsuki”, “Cheosen taiheiki” and “Jingbi rok” so on, in order to write the true history. There are 3 manuscripts of “Ryougoku jinsin jikki”. In this paper, I described situation of the Wakan at that time when Hisanaga wrote “Ryougoku jinsin jikki”, based on “Kansyu nikki” of National Diet Library of Japan. Then, I understood that there were some possibility that a small guard and self-interest results in a difficulty to Tsusima clan. Hisanaga wrote “Ryougoku jinsin jikki” in 1796. After about 60 years, “Jissyou Cheosen seitou simatsuki” was published. Between During 1796 to 1802, people thought Hisanaga had been corrected to a large extent the document. But,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3 manuscripts and “Jissyou Cheosen seitou simatsuki”, I could not find any facts to correct the document. At the end, I spoke that there is a record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o show existence of another book by Hisanaga. I hope to see new document. 근세 츠시마후츄번(対馬府中藩)에 있어서 조선과의 관계는 운명적인 것이었다. 임진・정유 왜란으로부터 200년이 자나서, 왜관의 제일대관(一代官)이 되어 바다를 건넌 야마자키 히사나카(山崎尚長)는 일본의 『朝鮮征伐記』와『朝鮮太平記』등 그리고 『징비록』을 기초로 하여 올바른 역사를 쓰겠다는 뜻을 가지고 그 임기 중에 『양국임진실기』를 펴냈다. 현존하는 것은 셋 필사본이며, 『양국임진실기』 성립 약 60년 후에, 권지 제삼 도중까지가 『正実 朝鮮征討始末記』으로 간행 되었다. 본고는, 야마자키 히사나가가 『양국임진실기』를 집필하면서 체류한 왜관의 당시 상황을 『館守日記』를 통하여 한가하지만 작은 이기심이 츠시마번에 여려움을 안겨줄 수도 있는 상황이었음을 보았다. 또 지금까지 언급 되지 않았던 나가사키 현립 츠시마 역사민속자료관(長崎県立対馬歴史民俗資料館) 소장 필사본을 고찰함으로써 『양국임진실기』가 1796(寛政8)년에 간행을 예정하여 表御書札方에서 필사 보관한 사실과 국립공문서관(国立公文書館) 소장 두 개의 필사본, 그리고 『실정 조선정토시말기』와의 비교를 통하여서, 지금까지 추정 되어졌던 큰 수정작업이 없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마지막에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자료에, 히사나가의 또 다른 저서가 존재한 기록을 찾아낸 것을 밝히고 새로운 자료가 발굴되기를 기대하는 바 덧붙혔다.

      • KCI등재

        『崔忠伝』韓日対訳本について

        TASAKA MASANORI 한국일어일문학회 2009 日語日文學硏究 Vol.71 No.2

        本稿は、朝鮮語本文に日本語対訳が並記された韓日対訳の形式をもつ『崔忠伝』、すなわち早稲田大学図書館服部文庫所蔵『朝鮮語訳小説三』の「崔孤雲伝」と沈寿官家所蔵の鹿児島県立図書館複製『崔忠伝』との比較対照により、韓日対訳本が製作された過程および翻訳の問題点を考察した。 近世の朝鮮語学習において、『崔忠伝』をはじめとする韓国古小説が翻訳の教材として用いられていたことは、よく知られるところであるが、韓日対訳本という形式で考察できることは意義深い。特に沈家本からは、朝鮮語本文とその漢字語を漢字変換して表記する段階までは「筆写」が、諺文漢字語を漢字変換した漢字の間に片仮名で対訳を完成される段階においては、ある程度独自的な「翻訳」という手順で製作されたであろうことを推察する糸口を見た。 両本を見る中で、諺文の漢字語を日本の漢字表現として翻訳する際の問題が目についた。朝鮮語も日本語も共に漢字を用いるが、その用途や意味において多少の差のあることから、外来語とでも言うべき朝鮮語式日本語が、特に早大本に見られることから、対馬でこうした漢字表現が行なわれていたことなどを論じた。 またこの考察は、早大本は対馬、沈家本は鹿児島苗代川で製作されたものであるため、両地域での朝鮮語学習の比較にも思いを馳せる要素を含むが、当然のごとくここで扱う早大本および沈家本『崔忠伝』に限った論述に限定されざるを得なかった。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