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단 폐슬러지에 있어서 응집제첨가에 따른 탈수특성에 관한 연구

        엄태규,라원식,엄원탁,한기백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2 연구보고 Vol.20 No.1

        To reduce the rate of water contained in the sludge of the industrial wastewate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mparatively considering the dewatering effect according to addition of coagulant and dewaterability properties of slud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waterability properties of sludge presented that the suitable difference in pressure necessary a good dewaterability seems to be 200, 300㎜Hg. 2. When adding an ploymer coagulant to the sludge, its dewaterability properties showed that the higher the rate of addition, the better its dewaterability. Also, it appeared that the adequate rate of addition is about 0.3-0.7% when SS concentration of sludge is 18,000㎎/l, and that is about 0.3-0.4% when SS concentration of sludge is 35,000㎎/l, when this rate is more than 0.5%, it was shown that the dewaterability is insufficient due to both initial moment dewaterability and closing condition of the filter basin. 3. When adding 0.4% ploymer coagulant, the adding rate of inorganic coagulant indicated that the more the added inorganic coagulant, the lower the specific resistance. When the rate of addition is more than 9.0%, however, the filter water indicated a light yellow. For the reason, it is expected that the inorganic coagulant flows out ineffectively. It is expected that the adequate rate of inorganic coagulant addition is between 6.0-9.0%, therefore, while it is better to use both polymer and inorganic coagulant for dewatering the sludge.

      • 윈도우 기반 PLC구동 프로그램 개발

        김태형,정원지,엄태진,홍대선 國立 昌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0 産技硏論文集 Vol.14 No.-

        As personal computers are being developed, most softwares are based on window-based operating systems recently. Th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s) which are usually operated based on the DOS system should be adapted to the window-based environment in order to have the multi-tasking and flexibility of PLC programs. In this paper, the PLC driving programs which are based on the window-based operating systems are developed for the hardwares in which only DOS-based driving programs are being used currently.

      • Polyacryloyl Chloride 로부터 고분자 염료의 합성

        이상원,엄달호,안태완 崇田大學校 1982 論文集 Vol.12 No.1

        Several polymeric azo dyes were synthesized from reactive polymer, polyacryloyl chloride. The monomer, acryloyl chloride was synthesized, and then polymerized in N, N-dimethylformamide. Polyacryloyl chloride was reacted with 1, 4-phenylenediamine to poly-N-(4-aminophenyl) acrylamide, and the resulting polymer was investigated by infrared spectroscopy,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nd elemental analysis. The polymeric azo dyes were obtained by diazotization and coupling reaction of free amine group of the intermediate polymer. The polymeric dyes were insoluble in water and general organic solvents. The colors of these dyes were determined by visible spectrophotometry.

      • 光量과 施肥水準에 따른 산초나무, 은행 나무, 보리수 및 쥐똥나무의 新梢生長과 葉綠素 合量

        金甲泰,嚴泰元 상지대학교 1994 論文集 Vol.15 No.-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fertilization level on shoot growth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Ginkgo biloba, Elaeagnus umbellata and sxLigustrum obtusifolium, shoot growth and monthly change of leaf chlorophyll contents were measured and compared. Leaf chlorophyll content of four species were increased with leaf growth, showed highest value on late August, and were decreased after that time. More leaf chlorophyll content and duration on late September were found in intensive fertilization plots. The less light intensity was illuminated, the more leaf chlorophyll conten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Ginkgo biloba and Ligustrum obtusifolium were measured. The more light was illuminated, The more leaf chlorophyll content of Elaeagnus umbellata were measured on late May, June and July. The less light intensity and more fertilization were treated, the more shoot growth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Ligustrum obtusifolium were measured. The more fertilization were treated, the more shoot growth of Ginkgo biloba and Elaeagnus umbellata were measured. However, Shoot growth of Ginkgo biloba and Elaeagnus umbellat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light intensity.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hoot growth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was proved throughly,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of Ligustrum obtusifolium was proved partially. Correlations between shoot growth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of Ginkgo biloba and Elaeagnus umbellata was proved not significant.

      • KCI등재
      • KCI등재

        양양군 국유림 지역의 음이온 농도와 임상, 숲 관련인자와의 상관

        엄태원 ( Tae Won Um ),김갑태 ( Gab 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5

        본 숲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의 농도가 임상과 숲 관련인자에 따른 변이를 파악하고자, 강원도 고성군, 양양군에 위치한 국유림지역에서 52개의 방형구에서 산림조사와 음이온의 농도를 측정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음이온의 평균값 2,405개/㎤는 일반적인 숲에서 보고된 2,000개/㎤보다는 조금 높은 값이었다. 음이온 농도와 지형에서는 5% 유의수준에서, 음이온 농도와 토양수분, 해발고에서는 1% 유의수준에서 각각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음이온 농도는 토양수분 수준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다습한 지역에서 평균 음이온 농도가 4,524.4개/㎤로 가장 높았다. 지형에서는 계곡부 조사지의 평균 음이온 농도가 3,372.4개/㎤로 가장 높았으며, 사면, 능선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측정시간대에서는 오전(12시 이전)에 측정된 평균 음이온 농도가 3,133.4개/㎤로 가장 높았으며, 낮(12:00~15:00), 저녁(15시 이후)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임상에서는 활엽수 혼효림에서 측정된 평균 음이온 농도가 3,503.9개/㎤로 가장 높았으며, 참나무림, 소나무림, 소나무-참나무 혼효림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치유의 숲 입지선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anion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forest type, forest-related factors, forest survey and anion concentrations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on the 52 quadrats located at the national forest areas in Yangyang-gun, Kangwon-do. The relationship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forest-related factors were correlated. Total mean of anion concentration was 2,405 ea/㎤,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general figures 2,000e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soil moisture contents, and also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altitud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topography. Anio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oil moisture levels. Mean anion concentration were highest at 4,524.4ea/㎤ in on wet sites, and followed slightly wet sites and moderate sites. Mean anion concentrations was highest on valley sites at 3,372.4ea/㎤, followed by slope and ridge areas. Mean anion concentrations measured before noon was highest at 3,133.4ea/㎤, and measurements during 12:00~15:00 and after 15:00, showed relatively low anion concentrations. Mean anion concentrations was highest at mixed deciduous forests at 3,503.9ea/㎤, followed by oak forests, pine forests, and pine-oak forests.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planning therapeutic forests.

      • KCI등재
      • 제1분과 : 보호지역 관리 ; 낙엽송 인공조림의 벌채밀도에 따른 변화

        엄태원 ( Tae Won Um ),홍종민 ( Jong Min H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1970년대 전국적인 조림정책으로 식재된 낙엽송인공조림지가 국립공원 내 위치하고 있어 이를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종다양성이 풍부한 활엽수림으로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에 오대산국립공원내 월정사지역의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2009년 밀도별(30%, 50%, 70%) 솎아베기(간벌) 후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활엽수의 천연갱신 양상을 조사하였다.각 벌채지별 3년간 치수발생량의 변화를 표 3에 보였다. 30%벌채구에서는 고추나무(131본) 등의 관목과 복자기나무(22본), 층층나무(25본), 물푸레나무(31본), 귀룽나무(66본) 등 교목성 치수들이 상당수 유입되고 있다. 그러나 유입된 목본류중 교목성 수종 대부분이 초본과의 경쟁에서 도태되어 고사하고 있으나 고추나무, 지렁쿠나무 등은 지속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교목성 수종 중 귀룽나무와 물푸레나무의 경우 치수발생량 및 생존율이 높아 일정 시간 경과후 하층 식생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50% 벌채구는 30% 벌채지에 비해 치수의 발생량과 초본류의 발생량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층부에 활엽수가 군상으로 존치되어 이들의 종자가 임상으로 유입되고 있지만 임상에 생육하는 조릿대의 영향으로 발생량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낙엽송림의 활엽수림으로의 유도뿐만 아니라 활엽수의 천연갱신 유도시 임상에 생육하는 조릿대의 제거는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발생된 치수 중 가장 큰 비율을 나타낸 것이 고추나무(151본)와 관목류인 국수나무(39본)이며 교목성 수종 중에는 귀룽나무가 22본, 층층나무 14본, 물푸레나무가 13본이 발생되었다. 특이할 만한 것은 침엽수인 젓나무 치수가 5본이 발생되어 생육하고 있다. 70% 벌채구는 벌채 후 거의 전광에 가까운 광의 유입으로 조릿대가 번성하여 교목성수종의 발아량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룽나무, 층층나무 등 교목성 수종의 치수 발생량은 3년 동안 10개체 이하로 매우 저조하였다. 그러나 관목성수종인 국수나무의 경우 벌채 후 3년 경과 후인 2013년 308개체가 발생되었다. 또한 강한 광을 선호하여 산림벌채후발생된 공간이나 임도의 절.성토면에 주로 발생되는 두릅나무의 개체수가 2012년에 103개체, 2013년에 75개체로 나타났다. 두릅나무의 경우 초기 생장이 우수하여 하층의 대부분이 두릅나무로 잠식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강도의 벌채로 임상으로 유입되는 전광에 가까운 광으로 인해 조릿대의 번성과 두릅나무의 번성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해 원래 목적으로 하였던 활엽수 치수의 발생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할 것으로 보여진다. 벌채구별 평균 고사율은 30% 벌채구에서 9.43%, 50%벌채구에서 12.72%, 70% 벌채구에서 8.33%로 나타났다. 각 벌채구별 고사율은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별도의 표시는 하지 않았지만 약 10%내외의 고사율을보였다.

      • KCI등재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산 송추-도봉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엄태원 ( Tae Won Um ),김갑태 ( Gab 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2

        북한산국립공원 능선부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송추~도봉구간 능선부에 방형구(400㎡) 22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2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도봉산 송추-도봉지구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해발고가 낮은 일부지역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졸참나무와 당단풍, 소나무와 당단풍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 신갈나무와 진달래, 리기다소나무와 철쭉꽃, 팥배나무와 진달래, 리기다소나무와 소나무, 소나무와 아까시나무, 당단풍과 쪽동백나무, 함박꽃나무와 노린재나무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997~1.160 범위로 다른 국립공원들의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mountain ridges ranging from Songchu to Dobong, this research set up 22 plots(400㎡) as survey target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woody plant cluster, it was classified as two group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 ommunity. Quercus mongolica was found as a mostly dominant woody plant species in the ridge areas from Songchu to Dobong, while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and Quercus acutissima were mixed up partly in low altitudes. High nega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serrata, Quercus serrat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Pinus densiflor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nd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to exist between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Quercus mongolic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Pinus rigid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orbus alnifoli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Pinus rigida and Pinus densiflora; Pinus densiflora and Robinia pseudoacaci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Styrax obassia; Magnolia sieboldii and Symplocos chinensis. Species diversity index(H`) by community at the surveyed areas stayed in the scope of 0.997~1.160, which indexes showed nothing different from the vegetation structure of other national pa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