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몇 생리적 특성을 이용한 제일대잡종 poplar ,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1 의 우량 clone 선발에 관한 연구

        김갑태,이돈구 한국임학회 198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59 No.1

        第一代 雜種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F₁의 優良 clone을 選拔하기 위하여,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苗圃場에서 密植栽培한 1, 2年生 各各 13, 15 clone을 對象으로 生長과 이에 關聯된 몇 生理的 特性을 調査 比較하였다. 個體當 乾重量, 個體當 葉面積, 單位葉面積當 葉綠素 含量에 있어서 2年生 clone間에는 高度의 有意性이 認定되었으나, 1年生에 있어서는 有意差가 認定되지 않았다. 個體當 乾重量과 個體當 葉面積의 相關係數는 r=0.865, 그리고 個體當 葉綠素含量과의 相關係數는 r=0.888로 高度의 相關이 認定되었으며, 個體當 光合性 能力과의 相關係數는 r=0.745로 比較的 높은 相關이 認定되었다. 1年生 clone의 葉順別 葉單位面積常 光合成能力과 葉綠素含量은 葉順이 增加함에 따라 增加하여 28번째, 33번째 葉에서 各各 最大値를 보였으며, 그후 아래로 내려올수록 점차 減少하는 傾向을 보였다. clone 68-1-54, 66-26-55, 65-22-11 等은 個體當 葉面積, 葉綠素含量과 光合成 能力으로 보아 다른 clone들보다 良好한 生長能力을 보였다. 第一代 雜種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F₁의 生長量은 個體當 葉面積이나 個體當 葉綠素含量으로 推定할 수 있었다. 이러한 事實로 보아 個體當 葉面積이나 個體當 葉綠素含量의 測定値는 本 雜種 poplar clone의 成長을 推定하는 하나의 基準으로 使用될 수 있다.

      • KCI등재

        개미가 종자를 산포하는 식물종과 전파체 특성에 관한 연구(I)

        김갑태,Kim, Gab-Tae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4

        우리나라에서 개미가 종자를 분산시키는 식물종과 그 종자의 특성을 밝히고자, 2012년 4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열매 수집, 전파체 특성, 관련된 개미종을 조사하였다. 개미가 종자를 퍼뜨리는 엘라이오솜을 종자에 부착한 8종의 식물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종자에 부착된 엘라이오솜의 형태는 종마다 형태나 크기가 매우 다양하였다. 전파체를 물어가는 개미종은 곰개미, 곰뿔개미, 누운털개미, 주름개미, 긴호리가슴개미, 고동털개미 등 6종이었으며, 일본왕개미나 몸집이 작은 사쿠라개미 등은 전파체를 물어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름철에 개화하는 식물종도 개미와 엘라이오솜을 매개로 하는 상리공생함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개미가 종자를 퍼뜨리는 자생 식물종을 파악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o search for native myrmecochorous plant species in Korea and their diaspore characteristics, collecting their fruits and diaspores, and the related ant species were studied from April 2012 to October 2013. Eight herb species growing in Korea are added to the myrmecochorous (seed attached elaiosome) plant list. Elaiosomes of eight herb species vary considerably in shape and size. Major ant species transporting the diaspore of myrmecochorous plants are Formica japonica, Lasius alienus, L. japonicus, Myrmica lobicornis, Temnothorax spinosior, Tetramorium tsushimae, but Camponotus japonicus and Nylanderia sakurae do not transport the diaspores. This study found out that mutualism between myrmecochorous summer-flowering plants and ants is carried out in Korea. Further research on the native myrmecochorous plants should be needed.

      • KCI등재

        덕유산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김갑태,김준선,추갑철,엄태원 한국환경생태학회 199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7 No.2

        덕유산 국립공원의 고산지대 (해발 1,350m이상)를 대상으로 삼림식생의 실태와 삼림군집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연보존지구에 29개의 방형구(20×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신갈나무와 들메나무, 들메나무와 노린재나무 및 싸리, 시닥나무와 주목, 함박꽃나무와 작살나무, 주목과 구상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신갈나무와 시닥나무, 주목 및 괴불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9969~l.221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natural forest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29 plots (4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Four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nus mongolica and Fraxinus mandshuric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Lespedeza bicola,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and Taxus cuspidata, Magnolia sieboldii and Callicarpa japonica, Taxus cuspidata and Abies koreana,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Taxus cuspidata, and Lonicera maackii.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0.9969~1.2217.

      • KCI등재

        생육조건에 따른 산수국의 엽생장 및 생리적 특성

        김갑태 한국환경생태학회 200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0 No.1

        이 연구는 관상용이나 천연감미료, 생리활성물질의 원료로 활용되는 산수국의 적정 생육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2년생 산수국의 삽목묘를 대상으로 광, 수분 및 시비처리를 실시한 후 8월과 9월에 광합성, 엽록소 함량, 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광도처리별 광합성율의 유의차는 8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9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관수처리별 광합성율은 주3회 관수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비구가 무시비구에 비해 광합성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함량은 광도처리별에 있어서는 8,9월 모두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관수처리별에서는 8월에서만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시비처리에서는 모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엽생장(엽장과 엽폭)은 전광과 주 3회 관수처리 시에 양호하였다. To study for proper growing conditions of Hydrangea macrophylla var. acuminata, used as ornamental trees or sources of natural sweetenings and biological active compounds, two-year-old cuttings of the plant were subjected to different conditions, light intensity, watering, and fertilizing levels. Photosynthetic rates measured on October 2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wo light intensity regimes, but the values measured on September 3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Mean photosynthetic rates on the plot watered three times a week were higher than the cuttings on the plot watered once a week. Mean photosynthetic rates on the plot fertilized 200grams/cutting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uttings on the control plot. Chlorophyll contents measured on August 2 and on September 3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light intensity regimes. Chlorophyll contents measured on August 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moisture regime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fertilizing levels. Means of leaf growth(length and width) measured the highest values on the plot watered three times a week, and on the plot in full-sun lighted.

      • KCI등재

        몇 생리적 특성을 이용한 제일대 잡종 포플러 ,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1 의 우량 clone 선발에 관한 연구

        김갑태,이돈구 ( Gab Tae Kim,Don Koo Lee ) 한국산림과학회 198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59 No.1

        To select the superior clones of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₁, growth and some growth-related physiological characters were examined for thirteen, one-year-old and fifteen, two-year-old clones, respectively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nursery in Suweon, Clonal differences in growth (total dry weight per tree), leaf area per tree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per tree at tow-year-old plots were highly significant at the 1% level, but not at one-year-old plot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aef area per tree and total dry weigh per tree (r=0.865), between leaf chlorophyll content per tree and total dry weight per tree (r=0.745). The photosynthetic ability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per unit leaf area of one-year-old plant increased with increasing leaf order number from top. reached maximum value in the twenty-eithth and thirty-third leaves, respectively,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from those leaved to base, Clones 68-1-54, 66-26-55 and 65-22-11 showed test growth based on leaf area per tree, leaf chlorophyll content per unit leaf area and photosynthetic ability of leaf tissue per unit area. Growth yield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F₁ clones could be estimated from either leaf area per tree of leaf chlorophyll content per tree. Therefore, measurements of leaf area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appear useful to select superior populus clones early growth

      • KCI등재

        가리왕산의 산채 분포에 관한 연구

        김갑태,엄태원 ( Gab Tae Kim,Tae Won Um ) 한국산림과학회 199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6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intain the productivity of forest production and byproducts production of natural forest. Distribution of wild edible herb species and correlations between wild edible herb species and forest-type, and site factors were surveyed on national forest in Changjeon-ni, Pyungchang-gun, Kang-won-do. Ligularia fischeri was distributed mainly on cutting sites or meadow or Quercus mongolica forest, Pimpinella brachycarpa did on broadleaved mixed forest, and Synurus deltoides did cutting sites or meadow. On conifer plantations major wild edible herb species were not distributed. Pimpinella brachycarpa and Ligularia fischera were distributed mainly on the site of wet soil-moisture condition, Codonopsis lanceolata, Saussurea grandifolia and Synurus deltoides were distributed randomly. The distribution of Ligularia fischeri and Pimpinella brachycarp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lope directions, but those of Codonopsis lanceolata, Saussurea grandifolia and Synurus deltoides were not significant. Ligularia fischeri and Pimpinella brachycarpa were distributed more frequently in north directed slope than the other.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Ligularia fischeri and Pimpinella brachycarpa, Aconitum jaluense and Veratrum patulum; Pimpinella brachycarpa and Smilacina japonica, Aconitum jaluense and Veratrum patulu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SO<sub>2</sub>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의 선발(選拔)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究) - I. 엽조직(葉組織) 실험(實驗) -

        김갑태,Kim, Gab Tae 한국산림과학회 198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7 No.2

        To select $SO_2$-resistant tree species, leaf disks of 6mm in diameter, cut from the leaves of 6 species (Wistaria floribunda, Magnolia obovata, Rosa multiflora, Liriodendron tulipifera, Robinia pseudo-acacia and Acer palmatum) were floated on 25ml of testing medium and placed on laboratory under fluorescent lamp (1,500 Lux) for 20 hours. Chlorophyll content and acidity of the testing medium were measured. Testing medium was prepared by diluting $H_2SO_4$, $H_2SO_3$ and $Na_2SO_4$ with distilled water for various stoichiometric $SO_2$ concentrations, 0, 25, 50, 100 and 250 ppm. Total chlorophyll content was more decreased after treatment than before treatment, and was decreased more severely in $H_2SO_3$ sources, followed by $H_2SO_4$ and $Na_2SO_4$, sources. Decreasing rate of total chlorophyll content was generally large in Acer palmatum. Magnolia obovata and Wistaria floribunda, and was relatively small in Rosa multiflora, Liriodendron tulipifera and Robinia pseudo-acacia. Decreasing rate of chlorophyll content may be useful index for judging susceptifility of the leaf to $SO_2$. The acidity of the testing medium was generally decreased after treatment, and it means that cell leakage was occurred during treatment. The differences in medium acidity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may be poot index for susceptibility of the leaf to $SO_2$ owing to the difference among tree species in development of leaf mesophyll, acidity maintaining mechanism and butter capacity of the leaf tissue. $SO_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6수종(樹種)(등나무, 일본목련, 찔레, 튜울립나무, 아까시, 단풍나무)의 엽조직(葉組織)(직경(直徑) 6mm, 50개(個))을 $H_2SO_4$, $H_2SO_3$ 및 $Na_2SO_4$를 증류수로 묽혀 농도별(濃度別)(0, 25, 50, 100 및 250 ppm stoichiometric $SO_2$ concentration) 용액(溶液) 25ml에 띄워 실온(室?)에서 1,500 Lux(fluorescent lamp)하에서 20시간 처리한 후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과 처리용액(處理溶液)의 산도변화(酸度變化)를 측정(測定)하였다.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은 처리전(處理前)에 비해 처리후(處理后)에 감소했으며, 급원(給源)$H_2SO_3$에서 가장 심하고 다음으로 $H_2SO_4$, $Na_2SO_4$의 순이었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의 감소율(減少率)은 대체로 단풍나무, 일본목련 및 등나무에서는 크게 나타났고, 찔레, 튜울립나무 및 아까시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엽록소함량의 감소율은 잎의 $SO_2$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는 지표(指標)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처리용액(處理溶液)의 산도(酸度)는 대체로 처리후(處理后)에 낮아졌으며, 이는 처리중(處理中)에 세포질누출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처리전후(處理前后)의 용액(溶液)의 산도변화(酸度變化)는 수종별(樹種別)로 엽육발달정도(葉肉發達程度), 조직내(組織內) 산도유지기작(酸度維持機作) 및 완충능(緩衝能)이 상이하므로 $SO_2$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는 지표(指標)로 이용(利用)하기는 부적당하다고 보여 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