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ouble Articulation and the Dynamics of Deception - H. C. Andersen`s The Emperor`s New Clothes-

        ( Sorensen,Eli Park ),( Marvin Jin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H. C. 안데르센의 동화 벌거벗은 임금님에서는 아동과 성인을 미묘하게 호명하는 이중분절이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안데르센의 동화는 기본적으로 순진성의 관점뿐 아니라, 아이러니의 관점을 포함하는 전략적 담론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벌거벗은 임금님』은 인간이 권력이나 권위의 속임수를 통해 목격한 상황을 묘사한 동화로 여겨지고 있으며, 따라서 작품 속에서 인간은 실제와 거짓을 구별할 수 있는 존재로 그려진다. 이 점은 의심의 여지없이 중요하나, 더 중요한 것은 작품 속 어린아이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기만당했다는 점이다. 성인으로서 어느 누구도 그기만의 역학에서 탈출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기만의 폭로에 대한 이야기라기보다 모든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만은 속지 않을 것이라 믿는지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슬라보예 지젝은 이데올로기의 한 형태로써 냉소주의를 언급한 바 있는데, 안데르센의 벌거벗은 임금님이 이를 모범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지젝은 이작품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를 전개한 적은 없으나,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통해 이동화를 자주 언급하고 있다. 본 논문은 순진성과 아이러니의 이중분절에 초점을 맞추어 안데르센의 벌거벗은 임금님을 지젝식 읽기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H. C. Andersen’s famous fairy-tale The Emperor’s New Clothes, arguing that the text presents a double articulation-that is, a subtle address to a younger and an older audience at one and the same time. In doing so, the fairy-tale essentially constructs a strategic discourse containing a naive as well as an ironic perspective. Generally, the story seems to refer to a situation in which one has seen through the deceptions of power or authority, and thus is able to find out what is real and what is deceptive. This is no doubt an important point in the story, but perhaps even more important is the fact that everyone-except the little child- actually is being deceived in the story. No one among the adults is actually able to escape the dynamic of deceit. The story is thus, in a deeper sense, less a story about the exposure of deceit, but rather about the ways in which everyone believes he or she is capable of avoiding being duped. In this article, we argue that Andersen’s The Emperor’s New Clothes illustrates in an exemplary way what the Slovenian philosopher Slavoj Zizek refers to as cynicism as a form of ideology. In his numerous books and articles, Zizek frequently refers to Andersen’s The Emperor’s New Clothes, although never develops a full analysis of the story.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reconstruct a possible Zizekian reading of Andersen’s famous fairy-tale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text’s double articulation of the naive and the ironic.

      • Low Bit Rate Image Source Coding with Hierachical Motion Compensation

        Henrik Sorensen,Kim, Tae-hyo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2 硏究論文集 Vol.10 No.-

        본 논문은 미국의 CCITT(International Consultative Committee for Telephone and Telegraph)에서 권고하고 있는 H.261에 대한 운동보상형 저 비트레이트 하이브리드 영상코딩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입력화상이 전처리과정에서 CIF(Common Intermediate Format)규격으로 처리되고, 다시 16X16화소의 휘도성분 블럭과 2개의 8X8화소의 칼라성분 블럭으로 나뉘어져서 각각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와 양자화 된다. 시뮬레이션에서 저 비트레이트에서 코딩된 이전프레임의 화상과 현프레임 화상간의 양호한 SNR을 얻을 수 있었으며, 원화상과 1비트레이트에서 처리된 복원된 화상을 직접 비교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a low bit rate hybrid image coding algorithm with motion compensated interframe coding for H.261, CCITT recommendation. The basic idea of this algorithm is combined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DCT) and interframe predicted coding with motion compensation(MC). In this scheme, the image is sub-divided into 16X16 pixel luminance blocks, and two 8X8 chrominance blocks, then they are transformed and quantized using DCT and quantizer respectively. Some good results are demonstrated in terms of SNRs according to each low bit rate and direct comparision of original and reconstructed images.

      • KCI등재

        Realism, Irony, and Temporality in Rohinton Mistry`s Such a Long Journey

        ( Sorensen Eli Par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3 No.3

        본 논문은 로힌턴 미스트리의 첫 장편소설인 『그토록 먼 여행』에 대해 논의한다. 인도 출신 캐나다 작가인 미스트리의 소설은 전형적인 사실주의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대부분 그의 작품이 현실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법은 오도된 것으로, 필자는 미스트리 소설의 미학적 관념을 논의하기 위해서 문학적 사실주의의 다른 개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헝가리 출신의 문학비평가인 게오르크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의 논의를 통해, 필자는 미스트리의 소설 형식이 해석의 역학을 밝히는 미학의 이중적 전략을 전개한다고 본다. 즉 소설 형식은 완벽한 서술 없이도, 개인적 경험들이 어떻게 인과적 관계망과 그 연결의 궤적을 쫓는지 밝히고 분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스트리 소설의 사실주의 미학은 역사를 정확하게 묘사하기보다는, 오히려 고립된 개개의 관점과 역사의 영향력 사이에 나타나는 관계 또는 역학을 해석하고자 한다. 루카치에 따르면, 이 관계는 아이러니로 인해 불안정하기도 하지만 시간의 축적으로 강화되기도 한다. 시간이 거듭될수록, 미스트리의 소설은 객관성, 즉 루카치가 지칭한 유아론적 경험을 극복하는 서사적 감각을 생성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Rohinton Mistry’s first novel Such a Long Journey (1991). Mistry’s novels are typically labelled as realist novels, and much of the critique of the Indian-Canadian writer has focused on the question of referentiality-whether his works are realistic enough. I argue that this approach is misguided and that a different notion of literary realism is needed to address the aesthetic project of Mistry’s novels. Via a discussion of the Hungarian literary critic Georg Lukacs’s early treatise Theory of the Novel (written 1914-15), I argue that Mistry’s novel form develops an aesthetic double strategy which unfolds a dynamic of interpretation; the novel form essentially traces and explores the ways in which individual experience is embedded in causal networks and trajectories of concatenations and connectivity, but without making any absolute statements. Thus, the realist aesthetic in Mistry’s novel is less an attempt to create an authentic depiction of history; rather, it is an endeavour to interpret a relation or dynamic between the isolated individual perspective and the forces of history. It is a relation haunted and troubled by irony, but also reinforced by the accumulation of time, as Lukacs argues. Over time, Mistry’s novel creates a perspective that achieves a kind of objectivity, or what Lukacs calls a sense of the epic, which dissolves the isolated, solipsistic experience.

      • KCI등재

        Realism and Reification in the Postcolonial World

        Sorensen, Eli Par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프레드릭 제임슨은 그의 저서 단수의 근대성(A Singular Modernity)에서, 총체성을 통한 사회 형성을 불가능하게 여기는 현대 비판 담론의 무능력함을 탄식한다. 제임슨은 세계화에 대한 문화적 논리가 표면적으로는 차이, 차별화 그리고 다원주의를 촉진시키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인 표준화 및 동질화를 추구한다고 지적한다. 본고에서는 바로 이러한 명백한 모순점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으며, 필자는 현대비평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총체성과 이와 동등히 폄하된 문학적 사실주의가 서로 상관성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즉, 문학적 사실주의가 수반하는 미학적 가능성과 문제점으로 회귀하는 것은 국제적 물화(refication)현상에 대한 중요한 대안적 시각을 마련해 준다고 보고 있다. In the book A Singular Modernity, Fredric Jameson laments the inability in contemporary critical discourse to think through social formations via the notion of totality. Jameson argues that the cultural logic of globalization initially appears to promote difference, differentiation, and pluralism, but only because this logic is kept separate from an amalgam of underlying global economic aspects that in reality strive for standardization and homogenization. It is this contradiction that I want to explore further in this article. My argument is that the contemporary critique of the notion of totality finds an aesthetic correlative in the equally dismissive critique of literary realism. Returning to some of the aesthetic potentials and problematics that literary realism involves offers a crucial alternative perspective on global re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The Globalization of Clichés and the Search for Pure Language

        Sorensen, Eli Park,Rasmussen, Kim S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본 논문에서는 소피아 코폴라 감독의 영화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에 나타난 보편적 상투성 및 번역의 의미와 중요성을 다음 두 가지 논의로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최근 할리우드 영화의 두드러진 경향은 일본을 시작으로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오리엔탈리즘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는 점인데, 이러한 흐름과 관련하여 이 영화를 논의한다. 다음으로, 코폴라 감독의 영화가 이러한 경향과는 몇 가지 측면에서 구별되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영화의 두 주인공은 자신들의 직업적, 개인적, 그리고 문화적 상호작용 등 거의 모든 일상에 스며든 상투성 때문에 행동할 수 없는 실존적 림보에 갇히게 된다. 그럼에도 영화는 주인공들의 들리지 않는 속삭임으로 막을 내리면서, 현대 문화에 만연한 상투성에 저항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발터 벤야민의 번역관에 의거해서, 본고는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가 근본적으로 다른 이국화를 시도하지 않으면서, 거의 실증적 방법으로 외래성 안에 남아있다고 본다. 그렇게 함으로써, 영화는 주인공들의 언어를 불안하게 하는 상투성을 서서히 피하면서, 언어가 본질과 또 다시 소통할 수 있는 지점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global cliches and translation in Sofia Coppola’s film Lost in Translation. Firstly, the article discusses the film in relation to a broader cycle of recent Hollywood films that expand a tradition of Orientalist representations of Japan and ? more generally ? East Asia. Secondly, the article argues that Coppola’s film in some respects must be differentiated from the rest of this cycle. The two main characters of Lost in Translation are caught in an existential limbo, unable to act due to a sense of pervasive cliches that affect nearly all aspects of their professional, private, and cultural interaction. Nevertheless, the film ? culminating in an inaudible whisper ? seems to suggest that it is still possible to resist the increasing pervasiveness of cliches in contemporary culture. Drawing on Walter Benjamin’s translation theory, the article suggests that Lost in Translation in an almost demonstrative way insists on remaining positioned in foreignness, without attempting to exoticize the radically other. In doing so, the film gradually works its way around the cliches haunting the main characters’ language, and, by implication, attempts to discover a point at which language may yet again communicate essence.

      • KCI등재후보

        ‘Like a melancholy burglar’

        Sorensen, Eli Park,Lee, Marvi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논총 Vol.31 No.-

        본고는 미국의 사진작가 래리 설턴(Larry Sultan)의 작품, 「가족사진Pictures from Home」(1992)에 대해 논하고 있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자신의 가족, 즉 넓은 의미의 전후 미국 사회에 퍼져 있는 가족에 대한 신화적 통념을 표현하고 있다. 설턴은 이러한 신화로부터 자신의 가족을 구분하듯 사회 속에서 개인을 구분하려는 시도를 하지만 롤랑 바르트가 『카메라 루시다』(1980)에서 겪었던 똑같은 문제와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 사진의 본질에 대한 바르트의 시각은 필자들이 논하는 설턴의 사진학적 프로젝트를 논의하는 배경을 형성한다. 설턴은 가족 간에 일어나는 특정한 순간을 식별할 때마다, 자신이 가족생활에 대한 일반적 개념에 부합하여 구분함을 깨닫는다. 즉, 가족 안에서 보이는 특정한 생활 방식이나 모습은 바로 사회 통념적으로 가족들이 살아가는 방식이며, 작가도 가족의 정체성을 그 틀에 맞추어 정의하고 있던 것이다. 「가족사진 Pictures from Home」은 설턴의 부모나 형제처럼 실제 가족이 사진에 찍혀 있는 가족 즉, 사회적 통념이 규정하고 있는 가족과의 구분이 가능한가를 탐구하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Ameican photographer Larry Sultan’s work Pictures from Home (1992). Sultan portrays his own family and, in a wider sense, the myth of the American post-war family. In attempting to distinguish the personal from the sociological―his own family from that of the American myth of the family―Sultan encounters a number of problems and dilemmas that Roland Barthes struggles with in his book Camera Lucida (1980). Barthes’s reflections on the nature of the photograph form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we discuss Larry Sultan’s photographic project. Sultan discovers that whenever he identifies a particular familial moment, he identifies it because it adheres to a general notion of family life; this is what a family does, this is how a family lives―and this is why he identifies his own family as family. One of the questions that Pictures from Home thus explores is whether it is ever possible to distinguish―and to what extent―the myth, or public photo, of the family from the people he knows as his parents, his own family. If this is not possible―who are these people; whose family is this? And if it is possible―does he really know them, or does anyone, including themselves, know who they really are?

      • KCI등재

        Double Articulation and the Dynamics of Deception -H. C. Andersen’s The Emperor’s New Clothes-

        Sorensen, Eli Park,Lee Marvin Jin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This article discusses H. C. Andersen’s famous fairy-tale The Emperor’s New Clothes, arguing that the text presents a double articulation-that is, a subtle address to a younger and an older audience at one and the same time. In doing so, the fairy-tale essentially constructs a strategic discourse containing a naive as well as an ironic perspective. Generally, the story seems to refer to a situation in which one has seen through the deceptions of power or authority, and thus is able to find out what is real and what is deceptive. This is no doubt an important point in the story, but perhaps even more important is the fact that everyone-except the little child- actually is being deceived in the story. No one among the adults is actually able to escape the dynamic of deceit. The story is thus, in a deeper sense, less a story about the exposure of deceit, but rather about the ways in which everyone believes he or she is capable of avoiding being duped. In this article, we argue that Andersen’s The Emperor’s New Clothes illustrates in an exemplary way what the Slovenian philosopher Slavoj Zizek refers to as cynicism as a form of ideology. In his numerous books and articles, Zizek frequently refers to Andersen’s The Emperor’s New Clothes, although never develops a full analysis of the story.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reconstruct a possible Zizekian reading of Andersen’s famous fairy-tale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text’s double articulation of the naive and the ironic.

      • KCI등재

        Everything has been written: Literary Space and Borges` "The Library of Babel"

        ( Sorensen Eli Par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8 No.2

        본 논문은 보르헤스의 「바벨의 도서관」에 나타는 문학적 공간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르헤스 소설의 해석사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여러 면에서 자세히 읽히기를 거부한 그의 소설에 자세히 읽기를 시도한다. 자세히 읽기를 맥락화하기 위해 문학적 공간의 짧은 역사 또한 살펴볼 것이다. 보르헤스의 역설적이며 미로 같은 내러티브 구조는 명확하고 최종적인 답이 없는 즉, 모든 가능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같은 보르헤스의 메타픽션적인 텍스트는 문학 공간 특유의 양상을 조명하는데, 즉 기존에 설정된 현실적 공간의 경계를 벗어나고, 그것을 변환하고 와해시킨다. 「바벨의 도서관」에서 문학적 공간은 그 구성요소의 경계가 인간의 이해와 다소 부합될 수 있는 도서관에서 구현된다. 그러므로 실제로 소설적 공간을 가능케 하는 이 경계는 허구의 공간을 규정짓는 그 경계와 일치한다. 즉, 불가능한 것이라도 인간의 상상력으로 품어질 수 있는 한, 이 공간 안에서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문학적 역동성은 소설의 말미에 독자를 현실로 되돌려 보내는 대신, 오히려 그들을 허구적 공간으로 끌어들이는 결과는 낳는다. 작품의 마지막 줄에 쓰인 "마 델 플라타 (Mar del Plata,) 1941"은 보르헤스가 이 작품을 집필했던 장소와 시기로, 독자가 궁극적으로 현실 세계로 돌아왔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작품을 읽고 난 후, 독자는 현실 세계인 "마 델 플라타 (Mar del Plata), 1941"이 오히려 문학 공간 속으로 빨려 들어간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바벨의 도서관」속의 보르헤스는 역설적인 문학 공간을 만들고 있다고 본다. This essay explores literary space in Jorge Luis` Borges` “The Library of Babel.” The essay focuses to a lesser extent on the story`s history of interpretations. Instead, the essay attempts to close-read the story of Borges, which in many ways resists being close-read. It is a story that insists on including the reader in its own textual universe. The essay provides a short history of literary space in order to contextualize the subsequent close-reading. Borges` labyrinthine and paradoxical narrative construction establishes a space in which everything potentially exists simultaneously; a space in which there are no unambiguous, final answers. As such, Borges` metafictive text illuminates an aspect characteristic of the space of literature; the ability to transgress, transform, disrupt, and destabilize the boundaries of the conventionally established spaces of reality. In “The Library of Babel,”the literary space is embodied in a library whose constitutive boundaries are more or less identical to those of human cognition and comprehension. These boundaries thus coincide with the boundaries framing the space of fiction, indeed which make the space of fiction possible; everything here being possible as long as the human imagination can contain it, even impossibility itself; for example, the transcendence of a total space, one which simultaneously must always-already be included in - the total space. One consequence of this literary dynamic is that the text pulls its readers into the fictional space, instead of returning to reality by the end of the story. The last line of the text - “Mar del Plata, 1941” -apparently suggests that we have returned to reality, the place where Borges wrote the story. But after having read the story, it feels more as if the reality of “Mar del Plata, 1941”-and by implication Borges, the author-has been pulled into the literary space; perhaps including us, the readers, who in this sense are being read by the text. It is in this way, the article argues, that Borges in “The Library of Babel” creates a paradoxical literary space.

      • KCI등재

        Post-Migrant Subjectivity and Secondary Loss : Amy Tan’s The Joy Luck Club

        Sorensen, Eli Park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연구 Vol.54 No.4

        In this article, I explore the notion of post-migrant subjectivity via critical discussion of Sigmund Freud’s well-known but also controversial essay “Mourning and Melancholia,” and Amy Tan’s novel The Joy Luck Club. In my discussion of Freud’s essay, I attempt to investigate a concept of melancholia which in one sense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unresolved grief and loss, but also, at the same time, connected to the gesture of performativity and creativity. This critical approach constitute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I read Amy Tan’s novel as a “post-migrant” novel. Tan’s novel tells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rst generation individuals, who emigrated from China, and their children who are growing up in America. The first-generation’s children, or, the post-migrant subjects, occupy an ambiguous position—torn between a desire to fully integrate and become full citizens, but also a desire to know more about their ethnic origins. The post-migrant subjects are haunted by aspects that single them out, their difference, but which also connect them most intimately to their parents, and their parents’ past. I suggest that the way in which this complex subject-position is negotiated and resolved in the novel is closely connected to a notion of melancholia as a creative or performative way of coming to terms with a secondary lo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