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nification Christology: A Fulfillment of Niceno-Chalcedonian Orthodoxy

        Shimmyo, Theodorec T. 선문대학교 통일신학연구원 1996 통일신학연구 Vol.1 No.-

        통일기독론 : 니케아-칼케돈 정통의 완성 기독론은 "위로부터"와 "아래로부터"의 두 접근방식을 가진다. 위로부터의 기독론은 그리스도의 인성을 최소화하여, 그리스도를 인간으로보다는 신으로 여긴다. 반면에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인정하지 않고, 그리스도를 신으로보다는 인간으로 여긴다. 그런데 양자 간에는 긴장이 있다. 전자는 니케아-칼케돈류의 전통적 기독론으로 나타났고_ 후자는 오늘날의 많은 기독론으로 나타났다. 통일교회의 기독론은 이상의 두 기독론을 포함하며 이들의 문제점을 극복한다. 그것은 “그리스도는 하늘로부터 내려와야 한다”는 진술에서 위로부터의 접근을 취하고 그리스도는 창조의 목적을 완성한 인간으로서 신성을 띄었다는 주장에서 아래로부터의 접근을 한다. 두 접근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통일기독론은 두 접근을 철저하게 활용한다. 즉 위로부터의 접근으로는 신성한 영역으로부터 하강하여 아래로부터의 접근이 시작되는 완전한 인성의 밑바닥에 닿고, 아래부터의 접근으로는 인간의 영역으로부터 상승하여 위로부터의 접근이 시작되는 신성한 영역에까지 오른다. 그러나 통일기독론은 기존의 두 기독론과는 아주 다르다. 첫째로, 통일기독론은 그리스도를 하나님 자신으로보다는 인간으로 보지만, 위로부터의 기독론은 그리스도를 인간으로보다 하나님으로 본다. 둘째로, 통일기독론은 그리스도를 완전한 신성을 가진 인간으로 보지만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은 그리스도를 약간의 신성을 가지거나 심지어 신성을 전혀 가지지 않은 인간으로 본다. 두 접근을 철저히 활용하므로써, 통일기독론은 어떠한 긴장관계가 없이 두 기독론을 포용하고 통일할 수 있다. 그래서 통일기독론은 니케아회의의 정통파 와 아르미니안파를 화해시키고, 칼케돈 회의의 정통파와 네토리안파, 유티키안파를 화해시킬수 있다. 그러므로 통일기독론은 그리스도에 대해 매우 초교파적인 관점을 가진다. 이 논문의 진정한 목적은 니케아-칼케돈 회의에서 형성된 위로부터의 기독론을 발전시키고 완성시키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논문의 Ⅱ,Ⅲ,Ⅳ절에서 전통적인 접근방식인 위로부터의 기독론이 니케아 회의, 칼케돈 회의, 콘스탄티노플 회의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설명했다. 그리고 Ⅴ절에서는 통일기독론과 앞 세절에서 언급된 내용의 맥락 속에서 통일기독론의 성격을 논의했다. I am grateful for the opportunity to be present at this important forum. I commend the leaders of the respective institutions in dialogue for the foresight and investment bearing fruit in this meeting. I pray that these and future deliberations benefit the providence of restoration, and hasten the safe settlement of God's original ideal.

      • Humility and the Harmony of Cultures

        Shimmyo, Theodore T. 선문대학교 통일사상연구원 1997 통일사상 연구논총 Vol.2 No.-

        As the increase in the use of computers and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exacerbate auditors' judgmental process, achieving objectives(effectiveness) of control and auditing with limited resources requires auditors to identify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controls. Consequently, auditors' review and evaluation of internal control is been highlighted in modern auditing process. Especially, as more organizations adopted LAN(Local Area Network) systems, LAN environment is facing with problems arising from characteristics of the LAN and the evaluation of LAN controls. The model in this study is LAN control evaluation model with information system auditing objectives. This study concludes that auditors' proper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LAN controls contributes to the effective achievement of IS auditing objectives.

      • 서양철학의 실체개념의 문제 : 통일사상에 의한 해결

        Shimmyo, Theodore T. 선문대학교 통일사상연구원 1996 통일사상 연구논총 Vol.1 No.-

        이 논문은 3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출발한 서구의 실체개념의 문제를 분석해 볼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와 질의 존재론에서 단지 추상적 개념들로서의 보편적 질은 개별적 실체들을 진정으로 상호 관련시키는 구체적인 힘이 없기 때문에 실체의 단절의 문제는 그러한 존재론에서는 단지 추상적 개념에 불과한 보편적 질의 문제에 의한 것일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보다 중요하게 단지 추상적 개념으로 취급된 보편적 질들의 문제 그것은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그의 질료 형상론의 모순된 적용에서 비롯된 것, 즉 하나님을 순수형상으로만 보는 정적인 관점에 의한 것일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제2장은 통일사상에 의한 해결책을 보여 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적 순수형상인 하나님과 달리 통일사상에서의 하나님은 형상과 질료에 각각 상당하는 성상과 형상의 이성성상의 동적 상호성을 가지고 있는 동적인 하나님이다. 이러한 하나님은 단지 추상개념에 불과한 존재와는 달리 개별적 실체들의 보편적 질들을 유지시키며, 그 보편적 질이개별적 실체들은 진정으로 상호관련시킬 수 있을 정도로 역동적으로 만든다. 통일사상에 의한 이 해결은 "원상론", "존재론" 그리고 "인식론"의 장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원상론"에서의 성상과 형상으로서의 신론으로 부터, "존재론"에서 하나님과 피조세계와의 닮읍의 법칙으로 부터, 그리고 "인식론"에서의 조합론으로 부터 결론지어 진다. 이 세가지가 여기에 통일사상의 해결책인 "존재론적 조합론"이라 부르는 것으로 구성되어 결합된다. 그러나, 통일사상의 출현에 앞서서 그 문제에 대한 가치있는 해결들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진 몇몇의 학파들이 있었다. 그들 가운데에서 헤겔주의와 대숭불교를 이 논문의 제3장에서 통일사상의 시각으로 검토할 것이다. 헤겔주의와 대숭불교는 각각 서구과 동양에서 출현하였고, 이미 그들은 그 문제를 처리하는 방법들에 있어서 몇가지 현저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헤겔은 절대정신 안의 존재와 비존재 사이의 변증법적 운동을 시사한 반면, 비슷한 성질인 대숭불교는 sunyata 그 자체안의 충만과 공허 사이의 동적 상호성을 제안한다. 두 제안들은 자연히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순수형상으로서의 神에 관한 이론과는 의견이 다르며, 성상과 형상의 하나님의 동적인 이성성상의 이론과는 어느 정도 유사하다. 이것은 야기된 문제가 얼마나 보편적이며 또한 인간의 관심과 해결하는 방법이 얼마나 일반적인가를 보여 준다. 그러나 헤겔주의와 대승불교는 제3장에서 살펴 보겠지만, 몇가지 어려운 문제들이 있다. 그러므로 결론에서는 통일사상이 우리가 다루는 문제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있음을 언급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