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와 영어권의 점자 규정 발달 고찰

        이경림(Kyung-rhym Lee)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3 시각장애연구 Vol.39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점자 규정이 우리나라와 영어권에서 어떻게 발달했는지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점자 규정 발전에 시사점을 반영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영어권 점자 규정은 ICEB와 BANA, 우리나라 점자 규정은 국립국어원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점자 규정 발달 내용은 현행 점자 규정을 소개하고 발달 과정을 도표로 나타냈으며, 위원회의 임무도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 점자 규정을 비교한 결과, ICEB는 UEB에 따른 『Braille Format』 개정판의 성과를 이뤄냈으며, 우리나라도 한글과 교과목 등에서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ICEB의 역할을 통해 지속적으로 영어권 나라에 UEB를 소개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도 한국 점자 규정 이외에 그림이나 표 등의 여러 형식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점자 형식’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braille codes for Korea by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braille code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braille codes used among English-speaking countries by analyzing documents from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English Braille(ICEB) and the Braille Authority of North America(BANA). For Korea, the study analyzed the braille code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is study summarized current braille codes and visualized their development processes. This included missions of committees that developed braille codes. Results: A comparison of the braille codes showed that ICEB published a revision of the Braille Formats based on Unified English Braille(UEB) and Korea was also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ir braille codes in terms of subjects. Conclusions: For the development of braille codes in Korea, it is notable that ICEB takes an educational role that continuously introduces UEB to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provides them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addition to Korean braille codes, Korea should develop a comprehensive Braille Format to provide guidance on transcribing various formats, such as illustrations and tables.

      • KCI등재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 수록된 표의 점역형식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문해성 분석

        이경림 ( Kyung Rhym Lee ),김유경 ( Yoo Kyung Kim ),유은정 ( Eun Jung Yo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표의 점역형식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문해 시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비교하여 촉각 문해에 도움이 되는 표의 점역형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 수록된 표를 점역 교과서 형태와 지침식 형태 두 가지로 점역하여서 대학생 이상인 시각장애인 20명을 대상으로 문해성 검사와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표 점역에 대한 인식 조사는 빈도분석으로, 문해성 차이는 예제 표 문제해결 시간을 공변인으로 두고 집단간 공변량 분석으로 처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시각장애인은 자신의 점독 능력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표의 학습 경험에 대해서는 45%가 교과서의 표를 거의 빠지지 않고 정보를 찾는 연습을 한 반면 40%는 사회 담당 교사의 일방적 설명으로 지나갔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85%가 표는 정보를 비교, 분류하여 습득할 때 문장설명보다 효율적이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표의 점역에 관하여서는 시각장애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둘째, 표 점역형태에 따른 두 집단 즉 교과서식 집단과 지침식 집단의 표 문해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점역 방식에 따른 집단간 표 문해 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ive ways of the braille transcription of the table in visual materials of social study textbook to promo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by analyzing the literacy of the blind and the recognition of the blind regarding the braille transcription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braille transcription patterns of the table, which appears in the high school social study textbook.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t conducted a literacy test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survey on the braille transcription of the table and the braille patterns of the table, targeting 20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85% of study subjects recognized that table was more effective than sentence explanation when they acquired information by comparing and classifying. However, they thought that the it would be better to provide the easy braille transcription pattern of the tabl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blind. Secon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on differences in literacy of two groups according to the braille transcription patterns of the table; the group of textbook type and the group of guide type. In the case of designating literacy as covaria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teracy time of the tabl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braille transcription methods.

      • KCI등재

        넓은 표의 점역 형식을 탐색한 FGI 분석

        이경림(Kyung-rhym Lee)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넓은 표를 점역할 때 어떤 형식으로 제시할 수 있을까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시각장애학생 교사와 점역사 8명의 전문가가 화상으로 모여서 FGI로 진행되었으며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하위범주는 9가지가 도출되었으며, 3가지씩 상위범주 3가지로 묶였다. 상위범주는 ‘표 점역: 이분화 구조’, ‘중간지대: 표 점역 형식의 합의점’, ‘선순환 구조: 표 읽기 교육’이다. 핵심주제는 ‘표의 점역은 점자사용자의 합의로 이루어져야 한다’이다. 결론: 넓은 표의 점역에서 도입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은 행과 열의 정렬, 마주보는 페이지 활용, 자릿수 정렬 등이다. 새로운 점역 형식은 교육현장에서 점자사용자의 표 읽기 훈련을 위한 교사의 노력과 점역사의 활용 능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possible formats for Braille translation of wide tables. Method: A total of eight experts consisting of educators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and braille translato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onlin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transcribed interviews. Results: Nine sub-categori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the three main categories. Each main category contains three sub-categories. The three main categories are ‘Braille translation of tables: Dichotomy’, ‘Middle ground: Agreement upon the braille format of tables, and ‘Virtuous cycle: Table reading education.’ The main theme is that the braille translation of tables requires agreement among braille users. Conclusion: The new possible formats for braille translation of wide tables are aligning rows and columns, using facing pages, and aligning decimal numbers in tables. The new format of braille translation of wide tables requires educators’ efforts to train braille users to read tables and braille translators’ skills to implement the new format in their translation.

      • KCI등재

        장애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장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경림 ( Kyung Rhym Lee ),오성기 ( Sung Gi Oh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교사교육연구 Vol.47 No.2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는 통합교육을 위해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필요성에 따라 장애 이해 프로그램을 일반아동에게 적용하였다. 3학년과 5학년 각각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한 학급씩을 설정하셔 인식적 측면에 대한 양항은 형용사 척도를, 행동적 측면에 대한 영향은 활동선호도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적용 사천과 사후를 검사하였다. 3학년과 5학년의 실험집단에서 외모의 하위영역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장애이해 프로그램 적용은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이는 통합교육 현장에 구조화되고 체계적인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널리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 한 의의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hanges of normal children/s attitude, applying the framed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 in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 The study subjects are selected among the 3rd grade and 5th grad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with the information on the disability to have positive attitude was composed and executed for 2 times in a week for 40mm. total in B sessions, Both of the cognitive aspect to the disability with the adjective measurement, the behavioral aspect to the disability with the activity preference measurement have investigated pre and post of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in all of cognitive aspects besides appear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he private life, school life, and social life of behavioral asp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 brought the positive attitude change to normal children in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We suggest that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program which is fitted to the grade of each student in such ways of extending the period will be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aintenance of the attitude chang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 분석

        이경림 ( Kyung Rhym Lee ),이상민 ( Sang Min Lee ),박영준 ( Young Jun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전국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에 대한 운영 실태와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생 133명과 학부모 87명 총 229명이 응답한 설문지를 빈도 분석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검증으로 결과를 처리하였다. 방과후학교의 운영 실태에 있어서 현재 전국의 시각장애학교에서는 총 128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평균 73%이상의 학생이 28주에서 40주까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 분석은 운영절차와 참여성과, 프로그램 만족도, 활성화 필요성의 하위영역으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학생의 인식 차이는 운영절차 하위영역에서 저시력보다는 전맹 학생 집단이, 만족도에서는 고등학교 집단보다 초·중학교 학생의 집단이, 참여성과에서는 전맹학생 집단이나 초중학교 학생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부모의 인식은 자녀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떤 하위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모든 하위영역에서 인식에 대한 응답의 평균은 높은 수준이었다. 시각장애학교 방과후학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하여 시각장애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마련과 우수한 강사진의 편성, 재원의 확보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관계 등 활성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the after school in the schools for the blind and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With the questionnaire to 133 students, and 87 parents, 229 in total, the results are produced from frequency-analysis and t-test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In terms of operation of after-school, a total of 128 different programs are in progress and it shows that more than the average 73 percent of the students are participating in the schools for the blind and the programs are in operation for 28 to 40 weeks.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the after school participants is subdivided into the status of involvement, the operation procedures, satisfaction of program and activation needs. In difference of perception according to student`s sex, participation period, the degree of vision loss, and level of school-class variables, the blind group show significantly higher level in managing status sub-category than the low vision group, the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 group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satisfaction sub-category, the total blind group and the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group higher in participant performance. Parents` perception which is depending on the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category. In all sub-category the average level of the respond to perception corresponds to almost ``Agree``.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의 직업흥미도 특성 분석

        이경림 ( Kyung Rhym Lee ),박희숙 ( Hee Sook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정신지체학생의 직업흥미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부산광역시 소재 H정신지체학교 중고등 남녀 학생 99명을 대상으로 음식, 청소, 제조, 세탁, 농축화훼, 대인, 정리의 7개 흥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그림직업흥미 검사도구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학생의 흥미도는 청소와 세탁 영역이 높았으며 정리와 대인서비스는 낮게 나타났다.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라 흥미도 영역별환산점수나 교차분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교사희망 직업과 학생의 직업 흥미 영역 일치도는 제조 작업이 가장 높았으며 청소, 음식 순이고 일치하는 영역보다 불일치 영역의 비율이 높았다. 직업흥미도 영역별 상관관계는 음식 영역과 정리 영역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흥미도는 직업실습과 견학 등 체험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정신지체 학생의 진로지도에 있어서 교사는 학생의 흥미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gree of vocational interest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Regarding 99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H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located in Busan, pictorial vocational interest test tool which is composed of 7 interest areas of food, cleaning, manufacturing, washing, farming-stockbreeding, human service, and arrangement was used.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ranking of each area in the degree of interest, cleaning and washing areas were generally high, and human service and manufacturing work were generally low.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in school,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coincidence of future teacher career and vocational interest area of students, manufacturing work was the highest, and cleaning and food in the greatest order, and the rate of discarding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coinciding area. Regarding the correlation for each area of the degree of vocational interest, except for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ood area and the arranging area, mos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Such result implies that the degree of interest of students can be influenced by experience such as career practice, field trip, and etc, and that regarding transition service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eachers need to consider the interest of student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양육 부담과 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이경림 ( Kyung Rhym Lee ),박주홍 ( Ju Hong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부산시 발달장애인의 양육 부담과 지원 욕구 실태를 분석하였다. 높은 보호부담은 보호자 사후 부담감으로 작용하면서 성년후견제의 이용 의사가 드러났다. 경제적 부담이 크며, 특히 발달재활치료비와 교육비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부당한 일의 많은 경험으로 심리적 상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와 보육 및 보호에서 문제가 심각하며,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기관 설립과 생활공동체 형성과 활동지원서비스 확대 및 치료비 지원 욕구가 있었다. 취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장애인 적합 직종의 개발과 보호작업시설 확충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기에는 상담서비스 및 영유아검진의 내실화와 학령기에는 방과후 프로그램의 활용, 성인기에는 평생교육원 활용 및 전환지원센터의 기능확장, 부모사후의 성년후견제 조기정착을 부산시의 정책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difficulty of care and need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Busan. High levels of difficulty of protection worked as a burden for guardians after their death and this led to an intention to use majority guardianship system. Guardians needed financial support especially to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and education. They also had psychogical wounds resulted from unreasonable experiences. There were severe problems in therapy, care education, and protection, so they needed buildi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making life communities, expanding personal assistance, and supporting therapy expenses. Related to employment, they needed various job development and more job facilities. Researchers suggested alternative plans of Busan such as substantial counseling service and medical examination in early childhood, use of after school program in school age, us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transition support centers, early settlement of majority guardianship after parent′ death in adult.

      • KCI등재후보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실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이경림 ( Kyung Rhym Lee ),박재국 ( Jae Kook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1

        장애대학생에게 물리적 및 학업적 차원을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자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장애대학생 119명의 연령, 성별, 학년, 입학방법, 장애유형, 장애등급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개인-정서적/ 사회적/ 일반적/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지지의 물질적/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장애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별로 성별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별 상관관계에서는 개인-정서적 적응과 물질적 지지를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이로써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는 성별을 고려하여 지원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adjustment to university and social support degree for offering more various aids above and beyond physical and academic level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study, it was selected 119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b categori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age, sex, grade, ways of entrance, kinds of disability, and levels of disability, who were admitted university. Sub categories were categorized as to. Adjustment to university categories were composed of 4, personal-emotional/ social/ institutional/ academic. Also,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categories were composed of 4, instrumental/ emotional/ informational/ apprais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arly all background variables except sex on adjustment to university and social support. Correlation to the sub categories in between adjustment to university and social support is significant connected statistically except 2 categories,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informational support.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considering sex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