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정안정성 및 세수,지출의 변화

        박기백 ( Ki Baeg Park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8 재정학연구 Vol.1 No.4

        본 연구는 Bohn의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재정이 안정적인지를 살펴본다. 우리나라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사회보장성 기금의 흑자, 외환위기 과정에서 사용된 정부 보증채무 등을 조정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Barro가 사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normal) 지출 및 GDP 추세치를 구한 값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재정운용의 구조변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Bohn이 제시한 검정을 하였다. 추정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는 균형예산을 추구하거나, 균형예산을 추구할 수 없었던 시점에서는 조세수입을 증대시키거나 지출을 축소함으로써 재정수지 개선을 위해 정부가 노력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정부부채에 대한 정부 또는 국민의 성향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 한 우리나라의 재정정책은 향후에도 유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재정안정성을 위해 조세 수입을 증대시킨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paper tests fiscal sustainability of Korea with Bohn`s model. To account for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Korea such as surplus of social security funds and government guaranteed bond for financial restructuring, original data on government debt and spending were adjusted. Also, trend of spending and GDP were estimated as suggested by Barro. In the estimation, the structural change in fiscal management of Korea was considered. The result indicates that Korean government either pursued balanced budget for fiscal stability or made effort to improve fiscal balance when balanced budget was impossible. Hence, Korea`s fiscal policy is said to be sustainable unless propensity of government or people changes. And the government increased tax revenue to restore fiscal stability.

      • 지방선거와 지방정부 지출 - 한국의 지방정부 지출에 대한 실증분석 : 지방선거와 지방정부 지출

        박기백(Ki-Baeg Park),김현아(Hyun-A Kim)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5 공공경제 Vol.10 No.2

        연구는 지방선거가 기초자치단체 지방정부지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정치적 경쟁이 심한 지역일 경우, 1인당 재정지출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단체장은 1인당 지방세에 비하여 이전재원 확충에 노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치단체장의 집권여당 소속 여부 역시 지방정부 지출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지방자치 이후, 1인당 보조금 증가를 통한 사회개발비 및 민간이전 지출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1인당 지방세의 성장이 1인당 인건비 및 일반행정비 지출로 연계되지 않은 것으로 지방자치 이후 인건비의 절감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항목별 지방정부지출의 변화행태와 지방선거 및 지방자치효과와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 것으로서 그 외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한계를 갖는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municipal elections on local expenditures in Korea. Fiscal decentralization began again in 1991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local parliamentary system and firmly established in 1995 with the election of local representatives.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hat local expenditures in part can be explained by the behavior of local representatives through municipal elections. To accomplish this task, we classify municipal elections and local expenditures data, and then construct a loose a model for local expenditures that is explained by election variables. Among the results, we find that local representatives from municipal elections may increase the ratio of public service-related expenditures such as welfare, health and sanitation. In order to be re-elected, they expand local welfare-projects and lobby for more matching grants earmarked specifically for their areas. Also, we find that fiscal decentralization of public service-related expenditures may be realized after municipal elections in 1995. This effect is clearer in municipal governments than it is in provincial-level governments.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nning (the elected representative) and losing portion of votes in each area cannot explain the pattern of local expenditures. However, a local representative of the governing party may increase local expenditures in that area in comparison to the opposition party.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s the behavior of local expenditures after municipal elections in Korea. Specifically, this paper contributes politic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matters with regards to municipal government issues in Korea, as the link between municipal elections and fiscal decentralization have yet to materialize.

      • KCI등재

        소득·소비 불평등의 관계 및 소비불평등 분해

        박기백 ( Ki-baeg Park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7 財政政策論集 Vol.19 No.3

        본 연구는 `가계동향조사`의 소비 자료를 중심으로 불평등도를 살펴보고 있다. 소득과 소비의 불평등지수는 유사한 추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소득의 불평등이 소비의 불평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소비를 기준으로 평가한 가계의 후생 불평등은 2010년 이후로 커지고 있다. 소득보다 소비가 계층내부의 편차가 크며, 고소득층인 소득 5분위의 불평등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구주의 연령이 가장 많은 60세 초과 계층 및 노인가구의 소비불평등이 다른 계층에 비해 크지만 가구주 연령이나 가구 유형 사이의 소비불평등 차이는 크지 않다. 식료품, 통신, 음식·숙박도 불평등도가 낮고, 주류·담배, 가정용품, 교통은 불평등지수가 상대적으로 높다. 보건의료와 교육은 불평등지수가 최근 낮아졌다. This study examines inequality in consumption with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Theoretically, inequality of income is likely to lead to inequality of consumption since the Gini coefficient of consump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Gini coefficient of income. The inequality index of income and consumption shows a similar trend,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a few years. The welfare inequality of households, which is evaluated on the basis of consumption, has been growing since 2010. Inequality of income is greater than that of consumption and inequality in the high income group was the largest. By age group of household head, households with the age group over 60 have the largest consumption inequality, but the inequality among the age groups is not large. Inequality of elderly households is the largest among household types, but the difference of inequality among household types is not large. Inequality indices of food, communication and eating out are low compared to alcohol and cigarettes, household goods, and traffic.

      • KCI우수등재

        재정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지표

        박기백 ( Ki Baeg Park ),임주영 ( Ju Young Lim ) 한국경제학회 2002 經濟學硏究 Vol.50 No.3

        This paper aims to find fiscal measures which are easy to use, based on the economic model, and to inform the impact of fiscal policy. With a simple IS model, various fiscal indicators similar to IMF or OECD`s measures are derived. The indicators can be interpreted as the first round effect of fiscal policy to the economy without crowding-out effect. The new indicator and IMF`s measure applied to Korean fiscal data showed that the change of fiscal stance and economic impact of fiscal policy can be different for some years, which indicate that the choice of fiscal indicators should be dependent on the aim of the policy.

      • KCI등재

        공적ㆍ사적이전소득이 가구내 소득 이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기백(Ki baeg Park),성명재(Myung Jae Sung) 한국경제발전학회 2016 經濟發展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 사이의 구축효과와, 공적이전소득과 타 가구원의 부모에 대한 이전소득이 가구내에서 여타 가구원의 부모에 대한 소득이전에 미치는 영향(구축효과)를 공여자의 관점에서 분석함을 주된 연구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이전소득에 대한 구축효과는 수혜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온 반면, 본 연구에서는 공여자의 관점에서 이전소득 간 구축효과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부모에 대한 소득공여자(주로 성인자녀)의 소득을 피회귀변수로 하고, 공여자와 수혜자의 특성변수, 부모에 대한 여타 공여자(주도 소득공여자의 형제자매 등)들의 특성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2단계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수혜자가 수령하는 공적이전소득의 계수는 -0.1083, 여타 공여자의 이전소득의 계수는 -0.6124로 추정되었다. 그 결과 부모에 대한 소득 공여자의 공여소득은 부모의 공적이전소득과 여타 자녀의 공여소득에 대해 음(-)의 상관관계, 즉 구축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축효과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할 뿐만 아니라 공적이전소득에 대한 구축효과보다 부모에 대한 형제자매 사이의 소득 공여의 구축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이 특정적이다. 이는 형제자매 사이의 소득이전 규모 결정과정에서 공적이전소득보다 대체효과가 더 직접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사적이전소득 공여자 사이의 구축효과의 크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더 커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rowding-out effe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transfers as well as those between private transfers from the donor’s perspective. With a unique data set, this paper estimates donors’ transfer function, whereas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at of recipients. This approach relates the theoretical model to the estimation in a more direct manner and facilitates the interpretation of estimation results. Donors’ transfers are regressed on public transfers, donor/recipient characteristics, and other donor children’s transfers. The coefficient estimate of public transfers is -0.1083, and that of other donors is - 0.6124. Other donor children’s transfers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public transfers to crowd out donors’ transfers. Noteworthy is the strengthening of these effects over time(JEL: H31).

      • KCI등재
      • KCI등재

        집중계수로 평가한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의 적정성

        박기백(Ki-baeg Park)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7 재정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집중계수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의 적정성을 살펴본다. 계산에 사용한 자료는 ‘가계동향조사’의 2014년 자료이다. 식품의 경우에 미가공식료품보다는 곡물, 채소, 해조 및 조미식품이 더 적절한 면세대상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육류, 과일은 식품보다 더 고소득층이 소비하는 물품이므로 면세의 타당성이 약하다. 술의 경우에 소주와 탁주는 저소득층이 많이 사용하는 반면 증류주는 사치재로 분류가 되었다. 따라서 술의 경우에도 종가세적인 요소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의료서비스는 식품보다 집중계수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고가의 의료서비스는 면세에서 제외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연금보험, 일부 교육(고등교육, 학원 등)도 사치재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세를 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priateness of VAT exemptions using the concentration indices.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of 2014 are used in the calculation. In the case of food, grain, vegetables, seaweed and condiments were found to be more suitable than unprocessed food for the tax exempted goods. On the other hand, meat and fruit are consumed by the higher income class than the food, so the tax exemption is not appropriate. In case of alcoholic beverage, soju and takju were used mostly by low-income group, while spirits were classified as luxury goods. Therefore, ad-valorem tax should be added to the liquor tax system. Since the concentration index of medical service is higher than that of food, expensive medical services should be excluded from VAT exemption. Since pension insurance and some education (higher education, private academy, etc.) are luxury goods, they should consider taxation if they exceed a certain amount.

      • 사교육비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박기백(Ki-Baeg Park) 한국재정학회 1998 재정논집 Vol.13 No.1

        This paper empirically studies the determinants of private education costs with Daewoo Panel Data. The results show that increases in indirect tax rates have positive effect on households' educational expenditures except expenditures on extra curriculum. And the empirical results do not confirm the assertion that increase in government educational expenditures reduce household's expenditures on private education. Futhermore, educational expenditures' income elasticities are small, which implies families' educational expenditures are inevitable expense. Finally, educational expenditures except extra curriculum shrink while expenditures on extra curriculum education blow up as children grow.

      • 소비순위를 이용한 한계소비성향 및 동등화지수 추정

        박기백(Ki-baeg Park)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9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3

        본 연구는 지니계수가 공분산을 이용한다는 점을 활용하여 한계소비성향 및 동등화 지수를 계산하고 있다. 항상소득가설에 따라 임시소득이 소비와 관련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추정에 사용된 자료는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이다. 한계소비성향은 0.729 ~ 0.783로 추정되었다. 이는 소비를 당기소득에 대해 회귀분 석하여 한계소비성향을 추정한 다른 연구의 결과보다 현저히 높다. 또한 한계소비성향은 소득 1분위와 소득 2분위가 비슷하고 (0.6을 약간 상회), 소득 3분위는 0.7 전후 이며, 소득 4분위는 0.8 전후이고, 가장 고소득층인 소득 5분위는 1을 조금 상회한다. 이러한 결과는 한계소비성향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정반대이다. 본 연구에서 계산한 동등화지수는 Old OECD 동등화지수와 유사하고, 다른 동등화 지수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calculates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and equivalence scale by modifying the covariance method which is used in Gini coefficient calculation. We assume that temporary income is not related to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re used in the estimation. The estimated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is 0.729 ~ 0.783. Thi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values of other studies that have estimated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with current income on consumption.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is similar in the first and second income quintile (slightly above 0.6). It is around 0.7 in the third quintile, is around 0.8 in the fourth quintile, and is slightly above one in the fifth income quintile These results are contrary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The equivalence scale in this study is similar to the Old OECD equivalence scale and is higher than the other equivalence scales.

      • KCI우수등재

        소비 성향 변화의 분해

        박기백 ( Ki-baeg Park ) 한국경제학회 2017 經濟學硏究 Vol.65 No.1

        본 연구는 `가계동향조사`의 2006년과 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소비성향의 변화 요인을 샤플리 분해 방식으로 살펴본다. 전체 소비성향 하락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공교육, 복지(보육)처럼 정부의 보조하는 상품의 비중이 24.0%, 통신서비스와 담배처럼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상품의 비중이 30.2%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 유가 하락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는 난방과 자동차 연료비도 소비성향 하락의 16.3%를 차지한다. 그러나 외식과 식료품 등 음식과 관련된 지출이 소비성향 하락의 36.78%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가계가 미래에 대비하여 소비를 억제하고 있는 현상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소득분배, 가구주 연령 변화, 가구원 수의 변화는 전체 소비성향 하락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반면 고령화로 일반가구가 줄고, 노인가구의 비중이 증가하는 현상은 전체 소비성향 하락의 77.4%를 설명하고 있다. 사회보험료를 포함한 세금과 공적이전소득의 변화가 평균소비성향에 준 영향은 불분명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explaining the decline in consumption propensity with 2006 and 2014 data of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The Shapley method is applied for factor decomposition. The proportion of subsidized products such as public education and welfare (childcare) is 24.0%, and the proportion of products controlled by government such as communication service and tobacco is 30.2%. Heating and fuel costs, which may be affected by the drop in international oil prices, account for 16.3% of the decline in consumption propensity. However, the expenditure related to food accounts for 36.78% of the decline in consumption propensity, so that the households are suppressing consumption for the future. While changes in income distribution, age of the household head, and the number of householders do not explain the decline, the decrease of general households, coupled with the hike of elderly households, accounts for 77.4% of the decline. The impact of changes in taxes and public transfer income, including social insurance premiums, on average consumption propensity is uncl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